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지 프레보스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지 프레보스트는 1767년 미국 뉴저지에서 태어난 영국 육군 장교로, 서인도 제도와 캐나다에서 다양한 직책을 역임했다. 그는 1779년 소위로 임관하여 빠르게 진급했으며,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에서 활약했다. 도미니카 총독, 노바스코샤 부총독을 거쳐 1811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총독으로 임명되었으나, 미영 전쟁 중 플래츠버그 전투 패배로 해임되었다. 프레보스트는 1816년 군법회의를 앞두고 사망했으며, 사후 그의 캐나다 방어 준비와 미국의 침략 저지 노력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 육군 장성 - 제임스 애버크롬비
    스코틀랜드 출신 영국 군인이자 정치인인 제임스 애버크롬비는 7년 전쟁 중 북아메리카 영국군 총사령관을 지냈으나 타이컨데로가 요새 전투 패배 후 소환되었고, 하원 의원으로서 미국 식민지에 대한 강경책을 추진했으며, 조직력은 좋았지만 결단력 부족으로 "크롬비 할머니"라는 별명을 얻었다.
  • 영국 육군 장성 - J. F. C. 풀러
    J. F. C. 풀러는 전차 중심 기계화 부대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전격전 이론에 영향을 주고 캉브레 전투에서 전차 부대를 주력으로 한 공세 작전을 계획한 영국의 군인이자 군사 이론가, 역사가, 오컬트 작가이다.
  • 영국의 미영 전쟁 참전 군인 - 아이작 브록
    아이작 브록은 1812년 미영 전쟁 중 퀸스턴 하이츠 전투에서 전사한 영국의 군인으로, 디트로이트 요새 점령 등 캐나다 방어에 기여하여 영웅으로 추앙받는다.
  • 영국의 미영 전쟁 참전 군인 - 알렉산더 코크레인
    알렉산더 잉글리스 코크레인은 영국 해군 제독으로 미국 독립 전쟁, 나폴레옹 전쟁, 1812년 전쟁에 참전하여 워싱턴 D.C. 소각을 지휘하고 노예 해병대 군단을 창설하는 등 활약했다.
  • 18세기 영국 사람 - 존 애덤스
    존 애덤스는 미국의 제2대 대통령이자 건국의 아버지 중 한 명으로, 미국 독립 혁명 시기 독립 운동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독립 후에는 외교관, 부통령을 거쳐 대통령으로 재임하며 프랑스와의 준전쟁 해결, 해군 창설 등의 업적을 남겼다.
  • 18세기 영국 사람 - 윌리엄 허셜
    독일 태생 영국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은 음악가에서 천문학자로 전향하여 직접 망원경을 제작, 천왕성 발견, 쌍성·심원 천체·적외선 발견, 태양계 운동·은하수 구조 연구 등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여동생 캐롤라인 허셜 또한 여성 천문학자로서 업적을 남겼다.
조지 프레보스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조지 프레보스트
조지 프레보스트
전체 이름조지 프레보스트
출생일1767년 5월 19일
출생지영국령 아메리카 뉴저지 식민지 뉴바베이도스 타운십 (현재 미국 뉴저지주 해컨색)
사망일1816년 1월 5일
사망지잉글랜드 런던
사망 원인부종
안장 장소이스트바넷 세인트 메리 더 버진 교회, 이스트바넷, 런던, 잉글랜드
국적영국
배우자캐서린 앤 핍스
자녀5명
부모오귀스탱 프레보스트, 안 프랑수아즈 마르그리트 그랑
군 경력
소속그레이트브리튼 왕국/영국
복무 기간1779년–1816년
군종영국 육군
계급중장
지휘북아메리카 사령부
참전프랑스 혁명 전쟁, 1812년 전쟁
관직
임기 시작1812년
임기 종료1815년
이전제임스 헨리 크레이그
이후고든 드러먼드
군주조지 3세
임기 시작1808년
임기 종료1811년
이전제1대 준남작 존 웬트워스
이후존 코프 셔브룩
군주조지 3세

2. 어린 시절

프레보스트는 당시 영국 식민지이며, 현재 미국 뉴저지주 해켄색에서 스위스프랑스인으로 미국 독립 전쟁 때 영국군 장군이었던 오귀스탱 프레보스트 중장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개신교도였으며, 어머니는 나네트 앤 그랑(Nanette (Ann) Grand)이었다.[12] 프레보스트는 잉글랜드와 북미 대륙에 있는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12]

3. 군 경력

1779년 5월 3일, 조지 프레보스트는 열한 살의 나이로 아버지 오귀스탱 프레보스트가 고위 장교로 있던 제60 보병연대에 소위로 임관하였다.[2] 1782년에는 제47 보병연대로 중위로 전출되었고,[2] 1784년에는 제25 보병 연대에서 대위로 승진하였다.[2] 1790년 11월 18일에는 소령 계급으로 제60 보병연대에 복귀하였다.[2] 프레보스트의 외할아버지는 암스테르담의 부유한 은행가였는데, 당시 영국 육군에서는 "구매"를 통해 승진이 가능했기 때문에 그의 재정적 지원이 프레보스트의 빠른 승진에 도움이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2]

1794년 8월 6일, 중령으로 진급하여 세인트 빈센트에 주둔했다.[2] 1796년 1월 20일 전투에서 두 번 부상을 입고 영국으로 돌아와 현장 감찰 장교로 임명되었다. 1798년 1월 1일 대령이 되었고, 3월 8일에는 30세의 나이로 준장으로 승진했다.[2] 5월에는 세인트 루시아 부총독으로 임명되었는데, 유창한 프랑스어 실력과 온화한 행정으로 프랑스 농장주들의 존경을 받았다.[2] 1802년, 건강이 나빠져 영국으로 돌아왔다.[2]

1802년 프랑스와의 전투가 재개된 직후, 도미니카 총독으로 선출되었다.[3] 1803년, 프랑스는 섬을 점령하려 시도했고, 프레보스트는 이에 맞서 싸웠다. 그는 또한 세인트루시아를 되찾기 위한 노력에서도 프랑스와 싸웠다. 프레보스트가 도미니카에 재임하는 동안, 피에르-샤를르 빌뇌브 제독이 지휘하는 함대로 파견된 라그랑주 장군의 프랑스군에게 갑작스럽게 공격받는 일이 있었다. 이 습격은 트라팔가 해전의 전초전이 되는 사건이었다. 수적으로 열세였던 프레보스트의 부대는 주요 도시인 로조를 넘겨주고 철수했지만, 프랑스군은 3일 후에 섬을 떠났다.

1805년 1월 1일, 37세의 프레보스트는 소장으로 진급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영국으로 돌아갈 휴가를 받았다.[3]

1808년 1월 15일, 노바스코샤 부총독으로 임명되었으며, 중장으로 진급했지만 이 계급은 노바스코샤에서만 유지되었다.[2] 그는 대서양 식민지의 군사 방어를 개선하는 임무를 맡았다. 1808년 4월 7일 핼리팩스에 도착한 그는 4월 말까지 뉴잉글랜드에서 미국 정부의 영국에 대한 적대적인 태도에 대한 반대를 증가시키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2] 1808년 미국 대통령인 토머스 제퍼슨은 영국과의 미국 무역에 대한 금수 조치를 시행했다. 1808년부터 1812년 전쟁이 시작될 때까지 프레보스트는 노바스코샤와 뉴브런즈윅에 미국 상품이 관세를 지불할 필요 없이 상륙할 수 있는 "자유 항구"를 설립하여 뉴잉글랜드의 영국과의 무역을 장려하려 했다. 이로 인해 노바스코샤는 뉴잉글랜드뿐만 아니라 서인도 제도와의 무역도 크게 증가했다.[2] 프레보스트는 노바스코샤의 열악한 요새를 개선할 수 없었지만, 노바스코샤 입법부의 승인을 얻어 민병대 법을 개정하여 비상시에 정규 수비대와 협력할 작고 효과적인 민병대 부대를 동원할 수 있게 했다.[2]

마르티니크 침공 (1809)에서 사망한 병사들을 기리는 프레보스트의 기념비, 세인트 조지 (라운드) 교회, 핼리팩스, 노바스코샤


프레보스트는 마르티니크 원정 중 부사령관으로 임명되기도 했다. 1812년 6월, 미영 전쟁이 발발했고, 프레보스트가 조직한 캐나다 부대는 영국군에게 가치 있는 보조 부대로 활약했다.[2]

3. 1. 초기 군 경력 (1779년 ~ 1802년)

1779년 5월 3일, 그는 열한 살의 나이로 아버지 오귀스탱 프레보스트가 고위 장교로 있던 제60 보병연대에 소위로 임관하였다.[2] 1782년에는 제47 보병연대로 중위로 전출되었고,[2] 1784년에는 제25 보병 연대에서 대위로 승진하였다.[2] 1790년 11월 18일에는 소령 계급으로 제60 보병연대에 복귀하였다.[2] 프레보스트의 외할아버지는 암스테르담의 부유한 은행가였는데, 당시 영국 육군에서는 "구매"를 통해 승진이 가능했기 때문에 그의 재정적 지원이 프레보스트의 빠른 승진에 도움이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2]

1794년 8월 6일에는 중령으로 진급하여 세인트 빈센트에 주둔했다.[2] 1796년 1월 20일 전투에서 두 번 부상을 입고 영국으로 돌아와 현장 감찰 장교로 임명되었다. 1798년 1월 1일 대령이 되었고, 3월 8일에는 30세의 나이로 준장으로 승진했다.[2] 5월에는 세인트 루시아 부총독으로 임명되었는데, 유창한 프랑스어 실력과 온화한 행정으로 프랑스 농장주들의 존경을 받았다.[2] 1802년, 건강이 나빠져 영국으로 돌아왔다.[2]

3. 2. 도미니카 총독 시절 (1802년 ~ 1806년)

1802년 프랑스와의 전투가 재개된 직후, 프레보스트는 도미니카 총독으로 선출되었다.[3] 1803년, 프랑스는 섬을 점령하려 시도했고, 프레보스트는 이에 맞서 싸웠다. 그는 또한 세인트루시아를 되찾기 위한 노력에서도 프랑스와 싸웠다.

프레보스트가 도미니카에 재임하는 동안, 피에르-샤를르 빌뇌브 제독이 지휘하는 함대로 파견된 라그랑주 장군의 프랑스군에게 갑작스럽게 공격받는 일이 있었다. 이 습격은 트라팔가 해전의 전초전이 되는 사건이었다. 수적으로 열세였던 프레보스트의 부대는 주요 도시인 로조를 넘겨주고 철수했지만, 프랑스군은 3일 후에 섬을 떠났다.

1805년 1월 1일, 37세의 프레보스트는 소장으로 진급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영국으로 돌아갈 휴가를 받았다.[3]

3. 3. 노바스코샤 부총독 시절 (1808년 ~ 1811년)

1808년 1월 15일, 프레보스트는 노바스코샤 부총독으로 임명되었으며, 중장으로 진급했지만 이 계급은 노바스코샤에서만 유지되었다.[2] 그는 대서양 식민지의 군사 방어를 개선하는 임무를 맡았다. 1808년 4월 7일 핼리팩스에 도착한 그는 4월 말까지 뉴잉글랜드에서 미국 정부의 영국에 대한 적대적인 태도에 대한 반대를 증가시키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2] 1808년 미국 대통령인 토머스 제퍼슨은 영국과의 미국 무역에 대한 금수 조치를 시행했다. 1808년부터 1812년 전쟁이 시작될 때까지 프레보스트는 노바스코샤와 뉴브런즈윅에 미국 상품이 관세를 지불할 필요 없이 상륙할 수 있는 "자유 항구"를 설립하여 뉴잉글랜드의 영국과의 무역을 장려하려 했다. 이로 인해 노바스코샤는 뉴잉글랜드뿐만 아니라 서인도 제도와의 무역도 크게 증가했다.[2] 프레보스트는 노바스코샤의 열악한 요새를 개선할 수 없었지만, 노바스코샤 입법부의 승인을 얻어 민병대 법을 개정할 수 있었고, 이는 프레보스트가 비상시에 정규 수비대와 협력할 작고 효과적인 민병대 부대를 동원할 수 있게 했다.[2]

법률 개정은 프레보스트의 좋은 업적으로 여겨지는데, 그의 전임 부총독인 존 웬트워스는 노바스코샤의 행정부와 입법부 사이의 관계 약화에 책임이 있었기 때문이다. 웬트워스는 입법부인 하원의 희생을 통해 자신의 행정 권력을 확대하려 했다. 프레보스트가 도착했을 때, 윌리엄 코트넘 통이 이끄는 하원은 정부 지출을 통제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었다. 통을 달래기 위해 프레보스트는 그를 마르티니크 원정 중 부사령관으로 임명했다.

그들은 1808년 12월 6일 핼리팩스를 출발했다. 불행히도, 통의 출발은 하원과 행정부 사이에 평화로운 관계를 가져오지 못했는데, 그 이유는 프레보스트가 부재 중일 때 그의 대리인인 알렉산더 크로크가 공급 법안을 놓고 하원과 다퉜기 때문이다. 결국 크로크는 그 법안이 왕실 특권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거부했고, 그 후 자신과 하원 간의 분쟁을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입법 의회와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2]

마르티니크가 점령되었고, 프레보스트는 1809년 4월 15일 핼리팩스로 돌아왔다. 통은 서인도 제도에 머물기로 결정하여 돌아오지 않았다. 프레보스트는 크로크의 행동에 반대했고, 입법 의회와의 "좋은 이해"를 회복한 다음, 노바스코샤의 헌법을 글자 그대로 따르지 않기로 결정하여 하원을 진정시켰다. 1808년 6월 10일, 하원은 공급 법안을 통과시켰고, 또한 마르티니크 원정 중 프레보스트의 행동에 대한 그들의 승인을 표시하기 위해 프레보스트에게 칼을 구매하는 데 200 기니를 사용하기로 투표했다. 프레보스트는 자신이 왕관의 특권을 성공적으로 유지했다고 믿었다. 1809년, 그는 하원과의 좋은 관계를 이용하여 증류주에 대한 세금을 확보할 수 있었고, 그 수익금으로 지방 민병대의 장비 비용을 지불할 수 있었다. 노바스코샤 부총독으로서의 나머지 임기 동안, 프레보스트는 하원이 크게 반대할 행정 행위를 하지 않도록 했다.[2]

프레보스트는 인기 있는 부총독이 되었지만, 1810년부터 시작된 그의 시도, 즉 노바스코샤에서 영국 국교회를 강화하려는 시도는 다른 종교 단체를 소외시킬 수 있었기에 위협받았다. 그는 영국 정부를 설득하여 잉여 무기 자금을 사용하여 성공회 교회를 개발하고, 윈저의 킹스 칼리지를 확장하도록 했다. 그는 또한 성공회 성직자를 민간 치안 판사로 임명했고, 성공회의 토지 소유권과 어린이 교육에 대한 그들의 영향력을 보호했으며, 성공회 주교를 입법 의회에 배치했다. 주교가 핼리팩스에 거주한다는 조건으로, 프레보스트는 주교의 봉급을 인상할 수 있었다. 다른 종교 단체를 달래기 위해, 그는 다수의 로마 가톨릭 및 장로교 성직자를 치안 판사로 임명했고, 스코틀랜드 교회에 대한 자금 지원을 승인했다.[2]

1811년 5월, 프레보스트는 하원의 경비 보상 정책에 반대할 준비를 하고 있었는데, 이는 불규칙하고, 남용될 수 있으며, "왕관의 특권에 매우 위험한 악"이라고 느꼈기 때문에, 그는 크레이그 총독을 대신하여 로어캐나다로 이동하라는 명령을 받았다.[2]

3. 4. 영국령 북아메리카 총독 시절 (1811년 ~ 1815년)

1811년 5월, 프레보스트는 로어캐나다 주지사 제임스 크레이그의 후임으로 임명되어 퀘벡으로 이동했다. 그해 7월 4일, 프레보스트는 정식으로 중장으로 승진했고, 10월 21일에는 영국령 북아메리카의 총독 겸 캐나다 주둔군 총사령관이 되었다. 이 시기는 이웃 국가인 미국과의 전쟁이 현실화되던 때였다.[2] 프레보스트는 긴 전선을 적은 병력으로 방어해야 했기에, 몇 개의 정규군과 캐나다 민병 연대를 조직했다. 이듬해인 1812년 6월, 미영 전쟁이 발발했고, 이 캐나다 부대는 영국군에게 가치 있는 보조 부대로 활약했다.[2]

프레보스트는 영국령 북아메리카와 관련된 전쟁이 시작될 경우 캐나다인들의 동향을 걱정했고, 크레이그와 영국 과두정치 간의 당파적 동맹에 실망했던 캐나다 정치 지도자들을 달래려 했다. 프레보스트는 캐나다당 지도자 피에르스타니슬라스 베다르가 자신의 자리를 얻으려는 여러 사람들에게 반대받는 상황을 이용했다. 1812년, 지도자로서 동기를 잃은 베다르는 영국령 북아메리카 지역의 판사직을 받았는데, 이는 일반 정치 시스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없는 자리였다. 프레보스트는 온건파 루이조제프 파피노와 협력하며 그를 지도자로 대우했다. 또한 1811년부터 1815년 사이에는 캐나다인 5명을 입법 위원회에 임명했는데, 이는 1798년 이후 캐나다인들이 임명에서 제외되었던 것과는 다른 이례적인 조치였다. 프레보스트는 식민 사무국에 보낸 보고서에서 "정부로부터 독립된 다수의 구성원으로 구성되어 국가의 고려를 받는" 입법 위원회를 만들어 "지금까지 총독이 직접 수행해 온 정치적 논쟁"을 그 위원회로 이전하고 싶다고 밝혔다.[2]

4. 1812년 전쟁

1812년 전쟁 발발 당시, 프레보스트는 방어적인 전략을 취했다. 1812년 8월, 영국 정부가 미국이 전쟁의 원인으로 지목했던 추밀원령(Orders in Council)의 일부를 철회하자, 프레보스트는 헨리 디어본 장군과 휴전 협상을 시도했다. 그러나 제임스 매디슨 대통령이 이 협상을 거부하면서 전쟁이 재개되었다.[5]

1813년, 프레보스트는 어퍼캐나다를 방문하여 군사 및 정치 상황을 개선하려 노력했다. 그는 아이작 브록 소장이 전사한 이후 어퍼캐나다의 상황이 좋지 않음을 인지하고 있었다. 같은 해 5월, 프레보스트는 킹스턴에서 온타리오 호에 있는 미국의 주요 해군 기지를 공격했으나, 새킷 항 전투에서 미군의 강력한 저항에 부딪혀 철수했다. 이 공격은 프레보스트와 해군 사령관 제임스 루카스 예오 모두 주저하는 모습을 보이며 실패로 끝났다.[5]

1814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패배하면서 영국은 북아메리카에 대규모 병력을 증원할 수 있게 되었다. 프레보스트는 챔플레인 호와 허드슨 강을 따라 침공하는 작전을 계획하고 직접 군대를 이끌었지만, 플래츠버그 전투에서 영국 해군 전대가 패배하면서 철수해야 했다.

4. 1. 1812년 전쟁 이후

1814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패배 후 영국은 대규모 지원군을 북아메리카에 파견할 수 있게 되었다. 프레보스트는 챔플레인 호를 거쳐 허드슨 강을 따라 내려가는 침공 작전을 계획하고 직접 병력을 지휘했다. 그러나 플래츠버그 전투에서 영국 해군 함대가 패배하면서 프레보스트는 후퇴해야 했다. 제임스 루카스 요 해군 준장은 프레보스트가 조지 도니 선장이 지휘하는 함대에 너무 이른 공격을 강요하여 육군의 지원을 받지 못하고 패배했다고 비판했다.[6] 프레보스트는 신중한 성격과 복장, 제복의 세세한 부분까지 신경 쓰는 점, 그리고 공이 있는 장교를 제대로 평가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부하 장교들 사이에서 평판이 좋지 않았다.

1812년 전쟁이 끝났다는 소식이 전해진 직후, 프레보스트는 해임되었고 조지 머레이 중장이 임시로 그 자리를 대신했다. 프레보스트가 영국으로 돌아갈 때 퀘벡 의회는 그에게 감사를 표하는 결의를 성급하게 통과시켰다.

영국으로 돌아온 프레보스트는 처음에는 의회와 군 당국으로부터 플래츠버그 전투와 전쟁 전반에 대한 설명을 인정받았다. 그러나 곧이어 플래츠버그 전투에 대한 해군의 공식 보고서가 요 준장의 주장과 함께 발표되면서 프레보스트는 비난을 받게 되었다. 그는 자신의 명예를 지키기 위해 군법회의를 요구했고, 증인들을 캐나다에서 불러오는 데 시간이 걸려 1816년 1월로 재판이 예정되었다. 하지만 프레보스트는 건강이 악화되어 재판 일주일 전에 사망했다.

이후 역사가들은 제한된 자원에도 불구하고 프레보스트가 캐나다 방어를 위해 활발하고 훌륭한 계획을 세웠으며, 불리한 상황 속에서도 미국의 침략을 막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한다.

프레보스트는 런던 근처 이스트 바넷에 묻혔다.

5. 말년

영국으로 돌아온 프레보스트는 의회와 군 당국으로부터 플래츠버그 전투와 전쟁 전반에 대한 해명을 initially initially initially initially initially initially initially initially initially initially initially initially initially initially initially initially initially initially initially initially initially initially initially initially initially initially initially initially initially initially initially initially initially

6. 유산

1813년 그의 이름을 따서 스쿠너 조지 프레보스 경 호(HMS Sir George Prevost)가 건조되었다.[8]

윈체스터 대성당에 있는 조지 프레보스트 기념비


1819년 프랜시스 챈트리가 조각한 그의 기념비가 윈체스터 대성당에 세워졌다.[10]

2016년 캐나다 정부는 프레보스트를 국가 사적 인물로 지정하였다.[11]

참조

[1] 서적
[2] 서적
[3] 간행물 London Gazette 1805-12-21
[4] 문서 The Quebec Almanack
[5] 서적 1812, The Navy's War Basic Books 2011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문서 Dictionary of British Sculptors 1660-1851
[11] 웹사이트 News https://www.canada.c[...] 2016-08-31
[12] 인용 Dictionary of Canadian Biography Online http://www.biograph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