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쿄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쿄력은 1685년부터 1755년까지 일본에서 사용된 역법으로, 800년 동안 사용된 선명력의 오류를 수정하기 위해 시부카와 슌카이가 개발했다. 시부카와는 태양년의 길이를 정확하게 계산하고, 도쿠가와 이에쓰나, 레이겐 천황 등의 지원을 받아 조쿄력을 채택했다. 조쿄력은 70년간 사용되었으며, 이후 보력력으로 대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도 시대의 천문학 - 천문방
에도 시대 도쿠가와 막부가 천문 연구와 역법 개정을 위해 설치한 천문방은 음양료의 역할을 계승하여 역법 개정, 천문 관측, 지도 제작, 서양 서적 번역 등을 수행했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 도쿄 대학으로 기능이 이어져 일본 근대 학문 발전에 기여했다. - 화력 - 선명력
선명력은 당나라 서앙이 편찬한 역법으로 일식과 월식 예보에 강점을 지녔으며, 고려와 일본에서 장기간 사용되어 오차 누적으로 혼란을 야기하기도 했다. - 화력 - 덴포력
덴포력은 시부카와 가게스케가 개발한 에도 시대 말기의 태음태양력으로, 정기법을 채택하여 계절 오차를 줄였으나 윤달 배치 규칙 문제로 2033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그레고리력으로 전환되었지만 현재도 구력이라는 이름으로 달력에 표기된다.
조쿄력 | |
---|---|
개요 | |
![]() | |
유형 | 태음태양력 |
문화권 | 일본 |
시대 | 에도 시대 전기 |
기원 | 선명력 (수정) |
창시자 | 시부카와 하루미 |
시행일 | 조쿄 원년 1684년 |
폐지일 | 간세이 11년 1799년 |
후계 | 간세이력 |
특징 | |
태양년 | 장년 |
1태양년 | 365.2428148일 |
삭망월 | 근사 29.5305985일 |
윤달 | 윤달 (약 3년에 한 번) |
역법 계산 | 평삭 |
오차 보정 | 정삭 |
역사적 배경 | |
이전 역법 | 선명력 |
문제점 | 천문 현상 예측 부정확 |
도입 배경 | 시부카와 하루미의 천문 관측 및 역법 연구 |
정책적 결정 | 에도 막부의 역법 개정 결정 |
주요 인물 | |
주도 인물 | 시부카와 하루미 |
후원 | 에도 막부 |
과학적 특징 | |
천문학적 계산 | 천문 관측 기반 |
수학적 방법 | 새로운 수학적 방법 도입 |
사회적 영향 | |
농업 | 농업 생산성 향상 기대 |
종교 | 종교 행사의 정확성 향상 |
사회 생활 | 일상 생활의 편의 증진 |
같이 보기 | |
관련 항목 | 일본의 역사 일본의 역법 태음태양력 |
2. 역사
시부카와 슌카이는 선명력의 오차를 발견하고 새로운 역법인 조쿄력을 개발하여, 1684년 12월 5일(조쿄 원년 10월 29일)에 채택되었다.[3] 시부카와 슌카이는 이 공로로 막부에서 신설한 천문방에 임명되었다. 겐로쿠 12년(1699년)에 시부카와 하루미가 올린 자필 『조쿄력』은 국립공문서관 소장으로 국가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7][8]
800년 만의 개력은 당시 화제가 되어, 이하라 사이카쿠는 『역』을, 치카마츠 몬자에몬은 『현녀수습병신력』을 집필했다.
2. 1. 개발 배경
시부카와 슌카이는 800년 동안 사용되어 온 선명력의 오차를 발견하고, 태양년의 길이를 365.2417일로 인식했다.[1][3]아이즈번 번주 호시나 마사유키는 시부카와 하루미(슌카이)에게 역법 개정 준비를 명했다. 호시나는 가신 안도 시헤이(유에키)와 시마다 가쿠에몬(사다쓰구)에게 수시력을 사용하여 역법을 만들게 하고, 시부카와와 야마자키 안사이에게 감독을 명했다. 그러나 수시력을 제정한 원나라는 과거에 일본을 공격했기 때문에 수시력과 같은 역원을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다고 하여, 역원을 당시 시대로 옮겼다. 간분 12년(1672년) 12월, 선명력에서는 월식이 있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일어나지 않았다. 수시력에서는 월식이 일어나지 않아 수시력의 우위성이 나타났지만, 같은 달 호시나 마사유키가 사망했다.
엔포 원년(1673년) 6월, 시부카와는 도쿠가와 이에쓰나에게 개력 상표문을 제출했다. 그러나 엔포 3년(1675년) 5월의 일식을 수시력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고 예측했으나, 선명력의 예측대로 일식이 일어나 개력 계획은 좌절되었다. 수시력이 작성된 13세기에는 동지점과 근일점이 거의 일치했지만, 에도 시대에는 어긋났던 것이 원인 중 하나이다. 시부카와는 이러한 시대 차이와 중국과 일본의 경도 차이를 고려하여 역법 개량에 힘썼다.
이 사이에 시부카와는 야마자키 안사이 문하의 쓰치미카도 야스토미와 학문적으로 교류했다.
덴나 3년(1683년) 11월, 시부카와는 도쿠가와 쓰나요시에게 개력 상표문을 제출한다. 상표문에는 그 해 음양두가 된 쓰치미카도 야스토미의 이름도 나타나, 교토 조정에서 개력이 논의될 조짐을 보였고, 시부카와도 교토로 소환된다.
조쿄 원년3월 3일(1684년4월 17일), 레이겐 천황으로부터 개력 선하가 있었지만, 내용은 대통력 채용이었다.[6] 시부카와가 쓰치미카도 야스토미, 무가 전주칸로지 카타나가를 통해 조정에 진언한 결과, 10월 29일(1684년12월 5일)에 대통력이 아닌 '''조쿄력'''으로 명명된 새로운 역법 채용 선하가 있었다.
2. 2. 개발 과정
시부카와 슌카이는 도쿠가와 이에쓰나를 보좌하던 아이즈 번주 호시나 마사유키의 명을 받아 역법 개정 준비에 착수했다.[3] 호시나 마사유키는 가신 안도 시헤이(유에키)와 시마다 가쿠에몬(사다쓰구)에게 수시력을 사용하여 역법을 만들게 하고, 시부카와 슌카이와 야마자키 안사이에게 감독을 명했다. 그러나 수시력을 제정한 원나라는 과거 일본을 공격했기 때문에 수시력과 같은 역원(역법의 기점이 되는 날)을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다고 호시나가 말했다. 그래서 고심하여 계산하여 역원을 자신들이 살고 있는 시대로 옮겼다.[3]간분 12년(1672년) 12월, 선명력에서는 월식이 있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일어나지 않았다. 수시력에서는 월식이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예측하여, 수시력의 우위성이 나타났다. 하지만 같은 달 호시나 마사유키가 사망했다. (타니 시게토오 『린잔집[5]』)
시부카와 슌카이는 이듬해 엔포 원년(1673년) 6월에 도쿠가와 이에쓰나에게 개력에 대한 상표문을 제출했다. 그러나 엔포 3년(1675년) 5월의 일식을 수시력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고 예측했음에도 불구하고, 선명력의 예측대로 일식이 일어났기 때문에 개력 계획은 좌절되었다. 수시력이 작성된 13세기에는 동지점과 근일점이 거의 일치했지만, 에도 시대에는 어긋났던 것이 원인 중 하나이다. 시부카와는 이러한 시대 차이와 중국과 일본의 경도 차이를 고려하여 역법의 개량에 힘쓰게 된다.
2. 3. 채택 및 사용
덴나 3년(1683년) 11월, 시부카와 슌카이는 도쿠가와 쓰나요시에게 개력 상표문을 제출하였다. 이 상표문에는 그 해 음양두가 된 쓰치미카도 야스토미의 이름도 함께 적혀 있었으며, 교토 조정에서 개력이 논의될 조짐을 보였다. 이에 시부카와도 교토로 소환되었다.[6]조쿄 원년(1684년)3월 3일 (1684년 4월 17일) 레이겐 천황은 개력을 윤허하였으나, 그 내용은 대통력을 채택한다는 것이었다.[6] 시부카와가 쓰치미카도 야스토미, 무가 전주칸로지 카타나가를 통해 조정에 의견을 제시한 결과, 10월 29일(1684년 12월 5일)에 대통력이 아닌 '''조쿄력'''으로 명명된 새로운 역법을 채택한다는 윤허가 내려졌다. 시부카와 등은 이 역법을 '''야마토력'''이라고 불렀다.[6]
시부카와는 이 공로로 막부에서 신설한 천문방에 임명되었다.[6]
조쿄력은 조쿄 2년 1월 1일(1685년 2월 4일)부터 보력 4년 12월 30일(1755년 2월 10일)까지 70년간 사용되었다. 이후 보력력으로 개력되었다.
3. 의의 및 영향
시부카와 슌카이가 개발한 조쿄력은 800년 만에 일본이 주도하여 개정한 역법이라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3] 이전까지 일본은 중국의 선명력을 사용해 왔으나, 시부카와 슌카이는 선명력의 오차를 발견하고 새로운 역법을 만들었다.
조쿄력 개정은 당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하라 사이카쿠는 『역』을, 지카마쓰 몬자에몬은 『현녀수습병신력』을 집필하여 조쿄력 개정을 소재로 다루었다.
조쿄력은 이후 일본 천문학과 역법 발전에 기여했다. 시부카와 슌카이는 이 공로로 막부로부터 신설된 천문방에 임명되었다.[7][8]
3. 1. 한국과의 비교
시부카와 슌카이가 조쿄력을 개발하여 설명했다.[3] 그는 태양년의 길이를 365.2417일로 계산했다.[1]시부카와는 800년 동안 사용된 중국의 전통 달력인 선명력에 오차가 있음을 발견했다.[3]
참조
[1]
서적
"''Jōkyō-reki''"
https://books.google[...]
[2]
서적
Highlighting the History of Astronomy in the Asia-Pacific Region
https://books.google[...]
2011
[3]
서적
Shibukawa Shunkai
https://books.google[...]
[4]
문서
宝暦4年12月30日 (旧暦)
[5]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https://dl.ndl.go.jp[...]
2024-04-06
[6]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https://dl.ndl.go.jp[...]
2024-04-11
[7]
웹사이트
国指定文化財等データベース
https://kunishitei.b[...]
2024-04-11
[8]
웹사이트
旗本御家人III - 29. 貞享暦(じょうきょうれき) : 国立公文書館
https://www.archives[...]
2024-04-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