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이작 브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이작 브록은 채널 제도의 건지섬에서 태어난 영국의 군인으로, 1812년 미영 전쟁 중 퀸스턴 하이츠 전투에서 전사했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군사적 재능을 보였으며, 15세에 소위로 임관하여 빠르게 진급했다. 브록은 1812년 전쟁에서 디트로이트 요새를 점령하는 등 뛰어난 활약을 펼쳤으며, 캐나다 방어에 헌신했다. 그는 1812년 퀸스턴 하이츠 전투에서 전사하여 캐나다와 영국에서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으며, 그의 업적을 기리는 다양한 기념물과 시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이아가라폴스 (온타리오주) 출신 - 제임스 카메론
    제임스 카메론은 캐나다 출신으로 *터미네이터*, *아바타* 등 흥행작들을 만든 할리우드 최고의 감독이자 제작자, 각본가이며, 혁신적인 3D 기술, 심해 탐험, 인공지능, 자연과의 갈등, 강인한 여성 캐릭터 등의 주제를 다루는 것으로 유명하다.
  • 나이아가라폴스 (온타리오주) 출신 - 데드마우스
    데드마우스는 캐나다 출신의 DJ이자 프로듀서 조엘 짐머만의 예명이며, 1990년대부터 음악 활동을 시작하여 2000년대 초부터 이 예명을 사용하고 2007년에는 Mau5trap 레이블을 설립했으며, 그래미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 영국의 미영 전쟁 참전 군인 - 알렉산더 코크레인
    알렉산더 잉글리스 코크레인은 영국 해군 제독으로 미국 독립 전쟁, 나폴레옹 전쟁, 1812년 전쟁에 참전하여 워싱턴 D.C. 소각을 지휘하고 노예 해병대 군단을 창설하는 등 활약했다.
  • 영국의 미영 전쟁 참전 군인 - 로버트 로스
    로버트 로스는 아일랜드 출신 군인으로, 나폴레옹 전쟁과 1812년 전쟁에 참전하여 워싱턴 D.C.를 점령했으나 볼티모어 전투에서 전사했다.
  • 영국 육군 소장 - 윈스턴 처칠
    귀족 가문 출신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을 승리로 이끈 수상이었으며 군인, 정치가, 작가, 화가로서 활동하며 냉전 시대 개막을 알린 윈스턴 처칠은 제국주의적 관점과 인종차별적 발언으로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 영국 육군 소장 - 래클런 매쿼리
    래클런 매쿼리는 스코틀랜드 출신으로 뉴사우스웨일스 주지사를 역임하며 시드니 도시 계획과 식민지 발전에 기여했으나, 원주민 정책 논란과 비지 조사위원회의 비판도 함께 받는 인물이다.
아이작 브록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이작 브록 초상화, 1809년경, [[윌리엄 버치]] 추정
1809년경 초상화, 윌리엄 버치 추정
존칭 접미사KB
이름아이작 브록
별칭어퍼 캐나다의 영웅
출생일1769년 10월 6일
출생지건지섬 세인트 피터 포트
사망일1812년 10월 13일
사망지어퍼 캐나다 퀸스턴
사망 원인총상 (가슴)
안장지브록 기념비, 퀸스턴
서명
경력
소속 국가그레이트브리튼 왕국 (1785–1801)
소속 국가 (이후)영국 (1801–1812)
군대영국 육군
복무 기간1785–1812
최종 계급소장
지휘어퍼 캐나다
주요 전투
프랑스 혁명 전쟁알크마르 전투
코펜하겐 해전
미영 전쟁디트로이트 포위전
퀸스턴 하이츠 전투
수상
훈장바스 훈장
정치 경력
직책어퍼 캐나다 부총독
직위대행
임기 시작1811년
임기 종료1812년 10월 13일
군주조지 3세
총독조지 프레보스트
대행프랜시스 고어
후임로저 헤일 쉐프

2. 어린 시절

브록이 태어난 세인트피터포트


브록은 채널 제도건지섬 세인트피터포트에서 영국 해군 장교 후보생이었던 존 브록과 엘리자베스 드 리젤 사이의 8번째 아들로 태어났다.[99] 브록 가문은 16세기부터 건지섬에서 거주하던 가문이었다.[99]

어린 시절 브록은 근면하고 성실한 학생으로, 수영과 복싱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99] 10살 때 사우샘프턴의 학교에 진학했고, 로테르담에서 1년간 프랑스어를 공부했다.[112]

정규 교육을 충분히 받지 못했지만, 브록은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성인이 되어서도 독서를 통해 스스로 학식을 쌓았다.[100] 그는 군사 전략 및 군사학 관련 서적뿐만 아니라 고대 역사 등 다양한 분야의 책을 읽었으며, 윌리엄 셰익스피어, 볼테르, 새뮤얼 존슨 등의 고전 문학 작품도 섭렵했다.[101]

그는 키가 6피트 2인치(약 188cm)가 넘는 건장한 체격으로, 여성들에게 인기가 많았지만 평생 결혼하지 않았다.[3]

3. 군사 경력

브록은 미영 전쟁 이전에도 성공적인 군 경력을 쌓았으며, 빠른 승진으로 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받았다. 그의 빠른 승진에는 운과 능력이 모두 작용했다. 정치적인 연줄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브록은 평화로운 시기에도 진급할 수 있었는데, 이는 그의 병력 모집, 재정 관리 능력, 그리고 야망 덕분이었다.[102][8]

1807년 체사피크 레오퍼드 사건과 리틀 벨트 사건 이후 미국과의 관계가 악화되자, 브록은 캐나다 방어 강화에 힘썼다. 토머스 제퍼슨은 캐나다 정복이 "군대가 행진하는 문제"라고 말할 정도로 미국 내에서는 캐나다 침공 여론이 높았다.[116]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여 브록은 퀘벡 시를 요새화하고, 지방해병대를 재편하여 오대호를 사수하기 위한 전함을 건조하는 등 방어 강화를 서둘렀다. 그러나 군을 위한 민간 토지 및 노동력 전용은 민정부와 충돌을 일으켰다.[112]

1807년 브록은 제임스 헨리 크레이그 총독에 의해 준장으로 진급했고,[117] 1810년에는 어퍼캐나다의 모든 병력을 통솔하게 되었다. 1811년에는 소장으로 진급하고, 어퍼캐나다 부총독 대행으로 민군 행정권을 모두 통솔하게 되었다. 1812년 초, 유럽으로 가도 좋다는 허가가 떨어졌지만, 브록은 미국과의 전쟁에서 캐나다를 지켜야 한다는 임무감에 이를 거부했다.[112][118]

브록은 어퍼캐나다 행정가로서 민병대 법을 개정하여 자원자 징집을 허용하고 훈련을 강화했다.[112] 또한, 쇼니 족의 수장인 테쿰세와 같은 원주민 지도자들과 동맹을 맺는 등 전쟁 준비에 박차를 가했다.

3. 1. 초기 경력

1785년, 15세의 아이작 브록은 제8왕의보병연대에 소위(ensign (rank))로 임관하여 군 생활을 시작했다.[103] 그는 연대의 깃발을 담당하는 역할을 맡았을 것으로 보인다.[104] 당시 관례에 따라 브록의 임관은 임관 매매(Sale of commissions)를 통해 이루어졌다. 1790년 1월 16일, 브록은 중위(lieutenant) 계급을 구매하여 진급했고,[105] 그해 말에는 자신의 중대(company (military))를 모집하여 이끌었다.[106] 1791년 1월 27일, 그는 대위(Captain (OF-2))로 진급하였고,[107] 같은 해 6월 15일 제49(웨일스 공주 샬럿) (허트퍼드셔) 보병 연대(49th (Princess Charlotte of Wales's) (Hertfordshire) Regiment of Foot)로 전출되었다.[112]

그의 조카이자 전기 작가인 퍼디난드 브록 터퍼(Ferdinand Brock Tupper)는 브록의 용기를 보여주는 일화를 소개했다.[14] 브록이 연대에 입대한 직후, 한 전문 결투가가 그에게 결투를 신청했다. 브록은 결투 조건을 선택할 권리가 있었음에도 권총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주변 사람들은 브록이 큰 표적인 반면 상대는 사격 전문가였기에 걱정했지만, 브록은 뜻을 굽히지 않았다. 그는 통상적인 거리가 아닌 손수건 거리(즉, 근거리)에서 결투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결국 결투가는 결투를 포기하고 연대를 떠나야 했다. 이 일화는 브록의 동료 장교들 사이에서 그의 용기와 명성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14]

브록은 카리브해에서 복무하던 중 열병에 걸려 거의 죽을 뻔했으나, 1793년 영국으로 돌아와 회복했다.[14] 이후 그는 저지섬에서 징집병을 담당하는 등 징병 업무에 주로 시간을 보냈다.[15] 1795년 6월 27일, 브록은 소령(major (United Kingdom)) 계급을 구매했고,[15] 1796년에는 서인도 제도에서 복귀한 그의 옛 여단에 다시 합류했다.[19]

3. 2. 첫 지휘

1797년 10월 28일, 브록은 3000GBP에 중령 계급을 구매하여 연대 지휘관 대행이 되었고, 1798년 3월 22일 프레데릭 케펠 중령이 퇴역하면서 정식 지휘관이 되었다.[16] 전임자는 군법회의에 회부되어 해임될 위기에 처하자 군에서 물러나는 것을 택했기 때문에, 브록은 비교적 싼 값에 계급을 구매할 수 있었다.[8]

1799년, 제49보병연대는 랄프 애버크롬비 경이 지휘하는 헬더 원정에 참여하여 바타비아 공화국(현재의 네덜란드)을 공격했다. 브록은 1799년 9월 10일, 존 무어 소장의 지휘 아래 첫 전투를 경험했다. 당시 브록이 지휘하던 제49보병연대의 상태가 좋지 않아 실제 전투는 거의 없었다. 무어는 경험이 더 많은 병사들을 투입하여 교두보를 확보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 10월 2일, 제49보병연대는 알크마르 전투에 투입되어 훌륭하게 싸웠으며, 33명의 사망자를 기록했다.

제49보병연대는 가파른 모래 언덕과 열악한 지형을 넘어 에그몬트옵제 해변으로 진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프랑스 저격수들이 훌륭한 엄폐물을 이용해 공격해 왔고, 약 6시간 동안 격렬한 전투가 벌어진 끝에 영국군은 목표 지점에서 약 1.6km 떨어진 곳에서 공격을 중단해야 했다. 한 시간가량 이어진 근접전 후, 프랑스군은 철수하기 시작했다. 브록은 전투 중 목에 머스킷 총알을 맞았으나, 목 가리개 덕분에 치명상을 면했다.[17] 그는 "적군이 후퇴하기 시작한 직후 쓰러졌지만, 전장을 떠나지 않았고 30분도 안 되어 임무에 복귀했다"라고 말했다.[19]

코펜하겐 해전 묘사. HMS 갠지스호에 탑승한 브록은 코펜하겐 요새 공격을 이끌 예정이었지만, 전투 결과로 인해 작전은 불필요해졌다.


1801년, 브록은 개인적인 친구인 토마스 프리맨틀 선장이 지휘하는 74문 함포 HMS 갠지스호에 탑승하여 코펜하겐 해전에 참전했다. 그의 부대는 코펜하겐 요새를 공격할 예정이었으나, 해전의 결과로 공격은 불필요해졌다. 브록은 넬슨 제독의 뛰어난 전술을 직접 목격할 수 있었고, 전투 후 프리맨틀과 함께 넬슨을 축하하는 자리에 함께했다.[18] 1802년, 브록과 제49보병연대는 캐나다로 파견되었다.

3. 3. 캐나다 배속

1802년 브록은 제49보병연대와 함께 캐나다로 이동하여, 처음에는 몬트리올에 배치되었다.[106] 그는 이곳에서 캐나다의 주요 문제 중 하나였던 탈영병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112] 1804년에는 7명의 병사들이 보트를 훔쳐 강을 건너 미국으로 도주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브록은 미국 영토에 대한 관할권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국경을 넘어 추격대를 보내 이들을 체포했다.[19]

얼마 후, 브록은 조지 요새에서 일부 주둔군이 장교들을 감금하고 미국으로 도주하려 한다는 보고를 받았다.[20] 그는 즉시 메시지를 가져온 스쿠너를 타고 로저 셰프 중령의 지휘 하에 있던 조지 요새로 향했다. 브록의 갑작스러운 도착에 급히 명예 경비대가 구성되었고, 브록은 요새에 혼자 들어가 경비병 하사관에게 무장 해제를 명령하고 그를 구금했다.[20]

저녁 식사 시간이었기 때문에 모든 병사들은 병영에 있었다. 브록은 북을 치는 병사에게 병사들을 소집하라고 명령했다. 그는 현장에 도착한 첫 번째 장교인 윌리엄스 중위에게 반란 주모자로 의심되는 병사를 데려오라고 명령했고, 윌리엄스는 그를 칼로 찌르며 구금했다. 다른 반란 혐의자들도 체포되었다.[20]

브록은 12명의 반란 가담자와 7명의 탈영병을 군사 재판을 위해 퀘벡으로 보냈다. 반란자들은 시아프를 제외한 모든 장교들을 감금하고 나이아가라 강을 건너 퀸스턴에서 미국으로 넘어갈 계획이었다. 이후 7명의 병사가 사격으로 처형되었다.[20] 반란자들은 시아프의 가혹한 명령 때문에 이러한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었다고 증언했다. 그들은 브록의 지휘 하에 계속 있었다면 그러한 행동을 결코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21]

3. 4. 전쟁 준비

미국과의 관계가 악화되자, 브록은 캐나다 방어 강화에 힘썼다. 1807년 체사피크 레오퍼드 사건과 리틀 벨트 사건 이후 양국 관계는 더욱 나빠졌다.[116] 미국은 영국이 미국 선원들을 영국 해군으로 강제 징집하고, 미국의 무역을 제한하는 것에 불만을 품었다. 또한, 영국령 북아메리카 식민지들을 병합하려는 목표도 있었다. 미국의 매파들은 캐나다를 침공하여 영국을 응징하고, 원주민들의 위협을 줄일 것을 요구했다. 미국의 지도자들은 증가하는 인구에 새로운 영토가 필요하다고 믿었고, 일부는 미국만이 북아메리카 대륙을 통치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철학은 훗날 "명백한 운명"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토머스 제퍼슨은 캐나다 정복이 "군대가 행진하는 문제"라고 말할 정도였다.[116]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여 브록은 퀘벡 시를 요새화하고, 지방해병대를 재편하여 오대호를 사수하기 위한 전함을 건조하는 등 방어 강화를 서둘렀다. 그러나 군을 위한 민간 토지 및 노동력 전용은 민정부와 충돌을 일으켰다.[112]

1807년 브록은 제임스 헨리 크레이그 총독에 의해 준장으로 진급했고,[117] 1810년에는 어퍼캐나다의 모든 병력을 통솔하게 되었다. 1811년에는 소장으로 진급하고, 어퍼캐나다 부총독 대행으로 민군 행정권을 모두 통솔하게 되었다. 1812년 초, 유럽으로 가도 좋다는 허가가 떨어졌지만, 브록은 미국과의 전쟁에서 캐나다를 지켜야 한다는 임무감에 이를 거부했다.[112][118]

브록은 어퍼캐나다 행정가로서 민병대 법을 개정하여 자원자 징집을 허용하고 훈련을 강화했다.[112] 또한, 쇼니 족의 수장인 테쿰세와 같은 원주민 지도자들과 동맹을 맺는 등 전쟁 준비에 박차를 가했다.

4. 미영 전쟁

1812년 6월 18일, 미국의 선전포고로 미영 전쟁이 발발했다.

4. 1. 디트로이트 요새 점령

매키나크 요새 점령으로 초기 주도권을 확보한 브록은 조지 프레보스트 총독의 소극적인 전략에 맞서 적극적인 공세를 주장했다.[30][31][32] 윌리엄 헐이 이끄는 미국군의 침공을 저지하고, 디트로이트로 진격했다.[33]

브록은 앰허스트버그에서 쇼니 족 추장 테쿰세를 만나 깊은 인상을 받고, 빠른 관계를 맺어 디트로이트 요새에 대한 협력을 확보했다.[34] 헐의 군대에서 빼앗은 미국 외교 문서를 통해 헐이 테쿰세를 두려워하고 소심하며, 미국군이 사기 저하와 식량 부족에 시달린다는 점을 간파했다.[35]

브록은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테쿰세와의 협력, 심리전, 기만 전술 등을 활용했다.[36][37] 민병대에게 정규군 복장을 입혀 영국 정규군처럼 보이게 하고, 테쿰세의 부대가 요새 앞에서 여러 번 행진하게 하여 실제보다 병력이 많은 것처럼 보이게 했다.[38] 또한, 헐에게 항복을 요구하는 편지를 보내 "전멸 전쟁"을 언급하며, 통제 불가능한 "수많은 인디언"이 자신의 부대에 소속되어 있다고 위협했다.[38]

결국 1812년 8월 16일, 헐은 항복했다.[39] 헐은 "인디언 학살의 공포"로부터 2,500명의 병사와 700명의 민간인을 구했다고 썼다.[40][41]

이 승리로 미시간 준주 대부분에 대한 영국의 지배권을 확보하고, 테쿰세를 비롯한 원주민 동맹과의 관계를 강화했다.[3] 브록은 테쿰세를 "인디언의 웰링턴"이라 칭송하며, 쇼니족의 독립 국가 건설에 대한 지지를 약속했다.[42][45][46][47]

4. 2. 퀸스턴 하이츠 전투

스티븐 반 렌셀러 3세가 이끄는 미국군이 나이아가라 강을 건너 퀸스턴 하이츠를 공격하려 하자, 아이작 브록은 이를 막기 위해 전투를 지휘했다. 브록은 미국군이 나머지 병력을 강 건너로 이동시킬 것을 우려하여 즉시 공격을 명령했다. 그는 직접 돌격을 이끌었고, 이 과정에서 제49연대와 민병대 두 중대가 함께 했다.[49]

브록은 공격 중 소총탄에 맞아 팔목에 부상을 입었지만 공격을 계속했다. 그러나 그의 눈에 띄는 복장과 디트로이트 포위전 이후 테쿰세에게서 받은 띠[52] 때문에 표적이 되어, 결국 미국 저격병의 총에 맞아 가슴을 관통당해 전사했다.[53] 그의 마지막 말은 "용감한 요크 의용군이여, 밀어붙여라"[3] 또는 "밀어붙여, 나 신경 쓰지 마"[54]였다고 전해진다. 그의 시신은 로라 세코드의 집 맞은편에 있는 인근 집에 안치되었다.[57]

브록이 사망한 후, 존 맥도넬 중령이 지휘를 이어받아 두 번째 공격을 시도했지만, 그 역시 부상으로 사망했다.[58][60] 이후 로저 셰프가 증원군과 함께 도착하여 영국군을 지휘했다. 셰프는 이전과 달리 신중한 접근 방식을 택했고, 이는 결국 미국군에 대한 승리로 이어졌다.

4. 3. 매장

전투 후, 브록의 장례 절차는 오랫동안 그와 함께 복무했던 존 글레그 대위가 맡았다. 1812년 10월 16일, 브록과 맥도넬 대령의 장례 행렬은 정부 청사에서 포트 조지까지 이어졌으며, 길 양쪽에는 영국군, 식민지 민병대, 그리고 퍼스트 네이션스 전사들이 늘어섰다. 관은 포트 조지의 북동쪽 모퉁이에 새로 판 무덤에 안치되었다. 영국군은 존경의 표시로 21발의 예포를 세 차례 발사했다. 그날 늦게 포트 나이아가라의 미국 주둔군도 비슷한 예포를 발사하며 경의를 표했다.[63] 당시 어퍼캐나다의 인구가 적었던 것을 고려하면, 5천 명이 넘는 사람들이 장례식에 참석한 것은 놀라운 일이었다.

브록의 유해는 온타리오주 퀸스턴의 브록 기념비에 안치되어 있다.


나이아가라 단구 기슭에 있는 작은 케언은 브록이 전사한 지점을 표시한다. 1824년, 브록과 맥도넬의 유해는 퀸스턴 하이츠를 내려다보는 브록 기념비로 옮겨졌다. 원래 기념비는 1840년에 폭탄 공격으로 심하게 훼손되었는데, 이는 아일랜드계 캐나다인 테러리스트 벤자민 레트[64]의 소행으로 알려졌지만, 이후 재판에서 확인되지는 않았다.[65] 이 기념비는 공적 비용으로 건설된 약 56.39m 높이의 더 큰 구조물로 대체되었으며,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 브록의 유해는 1853년 10월 13일 새 기념비 내부에 다시 안치되었다. 기념비에는 다음과 같은 비문이 새겨져 있다. "어퍼캐나다는 이 기념비를 고 아이작 브록 소장, K.B., 임시 부총독이자 이 지역의 사령관, 유해가 아래 금고에 안치되어 있는 분의 기억에 헌정합니다. 침략하는 적에 맞서 그는 1812년 10월 13일, 그의 나이 마흔세 살에 이 고지 근처에서 전투 중 전사했습니다. 그가 통치했던 사람들에게 존경받고 애도받았으며, 그의 삶을 헌신했던 국왕에게 슬퍼했습니다."[66]

브록과 맥도넬의 유해는 1824년 퀸스턴 하이츠의 브록 기념비로 이장된 이후, 1840년 폭탄테러로 손상된 기념비를 대체하여 새로 건설된 기념비에 1853년 10월 13일 최종적으로 안치되었다. 수천 명의 사람들이 마지막 매장에 참석했다.

5. 유산

많은 캐나다인들은 브록을 자신들의 동료라고 생각했지만, 정작 브록 자신은 캐나다를 고향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브록은 퀘벡 시에 대해서는 호의적이었지만, 대체로 이 나라를 벽지로 여기고 나폴레옹과 싸우기 위해 유럽으로 전속되기를 희망했다.[90] 브록은 캐나다의 개척자들이 미국의 동조자가 아닐까 의심했기 때문에[91], 식민지를 지키기 위해 무기를 들게 하는 것을 주저했다. 그는 영국군 정규병과 테쿰세의 인디언 전사들과 함께 싸우는 것을 선호했다.

브록이 테쿰세나 다른 인디언 동맹군에게 보인 태도는 주목할 만하다. 브록이 교환한 문서를 보면, 그가 인디언을 아버지와 같은 겸손함으로 보고 있었지만[92], 테쿰세 자신을 매우 높이 평가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브록은 테쿰세를 "인디언의 웰링턴 공"이라고 부르며, "테쿰세보다 현명하고 용감한 전사는 없다고 믿는다"라고 말했다. 그는 인디언들에게도 그에 상응하는 존경심으로 대했다. 브록의 개인적인 고결함은 문서에도 나타나 있으며, 그가 살아있었다면 인디언의 고향에 대해 쇼니족에게 약속한 것을 지켰을 것이다.

브록은 폭넓은 공교육을 받지는 못했지만, 교육의 중요성을 인정했다. 그는 한가할 때는 방에 틀어박혀 교양을 높이기 위한 독서에 몰두했다고 한다. 그의 취향은 다양했으며, 전술이나 군사 과학 서적을 많이 읽는 한편, 철학이나 다른 다소 실천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분야의 책도 읽었다.[93] 브록이 죽었을 때, 그의 소장 서적 중에는 윌리엄 셰익스피어, 볼테르새뮤얼 존슨의 저서도 포함되어 있었다.

5. 1. 영국군에 미친 영향

브록의 사망은 영국군 지도부에 큰 타격을 주었다.[67] 그의 직속 후임자인 셰이프 소장은 퀸스턴 하이츠에서 성공적인 지휘를 했지만, 브록의 명성에는 미치지 못했다. 그는 존 스트라칸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에게 요크 전투에서의 후퇴로 비판받았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영국으로 소환되어 훌륭하지는 않지만 성공적인 군 경력을 이어갔다.[67]

그러나 브록의 디트로이트 후임자는 상황이 훨씬 더 악화되었다. 헨리 프록터 대령은 미래의 미국 대통령 윌리엄 헨리 해리슨 휘하의 재편성된 미국 북서부 육군의 공격에 직면했다. 해리슨은 디트로이트를 탈환하기 위해 나섰지만, 그의 군대 분견대는 1813년 1월 22일 프렌치타운 전투에서 패배했다. 프록터는 부적절한 판단을 보이며 포로들을 퍼스트 네이션 동맹군에게 맡겼고, 이들은 불특정 다수의 포로들을 처형했다.[68] 이후의 미국 승리로 해리슨은 캐나다에 대한 또 다른 침공을 시도할 수 있었고, 이는 1813년 10월 5일 템스 전투로 이어졌다. 성공적인 미국군의 돌격 이후 프록터의 부대는 도망쳤고, 테쿰세와 그의 아메리카 원주민 부대는 홀로 싸우게 되었다. 그들은 결국 패배할 때까지 싸웠다. 아마도 영국에게 더 중요한 것은 이 전투에서 테쿰세가 사망했고, 그들과 아메리카 원주민과의 동맹이 사실상 종료되었다는 것이다.

브록과 자주 충돌했던 프레보 총독은 1814년 플래츠버그 전투 이후까지 모든 영국군을 지휘했다. 이 전투는 해군/보병 합동 공격을 의도했지만, 프레보는 해군 전투가 거의 끝날 때까지 그의 부대를 투입하지 않았다. 그가 마침내 공격했을 때, 그의 부대는 최근 승진한 존 E. 울의 지휘 하에 있는 소수의 미국 정규군이 점령한 새러내크 강 다리를 건널 수 없었다. 병력의 우위에도 불구하고, 프레보는 해군 공격의 실패 소식을 듣고 결국 후퇴했다. 플래츠버그에서의 실패로 프레보는 영국으로 소환되어 조사를 받았고, 해군 군사 재판은 플래츠버그에서의 패배에 대한 책임이 주로 프레보에게 있다고 결정했다.[69] 프레보의 건강이 악화되어 1816년 초에 사망했다.

5. 2. 캐나다에 미친 영향

캐나다에서 브록은 조국을 구한 영웅으로 널리 추앙받고 있다.[75] 2004년 캐나다 텔레비전에서 실시한 위대한 캐나다인 투표에서 브록은 캐나다인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28위에 선정되었다.[76] 앵거스 리드 조사 그룹의 웹 조사에서는 브록을 캐나다 군인 영웅 중 가장 위대한 인물로 선정했다.[94]

나이아가라 단구 기슭에 있는 작은 케언은 브록이 전사한 지점을 표시한다. 1824년, 브록과 맥도넬의 유해는 퀸스턴 하이츠를 내려다보는 브록 기념비로 옮겨졌다. 원래 기념비는 1840년에 폭탄 공격을 받아 심하게 훼손되었는데, 이는 아일랜드계 캐나다인 테러리스트 벤자민 레트[64]에 의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후의 재판에서는 이를 확인하지 못했다.[65] 이 기념비는 공적 비용으로 건설된 약 56.39m 높이의 더 큰 구조물로 대체되었으며, 이는 현재까지 남아 있다. 브록의 유해는 1853년 10월 13일 새 기념비 내부로 재안치되었다.[66] 기념비에는 다음과 같은 글귀가 새겨져 있다.

> 어퍼캐나다는 이 기념비를 고 아이작 브록 소장, K.B., 임시 부총독이자 이 지역의 사령관, 유해가 아래 금고에 안치되어 있는 분의 기억에 헌정합니다. 침략하는 적에 맞서 그는 1812년 10월 13일, 그의 나이 마흔세 살에 이 고지 근처에서 전투 중 전사했습니다. 그가 통치했던 사람들에게 존경받고 애도받았으며, 그의 삶을 헌신했던 국왕에게 슬퍼했습니다.[66]

1859년 처음 출판된 브록의 말, 알프레드에 대한 전설이 있다. 그 말은 전투 중 맥도넬이 타고 있던 중 총에 맞아 죽었다고 하며, 브록이 쓰러진 지점을 표시하는 돌무덤 근처의 온타리오주 퀸스턴에 1976년에 세워진 기념물에 기념되고 있다.[66] 그러나 이 이야기는 증거가 거의 없다.[7]

1816년, 한 회사는 브록을 "어퍼 캐나다의 영웅"이라는 칭호로 기리는 일련의 사설 반 페니 토큰을 발행했다.[82]

브록 대학교에 있는 브록의 동상


브록의 기념비


온타리오주의 브록빌, 온타리오주 브록, 서스캐처원주 브록, 405번 고속도로의 아이작 브록 장군 파크웨이와 세인트 캐서린스의 브록 대학교는 모두 브록을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그의 이름을 딴 학교에는 위니펙의 한 학교와 토론토, 궬프, 온타리오주 해밀턴, 온타리오주 런던, 밴쿠버, 온타리오주 윈저의 공립학교가 있다.[83] 토론토의 스파디나 애비뉴의 퀸 스트리트 남쪽 부분은 한때 그의 이름을 따서 브록 스트리트라고 불렸다.[84]

2006년 10월 13일, 퀸스턴 하이츠의 레스토랑에서 온타리오주 고속도로 405호선을 아이작 브록 장군 파크웨이로 명명하는 행사가 열렸다.

2012년 9월, 캐나다 왕립 조폐국은 브록의 서거 2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액면가 350달러의 .99999 순금 동전을 발행했다. 뒷면 디자인은 1816년에 브록을 기념하기 위해 발행된 반 페니 토큰에서 따온 것이다.[85] 또한, 착색된 단풍잎과 무광의 단풍잎이 있는 25센트 동전이 출시되었다.

배서스트 스트리트 다리는 포트 요크의 친구들의 제안에 따라 토론토 시에서 아이작 브록 경 다리로 개명되었다.[86]

5. 3. 영국과 건지 섬

런던 세인트 폴 대성당에는 영국 하원에서 결의한 1575GBP로 조성된 브록의 기념비가 있으며, 하원은 그의 생존한 네 형제에게 각각 200GBP의 연금을 지급했다.[70][12]

건지 섬 세인트피터포트의 하이 스트리트에 있는 브록의 어린 시절 집은 여전히 남아 있으며 기념 명판이 부착되어 있다. 건지 섬 타운 교회 측면에는 캐나다에서 기증한 기념비가 설치되어 있다.

1969년 건지 섬 우체국은 그의 삶과 업적을 기념하는 우표를 발행했다.[88]

6. 평가

아이작 브록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많은 캐나다인들은 그를 영웅으로 여기지만, 정작 브록 자신은 캐나다를 자신의 고향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그는 퀘벡 시에 대해서는 호감을 가졌지만, 캐나다 전체를 벽지로 여겨 나폴레옹에 맞서 싸우기 위해 유럽으로 돌아가기를 원했다.[90] 또한, 브록은 캐나다 개척민들이 미국에 동조할 것을 우려하여 그들에게 무기를 쥐여주는 것을 망설였다.[91] 그는 영국 정규군과 테쿰세의 인디언 전사들과 함께 싸우는 것을 선호했다.

브록은 테쿰세를 비롯한 인디언 동맹군에게 각별한 존경심을 보였다. 주고받은 문서들을 보면, 브록은 인디언들을 아버지처럼 공손하게 대하면서도,[92] 테쿰세 개인에 대해서는 "인디언의 웰링턴 공"이라 칭송하며 "테쿰세보다 현명하고 용감한 전사는 없다"라고 극찬했다. 브록의 이러한 고결한 인품은 그가 살아있었다면 쇼니족에게 약속했던 인디언들의 고향을 지켜줬을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한다.

브록은 정규 교육을 충분히 받지 못했지만, 교육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있었다. 그는 한가할 때면 방에 틀어박혀 교양을 쌓기 위해 책을 읽었다고 한다. 그의 독서 취향은 다양하여, 군사 전략이나 전술에 관한 책뿐만 아니라 철학 등 실용적이지 않은 분야의 책도 즐겨 읽었다.[93] 브록이 사망했을 때, 그의 소장 도서 중에는 윌리엄 셰익스피어, 볼테르, 새뮤얼 존슨의 저서도 포함되어 있었다.

6. 1. 긍정적 평가

많은 캐나다인들은 브록을 자신들의 동료라고 생각했지만, 브록 자신은 캐나다를 고향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브록은 퀘벡 시에 대해서는 호의적이었지만, 대체로 이 나라를 벽지로 여기고 나폴레옹과 싸우기 위해 유럽으로 전속되기를 희망했다.[90] 더욱이 브록은 캐나다의 개척자들이 미국의 동조자가 아닐까 의심했기 때문에,[91] 식민지를 지키기 위해 무기를 들게 하는 것을 주저했다. 브록은 영국군 정규병과 테쿰세의 인디언 전사들과 함께 싸우는 것을 선호했다.

브록이 테쿰세나 다른 인디언 동맹군에게 보인 태도는 주목할 만하다. 브록이 교환한 문서를 보면, 브록이 인디언을 아버지와 같은 겸손함으로 보고 있었지만,[92] 테쿰세 자신을 매우 높이 평가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브록은 테쿰세를 "인디언의 웰링턴 공"이라고 부르며, "테쿰세보다 현명하고 용감한 전사는 없다고 믿는다"라고 말했다. 인디언들에게도 그에 상응하는 존경심으로 대했다. 브록의 개인적인 고결함은 문서에도 나타나 있으며, 브록이 살아있었다면 인디언의 고향에 대해 쇼니족에게 약속한 것을 지켰을 것이다.

브록은 넓은 공적인 교육이 부족했지만, 교육의 중요성을 인정했다. 브록은 한가할 때는 방에 틀어박혀, 그 교양을 높이기 위한 독서에 몰두했다고 보고된다. 브록의 취향은 다양했으며, 전술이나 군사 과학의 저작을 많이 읽는 한편, 철학이나 다른 다소 실천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분야의 책도 읽었다.[93] 브록이 죽었을 때, 그의 소장 서적 중에는 윌리엄 셰익스피어, 볼테르새뮤얼 존슨의 저서도 포함되어 있었다.

참조

[1] 문서 Kosche (1985)
[2] 문서 Tupper (1847)
[3] 웹사이트 Isaac Brock – Saviour of Canada http://www.historica[...] 2008-07-16
[4] 문서 Tupper (1847)
[5] 웹사이트 The Earthly Possessions of Sir Isaac Brock http://www.uppercana[...] 2008-07-31
[6] 문서 Tupper (1847)
[7] 문서 Malcomson (2004)
[8] 문서 Tupper (1847)
[9] 간행물 London Gazette 1785-03-05
[10] 문서 Traditionally the regimental colours were placed in the care of the regiment's most junior officer, which in this case would be Brock.
[11] 간행물 London Gazette 1790-01-12
[12] 문서 Sweetman (2004)
[13] 간행물 London Gazette 1791-01-29
[14] 문서 Tupper (1847)
[15] 간행물 London Gazette 1795-06-23
[16] 간행물 London Gazette 1797-10-24
[17] 문서 Tupper (1847)
[18] 문서 Tupper (1847)
[19] 문서 Stacey (DCB)
[20] 문서 Tupper (1847)
[21] 문서 Tupper (1847)
[22] 문서 Tupper (1847)
[23] 문서 Nursey (1908)
[24] 문서 Tupper (1847)
[25] 간행물 London Gazette 1805-10-29
[26] 편지 Letter from Jefferson to Colonel William Duane 1812-08-04
[27] 문서 In British practice of the time brigadier general was not a permanent rank but an appointment of colonels or lieutenant colonels for a specific purpose or period of time
[28] 문서 Tupper (1847)
[29] 문서 Tupper (1847)
[30] 문서 Tupper (1847)
[31] 문서 Steppler
[32] 문서 Stacey, quoted in Zaslow
[33] 문서 Tupper (1847)
[34] 문서 Tupper (1847)
[35] 문서 Stacey, quoted in Zaslow
[36] 서적 The War of 1812: A Complete Chronology with Biographies of 63 General Officers https://books.google[...] McFarland Publishing
[37] 서적 Tecumseh and Brock: The War of 1812 https://books.google[...] House of Anansi Press
[38] 문서 Tupper (1847)
[39] 문서 Tupper (1847)
[40] 웹사이트 Capture of Detroit, War of 1812 https://www.thecanad[...] Canadian Encyclopedia 2019-07-12
[41] 서적 The War of 1812: A Complete Chronology with Biographies of 63 General Officers https://books.google[...] McFarland Publishing
[42] 문서 Tupper (1847)
[43] 문서 Tupper (1847)
[44] 웹사이트 Namesake of a Peacekeeper http://teachinghisto[...] 2011-10-08
[45] 문서 Tupper (1847)
[46] 문서 Tupper (1847)
[47] 문서 Tupper (1847)
[48] 서적 History of the Corps of Royal Engineers Vol I The Institution of Royal Engineers
[49] 문서 Cruikshank, in Zaslow
[50] 문서 Cruikshank, in Lundy's Lane Historical Society
[51] 문서 Nursey (1908)
[52] 문서 Hitsman, Graves, & Prevost (2000)
[53] 문서 Cruikshank, in Zaslow
[54] 문서 Tupper (1847)
[55] 문서 Tupper (1847)
[56] 문서 Latimer (2007)
[57] 뉴스 Battle re-enactment, Brock funeral parade weekend highlights http://eedition.niag[...] 2012-11-06
[58] 문서 Malcomson (2003)
[59] 문서 Nursey (1908)
[60] 문서 Malcomson (2003)
[61] 문서 Cruikshank, in Lundy's Lane Historical Society
[62] 문서 Cruikshank, in Zaslow
[63] 문서 Collins (2006)
[64] 문서 Malcomson (2003)
[65] 웹사이트 Brock's Monument http://www.niagaragr[...] 2010-11-07
[66] 웹사이트 Commemorative Plaques & Markers http://www.niagarapa[...] 2008-08-01
[67] 문서 Whitfield & Turner
[68] 웹사이트 The Battle of the River Raisin http://www.riverrais[...] 2008-07-16
[69] 문서 Burroughs
[70] 서적 Memorials of St Paul's Cathedral Chapman & Hall, Ltd
[71] 간행물 London Gazette 1812-10-06
[72] 간행물 London Gazette 1813-01-19
[73] 웹사이트 War of 1812 Timeline https://www.thecanad[...] 2022-02-15
[74] 웹사이트 Brock Barracks, Reading http://collections.r[...] 2022-02-15
[75] 서적 Fredriksen (2001)
[76] 뉴스 The Greatest Canadian https://web.archive.[...] 2008-08-04
[77] 서적 Tupper (1847)
[78] 서적 Tupper (1847)
[79] 서적 Tupper (1847)
[80] 서적 Nursey (1908)
[81] 서적 Tupper (1847)
[82] 웹사이트 The Coin Collection: Hero of Upper Canada https://web.archive.[...] Waterford County Museum 2001-07-26
[83] 웹사이트 Ontario Plaque https://web.archive.[...]
[84] 웹사이트 Toronto's Spadina Ave. When it was a quiet rural location https://tayloronhist[...] 2013-01-26
[85] 웹사이트 2012 Sir Isaac Brock $350 Gold Coin https://web.archive.[...] 2012-09-10
[86] 웹사이트 Direction http://www.fortyork.[...] 2015-08-03
[87] 웹사이트 Brock University, Canada https://www.gov.gg/b[...] States of Guernsey 2011-07-13
[88] 웹사이트 Future Student Awards https://brocku.ca/sa[...] Brock University 2016-04-23
[89] 문서 伝統的に連隊旗は一番若い士官が世話することになっており、この場合はブロックになる。
[90] 문서 See letters from Brock to his brothers dated September 5, 1808 and November 19, 1808.
[91] 문서 See letters from Brock to his brothers dated December 31, 1809, and to the Right Honourable W. Windham, dated February 12, 1807, and also to Lt.-Gen. Prevost, dated December 2, 1811.
[92] 문서 See letters from Brock to Lt.-Gen. Prevost, dated December 2 and 3 December, 1811.
[93] 문서 See Chapter 1 of Tupper.
[94] 문서 この調査は上記テレビの調査と同時期にインターネット上で行われたものであり、科学的に正確なものではない。[[世論調査]]を参照
[95] 문서 ジョン・マクドネル大佐はブロックの死の直後からシェフの到着まで、アルフレッドに乗って直接攻撃の指揮を執った。マクドネルは負傷し戦いの後に死んだ。アルフレッドも戦闘中に撃たれ死んだ。
[96] 문서 当時のカナダでは公式の通貨がなく、イギリスの貨幣も出回っていなかった。このために当初のカナダ通貨はアメリカかスペインのドルであった。ブロックの「軍札」はスペイン・ドルに代わるものであり、米英戦争後に廃止された。
[97] 웹사이트 This website discusses the SS ''Isaac Brock'' http://www.greatlake[...] 2018-03-01
[98] 서적 Tupper (1847)
[99] 웹인용 Isaac Brock–Saviour of Canada https://www.webcitat[...] 2006-11-27
[100] 서적 Tupper (1847)
[101] 웹인용 The Earthly Possessions of Sir Isaac Brock http://www.uppercana[...] 2004
[102] 서적 Tupper (1847)
[103] 간행물 London Gazette 1785-03-05
[104] 문서 Traditionally the regimental colours were placed in the care of the regiment's most junior officer, which in this case would be Brock.
[105] 간행물 London Gazette 1790-01-12
[106] 서적 Sweetman (2004)
[107] 간행물 London Gazette 1791-01-29
[108] 간행물 London Gazette 1795-06-23
[109] 간행물 London Gazette 1797-10-24
[110] 서적 Tupper (1847)
[111] 서적 Tupper (1847)
[112] 문서 Stacey (DCB)
[113] 서적 Tupper (1847)
[114] 서적 Tupper (1847)
[115] 간행물 London Gazette 1805-10-29
[116] 편지 Letter from Jefferson to Colonel William Duane 1812-08-04
[117] 문서 In British practice of the time brigadier general was not a permanent rank but an appointment of colonels or lieutenant colonels for a specific purpose or period of time
[118] 서적 Tupper (184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