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존키오 해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키오 해전은 1499년 오스만 제국과 베네치아 공화국 사이에 벌어진 해전으로, 오스만 제국의 승리로 끝났다. 케말 레이스가 이끄는 오스만 함대는 갤리선 10척과 기타 함선 4척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안토니오 그리마니가 지휘하는 베네치아 함대는 갤리선 17척, 갤리엇 46척, 카라카 15척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베네치아 함대의 지휘관 그리마니의 지휘력 부족과 소극적인 태도로 인해 베네치아군은 패배했다. 이 해전으로 오스만 제국은 동부 지중해에서 해상 패권을 강화했고, 베네치아 공화국의 세력은 약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만-베네치아 전쟁 (1499년) - 케팔로니아 공성전
    케팔로니아 공성전은 1500년 스페인-베네치아 연합군이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케팔로니아 섬을 탈환하여 베네치아 공화국 영토로 만들고 아드리아 해와 동지중해 해상 무역로를 통제하는 데 기여한 전투이다.
존키오 해전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존키오 해전 1499
알 수 없는 베네치아 화가가 그린 존키오 해전 그림, 대영 박물관 소장
시기1499년 8월 25일
장소이오니아해 존키오곶
결과오스만 제국의 승리
관련 전쟁오스만-베네치아 전쟁 (1499년)
교전 세력
교전국 1베네치아 공화국
교전국 2오스만 제국
지휘관
베네치아 공화국안토니오 그리마니
오스만 제국케말 레이스
페리즈 베그
병력 규모
베네치아 공화국갤리오트 46척
갤리선 17척
카라카 15척
오스만 제국군함 260척 (갤리오트 60척, 카라카 소수)

2. 배경

제공된 원본 소스에 존키오 해전의 배경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3. 준비

1499년 오스만 제국과 베네치아 공화국은 각각 함대를 구성하여 해전을 준비했다. 오스만 제국은 케말 레이스가 이끄는 함선 14척으로 시작하여 다부드 파샤가 파견한 함대와 합류, 총 290척 규모의 함대를 구성했다. 베네치아 공화국은 안토니오 그리마니를 사령관으로 임명하여 갤리선 17척, 갤리엇 46척, 카라카 15척 규모의 함대를 준비시켰다.

3. 1. 오스만 제국

1499년 1월 케말 레이스는 갤리선 10척과 기타 함선 4척으로 구성된 해군 병력을 이끌고 콘스탄티노플에서 출항하였다. 그해 7월에는 다부드 파샤가 파견한 대규모 오스만 함대를 만나 해군 지휘권을 넘겨받고 베네치아 공화국과의 대규모 해전을 위한 준비에 나섰다.[1] 당시 오스만 함대의 해군 병력 규모는 총 290척으로, 그 가운데 갤리오트 60척과 카라카 몇 척도 포함되어 있었다.[1]

3. 2. 베네치아 공화국

안토니오 그리마니가 지휘하는 베네치아 함대는 갤리선 17척, 갤리엇 46척, 카라카 15척으로 구성되었다. 당시 65세의 노장이었던 그리마니는 전투 경험은 있었지만, 대규모 함대를 지휘한 경험은 부족했다. 그리마니는 개인 재산으로 16,000두카트를 기부하고 갤리선 10척의 무장 자금을 지원하여 함대 지휘권을 얻었으나, 공격 또는 방어 작전 여부에 대한 명확한 지시를 받지 못한 채 출항했다.[1]

4. 전개 (존키오 해전)

1499년 8월 12일, 케말 레이스가 이끄는 오스만 함대는 이오니아해의 존키오 곶(Zonchio)에서 베네치아 함대를 공격했다. 베네치아 함대 지휘관 안토니오 그리마니는 우유부단하고 소극적인 지휘로 전투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 많은 베네치아 선장들은 그리마니의 명령을 무시했고, 그리마니 자신도 전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았다.[11][12]

4. 1. 전투의 주요 국면

1499년 8월 20일, 전투 둘째 날에 그리마니는 전투를 거부하는 선장들을 모두 죽이라고 명령했다. 프랑스에서 지원한 갤리선 4척이 도착했지만, 정작 본 전투에서는 전체 갤리선 170척 가운데 단 2척만이 오스만 함대에 맞섰다. 두 갤리선 모두 무사히 살아 돌아왔다.[12]

8월 25일, 전투 마지막 날에 베네치아 측은 오스만 측 갤리선 몇 척을 나포했다. 그러나 베네치아 측이 규율 통제에 실패하면서 오스만 측은 약탈당하던 선박들을 재탈환하는 데 성공했다. 프랑스 지원군은 베네치아인들에게 환멸을 느끼고 그들을 버려둔 채 로도스로 도망갔다.[12]

4. 2. 안드레아 로레단의 분전과 부라크 레이스의 자폭

1499년 8월, 존키오 해전의 가장 중요한 단계에서 안드레아 로레단과 알반 다르메르가 지휘하는 베네치아 카라크선 2척이 오스만 함대의 지휘선 중 한 척에 접근하여 선상 전투를 벌였다.[11] 로레단은 베네치아의 유력 가문이었던 로레단 가의 일원이었다.[5] 오스만 측 지휘선의 사령관 부라크 레이스는 자신의 함선을 베네치아 함선과 분리할 수 없게 되자 배에 불을 지르는, 당시로서는 극단적인 선택을 하였다. 세 척의 거대한 배가 함께 불타는 모습은 베네치아군의 사기에 심각한 타격을 입혔다.[12]

5. 결과 및 영향

안토니오 그리마니는 패전의 책임을 지고 1499년 9월 29일 체르소섬으로 추방되었으나, 훗날 1521년 베네치아 도제직에 올랐다. 바예지드 2세는 노획한 베네치아 갤리선 10척을 케말 레이스에게 하사하였고, 케말 레이스는 1499년 10월에서 12월 사이에 케팔로니아섬에 함대를 주둔시켰다. 이후 오스만 제국과 베네치아 공화국은 제2차 레판토 전투(모돈 해전)에서 다시 격돌했고, 케말 레이스가 지휘하는 오스만 해군은 이 전투에서도 승리했다.

5. 1. 오스만 제국의 승리

안토니오 그리마니는 1499년 9월 29일 체포되어 체르소섬으로 추방되었으나, 훗날 1521년 베네치아 도제직에 올랐다. 바예지드 2세는 노획한 베네치아 갤리선 가운데 10척을 케말 레이스에게 하사하였고, 케말 레이스는 1499년 10월에서 12월 사이에 케팔로니아섬에 함대를 주둔시켰다.

오스만군과 베네치아군은 이후 모돈 전투라고도 불리는 제2차 레판토 전투에서 다시 맞붙었고, 케말 레이스가 지휘하는 오스만군이 재차 승리하였다.

5. 2. 베네치아 공화국의 패배

안토니오 그리마니는 패전의 책임을 지고 1499년 9월 29일 체포되어 체르소섬으로 추방되었다.[1] 그러나 훗날 그리마니는 1521년 베네치아 도제직에 오르게 된다.[1]

5. 3. 이후의 전투

오스만 제국과 베네치아 공화국은 머지않아 제2차 레판토 전투(모돈 해전)에서 다시 격돌했고, 케말 레이스가 지휘하는 오스만 해군은 이 전투에서도 승리했다.[2]

참조

[1] 서적 Faith and Sword: A Short History of Christian-Muslim Conflict Reaktion Books 2006
[2] 서적 "Annali veneti dall'anno 1457 al 1500," Vieusseux, Florence 1843
[3] 서적 "Annali veneti dall'anno 1457 al 1500," Vieusseux, Florence 1843
[4] 서적 A History of Venice Penguin, London 2003
[5] 서적 The Limits of Identity: Early Modern Venice, Dalmatia, and the Representation of Difference https://books.google[...] Brill 2017
[6] 서적 The Foreign Relation of Turkey, 1481–1512
[7] 서적 Faith and Sword: A Short History of Christian-Muslim Conflict Reaktion Books 2006
[8] 서적 "Annali veneti dall'anno 1457 al 1500," Vieusseux, Florence 1843
[9] 서적 "Annali veneti dall'anno 1457 al 1500," Vieusseux, Florence 1843
[10] 서적 A History of Venice Penguin, London 2003
[11] 서적 The Limits of Identity: Early Modern Venice, Dalmatia, and the Representation of Difference https://books.google[...] Brill 2017
[12] 서적 The Foreign Relation of Turkey, 1481–15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