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령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령구는 1975년 동궁과 월지에서 발견된 신라 시대의 유물로, 연회에서 사용된 주사위의 일종이다. 참나무로 만들어졌으며, 정사각형 6면과 육각형 8면으로 이루어진 14면체 형태이다. 각 면에는 술과 관련된 벌칙이 한자어로 적혀 있으며, 주사위를 던져 나온 면에 따라 벌칙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현재는 복제품만 남아있다.
주령구는 동궁과 월지에서 1975년에 발견되었다. 1974년 11월부터 경주시가 당시 안압지라 불리던 동궁과 월지에 대한 정화사업을 시작하면서, 경주사적관리소가 호수 중심부에 2m 가량의 트렌치를 내고 조사를 실시하였다.[1] 그러나 12월 16일에 명문 기와 등 다량의 신라시대 유물이 발견되었고,[2] 1975년 3월 24일부터 경주고적발굴단에 의해 본격적인 발굴이 시작되었다.[1]
정사각형 면의 면적은 6.25cm2, 육각형 면의 면적은 6.265cm2로 확률이 거의 1/14로 균등하게 되어 있다. 재질은 참나무이다.
각 면에는 1면만 "자창괴래만"이라고 한자 5자가 적혀 있고, 나머지는 모두 한자 4자가 적혀 있으며, 그 면이 나왔을 때 해야 하는 행위(벌칙)가 적혀 있다.
2. 발굴 경위
발굴조사는 연못과 연못 주변 건물지 조사로 나누어 실시되었다. 주령구는 동년 6월 연못 서쪽 호안 석축 바닥에서 출토되었으며, 면에 새겨진 글씨를 통해 연회에서 사용된 주사위의 일종으로 확인되어 '술과 관련된 명령을 내리는 도구'라는 의미로 주령구(酒令具)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연못 발굴조사는 1975년 3월 24일부터 1976년 3월 25일까지, 건물지 발굴조사는 1976년 5월 10일부터 12월 30일까지 실시되었다.[1] 발굴 내역은 1978년 《동궁과 월지 발굴조사보고서》로 출판되었다.[3]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주령구의 전개도를 만들고 복제품을 제작하였으나, 출토품은 보존 처리 과정 중 타버려 현재는 복제품만 남아있다. 한편, 주령구가 발견된 곳 근처에서 육면체 주사위도 함께 출토되었다.
3. 모양
구체적인 모양은 절두팔면체의 변형에 의한 정사각형 6면, 육각형 8면으로 이루어진 14면체이다. 14면체는 정다면체가 불가능한 면수이지만, 각 면의 면적은 정사각형 면이 6.25cm2, 육각형 면이 6.265cm2의 면적으로 서로 비슷하며, 던졌을 때 각 면이 나올 확률도 거의 같아지도록(거의 1/14) 만들어졌다. 다만 주령구의 모양은 모든 면이 같은 모양은 아니며, 무게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를 고려하면, 던지는 것이 아니라 굴렸을 경우 확률에 육각형 면이 더 나오기 쉬운 편향이 생겨, 모든 면이 합동인 다각형으로 구성된 주사위(14면체의 경우 정꼬인 쌍칠각뿔 등)와 비교하면 실용성은 다소 떨어진다. 고대 중국의 "경"이라고 불리는 다면체 주사위와 같은 계열이라고도 한다.
3. 1. 복제품
1975년 경주시의 안압지에서 출토되었다. 근처에서 육면체 주사위도 함께 출토되었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주사위에 종이를 대고 실측하여 전개도를 만들고, 이를 토대로 복제품을 제작했다. 출토된 주령구는 수분 제거를 위한 보존 처리 과정에서 특수 오븐의 온도 조절 실패로 타버려 현재는 복제품만 남아있다.
4. 벌칙
한자 한글 의미 정방형 6면 음진대소 술을 마시고 큰 소리로 웃는다. 삼잔일거 술을 3잔, 단숨에 마신다. 또는 술을 3잔 마시고 한 걸음 걷는다. 자창자음 혼자서 노래를 부르고 술을 마신다. 금성작무 소리를 내지 않고 춤을 춘다. 중인타비 그 자리에 있는 모든 사람에게 코를 맞는다. 유범공과 그 자리에 있는 모든 사람에게 시비를 걸거나 장난을 당해도 참는다. 육각형 8면 추물막방 더러워져도 버리지 않는다. 양잔즉방 술을 2잔 빠르게 마시고, 다른 사람에게 잔을 넘긴다. 임의청가 누군가를 지목하여 노래를 부탁한다. 곡비즉진 팔을 굽혀 술을 전부 마신다. 농면공과 얼굴을 간지럽혀도 참는다. 자창괴래만 "괴래만"의 노래를 부른다. 월경일곡 "월경"의 노래를 부른다. 공영시과 시를 한 수 읊는다.
4. 1. 정사각형 면 (6면)
정사각형 면에는 1면에만 "자창괴래만"이라고 한자 5자가 적혀 있고, 나머지에는 모두 한자 4자가 적혀 있으며, 그 면이 나왔을 때 해야 하는 행위(벌칙)가 적혀 있다.
한자 | 한글 | 의미 |
---|---|---|
음진대소 | 음진대소 | 술을 마시고 큰 소리로 웃는다. |
삼잔일거 | 삼잔일거 | 술을 3잔, 단숨에 마신다. 또는 술을 3잔 마시고 한 걸음 걷는다. |
자창자음 | 자창자음 | 혼자서 노래를 부르고 술을 마신다. |
금성작무 | 금성작무 | 소리를 내지 않고 춤을 춘다. |
중인타비 | 중인타비 | 그 자리에 있는 모든 사람에게 코를 맞는다. |
유범공과 | 유범공과 | 그 자리에 있는 모든 사람에게 시비를 걸거나 장난을 당해도 참는다. |
4. 2. 육각형 면 (8면)
육각형 면에는 1면에만 "자창괴래만"이라고 한자 5자가 적혀 있고, 나머지는 모두 한자 4자가 적혀 있으며, 해당 면이 나오면 수행해야 하는 벌칙이 적혀 있다.한자 | 한글 | 의미 |
---|---|---|
추물막방 | 더러워져도 버리지 않는다. | |
양잔즉방 | 술을 2잔 빠르게 마시고, 다른 사람에게 잔을 넘긴다. | |
임의청가 | 누군가를 지목하여 노래를 부탁한다. | |
곡비즉진 | 팔을 굽혀 술을 전부 마신다. | |
농면공과 | 얼굴을 간지럽혀도 참는다. | |
자창괴래만 | "괴래만"의 노래를 부른다. | |
월경일곡 | "월경"의 노래를 부른다. | |
공영시과 | 시를 한 수 읊는다. |
참조
[1]
서적
경주 동궁과 월지 복원정비사업 발굴조사보고서 - A건물지 -
http://portal.nrich.[...]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8-11-30
[2]
뉴스
글씨새긴 기와發見 안압池 淨化사업장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74-12-17
[3]
웹인용
안압지 발굴조사보고서
https://www.cha.go.k[...]
2021-0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