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러시아 우크라이나 대사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러시아 우크라이나 대사관은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에 설치했던 외교 공관이다. 우크라이나는 1991년 소련으로부터 독립하고, 러시아는 1992년 우크라이나를 독립 국가로 승인하면서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2014년 크림 위기 이후 우크라이나는 대사를 소환했고,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외교 관계가 단절되면서 대사관을 포함한 모든 외교 공관이 폐쇄되었다. 역대 대사로는 볼로디미르 크리자니우스키, 볼로디미르 페도로우 등이 있으며, 임시대리대사 체제로 운영되기도 했다. 과거 모스크바, 튜멘, 상트페테르부르크 등에 영사관이 설치되었으나, 2022년에 모두 폐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없어진 러시아 주재 외교 공관 - 주블라디보스토크 미국 총영사관
    주블라디보스토크 미국 총영사관은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 위치했던 미국 외교 공관으로, 과거 미국의 이익을 대표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했으나, 2021년 인력 부족으로 운영이 중단되었다.
  • 우크라이나의 재외 공관 -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관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관은 서울 용산구 한남동에 위치한 우크라이나 외교 공관으로, 1992년 한-우크라이나 수교 이후 1997년 개설되어 양국 관계 증진 및 한국 거주 우크라이나 국민을 위한 영사 업무를 수행하며, 마포구 명예영사관은 전국 단위 영사 지원을 제공한다.
  • 모스크바 주재 공관 - 주러시아 대한민국 대사관
    주러시아 대한민국 대사관은 대한민국과 러시아 간의 외교 관계를 위해 모스크바에 설치된 대한민국 외교 공관으로, 아르메니아를 겸임하며, 러시아 연방 내 여러 지역을 관할하고, 이르쿠츠크, 상트페테르부르크, 블라디보스토크에 영사관을 두고 있다.
  • 모스크바 주재 공관 - 주러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
    주러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은 러시아에 주재하는 북한의 외교 공관으로, 주영하, 이상조, 리신팔, 김충원, 정두환, 염태준, 권희경, 김재봉, 손성필, 박의춘, 김영재, 김형준, 신홍철 등의 역대 대사들이 북소 및 북러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외교 활동에 참여했다.
주러시아 우크라이나 대사관 - [대사관]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이름주러시아 우크라이나 대사관
현지 이름(우크라이나어)
위치러시아, 모스크바, 레온티옙스키 골목 18
외교 관계
개설1992년
종료2022년 2월 24일 관계 종료
상세 정보
전신없음
해산일2022년
관할 국가러시아
직원알 수 없음
예산알 수 없음
모토알 수 없음
상급 기관우크라이나 외무부
산하 기관없음
웹사이트주러시아 우크라이나 대사관 웹사이트
이미지
모스크바 주재 우크라이나 대사관
모스크바 주재 우크라이나 대사관
대사
대사2014년 3월 이후 공석

2. 공관 연혁

1991년 8월 24일에 우크라이나가 소련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러시아는 1991년 12월 5일에 우크라이나를 독립 국가로 승인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1992년 2월 14일에 외교 관계를 수립하면서 양국 사이에 외교 공관을 설치했다.

2014년 3월에 크림 위기를 계기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영토로 있던 크림반도합병했다. 우크라이나는 이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러시아 주재 대사를 본국으로 소환했다. 이 때문에 2015년부터 2022년까지는 임시대리대사가 주러시아 우크라이나 대사관의 임무를 대표했다. 2022년 2월 24일에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을 전면 개시하면서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와의 외교 관계를 단절했다. 이에 따라 대사관을 비롯한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주재 외교 공관이 모두 폐쇄되었다.

3. 역대 주러시아 우크라이나 대사


  • 제1대: 볼로디미르 크리자니우스키/Володимир Крижанівськийuk (1991년 ~ 1994년) 1992년부터 1994년까지 대사직을 수행했다.
  • 제2대: 볼로디미르 페도로우/Володимир Федоровuk (1995년 ~ 1999년)
  • 제3대: 미콜라 빌로블로츠키/Микола Білоблоцькийuk (1999년 ~ 2005년)[5][2]
  • 임시대리대사: 레오니드 오사볼류크/Леонід Осаволюкuk (2005년 ~ 2006년)[5][2]
  • 제4대: 올레흐 됴민/Олег Дьомінuk (2006년 ~ 2008년)
  • 제5대: 코스탼틴 흐리셴코/Костянтин Грищенкоuk (2008년 ~ 2010년)
  • 제6대: 볼로디미르 옐첸코/Володимир Єльченкоuk (2010년 ~ 2015년)
  • 임시대리대사: 루슬란 님친스키/Руслан Німчинськийuk (2015년 ~ 2019년)[5][2]
  • 임시대리대사: 바실 포코틸로/Василь Покотилоuk (2019년 ~ 2022년)[5][2]


2014년 3월, 우크라이나는 자국 대사를 소환했으며, 2022년 2월 24일까지 임시 대리 대사가 우크라이나를 대표했다.[5][2] 양국 간의 외교 관계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된 2022년 2월 24일에 단절되었다.[2]

3. 1. 볼로디미르 크리자니우스키 (1991년 ~ 1994년)

볼로디미르 크리자니우스키(Володимир Крижанівськийuk, 1991년 ~ 1994년)는 초대 주러시아 우크라이나 대사이다. 1992년부터 1994년까지 대사직을 수행했다.

3. 2. 볼로디미르 페도로우 (1995년 ~ 1999년)

볼로디미르 페도로우(Володимир Федоровuk, 1995년 ~ 1999년)는 제2대 주러시아 우크라이나 대사이다.

3. 3. 미콜라 빌로블로츠키 (1999년 ~ 2005년)

미콜라 빌로블로츠키(Микола Білоблоцькийuk, 1999년 ~ 2005년)는 제3대 주러시아 우크라이나 대사이다.[5][2]

3. 4. 레오니드 오사볼류크 (2005년 ~ 2006년)

레오니드 오사볼류크(Леонід Осаволюкuk)는 2005년부터 2006년까지 주러시아 우크라이나 대사관의 임시대리대사를 역임하였다.[5][2]

3. 5. 올레흐 됴민 (2006년 ~ 2008년)

올레흐 됴민(Олег Дьомінuk, 2006년 ~ 2008년)은 제4대 주러시아 우크라이나 대사이다.

3. 6. 코스탼틴 흐리셴코 (2008년 ~ 2010년)

코스탼틴 흐리셴코(Костянтин Грищенкоuk)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주러시아 우크라이나 대사를 역임하였다.

3. 7. 볼로디미르 옐첸코 (2010년 ~ 2015년)

볼로디미르 옐첸코(Володимир Єльченкоuk)는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주러시아 우크라이나 대사를 역임했다. 2014년 3월, 우크라이나는 자국 대사를 소환했으며, 이후 2022년 2월 24일까지 임시 대리 대사가 우크라이나를 대표했다.[5][2] 양국 간의 외교 관계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된 2022년 2월 24일에 단절되었다.[2]

3. 8. 루슬란 님친스키 (2015년 ~ 2019년)

루슬란 님친스키(Руслан Німчинськийuk)는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주러시아 우크라이나 대사관의 임시대리대사를 역임했다.[5][2] 2014년 3월, 우크라이나는 자국 대사를 소환한 이후, 2022년 2월 24일까지 임시대리대사가 우크라이나를 대표했다.[5][2]

3. 9. 바실 포코틸로 (2019년 ~ 2022년)

바실 포코틸로(Василь Покотилоuk)는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주러시아 우크라이나 대사관의 임시대리대사를 역임했다.[5][2] 2014년 3월 우크라이나가 자국 대사를 소환한 이후, 2022년 2월 24일까지 임시대리대사가 우크라이나를 대표했다.[5][2]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된 2022년 2월 24일,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양국 간의 외교 관계는 단절되었다.[2]

4. 러시아 주재 우크라이나 영사관


  • 2022년 폐쇄된 영사관


1992년 주모스크바 우크라이나 대사관 영사과가 설립되었고, 1994년에는 주튜멘·예카테린부르크 우크라이나 총영사관이, 1998년에는 주상트페테르부르크 우크라이나 총영사관이 설립되었다. 2002년에는 주로스토프나도누 우크라이나 총영사관, 2004년에는 주블라디보스토크·노보시비르스크 우크라이나 총영사관이 설립되었다. 이들 영사관은 2022년에 모두 폐쇄되었다.

  • 2016년 폐쇄된 영사관


니즈니노브고로드 우크라이나 총영사관은 2012년에 설립되었으나, 2016년에 폐쇄되었다.

4. 1. 2022년 폐쇄된 영사관

1992년 주모스크바 우크라이나 대사관 영사과가 설립되었고, 1994년에는 주튜멘·예카테린부르크 우크라이나 총영사관이, 1998년에는 주상트페테르부르크 우크라이나 총영사관이 설립되었다. 2002년에는 주로스토프나도누 우크라이나 총영사관, 2004년에는 주블라디보스토크·노보시비르스크 우크라이나 총영사관이 설립되었다. 이들 영사관은 2022년에 모두 폐쇄되었다. 2012년 설립된 주니즈니노브고로드 우크라이나 총영사관은 2016년에 폐쇄되었다.

4. 2. 2016년 폐쇄된 영사관

니즈니노브고로드 우크라이나 총영사관은 2012년에 설립되었으나, 2016년에 폐쇄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Embassy of Ukraine in the Russian Federation 2008-06-21
[2] 웹사이트 Ukrainian Foreign Ministry announces evacuation of embassy personnel from Moscow https://tass.com/pol[...] Embassy of Ukraine in the Russian Federation 2022-02-27
[3] 웹사이트 Ārlietu ministrijas valsts sekretārs Rīgā uzņem līdzšinējo Ukrainas vēstniecības Maskavā pagaidu vadītāju https://lvportals.lv[...] 2022-03-16
[4] 웹사이트 The Foreign Ministry's State Secretary welcomes to Riga the former temporary head of mission at the Ukrainian Embassy in Moscow {{!}} Ārlietu ministrija https://www.mfa.gov.[...] 2022-03-16
[5] 뉴스 Ukraine's diplomat: Non-approval of Russia's ambassador doesn't mean full diplomatic break http://www.unian.inf[...] UNIAN 2016-08-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