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관은 대한민국 주재 우크라이나 외교 공관이다. 1991년 우크라이나의 독립과 1992년 한-우크라이나 외교 관계 수립 이후, 1997년 서울 서초구에 정식 개관하였다. 현재는 서울 용산구 한남동에 위치하며, 대사관은 무역, 경제 협력, 문화 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외교적 역할을 수행한다. 역대 대사로는 미하일로 레즈니크, 볼로디미르 푸르칼로, 드미트로 포노마렌코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크라이나의 재외 공관 - 주러시아 우크라이나 대사관
    주러시아 우크라이나 대사관은 1992년 외교 관계 수립 후 러시아에 주재한 우크라이나의 외교 공관이었으나, 크림 위기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운영이 여러 차례 중단되었고 2022년 러시아 침공 이후 폐쇄되었다.
  • 대한민국-우크라이나 관계 - 2023년 윤석열의 우크라이나 방문
    윤석열 대통령은 2023년 7월 우크라이나를 방문하여 젤렌스키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뢰 제거 장비 및 기술 지원, 기반 시설 재건 지원 확대, 그리고 한국 기업들의 재건 사업 참여를 약속했다.
  • 대한민국-우크라이나 관계 - 주우크라이나 대한민국 대사관
    주우크라이나 대한민국 대사관은 1992년 한-우크라이나 외교 관계 수립 후 키이우에 개설되어 몰도바 업무도 관할하며, 2021년부터 김형태 대사가 재임 중인 대한민국 외교공관이다.
  • 대한민국 주재 공관 - 주부산 몽골 영사관
    주부산 몽골 영사관은 2016년 3월 10일에 개관하여 부산, 울산, 대구,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남도, 광주광역시를 관할한다.
  • 대한민국 주재 공관 - 주부산 일본 총영사관
    주부산 일본 총영사관은 한일 기본 조약 체결 후 부산 지역의 일본 외교 및 영사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설립된 일본의 외교 공관으로, 비자 발급, 문화 교류, 경제 협력, 정치 정보 수집 등의 업무를 담당하며 한일 관계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관 - [대사관]에 관한 문서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관 정보
공식 명칭[[파일:Lesser Coat of Arms of Ukraine.svg|20px]]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관
현지어 명칭
위치이태원, 용산구, 서울특별시, 대한민국
주소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45길 21
개관1997년 10월
대사올렉산드르 호린
웹사이트주한 우크라이나 대사관 웹사이트
추가 정보
관할 국가대한민국
상급 기관우크라이나 외무부

2. 공관 연혁

1991년 8월 24일 우크라이나가 소련으로부터 독립하자, 같은 해 12월 30일 대한민국 정부는 우크라이나를 주권 국가로 승인했다. 1992년 2월 10일 양국 간 외교 관계가 수립되었고, 1992년 12월 12일 대한민국 정부는 키이우주우크라이나 대한민국 대사관을 설립했다.[7]

1995년 우크라이나 정부는 왕호상 동호국제 사장을 주한 우크라이나 명예 총영사로 임명했고,[8] 1996년 12월 레오니드 쿠치마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김영삼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대한민국 주재 대사관 설립 계획을 전달했다.[9] 1997년 10월 우크라이나 정부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외교센터에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관을 정식 설립했다.[10]

2002년 12월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관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동빙고동(장문로 51)으로 이전했고,[11][12] 2015년 1월 30일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이태원로45길 21)으로 이전했다.[7]

2. 1. 대한민국-우크라이나 관계 수립

1991년 8월 24일 우크라이나가 소련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자, 1991년 12월 30일 대한민국 정부는 우크라이나를 주권 국가로 승인했다. 1992년 2월 10일 대한민국과 우크라이나는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1]

2. 2. 주우크라이나 대한민국 대사관

1991년 8월 24일 우크라이나가 소련으로부터 독립하였다. 이후 1992년 2월 10일 대한민국과 우크라이나 간의 외교 관계가 수립되었고,[7] 대한민국 정부는 1992년 12월 12일에 우크라이나 키이우주우크라이나 대한민국 대사관을 정식 설립하였다.[7]

2. 3.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관

1995년 우크라이나 정부는 대한민국의 기업인 왕호상 동호국제 사장을 주한 우크라이나 명예 총영사로 임명했다.[8] 1996년 12월 대한민국을 방문한 레오니드 쿠치마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김영삼 대한민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우크라이나 정부가 대한민국 주재 대사관을 설립하겠다는 계획을 전달했다.[9]

1997년 10월 우크라이나 정부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외교센터에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관을 정식 설립했다.[10] 2002년 12월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관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동빙고동(장문로 51)으로 이전되었고,[11][12] 2015년 1월 30일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이태원로45길 21)으로 다시 이전했다.[7]

2012년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관은 개관 20주년을 기념하여 8월 24일 우크라이나 독립기념일 행사를 포함한 다양한 문화 교류 행사를 개최하였다.[4]

2. 4. 주한 우크라이나 명예영사관

주한 우크라이나 대표단은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명예영사관을 두고 있다. 영사 구역은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제주특별자치도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광주광역시를 포함한다.[5]

3. 역대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

대한민국 주재 우크라이나 대사 목록[3]
로마자 표기원어 표기재임 기간
Mykhailo ReznikМихайло Резнік|미하일로 레즈니크uk1997년 9월 – 2001년 10월
볼로디미르 푸르칼로 (Volodymyr Furkalo)Володимир Фуркало|볼로디미르 푸르칼로uk2001년 11월 – 2005년 3월
유리 무슈카 (Yuriy Mushka)Юрій Мушка|유리 무슈카uk2006년 5월 – 2008년 9월
볼로디미르 벨라쇼프 (Volodymyr Bielashov)Володимир Бєлашов|볼로디미르 벨라쇼우uk2008년 9월 – 2011년 5월
바실 마르마조프 (Vasyl Marmazov)Василь Мармазов|바실 마르마조우uk2011년 9월 – 2017년 6월
올렉산드르 호린 (Oleksandr Horin)Олександр Горін|올렉산드르 호린uk2017년 6월 – 2020년 9월
드미트로 포노마렌코 (Dmytro Ponomarenko)Дмитро Пономаренко|드미트로 포노마렌코uk2021년 11월 – 현재


3. 1. 초대 ~ 3대

대한민국 주재 우크라이나 대사 목록[3]
로마자 표기원어 표기재임 기간직책
Mykhailo ReznikМихайло Резнік|미하일로 레즈니크uk1997년 9월 ~ 2001년 10월대사
볼로디미르 푸르칼로 (Volodymyr Furkalo)Володимир Фуркало|볼로디미르 푸르칼로uk2001년 11월 ~ 2005년 3월대사
유리 무슈카 (Yuriy Mushka)Юрій Мушка|유리 무슈카uk2006년 5월 ~ 2008년 9월대사


3. 2. 4대 ~ 현재

대한민국 주재 우크라이나 대사 목록[3]
로마자 표기원어 표기재임 기간직책
볼로디미르 벨라쇼프 (Volodymyr Bielashov)Володимир Бєлашов|볼로디미르 벨라쇼우uk2008년 9월 ~ 2011년 5월대사
바실 마르마조프 (Vasyl Marmazov)Василь Мармазов|바실 마르마조우uk2011년 9월 ~ 2017년 6월대사
올렉산드르 호린 (Oleksandr Horin)Олександр Горін|올렉산드르 호린uk2017년 6월 ~ 2020년 9월대사
드미트로 포노마렌코 (Dmytro Ponomarenko)Дмитро Пономаренко|드미트로 포노마렌코uk2021년 11월 ~ 현재대사


4. 대사관의 역할

대사관의 수장은 대사이며, 대사관 산하에 영사관이 있어 행정 업무를 분담한다.[5] 대사관은 무역 및 경제 협력, 기술 혁신, 법적 책임, 문화 교류 등 여러 주제에 대한 외교적 논의를 담당한다.[6]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관 외에도, 우크라이나 대표단은 서울 마포구에 명예영사관을 두고 있다. 영사구역은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제주특별자치도,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광주광역시이다.[5]

참조

[1] 뉴스 한-우크라이나 수교 9주년] 레즈닉 주한대사 인터뷰 http://news.joins.co[...] JoongAng Ilbo 2016-07-20
[2] 뉴스 인물동정 매일경제 1995-11-30
[3] 웹사이트 History of the Embassy http://korea.mfa.gov[...] Embassy of Ukraine in the Republic of Korea 2016-07-20
[4] 뉴스 Ukraine celebrates 20 years of Korea ties http://www.koreatime[...] The Korea Times 2016-07-20
[5] 웹사이트 Ukraine in Korea - Seoul http://korea.mfa.gov[...]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6-07-21
[6] 웹사이트 Embassy's Staff http://korea.mfa.gov[...]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6-07-21
[7] 웹인용 History of the Embassy http://korea.mfa.gov[...] 2016-07-20
[8] 뉴스 인물동정 https://newslibrary.[...] 2022-10-01
[9] 웹인용 쿠츠마 대통령과 정상회담 https://www.korea.kr[...] 2022-10-01
[10] 뉴스 [한-우크라이나 수교 9주년] 레즈닉 주한대사 인터뷰 https://www.joongang[...] 2022-10-01
[11] 웹인용 Сайт МЗС України - Публікації http://www.mfa.gov.u[...] 2022-10-01
[12] 뉴스 韓고교생들, '우크라 잔다르크' 구명 왜 나섰나? https://news.mt.co.k[...] 2022-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