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육군총사령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 육군총사령부는 중일 전쟁 말기인 1944년 12월에 윈난성 쿤밍시에 설립되었다. 국민정부의 허잉친이 초대 육군총사령관을 맡아 항일전쟁 제4전구 등을 통제했다. 1945년에는 후방근무총사령부를 창설하고 미군식 조직을 도입했으며, 샹시 회전 이후 즈장에 총사령부 본부를 설치했다. 일본 항복 후에는 난징에 전진지휘소를 설치하고 중국 전구 항복 의식을 거행했다. 1946년 6월 1일, 국방부 산하 중화민국 육군총사령부로 재편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일 전쟁에 참전한 중국의 부대 - 신사군
신사군은 제2차 국공합작 이후 중국 공산당이 조직한 군대로, 항일 전쟁과 국공 내전에 참전하다가 1947년 중국인민해방군에 편입되어 해체되었다. - 중일 전쟁에 참전한 중국의 부대 - 팔로군
팔로군은 중일 전쟁 발발 후 중국공농홍군이 국민혁명군에 편입되어 재편된 군대로, 화북 지역에서 일본군 후방을 공격하는 게릴라전을 수행하며 중국 공산당의 승리에 기여했다. - 중화민국 육군의 사령부 및 지휘부 - 마쭈 방위지휘부
마쭈 방위지휘부는 위키백과 등재 기준을 충족할 만큼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아 상세 내용 작성이 현재 불가능합니다. - 중화민국 육군의 사령부 및 지휘부 - 둥인 지구지휘부
둥인 지구지휘부는 위키백과 페이지 제목이나 현재 내용이 없어 해당 지휘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며, 페이지 작성을 위해서는 각 섹션별 요약 및 원본 소스가 필요합니다.
중국 육군총사령부 | |
---|---|
개요 | |
이름 | 동맹국 중국 전구 중국 육군총사령부 |
군사 정보 | |
창설 | 1944년 12월 1일 |
해체 | 1946년 5월 31일 |
소속 | 국민혁명군 |
명령 체계 | 국민정부 군사위원회 |
후신 | 국방부 육군사령부 |
2. 역사
1944년 12월, 윈난성 쿤밍시에서 국민혁명군 육군 총사령부가 설립되었다. 국민정부 군사위원회의 군정부장이었던 허잉친이 육군총사령관으로 임명되어 항일전쟁 제4전구, 제5집단군 쿤밍방수사령부, 귀주-광시-후난 및 윈난-베트남 변경구역의 통제권한을 부여받았다.[1]
1945년 2월, 후방근무총사령부를 창설하고 미국 중국 전구군에서 완전한 통제권한을 가지고 육군총사령부의 모든 부대에 군수품을 보급하였다.[1] 4월에는 제4전구를 제3전구에 합병하면서 몇개 전구를 폐지하고, 4개 방면군으로 정리하면서 각급 사령부의 조직을 미군의 G1-G4(행정인사, 작전, 정보, 군수) 조직 구조를 본따 군 본부, 부관 군무 등의 6~8개 처로 정리하였다.[1]
1945년 육군총사령부 본부를 구이양으로 옮길 예정이었으나, 4월 초순과 6월 초순 사이에 후난성 서부에서 일어난 샹시 회전(湘西會戰, 샹시 회전)으로 후난성 즈장에 설치하였다.[1]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항복 선포 직후, 선발대가 난징에 파견되어 전진지휘소가 설치되었다. 9월 9일, 선발대는 옛 중앙육군군관학교에 도착하여 중국 전구의 연합국 대표로서 제2차 세계 대전 중국 전구 항복의식The surrender ceremony of World War II in China war zone영어을 거행하고, 주중 일본군의 항복을 받아내며 포로 수용을 위해 곳곳에 회유공서를 설치하였다.[1]
국민정부는 입헌주의에 따라 중화민국 정부를 수립하였고, 1946년 5월 31일 행정원 산하 군정부가 국방부로 재편되었다. 이에 따라 다음 날인 6월 1일, 중국 육군총사령부는 국방부 산하 중화민국 육군총사령부로 재편성되었다.[1]
2. 1. 중일 전쟁
1944년 12월, 윈난성 쿤밍시에서 국민혁명군 육군 총사령부가 설립되었다. 국민정부 군사위원회의 군정부장이었던 1급상장 허잉친이 육군총사령관으로 임명되어 항일전쟁 제4전구, 제5집단군 쿤밍방수사령부, 귀주-광시-후난 및 윈난-베트남 변경구역의 통제권한을 부여받았다.[1]1945년 2월, 후방근무총사령부를 창설하고 미국 중국 전구군에서 완전한 통제권한을 가지고 육군총사령부의 모든 부대에 군수품을 보급하였다.[1] 같은 해 4월까지, 항일전쟁 제4전구를 제3전구에 합병하면서 몇개 전구를 폐지하고, 4개 방면군으로 정리하면서 각급 사령부의 조직을 미군의 G1-G4(행정인사, 작전, 정보, 군수) 조직 구조를 본따서 군 본부, 부관 군무 등의 6~8개 처로 정리하였다.[1]
1945년 육군총사령부 본부를 구이양으로 옮길 예정이었으나, 4월 초순과 6월 초순 사이에 후난성 서부에서 일어난 샹시 회전(湘西會戰|샹시 회전중국어)으로 후난성 즈장에 설치하였다.[1]
2. 2. 종전 이후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항복 선포 직후, 선발대가 난징에 파견되어 전진지휘소가 설치되었다. 9월 9일, 선발대는 옛 중앙육군군관학교에 도착하여 중국 전구의 연합국 대표로서 제2차 세계 대전 중국 전구 항복의식The surrender ceremony of World War II in China war zone영어을 거행하고, 주중 일본군의 항복을 받아내며 포로 수용을 위해 곳곳에 회유공서를 설치하였다.[1]국민정부는 입헌주의에 따라 중화민국 정부를 수립하였고, 1946년 5월 31일 행정원 산하 군정부가 국방부로 재편되었다. 이에 따라 다음 날인 6월 1일, 중국 육군총사령부는 국방부 산하 중화민국 육군총사령부로 재편성되었다.[1]
3. 부대
직위 | 이름 |
---|---|
참모장 | 蕭毅肅 |
부참모장 | 冷欣和, 蔡文治 |
부관처 처장 | 陳又新 |
경리처 처장 | 金殿策 |
공병지휘부 지휘관 | 馬崇六 |
포병지휘부 지휘관 | 彭孟緝 |
군법집행감부 군법감 | 金奎璧 |
정치부 주임 | 李惟果 |
- 중국 원정군
- 귀주-광시-후난(黔桂湘) 변경구역
- 항일전쟁 제4전구 제27집단군
- 윈난-베트남(滇越) 변경구역
- 제5집단군
- 쿤밍 방수사령부
- 총사령부 직속
- * 제54군
- * 신6군
- 쿤밍 방수사령부
- * 제5군
- * 제8군
- 제1방면군
- * 제60군
- * 제93군
- * 제52군
- 제2방면군
- * 제46군
- * 제64군
- * 제62군
- 제3방면군
- * 제26집단군
- ** 제20군
- ** 제26군
- * 제94군
- * 제13군
- * 제71군
- 제4방면군
- * 제73군
- * 제74군
- * 제100군
- * 제18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