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둔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둔지는 군사 작전의 거점 역할을 수행하는 시설로, 평시에는 병력 훈련, 장비 유지 보수, 병사들의 주거 및 복지 시설을 제공한다. 공군 기지는 비행장을 갖춘 공군기지가 작전 거점이 되는 경우가 많고, 해군은 함대가 중심이 되며 항공기 부대에서 항공 기지 명칭을 사용하기도 한다. 육군은 이동하는 곳이 작전 거점이 되며, 평시의 주둔지가 기지가 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주둔지에는 다양한 부대가 배치되어 당직 근무가 이루어지며, 홍보 및 지역 주민과의 교류를 위해 일반 공개 행사를 진행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주둔지 | |
---|---|
개요 | |
정의 | |
의미 | 군대 또는 군사 기지 |
특징 | 전략적 중요 지점에 위치 방어 및 통제 목적 상주하는 군인과 장비 보유 |
역사 | |
기원 | 고대 로마의 Castrum (군사 캠프)에서 유래 |
발전 | 중세 시대 성곽, 근대 요새 거쳐 현대 군사 기지로 발전 |
역할 | |
주요 기능 | 지역 방어 치안 유지 병력 주둔 및 훈련 군수 지원 |
유형 | |
분류 기준 | 규모 전략적 중요도 주둔 병력 시설 |
예시 | 요새 군사 기지 해군 기지 공군 기지 국경 초소 |
중요성 | |
군사적 중요성 | 국가 안보 및 전략적 이익 보호 |
사회적 영향 | 지역 경제 및 사회에 영향 |
참고 | |
관련 용어 | 캠프 요새 군사 기지 |
2. 정의 및 기능
주둔지는 군대가 일정 기간 동안 머무르며 훈련, 작전, 휴식 등을 수행하는 장소이다. 각 군별 주둔지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육군: 이동하는 곳이 작전 행동의 거점이 되며, 평시의 주둔지가 작전 행동 시 기지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 해군: 함대가 행동의 중심이며, 항만·육상 시설 등에 기지의 명칭을 사용하지 않고 "해군 시설", "군항"이라고 칭한다. 다만, 항공기를 상설하는 부대에서는 "항공 기지(Naval air station)]"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도 한다.
- 공군: 평시부터 상설된 비행장을 갖춘 공군기지(Air base)가 작전 행동의 거점이 되는 경우가 많다.[11]
각 군별 주둔지의 특징은 각 군의 임무와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2. 1. 주둔지의 기능
주둔지는 군사 작전의 거점 역할을 수행하며, 평시에는 병력 훈련 및 장비 유지 보수를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병사들의 주거 및 복지 시설도 갖추고 있다.3. 역사
육상자위대는 주둔지 형태가 다양한데, 일반적인 주둔지의 경우 다음과 같은 부대가 함께 배치된다. 규모는 대부분 대대급이다.
- 회계대: 방면 총감부 소재 주둔지에는 방면 회계대 본부가 설치되어 관내 주둔지에 회계대 또는 파견대가 파견된다. 학교, 보급처 등이 있는 주둔지, 분둔지에는 설치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치가야 주둔지는 중앙 회계대가 담당한다.
- 경무대: 방면 총감부 소재 주둔지는 방면 경무대 본부가 파견된다. 사단, 여단 사령부 소재의 주둔지에는 지구 경무대 본부가 설치되며, 다른 주둔지에는 규모에 따라 파견대 또는 연락반이 설치된다. 단, 후지, 나라시노, 구리하마 주둔지에는 사단, 여단 사령부가 없지만 지구 경무대 본부가 설치된다. 이치가야 주둔지는 중앙 경무대가 담당한다.
- 기지 시스템 통신 부대 등: 방면 총감부 소재 주둔지에는 기지 시스템 통신 중대가, 사단 등 사령부 소재 주둔지에는 기지 통신 중대 본부가 설치된다. 담당 구역의 주둔지에는 파견대가 파견된다. 이치가야 주둔지는 중앙 기지 시스템 통신대가 담당한다.
- 주둔지 업무대: 학교, 보급처 등이 있는 주둔지에는 설치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치가야 주둔지는 중앙 업무 지원대가 담당한다.
이 외에도 육상자위대의 편성은 아니지만, 주둔 부대 담당으로 경위대(부지 내 수위와 경비, 당직제), 소방대(반) 등이 구성된다. 분둔지에서는 분둔원인 주둔지가 경위대의 파견 및 관리 부대를 편성하여 기능을 유지한다. 와카나이 분둔지와 같이 분둔원에서 멀리 떨어진 분둔지는 관리반이 편성되어 경위 및 관리 업무를 담당한다.
3. 0. 1. 주둔 부대
육상자위대 주둔지에는 예상치 못한 사태(주로 근무 시간 외에 발생하는 재해 파견 요청)에 대비하여 대기 인원과 당직이 배치된다. 주둔지 당직 사령 및 부대 당직 사령에게는 보좌역으로 당직 부관(주둔 부대 인원의 파악, 열쇠 관리 등)과 당직 전령(주로 당직 사령의 침대 준비, 전화 당번, 운전수 등. 군대에서 말하는 당번병, 종졸)이 설치된다.

'''주둔지 당직'''
- 사령은 주둔지 소재 부대장(주로 중대장 직이나 과장 직 등 3좌~1위의 자위관)이 맡는다. 1개 중대 정도의 소규모 부대가 주둔하는 경우에는 해당 당직 간부가 겸임하는 경우도 있으며, 상황에 따라 위관, 준위, 상사~하사가 상번하기도 한다. 주로 주둔 부대의 당직을 통괄하고, 주둔지 사령에게 명령된 사항을 수행한다. 1위의 자위관이 주둔지 당직 사령으로 상번하는 경우, 주둔하는 부대의 부대 당직은 주둔지 당직 사령보다 하위의 자위관이 상번한다. 또한, 당직 부관은 상사~하사의 자위관이 상번한다. 사령의 완장은 감색 바탕에 바깥쪽 2개, 안쪽 2개의 빨간 선 4개, 부관은 빨간 선이 안쪽 3개, 전령은 육상사가 안쪽 2개, 육사가 1개 선이다.
'''부대 당직'''
- 예하에 중대 등의 부대를 보유하는 연대, 대대, 그리고 이에 준하는 "대"에 설치되며, 부대 당직 사령은 예하 부대의 당직을 통괄한다. 소속 부대장으로부터 명령받은 사항을 수행한다. 1위~3위 혹은 부대에 따라 준위나 상사(단, 최선임 상급 상사의 직무 혹은 보직이 간부 직으로 지정된 상사에 한함)의 계급을 지정받은 자위관이 상번을 수행한다. 소규모 주둔지 등 기간 부대(연대 등) 이외의 주둔 부대가 1개 중대 정도(업무대 등 제외)인 주둔지에서는 기간 부대의 예하 외부대 등 소속의 자위관이 주둔지 당직 사령으로 상번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설치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다만, 설치된 경우에는 담당하는 부대 당직 사령은 소속 중대 등의 당직 간부를 겸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당직 부관, 전령의 지정 계급은 기본적으로 주둔지 당직 부관, 전령과 같으며, 착용하는 완장도 흰색 바탕의 것을 사용하는 것 외에는 동일하다.
'''대대・중대 등 부대 당직'''
- 당직 간부는 대대, 중대 혹은 이에 준하는 "대"의 인원이나 무기 등의 관리, 파악 등의 책임자로서 근무를 수행한다(간단히 말하면 전화 당번 같은 존재). 상번하는 자위관은 부대 등에 따르지만, 1위(부대 규모는 중대에 준하지만, 부대의 특성상 대대 규모로 운용되는 정찰대나 후방 지원대 보급대 등)~하사(단, 하사 상번자는 중급 육상사 특기 과정 수료자에 한함)가 주로 상번한다. 소속 부대 인원의 파악 등을 담당하는 당직 육상사(하사~상사)나 전화 당번이나 조종수를 담당하는 당직 사장(사장 혹은 1사) 등 2~3명으로 중대 등 부대 당직은 운용된다. 연대, 군 등의 예하 대대에 설치되는 당직 간부는 1명으로 운용하며, 대대 예하의 중대 등에 설치되는 당직은 당직 육상사 2명 혹은 당직 육상사 1명과 당직 사장 1명으로 운용된다. 당직 간부는 흰색 바탕에 빨간 선 3개(어딘가 "빨간 바탕에 흰색 띠 2개"처럼 보임), 당직 육상사는 완장 쪽에 빨간 선 2개, 전령은 완장 쪽에 빨간 선 1개의 완장을 착용한다.
'''사단・여단・단 등 부대 당직'''
- 당직장은 사령부(본부) 근무의 간부가 상번, 소속장으로부터 명령받은 사항을 수행하고 예하 부대 당직을 통괄한다. 완장 등은 특별한 규칙 등은 존재하지 않으며, 각 사령부마다 다르다.
3. 0. 2. 당직 근무
주둔 부대에는 예상치 못한 상황, 주로 근무 시간 외에 발생하는 재해 파견 요청 등에 대비하여 대기 인원과 당직이 배치된다. 주둔지 당직 사령 및 부대 당직 사령에게는 보좌역으로 당직 부관(주둔 부대 인원 파악, 열쇠 관리 등)과 당직 전령(주로 당직 사령의 침대 준비, 전화 당번, 운전수 등)이 배치된다.[11]'''주둔지 당직'''은 주둔 부대의 당직을 통괄하고, 주둔지 사령에게 명령된 사항을 수행한다. 주둔지 당직 사령은 주로 중대장급이나 과장급 등 3등 육좌~1등 육위의 자위관이 맡는다. 1개 중대 정도의 소규모 부대가 주둔하는 경우에는 해당 당직 간부가 겸임하는 경우도 있으며, 상황에 따라 위관, 준위, 상사~하사가 당직을 서기도 한다. 1등 육위가 주둔지 당직 사령으로 근무하는 경우, 주둔하는 부대의 부대 당직은 주둔지 당직 사령보다 하위의 자위관이 맡는다. 당직 부관은 상사~하사의 자위관이 맡는다. 사령의 완장은 감색 바탕에 바깥쪽 2개, 안쪽 2개의 빨간 선 4개, 부관은 빨간 선이 안쪽 3개, 전령은 육상사가 안쪽 2개, 육사가 1개 선으로 표시된다.[11]
'''부대 당직'''은 연대, 대대, 그리고 이에 준하는 "대"에 설치되며, 부대 당직 사령은 예하 부대의 당직을 통괄한다. 소속 부대장으로부터 명령받은 사항을 수행한다. 1등 육위~3등 육위 혹은 부대에 따라 준위나 상사(단, 최선임 상급 상사의 직무 혹은 보직이 간부 직으로 지정된 상사에 한함)의 계급을 지정받은 자위관이 근무한다. 소규모 주둔지 등 기간 부대(연대 등) 이외의 주둔 부대가 1개 중대 정도(업무대 등 제외)인 주둔지에서는 기간 부대의 예하 외부대 등 소속의 자위관이 주둔지 당직 사령으로 근무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설치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다만, 설치된 경우에는 담당하는 부대 당직 사령은 소속 중대 등의 당직 간부를 겸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당직 부관, 전령의 지정 계급은 기본적으로 주둔지 당직 부관, 전령과 같으며, 착용하는 완장도 흰색 바탕의 것을 사용하는 것 외에는 동일하다.[11]
'''대대, 중대 등 부대 당직'''에서 당직 간부는 대대, 중대 혹은 이에 준하는 "대"의 인원이나 무기 등의 관리, 파악 등의 책임자로서 근무한다(간단히 말하면 전화 당번 같은 존재). 근무하는 자위관은 부대 등에 따르지만, 1등 육위(부대 규모는 중대에 준하지만, 부대의 특성상 대대 규모로 운용되는 정찰대나 후방 지원대 보급대 등)~하사(단, 하사 근무자는 중급 육상사 특기 과정 수료자에 한함)가 주로 근무한다. 또한, 소속 부대 인원의 파악 등을 담당하는 당직 육상사(하사~상사)나 전화 당번이나 조종수를 담당하는 당직 사장(사장 혹은 1사) 등 2~3명으로 중대 등 부대 당직은 운용된다. 연대, 군 등의 예하 대대에 설치되는 당직 간부는 1명으로 운용하며, 대대 예하의 중대 등에 설치되는 당직은 당직 육상사 2명 혹은 당직 육상사 1명과 당직 사장 1명으로 운용된다. 당직 간부는 흰색 바탕에 빨간 선 3개(어딘가 "빨간 바탕에 흰색 띠 2개"처럼 보임), 당직 육상사는 완장 쪽에 빨간 선 2개, 전령은 완장 쪽에 빨간 선 1개의 완장을 착용한다.[11]
'''사단, 여단, 단 등 부대 당직'''의 당직장은 사령부(본부) 근무의 간부가 근무하며, 소속장으로부터 명령받은 사항을 수행하고 예하 부대 당직을 통괄한다. 완장 등은 특별한 규칙 등은 존재하지 않으며, 각 사령부마다 다르다.[11]
3. 0. 3. 주둔지 공개
육상자위대는 지역 주민과의 교류를 증진하기 위해 주둔지를 일반에 공개하기도 한다. 일반 공개 행사에서는 장비 전시, 훈련 시범, 음악대 연주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또한, 체험 입대 및 견학 프로그램을 통해 육상자위대의 생활을 직접 경험해 볼 수 있는 기회도 제공된다.4. 한국의 주둔지
대한민국 국군은 육군, 해군, 공군 모두 주둔지를 운영하고 있다. 육군은 전방 및 후방 각지에 주둔지를 설치하여 국토 방위 임무를 수행한다. 해군은 주요 항구 및 해안 지역에 주둔지를 설치하여 해상 방위 임무를 수행한다. 공군은 전국 각지에 비행장을 갖춘 공군기지를 운영하며, 영공 방위 임무를 수행한다.[13]
공군은 평시부터 비행장을 갖춘 공군기지가 작전 거점이 되는 경우가 많지만, 육군은 이동하는 곳이 작전 거점이 되며 평시 주둔지가 작전 기지가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해군은 함대가 행동 중심이며, 항만·육상 시설 등에 기지 명칭을 사용하지 않고 "해군 시설", "군항"이라고 칭하지만, 항공기를 상설하는 부대에서는 "항공 기지" 명칭을 사용하기도 한다.[13]
홋카이도에는 9개의 주둔지, 2개의 분둔지, 6개의 업무대가 있다. 시마마쓰 주둔지, 아비라 주둔지, 시라오이 주둔지에는 홋카이도 보급처 등이 주둔지 업무를 하고 있어 업무대가 편성되지 않았다. 2개의 분둔지도 보급처의 지처가 주로 소재한다.[13]
주둔지명 | 위치 | 주요 부대 | 비고 |
---|---|---|---|
기타치토세 주둔지 | 치토세시 | 제1특과단장(육장보), 기타치토세 주둔지 업무대 | |
히가시치토세 주둔지 | 치토세시 | 제7사단 부사단장(육장보), 히가시치토세 주둔지 업무대(장 1등 육좌), 홋카이도 대연습장(히가시치토세 지구) | |
키타에니와 주둔지 | 에니와시 | 제72전차연대장(1등 육좌(이)), 키타에니와 주둔지 업무대(장 2등 육좌) | |
미나미에니와 주둔지 | 에니와시 | 제3시설단장(육장보), 미나미에니와 주둔지 업무대(장 2등 육좌) | |
시마마쓰 주둔지 | 에니와시 | 홋카이도 보급처장(육장보), 홋카이도 보급처, 홋카이도 대연습장(시마마쓰 지구), 시마마쓰산 고사 교육훈련장, 히다카 분둔지(사루군히다카정 소재) 예속 | |
아비라 주둔지 | 유후츠군아비라정 | 아비라 탄약지처장, 아비라 탄약지처, 하야키타 분둔지(유후츠군 아비라정 소재) 예속 | |
시라오이 주둔지 | 시라오이군시라오이정 | 시라오이 탄약지처장, 시라오이 탄약지처 | |
호로베츠 주둔지 | 노보리베츠시 | 제13시설군장(1등 육좌(이)), 호로베츠 주둔지 업무대(장 2등 육좌), 호로베츠 사격장 | |
신나이 주둔지 | 히다카군신히다카정 | 제7고사특과연대장(1등 육좌(이)), 신나이 주둔지 업무대(장 2등 육좌), 신나이 대공사격장 |
홋카이도에는 8개 주둔지, 1개 분둔지, 8개 업무대가 있다. 나에보 분둔지(삿포로시 히가시구 소재)는 시마마쓰 주둔지에 예속된다.[14]
주둔지명 | 위치 | 주요 부대 | 비고 |
---|---|---|---|
이와미자와 주둔지 | 이와미자와시 | 제12시설군장(1등육좌(이)), 이와미자와 주둔지 업무대(대장 2등육좌), 손베츠 연병장 | |
삿포로 주둔지 | 삿포로시주오구 | 북부方面총감부 막료장(육장보), 삿포로 주둔지 업무대(대장 1등육좌) | |
오카다마 주둔지 | 삿포로시히가시구 | 북부方面 항공대장(1등육좌), 오카다마 주둔지 업무대(대장 2등육좌) | |
다키카와 주둔지 | 다키카와시 | 제10 즉응기동연대장(1등육좌), 다키카와 주둔지 업무대(대장 2등육좌), 다키카와 연병장, 신톳카와 사격장 | |
미바이 주둔지 | 미바이시 | 제2지대함 미사일 연대장(1등육좌), 미바이 주둔지 업무대(대장 2등육좌), 미바이 훈련장 | |
마코마나이 주둔지 | 삿포로시미나미구 | 제11여단 부여단장(1등육좌), 마코마나이 주둔지 업무대(대장 1등육좌), 마코마나이 탄약고, 이바라토가와 도하 훈련장, 홋카이도 대연습장(니시오카 지구) | |
구차안 주둔지 | 아부타군구차안정 | 북부方面 대주정 대전차대장(2등육좌), 구차안 주둔지 업무대(대장 2등육좌), 다카네 연병장, 니세코 연병장, 구차안 사격장 | |
하코다테 주둔지 | 하코다테시 | 제28보통과 연대장(1등육좌(삼)), 하코다테 주둔지 업무대(대장 2등육좌), 고마가타케 연병장, 가메다 사격장 | |
나에보 분둔지 | 삿포로시 히가시구 | 나에보 지처장(1등육좌), 나에보 지처 | 시마마쓰 주둔지에 예속 |
4. 1. 주둔지 관련 문제점 및 개선 방향
일부 주둔지는 도시 팽창으로 인해 도심 내에 위치하게 되어 지역 발전을 저해한다는 지적이 있다. 주둔지 주변 지역 주민들은 소음, 환경 오염 등으로 인한 피해를 호소하기도 한다. 군은 주둔지 이전, 시설 현대화, 환경 개선 등을 통해 지역 사회와의 상생을 도모하고 있다. 주둔지 개방 행사를 통해 지역 주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국방개혁 2.0을 통해 주둔지 재배치 및 효율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지역 사회와의 상생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참조
[1]
웹사이트
Internet History Sourcebooks Project
https://sourcebooks.[...]
[2]
웹사이트
An Fear Rua - Garrison, Gallic and Gaelic
https://web.archive.[...]
2006-06-20
[3]
웹사이트
駐屯地(ちゅうとんち)の意味
https://dictionary.g[...]
goo国語辞書
2019-12-02
[4]
서적
人文地理学辞典
朝倉書店
[5]
문서
えいじゅ【衛戍】
https://kotobank.jp/[...]
[6]
간행물
衛戍条例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7]
문서
自衛隊法施行令の一部を改正する政令(昭和57年政令第130号)、自衛隊法施行規則及び防衛庁の職員に対する寒冷地手当支給規則の一部を改正する総理府令(昭和57年総理府令第23号)
[8]
문서
自衛隊法施行令(昭和29年政令第179号)
https://elaws.e-gov.[...]
[9]
문서
駐屯地司令及び駐屯地業務隊等に関する訓令別表第1
http://www.clearing.[...]
[10]
문서
第102回通常国会 衆議院議員矢山有作君提出自衛官によつて写真撮影を妨害された事件に関する質問に対する答弁書
https://www.shugiin.[...]
[11]
문서
旭川市、留萌市、稚内市、紋別市、士別市、名寄市、深川市、富良野市、上川総合振興局管内、留萌振興局管内、宗谷総合振興局管内、空知総合振興局管内の雨竜郡、オホーツク総合振興局管内の紋別郡及び常呂郡の佐呂間町
[12]
문서
釧路市、帯広市、北見市、網走市、根室市、十勝総合振興局管内、釧路振総合興局管内、根室振興局管内、オホーツク総合振興局管内(紋別郡及び常呂郡の佐呂間町を除く)
[13]
문서
室蘭市、夕張市、苫小牧市、千歳市、登別市、恵庭市、伊達市、北広島市、胆振総合振興局管内、日高振興局管内、空知総合振興局管内の夕張郡及び空知郡の南幌町
[14]
문서
札幌市、函館市、小樽市、岩見沢市、美唄市、芦別市、江別市、赤平市、三笠市、滝川市、砂川市、歌志内市、石狩市、石狩振興局管内(北広島市を除く)、渡島総合振興局管内、檜山振興局管内、後志総合振興局管内、空知総合振興局管内(雨竜郡、夕張郡及び空知郡の南幌町を除く)
[15]
문서
目黒地区における駐屯地業務、基地業務等に関する訓令
http://www.clearing.[...]
[16]
웹사이트
保良訓練場の供用開始 陸自駐屯地隊員が警備
https://www.okinawat[...]
2024-05-12
[17]
서적
北部方面隊50年のあゆみ : 歩みつづけるつわものたちのきらめく記憶
山藤印刷株式会社/編集,陸上自衛隊北部方面総監部/監修
[18]
웹사이트
保安庁法施行令の一部を改正する政令(昭和28年政令第22号)
https://www.digital.[...]
国立公文書館デジタルアーカイブ
2017-03-23
[19]
문서
自衛隊法施行令(昭和29年政令第179号)
https://www.digital.[...]
[20]
웹사이트
自衛隊法施行令の一部を改正する政令(昭和30年政令第281号)
https://www.digital.[...]
国立公文書館デジタルアーカイブ
2017-07-18
[21]
문서
自衛隊法施行令の一部を改正する政令(昭和56年9月22日政令第283号)
http://www.houko.com[...]
[22]
웹사이트
美保基地における陸自輸送ヘリコプターの配備について
http://www1.city.mat[...]
中国四国防衛局
2018-01-21
[23]
웹사이트
中部方面総監部 美保基地及び周辺におけるCH-47の飛行訓練等について
http://www3.pref.shi[...]
島根県
2017-10-11
[24]
간행물
自衛隊法施行令及び防衛省の職員の給与等に関する法律施行令の一部を改正する政令(令和5年政令第48号)
https://kanpou.npb.g[...]
官報本紙第934号
2023-03-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