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셸비 스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셸비 스퐁은 미국의 성공회 주교이자 작가로, 자유주의 신학을 대표하며 전통적인 기독교 교리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했다. 그는 1977년 여성을 성직자로 서품하고, 1989년 공개적으로 동성애자인 남성을 서품하는 등 사회적 포용과 평등을 옹호했다. 스퐁은 성경 문자주의를 비판하고 새로운 해석을 제시했으며, 종교 간 대화와 협력을 강조했다. 그의 신학은 보수적인 기독교계로부터 이단으로 비판받았으며, 그의 저서는 기독교 신앙과 현대 사회의 조화를 모색했다. 스퐁은 2021년 9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공회 주교 - 니컬러스 토머스 라이트
니컬러스 토머스 라이트는 영국의 성공회 주교이자 신약성서 학자로,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케임브리지 대학교 등에서 신약성서학을 가르쳤으며 더럼 주교를 역임했고 현재는 세인트앤드류스 대학교에서 신약성경학과 초기 기독교 역사를 가르치며 역사적 예수 연구와 바울 신학 분야에서 세계적인 석학으로 인정받고 '바울에 대한 새 관점'을 제시하고 전통적인 칭의론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제시한 것으로 유명하며 그의 신학적 관점은 많은 지지와 함께 논란과 비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 성공회 주교 - 데즈먼드 투투
데즈먼드 투투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반대 운동을 이끌고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며, 진실과 화해 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인권 운동에 헌신하다 2021년에 사망했다. - 미국의 기독교 성직자 - 어빈 백스터
어빈 백스터는 미국의 복음주의 기독교 목사이자 작가, 라디오 토크쇼 진행자로, 종말론 연구와 엔드타임 미니스트리 설립, 그리고 "정치와 종교" 라디오 토크쇼 진행을 통해 기독교적 관점을 제시하며 종말론 해석에 대한 논란과 다양한 평가를 받았다. - 미국의 기독교 성직자 - 리처드 매더
리처드 매더는 17세기 뉴잉글랜드의 청교도 목사이자 회중교회 지도자로서, 영국에서 비국교도 문제로 이주하여 도체스터 교회 재건에 헌신하고 뉴잉글랜드 교회의 조직과 운영에 기여했으며, 그의 후손들은 미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개신교 신학자 -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비폭력 저항으로 미국 시민권 운동을 이끈 미국의 목사이자 사회 운동가, 인권 운동가로,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워싱턴 대행진 등을 주도하며 인종차별 철폐를 위해 투쟁했고, 그의 업적과 비폭력 저항 사상은 미국 사회와 전 세계 인권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 미국의 개신교 신학자 - 피터 L. 버거
피터 L. 버거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사회학자로서, 사회학을 인문학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사회적 현실 구성 과정을 설명했으며, 종교 사회학 분야에서 현대 사회의 종교적 역할을 탐구했다.
존 셸비 스퐁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 존경하는 |
이름 | 존 셸비 스퐁 |
직함 | 뉴어크 명예 주교 |
소속 교단 | 성공회 |
관구 | 제2관구 |
교구 | 뉴어크 |
임기 | 1979년–2000년 |
전임자 | 조지 라스 |
후임자 | 존 P. 크론버거 |
서품 | 1955년 12월 |
서품자 | 에드윈 A. 페닉 |
주교 서임 | 1976년 6월 12일 |
서임자 | 존 앨린 |
출생일 | 1931년 6월 16일 |
출생지 | 샬럿, 노스캐롤라이나주, 미국 |
사망일 | 2021년 9월 12일 |
사망지 | 리치먼드, 미국 |
종교 | 성공회 |
부모 | 존 셸비 스퐁, 둘리 보이스 그리피스 |
배우자 | 조앤 리디아 케트너 (1952년 결혼, 1988년 사망) 크리스틴 메리 브리저 (1990년 결혼) |
자녀 | 5명 |
이전 직위 | 뉴어크 부주교 (1976년–1979년) |
모교 |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버지니아 신학교 |
웹사이트 | johnshelbyspong.com |
2. 생애와 경력
존 셸비 스퐁은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서 태어나 공립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1952년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채플힐을 졸업하고, 1955년 버지니아 신학교에서 신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55년부터 1957년까지 노스캐롤라이나주 더럼의 세인트 조셉 교회에서 교구 사제로 사목했다. 1957년부터 1965년까지 노스캐롤라이나주 타보로의 칼바리 교구, 1965년부터 1969년까지 버지니아주 링치버그의 세인트 존 교회, 1969년부터 1976년까지 버지니아주 리치먼드의 세인트 폴 교회에서 교구 사제로 봉직했다. 1976년 뉴어크의 보좌 주교가 되었으며, 1979년부터 2000년까지 뉴어크 성공회 교구의 주교였다.
2. 1. 초기 생애
존 셸비 스퐁은 1931년 6월 16일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서 태어났다.[2] 그는 근본주의 교회에 다니며 자랐고 어머니의 종교적 신념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4] 12세 때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에도 스퐁은 계속 교회에 다니며 신앙에 더욱 깊이 관여하게 되었다.[2] 그는 샬럿의 공립학교에 다녔고, 이후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채플힐에 진학하여 1952년 학사 학위를 받고 피 베타 카파 회원으로 졸업했다. 1955년 버지니아 신학교에서 신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5]2. 2. 성공회 사제 및 주교 서품
1955년 성공회 사제 서품을 받았다.[5] 1955년부터 1957년까지 노스캐롤라이나주 더럼의 세인트 조셉 교회에서 교구 사제로 사목했다. 1957년부터 1965년까지 노스캐롤라이나주 타보로의 칼바리 교구, 1965년부터 1969년까지 버지니아주 링치버그의 세인트 존 교회, 1969년부터 1976년까지 버지니아주 리치먼드의 세인트 폴 교회에서 교구 사제로 봉직했다.[7] 1976년 뉴어크의 보좌 주교가 되었으며,[5] 1979년부터 2000년까지 뉴어크 성공회 교구의 주교였다.2. 3. 은퇴 이후
2000년 은퇴하였다.[7] 은퇴 후에는 하버드 신학대학원 등 미국의 주요 신학 기관에서 방문 교수로 재직하며 강연을 하였다.[7] NBC의 《투데이 쇼》, 빌 마허의 《정치적으로 부정확한》, 《데이트라인 NBC》, 《60분》, 《래리 킹 라이브》 등 다수의 전국 텔레비전 방송에 출연하였다.[8] 저술 활동 또한 활발히 이어갔다. 2021년 9월 12일 90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3][27]3. 주요 신학 사상 및 활동
존 셸비 스퐁은 성경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는 문자주의와 근본주의적 성경 해석을 비판하고, 성경의 역사적, 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비평적 해석을 강조했다.[19][20] 특히 복음서가 유대인의 관점에서 쓰였다는 점을 강조하며 유대교와 기독교 간의 대화를 모색했다.[19][20] 또한, 성경의 폭력적이고 배타적인 구절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통해 사랑의 하나님을 드러내야 한다고 주장했다.[19]
스퐁은 성경, 하나님,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전통적인 기독교 신앙에 도전하는 견해를 제시했다.[2][11][9] 그는 예수가 연민과 이타적인 사랑의 하나님의 현존을 온전히 표현했으며, 이것이 "예수는 주이다"라는 초기 기독교 선포의 의미라고 믿었다.[19][12] 그는 동정녀 탄생[13]과 예수의 육체적 예수의 부활[12]과 같은 일부 기독교 교리의 역사적 진실성을 부정했다. 또한 가톨릭교회의 신앙교리성이 발표한 ''예수 그리스도께서 주이시다'' 선언이 유일한 참된 교회 교리를 재확인했다며 비판했다.[14]
스퐁은 교회가 사회 변화를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하며,[15] 기독교의 많은 기본 교리가 재정립되어야 하는 새로운 종교 개혁을 촉구했다.[1] 그는 하나님을 정의되어야 하는 명사가 아니라, 우리가 살고, 사랑하고, 존재하도록 초대하는 동사로 보았다. 그는 피에르 아벨라르의 중세 보편주의와 폴 틸리히의 실존주의에 뿌리를 둔 사상을 대표한다.[19]
스퐁은 여성의 역할 확대와 LGBTQ 포용을 강력하게 지지했다. 그는 1977년 여성을 성직자로 서임한 최초의 미국 주교 중 한 명이었으며,[7] 1989년 공개적으로 동성애자인 로버트 윌리엄스를 서임한 최초의 미국 주교였다.[7] 그는 교회가 성별 다양성을 포함한 다양성을 더 포용하고, LGBTQ 사람들을 더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했다.[2][3][4]
3. 1. 성경 문자주의 비판과 새로운 해석
스퐁은 성경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는 문자주의와 근본주의적 성경 해석을 비판했다.[19][20] 그는 성경의 역사적, 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여 성경을 비평적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9] 특히 복음서가 유대인의 관점에서 쓰였다는 점을 강조하며, 유대교와 기독교 간의 대화를 모색했다.[19][20]스퐁은 성경에 나타나는 폭력적이고 배타적인 구절들을 비판적으로 성찰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는 이러한 성찰을 통해 사랑의 하나님을 드러내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9]
3. 2. 전통 교리 비판과 재해석
스퐁은 성경, 하나님,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견해가 전통적인 기독교 신앙에 도전했다.[2][11][9]스퐁은 예수 그리스도가 연민과 이타적인 사랑의 하나님의 현존을 온전히 표현했으며, 이것이 초기 기독교 선포인 "예수는 주이다"의 의미라고 믿었기 때문에 자신이 기독교인이라고 말했다.[19][12] 그는 예수가 하나님에게 아들로 입양되었고,[13] 이것이 하나님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 온전히 성육신된 방식이라고 말했다.[1] 그는 동정녀 탄생[13]과 예수의 육체적 예수의 부활[12]과 같은 일부 기독교 교리의 역사적 진실성을 부정했다. 2000년에 스퐁은 가톨릭교회의 신앙교리성이 발표한 ''예수 그리스도께서 주이시다'' 선언을 비판했는데, 그 이유는 이 선언이 가톨릭교회가 유일한 참된 교회이며 예수 그리스도가 인류의 유일한 구원자라는 가톨릭 교리를 재확인했기 때문이다.[14]
스퐁은 교회가 사회 변화를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5] 그는 기독교의 많은 기본 교리가 재정립되어야 하는 새로운 종교 개혁을 촉구했다.[1] 그는 하나님을 정의되어야 하는 명사가 아니라, 우리가 살고, 사랑하고, 존재하도록 초대하는 동사로 보았다.
스퐁은 기독교의 미래에 대해 "새로운 종교적 통찰은 항상 오래된 전통이 죽어가기 시작할 때만 나타납니다. 오래된 통찰을 버리는 것이 아니라, 그 통찰을 깊이 탐구하여 새로운 비전으로 나아감으로써 종교의 방향을 바꿀 수 있습니다. 신조는 3세기와 4세기 사람들이 하나님에 대한 이해를 노래하기 위해 작곡한 사랑의 노래였습니다. [...] 저는 일반적인 종교와 특히 기독교는 항상 발전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진화를 강요하는 것은 어제의 말과 오늘의 지식 사이의 대화입니다. 기독교의 죄는 우리 중 누군가가 우리가 만든 형태로 영원한 진리를 포착했다고 주장했던 것입니다."라고 말했다.[16]
스퐁은 성경에 대한 현대 비평적 분석의 영향을 받아 성경과 비성경적 자료에 의존했다.[19] 그는 학문과 연민으로 뒷받침되는, 성경에 대한 미묘한 접근 방식을 믿었으며, 이는 기독교 전통과 현대적 우주관 모두와 일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19] 그는 피에르 아벨라르의 중세 보편주의와 폴 틸리히의 실존주의에 뿌리를 둔 사상을 대표한다.[19]
스퐁의 저서로는 '''새로운 세계를 위한 새로운 기독교''', '''근본주의로부터 성경을 구출하기''', '''기독교가 변화하거나 죽어야 하는 이유'''가 있다.[19][20][21] '''새로운 세계를 위한 새로운 기독교'''에서 스퐁은 유신론으로부터 벗어나 기독교 신앙에 대한 근본적인 재고를 주장하고 현대 세계에서 기독교 내의 교리적 변화에 대한 그의 생각을 개괄했다. '''근본주의로부터 성경을 구출하기'''에서 스퐁은 성경의 문자적 해석에 도전하고 성경에 대한 보다 미묘한 접근 방식을 주장했으며, 사도 바울이 동성애자였다고 주장했는데, 이 주제는 고어 비달의 소설 '''골고다에서 생방송'''에서 풍자되었다.[19] '''기독교가 변화하거나 죽어야 하는 이유'''에서 스퐁은 기독교가 변화하는 세상에 적응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무관해질 위험이 있다고 주장했다.[21]
스퐁의 신학적 논쟁에 대한 영향은 마커스 보르그, 존 도미닉 크로산, 캐런 암스트롱과 같이 전통적인 기독교 신앙에 도전하고 보다 포괄적이고 진보적인 신앙을 촉구한 다른 신학자들의 작품에서 볼 수 있다.[22]
3. 3. 사회적 포용과 평등 옹호
스퐁은 교회 내 여성의 역할 확대를 강력하게 주장했다. 그는 1977년 여성을 성직자로 서임한 최초의 미국 주교 중 한 명이었으며,[7] 평생 여성 서임을 지지했다. 스퐁은 교회가 성별 다양성을 포함한 다양성을 더 포용하고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했다.[2][3][4]스퐁은 LGBTQ 포용의 강력한 지지자이기도 했다. 그는 1989년 공개적으로 동성애자인 로버트 윌리엄스를 서임한 최초의 미국 주교였다.[7] 스퐁은 교회가 LGBTQ 사람들을 더 받아들여야 하며, 성에 대한 전통적인 기독교적 신념은 현대의 지식과 이해에 비추어 재해석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18]
4. 비판과 논란
레이먼드 브라운은 스퐁의 학문적 연구를 "아마추어의 밤"이라고 비판했다. 스퐁은 브라운의 연구를 자주 칭찬했지만, 브라운은 스퐁의 예수 묘사가 신약 성서 저자들의 인식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말했다.[9]
로완 윌리엄스는 스퐁의 개혁을 위한 12가지 항목이 "혼란과 오해"를 담고 있다고 비판했다.[23]
2001년 호주 강연 여행 중, 스퐁은 브리즈번 교구 교회에서 강연하는 것이 금지되었다.[24] 2007년에는 시드니 대주교가 스퐁이 자신의 교구 교회에서 설교하는 것을 금지했다.[26] 반면, 호주 대주교는 2007년 스퐁을 초청하여 브리즈번에서 설교하도록 했다.[26]
마크 툴리는 스퐁이 초자연적인 것을 믿을 수 없는 세대에게 종교의 중요성을 알리고 있다고 주장했지만, 그의 합리주의적 관점은 구식이 되었다고 말했다.[27]
남침례신학교 총장 알버트 몰러는 스퐁의 가르침이 기독교 이단의 역사적 정의에 해당한다고 주장하며, 스퐁이 "사실상 모든 주요 기독교 교리들을 부인했다"고 비판했다.[26]
5. 저서
John Shelby Spong영어의 저서는 다음과 같다.[19]
출판 연도 | 원제 | 한국어 번역 제목 (출판사) |
---|---|---|
1973 | Honest Prayer | 정직한 기도 |
1974 | This Hebrew Lord | 이 히브리인 주 |
1975 | Christpower | 그리스도의 능력 |
1975 | Dialogue: In Search of Jewish-Christian Understanding | 대화: 유대교-기독교 이해를 찾아서 (잭 다니엘 스파이로 랍비와 공동 저술) |
1976 | Life Approaches Death: A Dialogue on Ethics in Medicine | 삶은 죽음에 다가간다: 의학 윤리에 대한 대화 |
1977 | The Living Commandments | 살아있는 계명들 |
1980 | The Easter Moment | 부활절 순간 |
1983 | Into the Whirlwind: The Future of the Church | 소용돌이 속으로: 교회의 미래 |
1986 | Beyond Moralism: A Contemporary View of the Ten Commandments | 도덕주의 너머: 십계명에 대한 현대적 관점 (데니스 G. 헤인즈 사제와 공동 저술) |
1987 | Consciousness and Survival: An Interdisciplinary Inquiry into the Possibility of Life Beyond Biological Death | 의식과 생존: 생물학적 죽음 너머의 삶의 가능성에 대한 학제 간 연구 (John S. Spong영어 편집, 클라이번 펠 서문) |
1988 | Living in Sin? A Bishop Rethinks Human Sexuality | 죄 속에서 사는가? 주교가 인간의 성에 대해 다시 생각하다 |
1991 | Rescuing the Bible from Fundamentalism: A Bishop Rethinks the Meaning of Scripture | 성경을 해방시켜라 (한국기독교연구소) |
1992 | Born of a Woman: A Bishop Rethinks the Birth of Jesus | 여자에게서 태어나다 |
1994 | 'Resurrection: Myth or Reality? A Bishops Search for the Origins of Christianity'' | 부활인가, 신화인가 |
1996 | Liberating the Gospels: Reading the Bible with Jewish Eyes | 예수를 2000년 동안의 오해로부터 해방시켜라 (한국기독교연구소) |
1999 | Why Christianity Must Change or Die: A Bishop Speaks to Believers In Exile | 기독교, 변하지 않으면 죽는다 (한국기독교연구소) |
2001 | Here I Stand: My Struggle for a Christianity of Integrity, Love and Equality | 내가 여기 서 있다: 온전함, 사랑, 평등의 기독교를 위한 나의 투쟁 |
2002 | God in Us: A Case for Christian Humanism | 우리 안의 하나님: 기독교 인본주의에 대한 주장 (앤서니 프리먼과 함께) |
2002 | A New Christianity for a New World: Why Traditional Faith Is Dying and How a New Faith Is Being Born | 새 시대를 위한 새 기독교: 전통적인 신앙은 왜 죽어가고 있으며 새로운 신앙은 어떻게 태어나고 있는가 (한국기독교연구소) |
2005 | 'The Sins of Scripture: Exposing the Bibles Texts of Hate to Reveal the God of Love'' | 성경과 폭력: 성경이 저지른 죄 (한국기독교연구소) |
2007 | Jesus for the Non-Religious | 만들어진 예수, 참 사람 예수 (한국기독교연구소) |
2009 | Eternal Life: A New Vision: Beyond Religion, Beyond Theism, Beyond Heaven and Hell | 영생에 대한 새로운 전망 (한국기독교연구소) |
2011 | Re-claiming the Bible for a Non-Religious World | 비종교적 세계를 위한 성경 되찾기 |
2013 | The Fourth Gospel: Tales of a Jewish Mystic | 제4복음: 유대 신비주의자의 이야기 |
2016 | Biblical Literalism: A Gentile Heresy | 성경적 문자주의: 이방인의 이단 |
2018 | Unbelievable: Why Neither Ancient Creeds Nor the Reformation Can Produce a Living Faith Today | 믿을 수 없는: 고대 신조도 종교 개혁도 오늘날 살아있는 신앙을 만들어낼 수 없는 이유 |
스퐁은 성경과 비성경적 자료에 대한 현대 비평적 분석에 영향을 받아, 학문과 연민으로 뒷받침되는 미묘한 성경 접근 방식을 믿었다.[19] 그는 자신의 접근 방식이 기독교 전통과 현대적 우주관 모두와 일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19] 그는 피에르 아벨라르의 중세 보편주의와 폴 틸리히의 실존주의에 뿌리를 둔 사상을 대표한다.[19]
스퐁의 주요 저서로는 '''새로운 세계를 위한 새로운 기독교''', '''근본주의로부터 성경을 구출하기''', '''기독교가 변화하거나 죽어야 하는 이유''' 등이 있다.[19][20][21] '''새로운 세계를 위한 새로운 기독교'''에서 스퐁은 유신론에서 벗어나 기독교 신앙에 대한 근본적인 재고를 주장하고, 현대 세계에서 기독교 교리 변화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개괄했다. '''근본주의로부터 성경을 구출하기'''에서 그는 성경의 문자적 해석에 도전하고, 보다 미묘한 성경 접근 방식을 주장했으며, 사도 바울이 동성애자였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고어 비달의 소설 '''골고다에서 생방송'''에서 풍자되었다.[19] '''기독교가 변화하거나 죽어야 하는 이유'''에서 스퐁은 기독교가 변화하는 세상에 적응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무관해질 위험이 있다고 주장했다.[21]
스퐁의 신학적 논쟁은 마커스 보르그, 존 도미닉 크로산, 캐런 암스트롱과 같이 전통적인 기독교 신앙에 도전하고, 보다 포괄적이고 진보적인 신앙을 촉구한 다른 신학자들의 작품에서 볼 수 있다.[22]
참조
[1]
라디오
Interview with John Shelby Spong
http://www.abc.net.a[...]
ABC Radio Australia
2001-06-17
[2]
웹사이트
RIP: John Shelby Spong, former Newark bishop who pushed for LGBTQ+ inclusion, dies at 90
https://www.episcopa[...]
2021-09-13
[3]
뉴스
John Shelby Spong, 90, Dies; Sought to Open Up the Episcopal Church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1-09-19
[4]
웹사이트
The Right Reverend John Shelby Spong, 1931-2021 · Leadership Gallery · The Church Awakens: African Americans and the Struggle for Justice
https://episcopalarc[...]
null
[5]
뉴스
John Shelby Spong: Bishop who championed inclusivity in the church
https://www.independ[...]
2021-09-23
[6]
뉴스
John Shelby Spong, 90, Dies; Sought to Open Up the Episcopal Church
https://www.nytimes.[...]
2021-09-22
[7]
웹사이트
Remembering John Shelby Spong, Episcopal bishop and LGBTQ champion
https://www.npr.org/[...]
2021-10-01
[8]
웹사이트
The General Convention of the Episcopal Church: House of Bishops
http://www.generalco[...]
null
[9]
서적
Eternal Life: A New Vision
HarperOne
[10]
웹사이트
The retired Bishop John Shelby Spong interview
http://www.readthesp[...]
Read the Spirit website
2013-06-23
[11]
서적
The Sins Of Scripture
HarperOne
[12]
서적
Resurrection: Myth or Reality? A Bishop's Search for the Origins of Christianity
HarperOne
[13]
서적
Born of a Woman: A Bishop Rethinks the Virgin Birth and the Treatment of Women by a Male-Dominated Church
HarperCollins
[14]
웹사이트
Dominus Iesus: The Voice of Rigor Mortis
http://www.beliefnet[...]
Beliefnet.com
2010-11-05
[15]
뉴스
Liberal Bible-Thumping
https://www.nytimes.[...]
2005-05-15
[16]
이메일
Q & A for 2-14-2013
https://progressings[...]
A New Christianity For a New World
[17]
Youtube
William Lane Craig vs John Shelby Spong {{!}} "The Great Resurrection Debate" (part 1)
https://www.youtube.[...]
2023-01-17
[18]
웹사이트
John Shelby Spong
https://lgbtqreligio[...]
2023-04-27
[19]
서적
Rescuing the Bible from Fundamentalism
HarperOne
[20]
서적
A New Christianity for a New World
Harper San Francisco
[21]
서적
Why Christianity Must Change or Die
HarperOne
[22]
서적
The heart of Christianity: Rediscovering a life of faith
HarperCollins
[23]
웹사이트
Rowan Williams vs Jack Spong
https://aus.religion[...]
2023-04-27
[24]
뉴스
Bishop banned by Hollingworth to preach here
https://www.smh.com.[...]
2003-10-01
[25]
뉴스
Fear of ideas: The decline and fall of Anglicanism
https://www.theguard[...]
2001-07-07
[26]
웹사이트
Heresy in the Cathedral
https://albertmohler[...]
2023-04-27
[27]
뉴스
John Shelby Spong, liberal Episcopal bishop, dies at age 90
https://www.washingt[...]
2021-09-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