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중국 대한민국 대사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중국 대한민국 대사관은 중화인민공화국에 주재하는 대한민국 외교 공관이다. 1949년 홍콩에 영사관이 개설된 이후, 1990년 대표부 설치, 1992년 한중 수교와 함께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 역대 공관장으로는 노재원, 황병태, 김하중, 권영세, 김장수 등이 있으며, 현재는 정재호가 대사로 재임 중이다. 대사관 관련 사건으로는 2007년 공사 사망 사건, 2011년 쇠구슬 피격 사건, 2024년 갑질 사건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이징 주재 공관 - 주중국 키프로스 대사관
    주중국 키프로스 대사관은 키프로스 공화국이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외교 관계를 위해 베이징에 설치한 대사관으로, 1971년 양국 수교 후 1981년 정식 개관하여 베이징시 차오양구 량마허난루에 위치한다.
  • 베이징 주재 공관 - 주중국 일본 대사관
    주중국 일본 대사관은 1973년 1월 베이징에 개설되어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외교 관계 총괄, 일본 국민 보호 및 지원, 그리고 정치, 경제, 문화 교류 등 양국 관계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기관이다.
  • 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 관계 - 대한민국의 사드 배치 논란
    대한민국의 사드 배치 논란은 북한 핵·미사일 위협,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정책, 중국 부상 등 복합적 요인으로 촉발되어 사드 1개 포대의 성주 배치로 이어진 정치·외교·안보적 갈등을 의미하며, 배치 완료 후에도 안보, 외교, 경제적 측면에서 다양한 논쟁과 과제를 남기고 있다.
  • 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 관계 - 페스카마 15호 사건
    페스카마 15호 사건은 1996년 남태평양에서 발생한 참치잡이 원양어선 선상 살인 사건으로, 조선족 선원들이 선상 생활의 어려움과 귀국 요구 거절에 불만을 품고 한국인 선원 등을 살해한 후 대한민국으로 인도되어 재판을 받았으며, 당시 열악한 원양어선 선원들의 노동 환경과 외국인 선원 인권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 대한민국의 재외 공관 - 주로스앤젤레스 대한민국 총영사관
    주로스앤젤레스 대한민국 총영사관은 대한민국 외교부 산하 재외공관으로 캘리포니아주 남부, 애리조나주, 뉴멕시코주를 관할하며, 한국계 주민들의 영사 업무 지원과 더불어 로스앤젤레스 한국문화원, 로스앤젤레스 한국교육원을 통해 한국 문화와 교육을 홍보한다.
  • 대한민국의 재외 공관 -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은 미국에 주재하며,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 체결 이후 외교 관계를 맺고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대사를 파견했으며, 현재 워싱턴 D.C.에 위치하여 9개의 총영사관 등을 운영하며 바하마를 겸임한다.
주중국 대한민국 대사관 - [대사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주중국 대한민국 대사관
위치차오양 구, 베이징 시, 중국
주소베이징시 차오양 구 량마차오 북가 7호
웹사이트주중국 대한민국 대사관 공식 웹사이트
개관
설립일1992년 8월 28일
대사정재호
역사
전신1948년부터 1992년까지 존재했던 중화민국 주재 대한민국 대사관
주중화민국 대한민국 대사관
관할 지역
관할베이징시
톈진시
허베이성
산시성 (산서성)
칭하이성
내몽골 자치구
신장 위구르 자치구
티베트 자치구

2. 연혁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중국 각지에 총영사관을 개설하여 외교 및 교민 업무를 확장해왔다.

2. 1. 대한민국 대표부 설치 (1990-1992)

1990년 10월 20일, KOTRA와 중국국제상회는 대표부 개설에 관한 협의서에 서명하였다.[1] 1990년 11월 30일, 대표부 창설팀이 중국에 도착하였고,[1] 1991년 1월 30일, 중국 국제무역중심건물 13층에 임시 청사를 마련하고 대표부를 공식 개설하였다.[1] 1991년 7월 15일, 대표부는 국제무역중심 내 청사로 이전하였다.[1]

2. 2. 대사관 승격 및 확장 (1992-현재)

1992년 8월 24일 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이 외교 관계를 수립하면서, 8월 28일에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1] 9월 7일 노재원 대표부 대사가 초대 대사로 발령받았다.[1]

1999년 6월 15일 대사관 청사는 베이징시 차오양구 싼리툰(三里屯) 외교단지 내 청사로 이전하였고,[1] 2006년 10월 13일 둥팡둥루(東方東路) 현 청사로 다시 이전하였다.[1]

대한민국 정부는 대사관 외에도 중국 각지에 총영사관을 개설하여 외교 및 교민 업무를 확장해왔다. 주요 총영사관 개설 및 승격 일자는 다음과 같다.


3. 역대 공관장

역대 공관장은 다음과 같다. 제15대 대사로 김대기가 내정되었으나, 아직 임기를 시작하지 않았다.[1]

대수이름임기
제1대노재원1992년 9월 7일 ~ 1993년 5월 25일
제2대황병태1993년 6월 5일 ~ 1995년 12월 10일
제3대정종욱1996년 2월 24일 ~ 1998년 4월 25일
제4대권병현1998년 4월 28일 ~ 2000년 8월 7일
제5대홍순영2000년 8월 31일 ~ 2001년 9월 12일
제6대김하중2001년 10월 10일 ~ 2008년 3월 11일
제7대신정승2008년 5월 27일 ~ 2009년 12월 25일
제8대류우익2010년 1월 11일 ~ 2011년 5월 7일
제9대이규형2011년 5월 19일 ~ 2013년 5월 31일
제10대권영세2013년 6월 1일 ~ 2015년 3월 26일
제11대김장수2015년 3월 27일 ~ 2017년 9월 27일
제12대노영민2017년 9월 28일 ~ 2019년 1월 8일
제13대장하성2019년 4월 8일 ~ 2022년 6월 22일
제14대정재호2022년 7월 15일 ~ 현재
제15대김대기(내정)


3. 1. 역대 대사

대수이름임기
제1대노재원1992년 9월 7일 ~ 1993년 5월 25일
제2대황병태1993년 6월 5일 ~ 1995년 12월 10일
제3대정종욱1996년 2월 24일 ~ 1998년 4월 25일
제4대권병현1998년 4월 28일 ~ 2000년 8월 7일
제5대홍순영2000년 8월 31일 ~ 2001년 9월 12일
제6대김하중2001년 10월 10일 ~ 2008년 3월 11일
제7대신정승2008년 5월 27일 ~ 2009년 12월 25일
제8대류우익2010년 1월 11일 ~ 2011년 5월 7일
제9대이규형2011년 5월 19일 ~ 2013년 5월 31일
제10대권영세2013년 6월 1일 ~ 2015년 3월 26일
제11대김장수2015년 3월 27일 ~ 2017년 9월 27일
제12대노영민2017년 9월 28일 ~ 2019년 1월 8일
제13대장하성2019년 4월 8일 ~ 2022년 6월 22일
제14대정재호2022년 7월 15일 ~ 현재


4. 사건/사고



사건

분류:대한민국-중국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Korean Legation https://chn.mofa.go.[...] 2023-10-28
[2] 웹사이트 주중 한국대사관 쇠구슬 공격 당했다 https://n.news.naver[...] 2023-10-28
[3] 웹사이트 주중 한국대사관에 날아든 쇠구슬 발사체는? https://n.news.naver[...] 2023-10-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