맨위로가기

조영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영식은 1921년 평안북도 운산군 출생으로, 경희학원(경희대학교) 설립자이자 교육자, 사회운동가, 세계평화론을 주창한 인물이다. 일제강점기 학도병으로 징집되었으며, 해방 후 김일성종합대학 교수를 거쳐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했다. 1950년대 '잘살기운동'을 시작했으며, 세계대학총장회의 창설을 주도하고 밝은사회운동(GCS운동)을 제창했다. 그는 정보과학혁명 시대를 맞아 세계화 속에서 민족 국가의 한계를 지적하며, 지구협동사회와 오토피아를 제시하며, 2012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일성종합대학 교수 - 황장엽
    황장엽은 북한 고위 간부 출신으로 주체사상 이론 체계화에 기여했으나 1997년 대한민국으로 망명하여 김정일 정권을 비판하고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해 활동하다 사망 후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 김일성종합대학 교수 - 조헌영
    조헌영은 한국민주당 당무위원 및 조직부장 등을 역임하며 민족자주와 민주주의 운동에 참여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헌 및 제2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운산군 출신 - 이태영
    한국 최초의 여성 변호사인 이태영은 여성법률상담소를 설립하여 여성 인권 신장에 기여하고 호주제 폐지 및 가족법 개정 운동을 주도했으며 민주화 운동에 헌신한 법조인, 여성운동가, 정치인이다.
  • 운산군 출신 - 이익 (실학자)
    이익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로, 『성호사설』을 저술하고 중농주의를 바탕으로 토지 분배와 화폐 사용 중지를 주장하며 개혁적인 사상을 제시했다.
  • 경희대학교 총장 - 박양원
    황해도 해주 출신인 박양원은 해군 장교와 의사, 교육자로 활동하며 해군본부 의무감, 해군병원 원장, 보건사회부 의정국장을 거쳐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경희의료원장, 경희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 경희대학교 총장 - 김진상
    김진상은 경희대학교 전자공학과 교수이자 KT 통신망연구소 선임연구원 출신으로, IEEE Senior Member, 대한전자공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하며 활발한 학회 활동을 하는 대한민국의 전자공학자 겸 교육자이며 2024년부터 경희대학교 총장으로 재임 중이다.
조영식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조영식
출생일1921년 11월 22일
출생지일제강점기 평안북도 운산군
사망일2012년 2월 18일
사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국적대한민국
거주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본관배천
학력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학사
종교개신교
배우자오정명
자녀2남 2녀 (장남 조정원, 차남 조인원, 장녀 조여원, 차녀 조미연)
활동 기간1951년~2006년
경력
경력평양김대학교 교수
서울고등학교 체육 교사
밝은 사회 국제 클럽 총재
직업
직업정치학자 겸 대학 교수 및 교육인 겸 학교법인단체인

2. 약력

1921년 평안북도 운산군에서 태어났다. 운산은 금 산지로 유명하며 그의 부친 조만덕(趙萬德)은 광산을 경영하였다. 해방 이전에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체육대학에 입학하였으나, 결혼을 위해 잠시 귀국하였다가 1944년 1월 평양에 주둔한 일본군에 학도병으로 강제 징집되었다. 1945년 1월 조선인 학도병을 규합하여 탈출을 모의하다 발각되어 고초를 겪었다. 해방 직후 김일성종합대학 교수를 역임하였고,[1] 1946년 월남하여 서울고등학교[2]에서 체육교사로 교편을 잡다가 1947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 편입하였다.[3] 1951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같은 해 신흥초급대학을 인수해 교육인의 길로 들어섰다. 이후 학교법인 경희학원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경희고등학교, 경희중학교, 경희초등학교, 경희유치원 등 전일적 교육체제를 갖춘 교육기관을 구성하였다. 1950년대 ‘잘살기운동’을 시작하면서 사회운동으로 나아갔다. 1955년 저작 "문화세계의 창조"의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구속되었으나 1956년 6월 15일 불기소로 무혐의 처리되었다.[4]

세계대학총장회의 창설을 주도하고, 1975년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제4차 세계대학총장회의 총회에서 인류사회의 올바른 방향 설정을 위한 보스턴 선언문을 채택하고 ‘밝은사회운동’(GCS운동)을 제창하였다. 1979년 밝은사회국제클럽을 조직하였다.

‘지구가 한 덩어리인 것처럼 인류세계도 하나’[5]라는 대전제에서 1980년대부터 세계평화운동을 시작했다. 1981년 제6차 세계대학총장회의 총회에서 평화의 날 제정을 제창하고, 코스타리카 정부의 협력을 얻어 안건을 유엔에 제출해 11월 30일 제36차 유엔 총회에서 9월 셋째 주 화요일을 ‘국제 평화의 날’로 제정·공표하게 되었다.

1990년대 이후 ‘제2의 르네상스’를 제창하고, ‘'''네오르네상스운동'''’을 전개하였다. 네오르네상스운동은 “정신적으로 아름답고, 물질적으로 풍요하며, 인간적으로 보람 있는 지구협력사회”를 이루자는 것으로, ‘오토피아’(Oughtopia) 구현을 목표로 하는 것이다. 1943년 오정명과 결혼하였으며, 슬하에 조정원, 조인원, 조여원, 조미연 2남 2녀를 두었다.

2012년 2월 18일, 경희의료원에서 향년 92세의 일기로 사망했다.[6]

3. 조영식의 세계평화론

조영식은 정보과학혁명시대[7]에는 세계화로 인해 민족국가가 유지되기 어렵다고 보았다. 그는 전쟁의 원인이 소수 지배층의 탐욕이며, 이를 막기 위해 프랑스 혁명, 러시아 혁명에 이은 제3의 시민혁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3. 1. 지구협동사회와 오토피아

그는 인류 역사의 발전 과정에서 제4혁명의 시대에 해당하는 정보과학혁명시대[7]에는 세계화로 인해 민족국가가 유지되기 어렵다고 보았다. 또한 이는 인간 자신이 유발한 것으로, 인류사회의 모든 제도와 관습 또한 인간이 구축한 것이기에 다른 체제로 전환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전쟁의 원인은 인간의 마음, 즉 소수 지배층의 탐욕이며 이때문에 전쟁을 막기 위해서는 진정한 민주주의가 필요하며, 프랑스 혁명(제1 시민혁명)과 러시아 혁명(제2 시민혁명)에 이은 제3의 시민혁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그는 유엔과 같은 기구를 중심으로 하는 지구협동사회와 유럽 연합과 같은 기구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협동사회를 거쳐 지역협동사회는 지구협동사회에 흡수되며, 이후에는 시민사회를 대표하는 NGO와 같은 비정부기구가 참여하는 국민주권하의 참여민주주의를 바탕으로 한 범세계적인 지구시민사회가 등장한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보편적 민주주의에 바탕을 둔 국가연합인 지구공동사회로 발전하며, 보편적 민주주의는 만민에게 자유와 평등·공영을 보장하는 체제를 말한다.[8]

이러한 지구공동사회는 이른바 ‘'''오토피아'''’(Oughtopia)를 말한다. 오토피아는 유토피아와는 달리 추구하여 실현할 수 있는 사회로, ‘ought to be(do)’와 ‘topia’의 합성어이다. 오토피아는 각 민족간의 공존공영을 추구하는 새로운 민족주의를 기반으로, 경제적 평등과 호혜주의, 인권주의, 문화주의, 반전평화주의, 과학주의, 국제민주주의의 8개 원칙을 기반으로 한다. 조영식은 이 8개 원칙을 ‘문화적 복리주의’라고 지칭했다.[9]

4. 주요 저서

출판 연도제목
1948년《민주주의 자유론》
1951년《문화세계의 창조》
1960년《인간과 창조》
1963년《우리도 잘 살 수 있다》
1971년《교육을 통한 세계평화의 구현》
1972년《새 한국 국민상의 모색》
1975년《인류사회의 재건》
1976년《창조의 의지》
1979년《오토피아》
1981년《하늘의 명상》
1991년《21세기 인류사회의 과제와 선택》
1991년《눈을 들어 하늘을 보라, 땅을 보라》
1993년《인류사회는 왜, 어떻게 재건되어야 하는가》
1994년《조국이여, 겨레여, 인류여》


참조

[1] 뉴스 보안법에 걸린 대학교재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55-08-05
[2] 문서 일부 기사에 서울고 출신으로 나온 것은 서울고에서 교사를 했던 것이 와전된 것이다.
[3] 웹인용 피난지 부산에서 경희의 초석을 다지다 https://web.archive.[...] 2015-08-16
[4] 뉴스 보안법에 걸린 대학교재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55-08-05
[5] 서적 문화세계의 창조 1951
[6] 뉴스 경희학원 설립자 조영식 박사 별세, 향년 91세 https://news.naver.c[...] 아시아경제 2012-02-19
[7] 서적 인류사회의 재건 1975
[8] 서적 민주주의 자유론 1948
[9] 서적 문화세계의 창조 195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