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존 하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하우는 17세기 영국의 비국교도 목사이자 신학자였다. 그는 5세에 아일랜드로 이주했다가 1641년 영국으로 돌아와 케임브리지 대학교와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공부했다. 하우는 올리버 크롬웰의 채플린을 지냈으며, 1662년 통일법 통과 후 교회를 떠나 개인적으로 설교했다. 그는 '5마일법'을 받아들였지만, 이후 대륙으로 건너가기도 했다. 제임스 2세의 관용 선언 이후 런던으로 돌아와 예정설, 삼위일체 등에 대한 논쟁에 참여했으며, 윌리엄 3세에게 환영사를 보내는 반체제 목사 대표단을 이끌기도 했다. 하우는 여러 저서를 남겼으며, 그의 사상과 신학은 당시 사회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일랜드의 복음주의자 - 제임스 어셔
    제임스 어셔는 아일랜드 성공회의 성직자이자 학자로서 연대기 연구를 통해 세계 창조 시점을 기원전 4004년으로 계산했으며, 아일랜드 신조 작성에 참여하고 아일랜드의 프라이메이트와 아마 대주교를 지냈다.
  • 러프버러 출신 - 함자 초우두리
    함자 초우두리는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로, 왓퍼드 FC 소속 미드필더이며 레스터 시티 유소년 팀 출신으로 잉글랜드 U-21 대표팀과 방글라데시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했고 FA컵, FA 커뮤니티 실드, EFL 챔피언십 우승 및 2018년 툴롱 토너먼트 우승 경력이 있다.
  • 러프버러 출신 - 인디애나 (가수)
    잉글랜드의 싱어송라이터 인디애나는 1999년 데뷔 싱글로 데뷔하여 "Solo Dancing"으로 이름을 알렸고, 80년대 신시사이저 기반의 일렉트로니카 음악 스타일로 2015년 데뷔 앨범과 2021년 EP를 발매했다.
  • 1630년 출생 - 가이바라 에키켄
    가이바라 에키켄은 에도 시대의 유학자이자 본초학자로서, 주자학을 강의하고 조선 통신사 대응 등 중책을 맡았으며, 《징비록》 등을 일본에 소개하여 임진왜란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시하고, 60부 270여 권의 저서를 남겼다.
  • 1630년 출생 - 헨드릭 하멜
    헨드릭 하멜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소속 선원으로, 제주도 표류 후 13년간 조선에 억류된 경험을 바탕으로 하멜 표류기를 통해 조선의 모습과 풍습을 유럽에 상세히 소개하여 네덜란드와 대한민국 간의 교류에 기여했다.
존 하우
기본 정보
존 하우의 초상화
존 하우의 초상화
출생1630년 5월 17일
출생지러프턴
사망1705년 4월 2일 (74세)
사망지런던
국적잉글랜드
직업신학자, 목사
종교청교도
교육
학력옥스퍼드 대학교 (B.A., M.A.)
경력
주요 활동청교도 목사, 제임스 2세의 채플린
저서
주요 저서"The Blessedness of the Righteous" (의인의 복됨)
"The Living Temple" (살아있는 성전)
"The Redeemer's Tears Wept Over Dying Souls" (죽어가는 영혼을 위해 흘리신 구세주의 눈물)
가족
배우자앤 하우
자녀존 하우 주니어

2. 생애

존 하우는 러프버러에서 태어났다. 5살 때 윌리엄 로드에 의해 추방된 아버지를 따라 아일랜드로 갔다.[1] 1641년 잉글랜드로 돌아와 랭커스터에 정착하였다. 크라이스츠 칼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와 옥스퍼드 대학교 매그달렌 칼리지에서 수학하였다.

1662년 통일법 이후 비국교도로서의 삶을 살다가 비국교도들에 대한 더 심한 처벌 때문에 와튼 경의 초청을 받아 대륙으로 갔으며, 이듬해 위트레흐트에 정착했다. 제임스 2세가 1687년에 양심의 자유에 대한 선언을 발표하자 런던으로 돌아왔다. 이후 예정설, 삼위일체, 국교회 준수에 대한 논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1688년 윌리엄 3세에게 환영사를 보내는 비국교도 목사 대표단을 이끌었다.[1] 런던에서 사망했다.[1]

2. 1. 초기 경력

하우는 러프버러에서 태어났다. 다섯 살 때 아버지와 함께 아일랜드로 갔는데, 그의 아버지는 윌리엄 로드에 의해 직위를 박탈당했었다.[1] 1641년에 영국으로 돌아와 아버지와 함께 랭커스터에 정착했다. 케임브리지 대학교 크라이스트 칼리지[1]와 옥스퍼드 대학교 매그달렌 칼리지 (B.A., 1650; M.A., 1652)에서 공부했으며, 잠시 동안 펠로우이자 대학 채플린을 지냈다. 케임브리지에서 랄프 커드워스와 헨리 모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아마도 그들로부터 그의 저작물에 나타나는 플라톤주의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다. 1654년경 데번의 그레이트 토링턴의 종신 교구 목사로 임명되었다. 그에 따르면, 이 곳에서 15분간의 휴식 시간을 제외하고 아침 9시부터 오후 4시까지 단식일에 설교했으며, 그 동안 사람들은 찬송가를 불렀다고 한다. 1656년 런던을 방문했을 때 올리버 크롬웰은 그에게 화이트홀 궁전에서 설교하도록 설득했고, 그 결과 하우는 자신의 선호와는 달리 크롬웰의 채플린 중 한 명이 되었다. 리처드 크롬웰이 은퇴한 후 토링턴의 이전 교구로 돌아갔다. 1662년 통일법이 통과되자 교회를 떠났지만, 한동안 인근 지역에 머물면서 개인 주택에서 설교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오랜 친구인 세스 워드 엑스터 주교 앞에 소환되었으며, 워드는 하우에게 재서임을 간청했지만 실패했다.

1666년 하우는 5마일법을 받아들였지만, "인간의 법이 하나님의 말씀과 일치하는 한"이라는 제한 조항을 달았다. 1671년 앤트림 성의 마세린 경의 채플린이 되었다. 여기서 그는 아일랜드 장로교 조직의 전신인 앤트림 회의의 회원이었다. 1676년 라자러스 시먼의 후임으로 해버대셔스 홀에서 런던으로 돌아왔다.

2. 2. 비국교도로서의 삶

1662년 통일법 통과 이후, 하우는 교회를 떠났으나 인근 지역에 머물며 개인 주택에서 설교를 이어갔다. 이 시기에 그는 오랜 친구였던 세스 워드 엑스터 주교에게 불려갔고, 워드는 하우에게 재서임을 권유했지만 실패했다.[1]

1666년, 하우는 5마일법을 수용했지만, "인간의 법이 하나님의 말씀과 일치하는 한"이라는 조건을 달았다. 1671년, 그는 앤트림 성의 마세린 경의 채플린이 되었고, 아일랜드 장로교 조직의 전신인 앤트림 회의의 일원이었다. 1676년, 라자러스 시먼의 뒤를 이어 해버대셔스 홀에서 런던으로 돌아왔다. 1685년, 비국교도에 대한 탄압이 심해지자 와튼 경의 초청으로 대륙으로 건너가 이듬해 위트레흐트에 정착했다. 1687년, 제임스 2세가 양심의 자유 선언을 발표하자 런던으로 복귀했다. 이후 사망할 때까지 예정설, 삼위일체, 국교회 준수 관련 논쟁에 적극 참여했다. 1688년, 윌리엄 3세에게 환영사를 전하는 비국교도 목사 대표단을 이끌었다.[1]

2. 3. 말년

1685년, 비국교도에 대한 처벌이 강화되자, 존 하우는 와튼 경의 초청을 받아 대륙으로 갔다. 이듬해 위트레흐트에 정착했다.[1] 1687년, 제임스 2세가 양심의 자유 선언을 발표하자 런던으로 돌아와 이전 직책을 맡았다.[1] 이후 사망할 때까지 예정설, 삼위일체, 국교회 준수와 관련된 논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1] 1688년에는 윌리엄 3세에게 환영사를 전하는 반체제 목사 대표단을 이끌었다.[1] 그는 런던에서 사망했다.[1]

3. 사상과 신학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빈칸으로 출력합니다.)

4. 저서

존 하우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1]


  • ''The Blessedness of the Righteous'' (London, 1668) (→ ''의로운 자의 복'' (런던, 1668))
  • ''Delighting in God'' (1674) (→ ''https://books.google.com/books?id=xL6l0-yMooMC 하나님 안에서 기뻐함'' (1674))
  • ''The Living Temple'' (2 parts, 1675–1702) (→ ''살아있는 성전'' (2부, 1675–1702),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저서)
  • ''The Redeemer's Tears Wept over Lost Souls'' (1684) (→ ''잃어버린 영혼을 위한 구세주의 눈물'' (1684))
  • ''Works'' issued with a ''Life'' by 에드먼드 칼라미 (2 vols., 1724), and edited by J. Hunt (8 vols., 1810–22). There is also an American edition (2 vols., New York, 1869). (→ 에드먼드 칼라미가 쓴 ''생애''와 함께 발행된 ''저서'' (2권, 1724) 및 J. 헌트가 편집 (8권, 1810–22). 미국판도 있다 (2권, 뉴욕, 1869).)

4. 1. 대표 저서


  • ''의로운 자의 복'' (런던, 1668)
  • ''https://books.google.com/books?id=xL6l0-yMooMC 하나님 안에서 기뻐함'' (1674)
  • ''살아있는 성전'' (2부, 1675–1702),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저서
  • ''잃어버린 영혼을 위한 구세주의 눈물'' (1684)
  • 에드먼드 칼라미가 쓴 ''생애''와 함께 발행된 ''저서'' (2권, 1724) 및 J. 헌트가 편집 (8권, 1810–22). 미국판도 있다 (2권, 뉴욕, 1869).

4. 2. 기타 저서


  • 《의로운 자의 복》 (런던, 1668)
  • https://books.google.com/books?id=xL6l0-yMooMC 하나님 안에서 기뻐함》 (1674), (L. B. Seeley & Son, 1825)
  • 《살아있는 성전》 (2부, 1675–1702), 존 하우의 가장 잘 알려진 저서
  • 《잃어버린 영혼을 위한 구세주의 눈물》 (1684)
  • 에드먼드 칼라미가 쓴 《생애》와 함께 발행된 《저서》 (2권, 1724) 및 J. 헌트가 편집 (8권, 1810–22). 미국판도 있다 (2권, 뉴욕, 1869).

5. 평가 및 영향

존 하우에 대한 평가는 현재까지도 엇갈리고 있으며, 그의 정치 경력과 유산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6. 참고 문헌


  • H. 로저스, 《존 하우의 삶과 인격》(Life and Character of John Howe), 런던, 1879년 재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