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황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황후는 오나라 창업 황제 손권의 딸이자 주거와 손루유의 딸로, 손휴의 황후이자 황태후였다. 손권은 그녀를 손휴와 결혼시켰으며, 손휴가 랑야왕에 봉해진 후 그의 왕비가 되어 여러 지역을 옮겨 다녔다. 262년에 황후가 되었으나, 264년 손휴가 죽자 황태후가 되었다가 손호가 즉위한 후 경황후로 강등되었다. 265년 손호에게 핍박을 받아 살해되었으며, 온화한 성품의 미인으로 평가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오의 황후 - 전황후
전황후는 오나라 황제 손량의 황후이며, 손노반의 추천으로 손량과 혼인하여 황후가 되었으나, 손량 폐위와 함께 폐위되어 후관에서 지내다 사망했다. - 동오의 황후 - 등황후
등황후는 손호의 폭정 속에서 황후의 자리를 지켰으나 총애를 잃고 오나라 멸망 후 손호의 죽음을 애도하는 애가를 지은 오나라 마지막 황제 손호의 황후이다. - 265년 사망 - 사마소
사마소는 사마의의 아들이자 사마사의 동생으로, 위나라의 정권을 장악하고 촉한을 멸망시킨 인물이며, 군사적 재능으로 반란을 진압하고 조모를 살해한 후 조환을 옹립하여 진나라 건국을 위한 기반을 다졌다. - 265년 사망 - 서정 (동오)
서정은 삼국시대 오나라의 학자이자 관료로, 박식한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저술 활동을 펼쳤으며, 태상경을 지냈고, 《예장열사전》, 《효경묵주》, 《모시보》, 《통력》, 《삼오력기》 등의 저서를 남겼는데, 특히 《삼오력기》는 반고의 천지 창조 신화가 기록된 가장 오래된 책으로 알려져 있다.
주황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주황후 (朱皇后) |
휘 | 미상 |
시호 | 경황후 (景皇后) |
존호 | 황태후 (皇太后) |
성 | 주 (朱) |
본관 | 오군 (吳郡, 현재의 쑤저우, 장쑤) |
출생 | 미상, 229년 이후 출생 추정 |
사망 | 265년 음력 7월 (양력 7월 또는 8월) |
사인 | 강제 자살 |
매장지 | 정릉 (定陵)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주거 |
어머니 | 손노육 |
배우자 | 손휴 |
형제자매 | 주웅(朱熊), 주손(朱損) |
생애 | |
옹립 | 손휴에 의해 황후로 책봉 |
황태후 책봉 | 264년 9월 3일 손휴 사후 손호에 의해 황태후로 책봉 |
최후 | 265년 손호에 의해 강제로 자살당함 |
칭호 | |
동오 황후 | 재위 기간: 262년 9월 16일 - 264년 9월 3일 전임: 전황후 후임: 등황후 |
동오 황태후 | 재위 기간: 264년 9월 3일 - 264년 음력 9월 전임: (칭호 신설) 후임: 하황후 |
기타 | |
능묘 | 정릉 |
2. 가계와 초기 생애
주거와 손노육의 딸로 태어난 주황후는 손권의 외손녀였다. 적오 말년(250년경), 손권의 명으로 손휴와 혼인하였다.[3]
태원 2년(252년), 손휴가 낭야왕에 봉해지자 그를 따라 단양으로 이주했다.[3][4] 오봉 2년(255년), 어머니 손노육이 손준에게 암살당하자, 손휴는 두려움에 주씨를 건업으로 보냈으나, 손준은 주씨를 손휴에게 돌려보냈다.[3][5]
태평 3년(258년), 손침에 의해 손휴가 황제로 옹립되었으나,[6] 영안 2년(259년)에 황후와 태자를 세우라는 신하들의 건의를 급하지 않다는 이유로 받아들이지 않았다.[7] 3년이 지난 영안 5년(262년)에야 비로소 주씨를 황후로 세웠다.[3]
2. 1. 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주거 | 태자 손화를 폐위하지 않도록 손권을 설득하려다 실패하고 신도로 유배, 가는 길에 처형됨. |
어머니 | 손노육 | 손준에게 암살당함. |
남편 | 손휴 | 손침에 의해 황제로 옹립됨. |
시아버지 | 손권 | 오나라의 초대 황제 |
시어머니 | 보부인 | |
고모 | 손노반 | 손준과 간통하며 그를 지지함. |
아들 | 손완 | 손휴 사후 손호에게 살해됨. |
아들 | 손공 | 손휴 사후 손호에게 살해됨. |
주씨는 주거와 손노육의 딸로, 손권의 외손녀였다.[3] 250년경, 손권의 명으로 손휴와 혼인하였다.[3] 어머니 손노육은 손준에게 암살당했고,[3][5] 아버지 주거는 손화 폐위를 막으려다 실패하고 처형되었다.[3]
2. 2. 초기 생애
주거와 손노육의 딸로, 손권이 적오 말에 손휴와 짝지어 주었다. 태원 2년(252년), 손휴가 낭야왕에 봉해지자 손휴를 따라 단양에 거주했다.[3][4]주씨의 이모(손노육의 언니) 손노반과 손노육의 사이는, 손노육이 태자 손화와 그 생모 왕부인을 몰아내고 손패로 대신 태자를 세우려 하는 계획에 동참하지 않아 벌어졌다. 폐제 손량의 치세 중 섭정 손준과 간통하며[5] 황실 중에서 드물게 손준을 지지한 손노반은 오봉 2년(255년) 손의가 손준을 암살하려다가 발각되어 살해당하는 일이 일어나자, 손노육도 손의와 공모했다고 참언해 손준은 손노육을 죽였다.[3][5] 어머니가 암살당하자 남편 손휴는 두려움을 품어, 주씨를 건업으로 떠나보내며 울었다.[3]
손휴는 태평 3년(258년)에 손준의 뒤를 이은 손침이 황제 손량을 폐위시키면서 손침에게 옹립되어 황제가 되었으나,[6] 이듬해, 곧 영안 2년(259년)에 황후와 태자를 세우라는 신하들의 건의를 급하지 않다는 이유로 받아들이지 않았다.[7] 3년이 지난 영안 5년(262년)에서야 주씨를 황후로 세웠다.[3]
3. 황후 이전의 생애
주황후는 오군(吳郡)의 명문 주씨(朱氏)와 주공주의 딸로 태어났다. 손권의 딸인 주공주와 오나라 명문가 출신인 주거 사이에서 태어나, 가문 배경이 훌륭했다. 적오 연간 말, 손권의 뜻에 따라 손휴의 비(정실)가 되었다.
태원 2년 (252년), 낭야왕이 된 손휴를 따라 호림으로 이주했다. 손권이 죽은 후, 부부는 단양으로 이주했고, 후에 회계군으로 옮겨졌다.
3. 1. 어머니의 죽음과 이별
주거와 손휴의 누나 손노육의 딸로, 적오 말에 손권이 손휴와 짝지어 주었다. 태원 2년(252년), 손휴가 낭야왕에 봉해지자 손휴를 따라 단양에 거주했다.[3][4]주씨의 이모(손노육의 언니) 손노반과 손노육의 사이는 손노육이 태자 손화와 그 생모 왕부인을 몰아내고 손패로 대신 태자를 세우려 하는 계획에 동참하지 않아 벌어졌는데, 폐제 손량의 치세 중 섭정 손준과 간통하며[5] 황실 중에서 드물게 손준을 지지하는 손노반은 오봉 2년(255년) 손의가 손준을 암살하려다가 발각되어 살해당하는 일이 일어나자 손노육도 손의와 공모했다고 참언해 손준은 손노육을 죽였다.[3][5] 어머니가 암살당하자 남편 손휴는 두려움을 품어, 떠나보내며 울면서도 주씨를 건업(현재의 난징)으로 보냈다.[3]
3. 2. 손휴의 즉위
태평 3년(258년), 손침이 황제 손량을 폐위시키면서 손휴가 황제로 옹립되었다.[6] 그러나 손휴는 신하들이 황후와 태자를 세우라는 건의를 급하지 않다는 이유로 받아들이지 않았다.[7] 3년이 지난 영안 5년(262년)에야 주씨를 황후로 세웠다.[3]4. 황후 시절
주거와 손휴의 누나 손노육의 딸로, 적오 말에 손권이 손휴와 짝지어 주었다. 태원 2년(252년), 손휴가 낭야왕에 봉해지자 손휴를 따라 단양에 거주했다.[3][4]
주씨의 이모(손노육의 언니) 손노반과 손노육의 사이는 손노육이 태자 손화와 그 생모 왕부인을 몰아내고 손패로 대신 태자를 세우려 하는 계획에 동참하지 않아 벌어졌는데, 폐제 손량의 치세 중 섭정 손준과 간통하며[5] 황실 중에서 드물게 손준을 지지하는 손노반은 오봉 2년(255년) 손의가 손준을 암살하려다가 발각되어 살해당하는 일이 일어나자 손노육도 손의와 공모했다고 참언해 손준은 손노육을 죽였다.[3][5] 어머니가 암살당하자 남편 손휴는 두려움을 품어, 떠나보내며 울면서도 주씨를 건업(현재의 난징,장쑤 성)으로 보냈다.[3]
손휴는 태평 3년(258년)에 손준의 뒤를 이은 손침이 황제 손량을 폐위시키면서 손침에게 옹립되어 황제가 되었으나,[6] 이듬해, 곧 영안 2년(259년)에 황후와 태자를 세우라는 신하들의 건의를 급하지 않다는 이유로 받아들이지 않았고,[7] 3년이 지난 영안 5년(262년)에서야 주씨를 황후로 세웠다.[3]
5. 황태후 시절과 죽음
영안 7년(264년) 7월, 손휴가 죽자 주씨는 황태후로 높여졌다.[3] 그러나 손호가 즉위하면서 같은 해 9월에 경황후(景皇后)로 강등되었고, '''안정궁'''으로 불리게 되었다.[3][8] 감로 원년(265년) 7월, 손호는 주씨를 핍박하여 죽음에 이르게 했다.[3] 손호는 경황후의 장례를 간소하게 치렀으나, 손휴의 무덤인 정릉에 합장했다.[3][8] 사람들은 경황후의 죽음이 병사가 아님을 알고 슬퍼했다고 한다.
5. 1. 손호의 옹립
태원 2년(252년), 손휴가 낭야왕에 봉해지자 손휴를 따라 단양에 거주했다.[3][4]어머니가 암살당하자 남편 손휴는 두려움을 품어, 주씨를 건업으로 보냈다. 이때 주씨는 울면서 떠나갔다.[3]
태평 3년(258년), 손준의 뒤를 이은 손침이 황제 손량을 폐위시키면서 손침에게 옹립되어 손휴가 황제가 되었다.[6] 이듬해인 영안 2년(259년)에 신하들이 황후와 태자를 세우라는 건의를 하였으나, 손휴는 급하지 않다는 이유로 받아들이지 않았다.[7] 3년이 지난 영안 5년(262년)에서야 주씨를 황후로 세웠다.[3] 손휴는 아들 손완을 태자로 책봉했는데, 손완이 주씨의 아들인지 여부는 불분명하다. (실제로 그녀가 손휴의 네 아들 중 누구를 낳았는지도 불분명하다.)
영안 원년 (258년), 손휴를 따라 건업으로 들어갔다. 손휴가 황후를 세우라는 권유를 받았지만, 잠시 사퇴했다. 같은 해 5년 (262년) 8월 16일에 황후로 책봉되었다.
5. 2. 죽음
朱皇后|주황후중국어는 손휴가 죽자 황태후로 높여졌으나, 다음 황제 손호가 즉위하고서 9월에 도로 경황후로 깎였다.[3] 감로 원년(265년) 7월, 손호에게 핍박을 받아 살해당했다. 손호는 경황후의 장사를 얕게 치르고 손휴의 능인 정릉에 합장했다.[3][8]264년, 손휴는 재상 복양흥에게 손완을 맡긴 채 사망했다. 주황후는 황태후가 되었다. 263년 오나라의 동맹국 촉한이 멸망한 것을 보고, 복양흥과 장포는 백성들이 더 나이 많은 황제를 갈망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장군 만욱은 전 태자 손화의 아들 손호와 친했는데, 그의 추천에 따라 복양흥과 장포는 대신 손호를 황제로 선포하려 했다. 그들은 이 사실을 주황후에게 보고했고, 주황후는 "나는 과부일 뿐입니다. 국가의 중요한 일에 대해 무엇을 알겠습니까? 제국이 해를 입지 않고, 황제들이 계속 제대로 숭배받는 한, 저는 만족합니다."라고 말했다.
복양흥과 장포는 그 후 손호를 황위에 앉혔다. 그러나 손호가 잔혹하고 미신적인 경향을 빠르게 드러내면서, 곧 손호가 잘못된 선택이었음이 분명해졌다. 복양흥과 장포는 손호를 선택한 것을 후회한다는 사실이 그에게 보고되어 체포되어 처형당하면서 그의 첫 번째 희생자가 되었다. 그 해 말, 그는 또한 주황후를 "경황후" (경(敬)은 손휴의 시호 "경황제"를 가리킴)로 강등시키고 자신의 어머니인 하부인를 대신 황태후로 만들었다. 265년, 손호는 주황후에게 자결을 강요하고 손휴의 두 아들, 즉 전 태자 손완과 손공(유남왕)을 살해했다. 주황후는 (황후로서는) 표준 이하의 장례를 치렀지만, 손휴와 함께 황후에 걸맞는 예우를 받으며 묻혔다.
영안 7년 (264년) 7월에 경제가 붕어하자, 황태후가 되었다. 복양흥과 장포가 오정후 손호를 황제로 세울 것을 주태후에게 묻자, 주태후는 "나는 과부에 불과하며, 오를 존속시킬 수 있는 인물이라면 상관없다"라고 말하며, 두 사람에게 판단을 일임했다. 이에 손호가 옹립되었다.
같은 해 (264년) 9월, 즉위한 손호에 의해 황태후의 지위에서 물러나 경황후, '''안정궁'''으로 불리게 되었다. 감로 원년 (265년) 7월, 손호는 그녀를 박해하여 죽음에 이르게 했다. 사람들은 사망한 장소나 장례 방식 등을 보고 경황후의 죽음이 병사가 아님을 알고 슬퍼했다고 한다. 정릉에 있는 손휴의 능묘에 합장되었다.
6. 평가
온화하고 상냥한 숙녀풍 미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노호담력대려인기에는 이름이 '''패란'''으로 기재되어 있다.
참조
[1]
문서
Lady Zhu should be born in or after 229
[2]
삼국지
Sanguozhi vol. 48
[3]
삼국지
삼국지 권50 오서 제5 비빈전 중 주부인전
[4]
문서
[5]
삼국지
권64 오서 제19 제갈등2손복양전 중 손준전
[6]
삼국지
권48 삼사주전 중 손휴전
[7]
강표전
삼국지 권48 삼사주전 중 손휴전 배송지 주석에서 재인용
[8]
서적
삼국지 권48 삼사주전 중 손호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