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권 (영헌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권은 명나라 홍무제의 아들로, 영왕에 봉해졌으며, 정난의 변 이후 남창왕으로 개봉되었다. 그는 군사적 재능과 문화적 업적을 모두 갖춘 인물로, 특히 『신기비보』를 편찬하여 고금(古琴) 역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도교 관련 저술과 다수의 작품 활동을 펼쳤으며, 후손 중에는 화가 팔대산인이 있다. 주권의 후손인 주진호는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고, 그는 1448년에 사망하여 헌(獻)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나라의 종실 친왕 - 동무제
동무제는 남명의 제4대 황제로 소무제 주율새의 뒤를 이었으나, 짧은 재위 기간 동안 남명은 권력 투쟁과 청나라의 압박으로 혼란을 겪었으며 비정통 황제로 분류된다. - 명나라의 도교 신자 - 가정제
가정제는 명나라의 제11대 황제로서, 정덕제의 뒤를 이어 즉위하여 대례의 의를 통해 생부를 황제로 추존하려 했으며, 북로남왜의 위협과 엄숭의 전횡, 도교 숭상으로 정치가 혼란스러운 가운데 단약을 복용하다 사망했다. - 명나라의 도교 신자 - 장삼풍
장삼봉은 중국 도교 전설 속 인물이자 태극권 창시자로 알려져 있으며, 원나라 말에서 명나라 초에 활동하며 유교와 도교에 능통했고 무당파를 창시한 인물로 묘사된다.
주권 (영헌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주권 (朱權) |
시호 | 영헌왕 (寧獻王) |
작위 | 영왕 (寧王), 남창왕 (南昌王) |
출생 | 1378년 5월 27일 |
출생지 | 명나라 난즈리 성 징쓰 |
사망 | 1448년 10월 12일 |
사망지 | 명나라 베이즈리 성 베이징 |
묘지 | 주권의 무덤 (현재의 장시 성 난창 시 신젠구) |
아호 (雅號) | 구선(臞仙), 대명거사(大明居士), 함허자(涵虛子), 단구선생(丹丘先生) |
가계 | |
아버지 | 명 태조 홍무제 주원장 |
어머니 | 숙비 양씨 |
배우자 | 본부인 1명, 측실 6명 |
자녀 | 슬하 6남 14녀, 장남 주반식(朱盤烒) |
친척 | 주전배(손자), 의문태자 주표(이복 적형), 영락제 주체(이복 서형), 영국공주(이복 누나), 안경공주(이복 누나), 혜종 건문제 주윤문(이복 조카), 인종 홍희제 주고치(이복 조카), 선종 선덕제 주첨기(이복 종손자), 영종 주기진(이복 종증손자), 대종 경태제 주기옥(이복 종증손자) |
통치 | |
작위 계승 | 영왕 |
통치 기간 | 1391년 – 1448년 |
이전 | 해당 없음 |
이후 | 주전배, 경왕 |
기타 정보 | |
직업 | 역사가, 군사 지휘관, 음악가, 극작가 |
종교 | 도교 |
2. 생애
1391년 홍무제에게서 '''영왕'''(寧王)으로 책봉되었다. 정난의 변 이후 1403년 '''남창왕'''(南昌王)으로 봉지가 바뀌었다. 이후 명나라 황실의 원로로서 예우받았다.
영락제는 1402년 즉위 후 주권에게 쑤저우 또는 첸탕의 영지를 주겠다고 약속했지만, 이를 어기고 장시성의 수도인 난창에 정착하게 했다. 주권은 '오구' 마법을 행했다는 혐의를 받은 후[3] 왕국 일에 관여하지 않고 은퇴했다.[4]
정통 13년(1448년)에 사망했으며, 시호는 헌(獻)이다. 장남 주반식(朱盤烒)이 먼저 사망하여, 손자 주전배(朱奠培)가 작위를 이었다.
2. 1. 초기 생애 및 군사 활동
1391년에 아버지 홍무제(洪武帝)로부터 '''영왕'''(寧王)에 책봉되었다. 처음에는 군사 지휘관으로, 츠펑 시, 내몽골 자치구에 있는 다닝, 다닝을 수도로 하는 영왕의 봉토를 받았다. 그는 예술과 전쟁에 능통한 것으로 알려졌다.[4]1399년, 조카 건문제의 즉위를 둘러싼 혼란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유교 조언자들의 조언에 따라 건문제는 숙부인 주권을 황실 수도 난징으로 소환했다. 같은 해에 다른 숙부들이 강등되거나 처형되었기 때문에 황제의 의도를 경계한 주권은 이를 거절했고, 불복종으로 인해 세 개 사단을 잃었다.[4]
연왕인 주체는 황제에 대항하여 자신의 반란을 준비하고 있었고, 주권의 훈련된 군대를 무력화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다. 오고의 현대 산하이관 근처 용평 공격을 이용하여 연왕은 오고의 군대를 격파한 후 다닝으로 가서 패배를 가장했다. 며칠 후, 그의 군대가 자리를 잡았고, 주권이 그의 형제를 배웅하는 동안 그를 사로잡았다. 명나라 공식 역사에서는 다닝의 철수를 기록하고 있으며, 주권의 후궁과 시종은 송정관으로 옮겨졌고, 연왕은 베이핑의 연왕 도성에 머물렀다.[4] 그러나 주체가 도시 전체에 불을 지르고 주권의 광대한 도서관을 파괴한 것은 언급하지 않았다.[2]
2. 2. 정난의 변과 역할
1399년, 건문제가 즉위하자 유교 조언자들의 조언에 따라 건문제는 그의 숙부인 주권을 황실 수도 난징으로 소환했다. 주권은 같은 해 다른 숙부들이 강등되거나 처형되었기 때문에 황제의 의도를 경계하여 이를 거절했고, 이로 인해 불복종으로 세 개 사단을 잃었다.[4]연왕 주체는 황제에 대항하여 자신의 반란을 준비하고 있었다. 그는 주권과 그의 배후에 있는 훈련된 군대를 무력화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다. 오고의 현대 산하이관 근처 용평 공격을 이용하여 연왕은 오고의 군대를 격파한 후, 다닝으로 급히 가서 패배와 고통을 가장했다. 며칠 후, 그의 군대가 자리를 잡았고, 주권이 그의 형제를 배웅하는 동안 그를 성공적으로 사로잡았다. 명나라 공식 역사에서는 다닝의 철수를 기록하고 있으며, 주권의 후궁과 시종은 송정관으로 옮겨졌고, 연왕은 베이핑의 연왕 도성에 머물렀다고 한다.[4] 그러나 주체가 도시 전체에 불을 지르고 주권의 광대한 도서관을 파괴한 것은 언급하지 않았다.[2]
그때부터 주권은 형의 반란을 도왔다. ''명사''는 연왕이 제국 전체를 그들 사이에 나누어주겠다고 제안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2. 3. 문화적 업적과 말년
영친왕(寧獻王) 주권(朱權)은 '''대명 기사''' (大明奇士|Da Ming Qi Shi중국어)로도 알려졌다. 그는 도교에서 죽음을 피하려는 시도의 일환으로, 별호인 '''수척선''' (臞仙|Qúxiān중국어), "공허함을 포용하는 자" (涵虚子|Hánxūzi중국어), "현주 도인" (玄洲道人|Xuánzhōu Dàoren중국어) 혹은 "신비한 섬의 도인", 그리고 "남극 충허 묘도 진군" (南极沖虚妙道真君|Nánjí Chōngxū Miàodào Zhēnjūn중국어)을 사용했다.[2]
그는 문화적 추구에 시간을 할애하며, 현지 또는 방문 학자 및 도교 신자들과 매일 만나 불멸을 추구했다.[4] 그는 다닝의 화재에서 살아남은 ''원시비서''(原始秘书|Yuánshǐ Mìshū중국어)를 소중히 여기고 수정했는데, 이 책은 중국 문화와 적절한 통치에 반하는 외국 "애도 숭배"로 불교를 날카롭게 비판했다. 그의 도교 백과사전인 ''태상도군천황지도태청옥책''(天皇至道太清玉册|Tiānhuáng Zhìdào Tàiqīngyù Cè중국어)은 매우 존경받아 도장경에 합류했다.[2]
그의 형 영락제는 그에게 ''통감보륜''(Comprehensive Mirror of Extensive Essays)을 완성하도록 명령했으며, 그는 ''가훈'' (''Jia Xun''), ''영국 의례''(''Ningguo Yifan''), ''한당비사''({{llang|zh|汉唐秘史|Hàn-Táng Mìshǐ''), ''사단''(''Shi Duan''), ''문보''({{llang|zh|文谱|Wén Pǔ''), ''시보''({{llang|zh|诗谱|Shī Pǔ''), 그리고 몇몇 다른 주석이 달린 선집의 저자로도 인정받았다.[4] 그의 가장 성공적인 작품은 ''차보''(Tea Manual) ({{llang|zh|茶谱|Chá Pǔ'')였다. 또한 그는 많은 희귀본 출판을 개인적으로 지원했고 여러 오페라를 작곡했다.
주권은 1425년에 중요한 ''신기비보''({{llang|zh|神奇秘谱|Shénqí Mì Pǔ'')를 편찬하여 중국의 현악기인 고금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이다. 이것은 오늘날까지 살아남은 가장 초기의 대규모 고금 악보 모음집이다.
문화인으로서 저작 및 편찬 활동이 많았으며, 저서로 《통감박론(通鑑博論)》이 있다. 후손 중에 화가 팔대산인(朱耷)이 있다.
1448년에 사망했다. 향년 71세.
3. 작품 활동
주권의 작품으로는 『통감박론』, 『영국의범』, 『가훈』, 『문보』, 『시보』, 『사단』, 『한당비사』, 『금완계몽』, 『신기비보』, 『다보』, 『경림아운』, 『신은』, 『태화정음보』[6] 등이 있다.
3. 1. 저서
주권의 작품으로는 『통감박론』, 『영국의범』, 『가훈』, 『문보』, 『시보』, 『사단』, 『한당비사』, 『금완계몽』, 『신기비보』, 『다보』, 『경림아운』, 『신은』, 『태화정음보』[6] 등이 있다.
4. 가족 관계
배우자 | 자녀 | 비고 |
---|---|---|
{{lang|zh|張氏|장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