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존 매카시 (언어학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매카시는 언어학자로서, 하버드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의 교수를 역임했으며, 벨 연구소에서 방문 과학자로 활동하고 매사추세츠 대학교 애머스트로 옮겼다. 자율 분절 음운론과 운율 음운론 연구로 알려졌으며, 특히 앨런 프린스와 함께 운율 형태론 연구와 최적성 이론 발전에 기여했다. 1995년에는 대응 이론을 제안했고, 최적성 이론의 틀 내에서 투명성 연구, 계산 언어학적 연구, 언어 습득 가능성에 관한 연구 등을 수행했다. 2010년대에는 최적성 이론에 파생 개념을 도입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교육자로서 많은 박사 학위자를 배출하고, 최적성 이론의 입문서 및 개론 논문을 저술하여 이론을 널리 알리는 데 기여했다. 주요 저서로는 '셈어 음운론 및 형태론의 형식적 문제', '최적성이론 적용: 이론을 데이터에 적용하기'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드퍼드 (매사추세츠주) 출신 - 줄리앤 니컬슨
    줄리앤 니컬슨은 1971년 매사추세츠주에서 태어나 모델 활동 후 배우로 데뷔, 영화와 드라마에서 활약하며 《이스트타운의 말》로 에미상 여우조연상을 수상했고 뉴욕 연극 무대에서도 활동하는 미국의 배우이다.
  • 메드퍼드 (매사추세츠주) 출신 - 블랙달리아 사건
    블랙 달리아 사건은 1947년 로스앤젤레스에서 배우 지망생 엘리자베스 쇼트가 훼손된 시신으로 발견된 미해결 살인 사건으로, 언론의 과도한 관심과 선정적 보도 속에 대중문화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
  • 매사추세츠 대학교 - 매사추세츠 대학교 애머스트
    매사추세츠 대학교 애머스트는 1863년 설립되어 매사추세츠주 애머스트에 위치한 연구 중심 주립 대학으로, 매사추세츠 대학교 시스템의 주력 캠퍼스이며 다양한 학위 과정을 제공하고 2003년 주 의회에서 연구중심대학이자 주력 캠퍼스로 지정되었다.
  • 매사추세츠 대학교 - 매사추세츠 대학교 의과대학
  • 음운론자 - 프란츠 보아스
    독일 태생 미국 인류학자 프란츠 보아스는 문화 상대주의와 현장 연구를 강조하며 미국 인류학의 기틀을 세웠고, 인류학과를 설립하여 4분야 접근법을 제시했으며, 인종 차별에 맞서 싸운 사회적 책임 학자로서 20세기 인류학계 거장들을 배출했다.
  • 음운론자 - 레너드 블룸필드
    레너드 블룸필드는 구조주의 언어학 발전에 영향을 미친 미국의 언어학자로, 과학적 방법론을 언어 연구에 도입하고 형식적인 데이터 분석 절차를 강조했으며, 미국 언어학회 창립에 기여하고 《언어》 등의 저서를 통해 언어학 이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존 매카시 (언어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존 조지프 매카시
존 조지프 매카시
이름존 조지프 매카시
원어 이름John McCarthy
출생 년도1953년
출생지미국 매사추세츠주 메드포드
국적미국
학력
학사하버드 대학교 (AB)
박사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박사 학위 논문 제목Formal problems in semitic phonology and morphology (셈족 음운론 및 형태론의 형식적 문제)
박사 학위 논문 URL박사 학위 논문
박사 학위 취득 년도1979년
지도교수모리스 할레
학문 자문위원폴 키파르스키
제이 키저
조앤 브레스넌
짐 해리스
마크 리버먼
에드윈 S. 윌리엄스
박사 과정 학생린다 롬바르디
폴 드 레이시
경력
직업언어학자
직장매사추세츠 대학교
소속매사추세츠 대학교 애머스트
학문적 영향
분야언어학
영향 받은 학자린다 롬바르디
폴 드 레이시

2. 경력

매카시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언어학 및 근동 언어학 학사 학위를 받았고, 1979년 MIT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교수였으며, 벨 연구소 방문 과학자를 거쳐 매사추세츠 대학교 애머스트 교수로 재직했다.

3. 연구

매카시는 자율 분절 음운론 및 운율 음운론 연구로 학계에 이름을 알렸다. 특히 앨런 프린스와 함께 진행한 운율 형태론 연구는 이 분야의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3. 1. 최적성 이론

매카시는 앨런 프린스와 함께 최적성 이론을 처음 제안한 이후, 이 이론을 다양한 언어 현상에 적용하고 발전시키는 데 주력했다. 1995년에 제안한 대응 이론은 최적성 이론 내에서 사실상의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그는 최적성 이론으로는 다루기 어려운 투명성(opacity) 연구, 계산 언어학적 연구, 언어 습득 가능성에 관한 연구 등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3. 1. 1. 파생 개념 도입

앨런 프린스와 함께 운율 형태론 연구를 진행했으며, 최적성 이론의 발전에 기여했다. 1995년에 그들이 제안한 대응 이론(correspondence theory)은 사실상의 표준이 되었다. 2010년대에는 최적성 이론파생 개념을 도입하는 연구(OT-CC 및 Harmonic Serialism 등)에 매진했다.

3. 2. 기타 연구

매카시는 최적성 이론으로 다루기 어려운 투명성(opacity) 연구, 계산 언어학적 연구, 언어 습득 가능성에 관한 연구 등도 활발하게 수행했다. 2010년대에는 최적성 이론파생 개념을 도입하는 이론 연구(OT-CC 및 Harmonic Serialism 등)에 매진했다.

4. 교육자로서의 활동

그는 교육자로서 열정적으로 활동하며 많은 박사 학위자를 배출했다.[1] 또한 최적성 이론의 입문서 및 개론 논문을 다수 집필하여, 최적성 이론을 학계에 널리 알리는 데 기여했다.[2]

5. 저서


  • ''셈어 음운론 및 형태론의 형식적 문제''(Formal Problems in Semitic Phonology and Morphology), 루틀리지, 2018년
  • ''최적성이론 적용: 이론을 데이터에 적용하기''(Doing Optimality Theory: Applying Theory to Data), 와일리-블랙웰, 2008년
  • ''음운론에서의 최적성이론: 리더''(Optimality Theory in Phonology: A Reader) (편저), 와일리-블랙웰, 2008년
  • ''최적성이론의 주제별 안내''(A Thematic Guide to Optimality Theory),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2001년

참조

[1] 웹사이트 UMass Amherst: The Office of the Provost - Meet the Provost http://www.umass.edu[...] 2017-09-10
[2] 논문 OT Constraints are Categorica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