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종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종두는 천연두를 예방하기 위한 접종법을 의미하며, 인두법과 우두법으로 발전해왔다. 인두법은 15세기 중국에서 시작되어 소아시아로 전파되었고, 18세기에는 메리 워틀리 몬태규에 의해 영국에 소개되었다. 우두법은 에드워드 제너가 발견한 것으로, 1796년 소년에게 처음 접종하여 면역 효과를 확인한 후 전 세계로 보급되었다. 한국에서는 정약용이 종두에 관한 연구를 시작했으며, 지석영이 1879년 일본에서 우두법을 배워와 널리 보급했다. 1895년에는 종두 규칙을 공포하여 우두법 보급을 제도적으로 지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신 - 코로나19 백신
    코로나19 백신은 코로나19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다양한 기술 플랫폼을 기반으로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었으나, 백신 접근성 불평등, 허위 정보, 법적 책임 문제 등 논란과 변이 바이러스 출현으로 인한 효과 감소, 부작용 등의 문제도 존재한다.
  • 백신 - 콜레라 백신
    콜레라 백신은 콜레라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백신으로, 세계보건기구는 질병이 풍토병인 지역에서 예방적 및 대응적 사용을 권장하며 경구 백신과 주사형 백신이 있고, 최근에는 생산 비용을 절감한 새로운 제형의 백신이 개발되어 전 세계 콜레라 백신 공급량 증가에 기여하고 있다.
종두
기본 정보
종두법 시술 장면
종두법 시술 장면
역사
기원우두
최초 시행1796년 에드워드 제너
대한민국 최초 시행1879년 지석영
우두 접종 대체1970년대 천연두 박멸 선언 이후
의학적 정보
질병 분류감염병 예방
방법우두 바이러스 주입
효과천연두 예방
부작용국소 감염
알레르기 반응
기타
관련 용어백신, 면역, 예방접종

2. 천연두 예방법의 발전

천연두 예방법은 오랜 시간에 걸쳐 발전해 왔다. 초기에는 인두법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천연두 환자의 고름이나 딱지를 다른 사람에게 접종하여 가벼운 증상만 앓고 지나가게 하는 방법이었다. 인두법은 15세기 중국에서 처음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를 거쳐 소아시아 지역으로 전파되었다. 오스만 제국의 의사 자코모 필라리니는 1710년경 인두법에 대한 기록을 남겼으며, 1718년에는 메리 워틀리 몬태규가 잉글랜드에 인두법을 소개하기도 했다.[4][5] 1721년에는 보스턴에서 수백 명에게 인두법을 시술한 기록이 있다.

18세기 후반, 에드워드 제너는 우두를 앓은 사람이 천연두에 걸리지 않는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그는 우두 발진에서 나온 물질이 인두법과 같은 면역 효과를 낸다는 것을 발견하고, 1796년 제임스 핍스에게 우두를 접종하여 면역력을 확인했다.[6] 제너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백신'이라는 용어를 만들었으며, 이후 우두법은 전 세계로 퍼져나가 천연두 예방에 큰 기여를 했다.

2. 1. 인두법

인두법(영어: Variolation)은 천연두에 면역을 얻기 위해 시행하는 접종법의 일종이다.

  • 인두법은 15세기 중국에서 처음 시작된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 기록에는 16, 17세기에 걸쳐 다양한 인두법 적용 기술이 기록되어 있다.[2]
  • 인도를 통해서 소아시아로 전파되었다.[3]
  • 소아시아 최초의 문헌 기록은 1710년경 오스만 제국의 의사 자코모 필라리니에 의한 것이다.
  • 1718년 오스만 제국 주재 영국 대사 부인이었던 메리 워틀리 몬태규는 잉글랜드에 인두법을 소개하였다.[4][5]
  • 1721년 보스턴에서 수백 명에게 인두법을 시술한 기록이 있다.

2. 2. 우두법

에드워드 제너는 1773년 영국 글로스터셔주 버클리에서 개업의로 활동하면서 1775년 무렵 천연두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 지역에서는 우유 짜는 일을 하는 사람들이 우두를 앓고 나면 천연두에 걸리지 않는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었다. 제너는 이 점에 주목하여 관찰한 결과, 인두법과 같은 면역 효과를 내는 것은 우두 발진에서 나온 물질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1796년 5월 14일, 8세 제임스 핍스에게 처음으로 우두를 접종하여 면역력이 생겼음을 확인했다.[6]

제너는 1798년까지 23번의 실험을 진행하여 그 결과를 왕립 협회에 보고했다. 그리고 자신의 논문을 ‘천연두 백신의 원인과 결과에 대한 연구’라는 제목으로 직접 발표했다. 제너는 라틴어로 암소를 뜻하는 바카(vacca)에서 착안하여 백신(vaccine)과 백신 접종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1803년, 런던에서는 백신 접종을 장려하기 위해 왕립 제너 협회가 설립되었다. 제너는 이 실험을 계속하여 마침내 프랑스에서 우두법을 받아들였고, 이후 종두법은 전 세계로 퍼져나가기 시작했다.

3. 한국에서의 종두

한국에서는 조선 후기 정약용, 박제가 등이 중국을 통해 종두법에 대한 지식을 접하고 연구하였다. 정약용은 1799년 의주에서 종두에 관한 책을 얻어 연구하였고, 박제가와 함께 1800년(정조 24년) 종두에 관한 내용을 기록하였다. 정약용은 종두법에 관한 지식을 얻기 전에 이미 인두법 접종을 하고 있었다고 전해진다.[8]

이후 지석영의 노력으로 우두법이 널리 보급되기 전까지는 인두법으로 천연두를 예방하였다. 1895년 조선 조정은 종두 규칙을 공포하여 (11월 1일 시행) 우두법 보급에 힘썼다.

3. 1. 초기 도입과 연구

정약용은 1799년 의주에서 종두에 관한 책을 얻어 연구하였고, 1800년(정조 24년) 박제가와 함께 종두에 관한 내용을 기록하였다. 마과회통(麻科會通) 권말에 부기된 종두기법(種痘奇法)에 해당 내용이 언급되어 있다.[7] 정약용은 종두법에 관한 지식을 얻기 전에 이미 인두 접종을 하고 있었다고 전해진다.[8] 이규경오주연문장전산고에서 1835년에 정약용이 종두를 접종한 사실을 기술하였는데, 그 방법은 "젖소에서 발생되는 두종(痘腫)을 침으로 긁어내어 소아의 팔 위에 접종하고 그 자리에 우두가(牛痘痂)로서 마찰하면 그 뒤에는 천연두에 걸리지 않는다"는 것이었다.[8]

3. 2. 지석영의 우두법 보급

지석영은 한국에 우두법을 널리 보급한 선구자이다. 지석영의 노력 이전에는 인두법으로 천연두를 예방하였다. 지석영은 한의사였던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의학에 관심을 가졌으며, 중국에서 들여온 서양 의학서를 통해 에드워드 제너의 우두법을 접하게 되었다. 1876년 스승 박영선(朴永善)에게서 《종두귀감》을 얻어본 후, 1879년 10월 부산 제생의원에서 일본인 의사에게 두 달간 우두법을 배웠다.[7] 그해 겨울 충청북도 충주시 덕산면에서 40여 명에게 최초로 우두를 시술하였다.[7] 서울에 종두장을 설치하고, 1880년 2차 수신사 김홍집을 따라 일본에 건너가 우두종계소(牛痘種繼所)에서 두묘 제조법을 배우고 두묘 50병을 얻어 돌아와 우두법 보급에 힘썼다.[7]

1880년 지석영이 한국 최초의 우두 접종자로 거론되고 있으며, 이재하, 최창진, 이현유 등도 거론된다. 특히 지석영과 이재하가 유력시되고 있다. 우두법이 들어오기 전에는 인두법이 민간에 널리 퍼져 있었다. 1886년 의사 호러스 뉴턴 알렌의 기록에 따르면, 서울 거주자 100명 가운데 60~70명이 인두법 시술을 받았다. 이는 우두법이 1879년에 도입되었지만, 당시에는 인두법만큼 널리 퍼지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조선 조정에서는 1895년 종두 규칙을 공포(11월 1일 시행)하여 우두법 보급에 힘썼다.

3. 3. 우두법의 확산과 제도화

1876년 수신사로 일본에 다녀온 스승 박영선에게서 《종두귀감》을 얻은 지석영1879년 10월 부산의 제생의원에서 일본인 의사에게 두 달간 우두법을 배웠다. 그해 겨울 충청북도 충주시 덕산면에서 40여 명에게 우두를 처음 시술했고, 서울에는 종두장을 설치했다. 1880년 2차 수신사 김홍집을 따라 일본에 간 지석영은 우두종계소(牛痘種繼所)에서 두묘 제조법을 배우고 두묘 50병을 얻어 돌아와 종두법 보급에 힘썼다.[7]

1880년대 초, 지석영 외에도 이재하, 최창진, 이현유 등이 우두 접종을 시행했다. 인두법우두법 도입 이전에 민간에 널리 퍼져 있었다. 1886년 호러스 뉴턴 알렌의 기록에 따르면, 서울 거주자 100명 중 60~70명이 인두법 시술을 받았다. 1879년에 우두법이 도입되었지만, 당시에는 인두법보다 널리 퍼지지 못했다.

1895년 조선 조정은 종두 규칙을 공포하고 (11월 1일 시행) 우두법 보급에 힘썼다.

참조

[1] 웹사이트 백신 - 종두법에서 세균혁명으로 https://terms.naver.[...] 생각의힘
[2] 서적 Angel of death : the story of smallpox https://www.worldcat[...] Palgrave Macmillan 2010
[3] 저널 The origins of inoculation https://www.ncbi.nlm[...] 2012-07
[4] 웹사이트 에드워드 제너 [Edward Jenner] - 우두법을 발견한 영국의 의사 https://terms.naver.[...] 인물세계사
[5] 웹사이트 Internet History Sourcebooks https://sourcebooks.[...] 2020-04-16
[6] 서적 100 디스커버리 생각의날개 2011
[7] 웹인용 종두(種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2020-04-27
[8] 웹인용 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 2020-04-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