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대외연락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대외연락부(약칭 대외연락부)는 1951년 중국 공산당이 소련, 북한 등 사회주의 국가들과의 당 대 당 교류를 위해 설립한 기구이다. 초기에는 사회주의 진영과의 관계를 감독하고 해외 혁명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덩샤오핑 시대에는 비공산당과의 관계 구축으로 임무를 확대했으며, 냉전 종식 이후에는 정치적 스펙트럼 전반의 정당들과 교류하며 글로벌 아웃리치를 강화했다. 시진핑 시대에 들어서는 중국 외교 정책의 도구로서 중요성이 더욱 커졌으며, 일대일로와 중국-아프리카 관계 증진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대외연락부는 중국 공산당의 당 대 당 채널을 통한 외교를 수행하며, 북한을 포함한 사회주의 국가와의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정보기관 - 중국 인민해방군 61398부대
-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 중국공산당 중앙판공청
중국공산당 중앙판공청은 1942년 설립되어 당 중앙의 일상 업무를 처리하는 핵심 기관으로, 당 지시 작성, 정보 분류, 행사 지원, 재정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최고 지도부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자금성과 중난하이에 위치한다. -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 중국공산당 중앙당교
중국공산당 중앙당교는 중국 공산당 간부 양성 및 이론 연구를 담당하는 교육 기관으로, 마오쩌둥의 지시로 설립되어 옌안과 베이징을 거쳐 현재 베이징에 위치하며, 당의 개조와 건설, 사회주의 관련 학문을 연구한다. - 1951년 설립된 단체 -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은 1951년 설립된 국제 사회주의 정당 연합체로, 냉전 시대 노선 변화와 분열, 재편을 거쳐 현재 전 세계 사회민주주의 및 사회주의 정당들의 연합체로 활동하고 있다. - 1951년 설립된 단체 - 국제이주기구
국제이주기구(IOM)는 1951년 설립되어 2016년 유엔 관련 기구가 된 정부 간 기구로, 이주민 보호와 인도적 지원을 주요 임무로 수행하며, 분쟁 및 재해 지역에서 난민 등에게 지원을 제공하고 이주 관련 국제 협력을 증진하지만, 난민 보호 및 인권 문제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대외연락부 | |
---|---|
개요 | |
명칭 | 중국공산당 중앙대외연락부 |
약칭 | 중련부 (中联部) |
영어 명칭 | International Department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IDCPC) |
중국어 명칭 (간체) | 中国共产党中央委员会对外联络部 |
설립일 | 1951년 |
유형 |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직속 부서, 정부 부처급 기관 |
본부 | 푸싱루 4호, 하이뎬구, 베이징 |
지도자 | 류젠차오 |
부부장 | 천저우, 리밍샹, 쑨하이옌, 루캉 |
모기관 |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
산하 기관 | 중국국제이해협회, 중국현대세계연구센터, 중국평화발전기금회 |
관련 기관 |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
공식 웹사이트 | 중국공산당 중앙대외연락부 공식 웹사이트 |
역할 및 기능 | |
주요 임무 | 외국 정당, 정치 단체 및 기타 조직과의 관계를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것 |
기능 | 외국 정당과의 교류 및 협력 중국의 외교 정책 홍보 국제 정세 연구 중국의 이미지 제고 |
조직 구조 | |
주요 부서 | (구체적인 부서 정보는 문서에 명시되어 있지 않음) |
인력 규모 | (구체적인 인력 규모 정보는 문서에 명시되어 있지 않음) |
역사 | |
설립 배경 | 중국 공산당의 외교 활동 필요성 증대 |
주요 활동 | 사회주의 국가 및 개발도상국과의 관계 강화 서방 국가와의 대화 채널 유지 국제 문제에 대한 중국의 입장 표명 |
기타 | |
특징 | 당 외교의 핵심 기관 |
중요성 | 중국 외교 전략의 중요한 부분 |
2. 역사
1998년 다이빙궈 대외연락부장은 일본 공산당에 과거의 잘못을 인정하고 화해했다. 이는 문화 대혁명 시기 중국 공산당이 일본 공산당을 "수정주의 집단"이라고 비판하며 양당 간 교류가 단절된 이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
2015년에는 자공 연립 정권에서 민사국 정권으로의 교체와 센카쿠 열도 문제로 중단되었던 중일 여당 협의회를 제2차 아베 신조 내각의 자유민주당과 공명당의 여당 복귀를 계기로 중일 관계의 변화와 관계없이 정례화하기로 합의했다.[23]
2. 1. 설립 초기 (1951년 ~ 1970년대)
대외연락부는 1951년 중국공산당이 옛 소련이나 북한, 동구 공산권 국가들과 당 대 당 교류를 목적으로 설립한 기구로, 북-중 관계에서 외교부보다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4]특히 소련 공산당과 사회주의 진영과의 관계를 감독하는 임무를 맡았다.[1] 중소 분쟁 이후 중국공산당이 해외 공산당들 사이에서 자신의 입장에 대한 지지자를 적극적으로 찾기 시작하면서 대외연락부의 임무는 더욱 중요해졌다.[2] 이후 중국공산당과 전 세계 마오주의 정당들 간의 관계를 유지했으며, 종종 자금과 자원을 좌익 및 반군 단체에 쏟아부어 해외 혁명을 선동하려 했다.[3][4][5]
2. 2. 덩샤오핑 시대 이후 (1980년대 ~ 2000년대)
덩샤오핑 시대인 1980년대에 대외연락부(ILD)는 비공산당과의 관계를 구축하는 것을 포함하여 임무를 확대했고, 노골적인 혁명 목표는 버렸다.[6] 1981년에 ILD는 중국 국제 이해 협회를 설립했다.[7][8] ILD는 또한 중국 평화 개발 기금도 운영하고 있다.[9] 이 시대에 이 부서는 "만나기를 원하는 모든 외국 정당"과 관계를 맺으려 했다.[4]냉전 종식과 소련의 해체로 ILD는 정치적 스펙트럼 전반에 걸쳐 정당들과 교류하는 확대된 임무가 더욱 중요해졌다.[2] 2000년대 초부터 ILD는 국제적 활동 범위를 넓혔다.[10] 학자 앤 마리 브래디에 따르면 ILD는 "외국 정치인과 정당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그들과 관계를 발전시키는 임무를 맡고 있다."[11]
2. 3. 냉전 종식 이후 (1990년대 ~ 현재)
냉전 종식과 소련의 해체 이후, 대외연락부는 정치적 스펙트럼 전반에 걸쳐 정당들과 교류하는 임무를 더욱 확대했다.[2] 2000년대 초부터 대외연락부는 국제적 관계를 강화했다.[10] 학자 앤 마리 브래디는 대외연락부가 "외국 정치인과 정당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그들과 관계를 발전시키는 임무를 맡고 있다"고 설명한다.[11]1998년 다이빙궈 부장은 일본 공산당에 과거의 잘못을 인정하고 화해했다. 이는 문화 대혁명 시기 중국 공산당이 일본 공산당을 "수정주의 집단"이라고 비판한 이후 단절되었던 양당 간의 교류를 재개한 것이다.
2015년에는 자공 연립 정권에서 민사국 정권으로의 교체와 센카쿠 열도 문제로 중단되었던 중일 여당 협의회를, 제2차 아베 신조 내각에 의한 자유민주당과 공명당의 여당 복귀를 계기로 중일 관계의 변화와 관계없이 정례화하기로 자민당, 공명당과 합의했다.[23]
2015년, 2003년부터 12년 간 중련부장을 맡아 온 왕자루이는 일선에서 물러났다. 쑹타오 (1955년) 당중앙 외사판공실 상무 부주임이 새로운 중련부장으로 임명되었다.
2010년, 대외연락부는 일대일로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실크로드 싱크탱크 협회의 사무국 역할을 하는 싱크탱크인 중국 현대 세계 연구 센터(CCCWS)를 설립했다.[12]
시진핑 행정부에서 대외연락부는 중국의 외교 정책 도구로서 그 중요성이 커졌다.[13] 중국-아프리카 관계 증진을 위해 대외연락부와 중국 공산당 중앙 당교는 탄자니아의 줄리어스 니에레레 지도자 학교에 자금을 지원했다.[14][15] 이 학교는 2022년 2월 4000만달러의 자금으로 개교했으며, 중국 공산당과 아프리카 집권 정당(탄자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모잠비크, 앙골라, 나미비아, 짐바브웨) 간의 정치적, 외교적 교류를 위한 장소이다.[16][17][15]
2. 4. 시진핑 시대 (2012년 ~ 현재)
시진핑 행정부에서 중국공산당 대외연락부(약칭 대외연락부)는 중국의 외교 정책 도구로서 그 중요성이 커졌다.[13]2015년, 2003년부터 12년간 대외연락부장을 맡아 온 왕자루이는 물러나고, 쑹타오 (1955년) 당중앙 외사판공실 상무 부주임이 새로운 대외연락부장으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자민당, 공명당과 중일 여당 협의회를 정례화하기로 합의했다.[23] 이는 자공 연립 정권에서 민사국 정권으로 교체와 센카쿠 열도 문제로 중단되었다가 제2차 아베 신조 내각의 여당 복귀를 계기로 중일 관계의 변화와 관계없이 재개된 것이다.
대외연락부는 중국-아프리카 관계에서 당 대 당 관계를 증진하기 위해 중국 공산당 중앙 당교와 함께 탄자니아의 줄리어스 니에레레 지도자 학교에 자금을 지원한다.[14][15] 이 학교는 4000만달러의 자금으로 2022년 2월에 개교했으며, 중국 공산당과 아프리카 집권 정당(특히 탄자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모잠비크, 앙골라, 나미비아, 짐바브웨) 간의 정치적, 외교적 교류를 위한 장소이다.[16][17][15]
2010년에는 일대일로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실크로드 싱크탱크 협회의 사무국 역할을 하는 싱크탱크인 중국 현대 세계 연구 센터(CCCWS)를 설립했다.[12]
3. 기능
대외연락부는 1951년 중국공산당이 옛 소련이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동구 공산권 국가들과 당 대 당 교류를 목적으로 설립한 기구로, 북중 관계에서는 외교부보다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4] 이 부서는 중국 공산당의 당 대 당 채널을 통해 외교를 수행하는 주요 기구이다.[1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베트남을 포함한 다른 사회주의 일당제 국가와의 중국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18][19] 외국 정당, 조직, 싱크탱크, 학자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영향을 미치며 잠재적 비판 세력을 분열시키는 방법을 찾는 임무도 맡고 있다.[20][21][22][10][11] 2019년 기준으로 160개 이상의 국가에서 600개 이상의 정당 및 조직과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15]
4. 조직
이 부서에는 14개의 사무실이 있으며, 그 중 8개는 지역 국이다.[15]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대외연락부 부장'''
재임 기간 | 이름 |
---|---|
1951년 – 1966년 3월 | 왕자샹 |
1966년 6월 – 1968년 4월 | 류닝이 (대행) |
1971년 1월 – 1979년 1월 | 겅뱌오 |
1979년 1월 – 1982년 4월 | 지펑페이 |
1982년 4월 – 1983년 7월 | 차오스 |
1983년 7월 – 1985년 12월 | 첸리런 |
1985년 12월 – 1993년 3월 | 주량 |
1993년 3월 – 1997년 8월 | 리수정 |
1997년 8월 – 2003년 3월 | 다이빙궈 |
2003년 3월 – 2015년 11월 | 왕자루이 |
2015년 11월 – 2022년 6월 | 쑹타오 |
2022년 6월 – 현재 | 류젠차오 |
5. 역대 부장
취임 년월 | 이름 | 비고 |
---|---|---|
1951년 ~ 1966년 3월 | 왕자샹 | |
1966년 6월 ~ 1968년 4월 | 류닝이 | 대행 |
1971년 1월 ~ 1979년 1월 | 겅뱌오 | 부총리, 국무위원, 국방부장, 외교부 부부장 역임 |
1979년 1월 ~ 1982년 4월 | 지펑페이 | 외교부장 역임 |
1982년 4월 ~ 1983년 7월 | 차오스 |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 당 중앙규율검사위원회 서기, 당 중앙정치법률위원회 서기 역임 |
1983년 7월 ~ 1985년 12월 | 첸리런 | |
1985년 12월 ~ 1993년 3월 | 주량 | |
1993년 3월 ~ 1997년 8월 | 리수정 | |
1997년 8월 ~ 2003년 3월 | 다이빙궈 | 국무위원 역임 |
2003년 3월 ~ 2015년 11월 | 왕자루이 | |
2015년 11월 ~ 2022년 6월 | 쑹타오 | |
2022년 6월 ~ 현재 | 류젠차오 |
6. 한국과의 관계
1992년 한중수교 이후 대한민국과 中华人民共和国|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 양국 간의 관계는 개선되어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가 활발해졌다.
1994년 3월 23일, 민자당 초청으로 주산칭(朱善卿) 중국공산당 대외연락부 부부장이 공식 방한하여 북핵문제와 관련, 남북한 및 북한-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이의 꾸준한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1]
6. 1. 대한민국
1994년 3월 23일, 민자당 초청으로 공식 방한한 중국공산당 주산칭(朱善卿) 대외연락부 부부장은 북핵문제와 관련, 남북한 및 북한-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이의 꾸준한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1]6.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쑹타오 대외연락부 부장은 2020년 4월 23일 이전에 중국 최고 수준의 의료기관인 베이징 301병원(인민해방군 총의원), 중국 국가심혈관센터의 의료진 50명과 함께 방북했다.[1] 쑹타오 부장은 북중 외교와 공산당의 대외협력 전반을 담당하는 중요 인물이다.[1] 베이징 301병원은 중국공산당 최고위 간부들의 건강 관리와 치료를 담당하는 곳이다.[1] 베이징에서는 4월 22일에 쑹타오 부장이 방북했다는 소문이 퍼졌다.[1]7. 일본과의 관계
문화 대혁명 시기에 중국 공산당이 일본 공산당을 "수정주의 집단"이라고 비판한 이후 양당 간의 교류가 단절되었지만, 다이빙궈가 부장을 맡았던 1998년, 일본 공산당에 과오를 인정하는 형태로 화해했다.
자민당과 공명당의 자공 연립 정권에서 민주당 중심의 민사국 정권으로의 교체와 센카쿠 열도 문제로 중단되었던 중일 여당 협의회는, 제2차 아베 신조 내각에 의한 자민당과 공명당의 여당 복귀를 계기로 2015년 중일 관계의 부침과 관계없이 정례화하는 합의를 맺었다.[23]
참조
[1]
웹사이트
Estonian parties in the CCP's grip: The International Liaison Department's influence activities
https://sinopsis.cz/[...]
2020-09-25
[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Chinese Foreign Policy
https://books.google[...]
Rowman and Littlefield
2020-04-10
[3]
서적
Maoism: A Global History
Doubleday
2019-09-03
[4]
서적
Making the foreign serve China: managing foreigners in the People's Republic
Rowman & Littlefield
2003
[5]
웹사이트
Intelligence Report: The International Liaison Department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http://www.foia.cia.[...]
1971-12
[6]
간행물
China's "Quiet Diplomacy": The International Department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2007-03
[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Chinese Foreign Policy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1-05-05
[8]
웹사이트
The People's Liberation Army General Political Department: Political Warfare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https://project2049.[...]
2020-05-16
[9]
뉴스
Mixing Media and Statecraft in Latin America
https://chinamediapr[...]
2023-05-24
[10]
간행물
The Struggle for Minds and Influence: The Chinese Communist Party's Global Outreach
2020-06-09
[11]
뉴스
Rundown of China's spy agencies will make uncomfortable reading for some
https://www.smh.com.[...]
2020-08-20
[12]
웹사이트
France's "influence diplomacy" under CCP influence
https://sinopsis.cz/[...]
2023-05-22
[13]
뉴스
The rise of China's shadow diplomacy
https://www.axios.co[...]
2024-01-30
[14]
뉴스
In Tanzania, Beijing is running a training school for authoritarianism
https://www.axios.co[...]
2023-08-20
[15]
서적
China's Relations with Africa: a New Era of Strategic Engagement
Columbia University Press
2023
[16]
웹사이트
China opens party school in Africa to teach its model to continent's officials
https://www.scmp.com[...]
2023-08-20
[17]
웹사이트
Political Training Under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A Look at the Chinese Communist Party's First Party School in Africa
https://www.fpri.org[...]
2023-08-20
[18]
뉴스
Chinese Communist Party's diplomatic arm in 'candid and constructive' meeting with US think tank Asia Society
https://www.scmp.com[...]
2023-10-21
[19]
뉴스
Communist Party diplomat Liu Jianchao steps up role in China's foreign policy drive
https://www.scmp.com[...]
2023-01-02
[20]
웹사이트
Repurposing democracy: The European Parliament China Friendship Cluster
https://sinopsis.cz/[...]
2019-11-26
[21]
뉴스
Proselytizing Power: The Party Wants the World to Learn from Its Experiences
https://macropolo.or[...]
2020-01-24
[22]
보고서
Mind your tongue: Language, public diplomacy and community cohesion in contemporary Australia—China relations
Australian Strategic Policy Institute
2019
[23]
뉴스
日中与党交流再開を確認 自公幹事長と中国共産党要人
https://www.nikkei.c[...]
2018-04-15
[24]
뉴스
중국 대북정책 총괄에 ‘시진핑 측근’ 쑹타오
한겨레
2015-1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