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왕자루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자루이는 1970년 허베이성 친황다오시에서 태어나 중국 공산당에서 활동했다. 지린성 창춘시 우체국에서 근무했으며, 상하이해사대학에서 영어를 공부했다. 이후 중국 국내 우편통신성 부국장, 국무원 부국장, 상무부에서 근무했고, 칭다오 시장을 역임했다. 2000년 중국공산당 중앙대외연락부 부부장을 거쳐 2003년부터 부장을 지내며 북한, 베트남 등 공산 국가들과의 외교를 담당했다. 2013년부터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부주석을 맡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친황다오시 출신 - 류진궈
    류진궈는 허베이성 공안국장, 부시장, 정법위원회 서기를 거쳐 공안부 부부장까지 승진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610 판공실 책임자를 맡아 파룬궁 탄압을 주도하고 싱강 항만 유류 유출 사고 당시 공로를 인정받았다.
  • 친황다오시 출신 - 양샤오두
    양샤오두는 문화 대혁명 시기 하방 청년으로 노동 생활을 시작, 티베트 자치구에서 공직 생활을 거쳐 상하이시 부시장, 상하이시 기율검사위원회 서기, 감찰부 부장, 초대 국가감찰위원회 주임을 역임하고 2023년 중국 장애인 연합회 명예 주석으로 선출된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 지린 대학 동문 - 하태경
    1968년 부산 출생의 하태경은 학생운동과 북한 민주화 운동가 활동 후 2011년 한나라당에 입당하여 3선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개혁보수를 표방하는 정치인이다.
  • 지린 대학 동문 - 장쉐량
    장쉐량은 만주 군벌 장작림의 아들이자 동북군 지휘관으로서 만주사변 당시 부저항 정책과 시안 사건 주도를 통해 국공합작을 이끌어낸 인물이며, 그의 삶과 행적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 - 시진핑
    시진핑은 2012년부터 중국 최고지도자로, 반부패 운동 추진, '중국몽' 제시, 국가주석 임기 제한 철폐 및 '시진핑 사상' 당헌 명기 등을 통해 장기 집권 기반을 마련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 - 후진타오
    후진타오는 칭화대학교를 졸업하고 중국공산당에서 경력을 쌓아 덩샤오핑 등의 지지로 최연소 상무위원이 되었으며, 장쩌민의 뒤를 이어 중국공산당 총서기와 중화인민공화국 주석을 역임하면서 베이징 올림픽 개최와 경제 성장을 이끌었다.
왕자루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왕자루이
로마자 표기Wang Jiarui
출생일1949년 9월
출생지친황다오 시, 허베이 성, 중화민국
국적중화인민공화국
정당중국 공산당
학력상하이 해양대학교
직책
재임 시작2003년 3월
재임 종료2015년 11월
이전 직책다이빙궈
다음 직책쑹타오 (외교관)
총서기후진타오
시진핑
경력
전직창춘 시 우편국 부과장
창춘 시 우편국 부두취
기타길림대학에서 경제학 및 공업경제학 학위 취득
기타 정보

2. 초기 생애 및 경력

왕자루이는 1970년 6월부터 정치 활동을 시작하여 1973년 10월에 중국공산당 당원이 되었다. 허베이성 친황다오시 출신으로, 지린성 창춘시중국우정 배달원으로 경력을 시작했다. 상하이해사대학에서 영어를 전공하였다.

2. 1. 지린성에서의 경력

왕이는 1970년 6월부터 길림성 장춘 우체국에서 우편 배달부 겸 회계원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5] 1972년 4월부터 1973년 10월까지 상하이해사대학에서 국제 우편 영어를 공부한 후 창춘으로 돌아와 국제 우편 담당 전문가로 일했다. 1974년 4월, 우체국 부과장으로 승진했다.[5]

1976년 9월부터 1978년 4월까지 지린성 우정통신관리국에서 우편 업무를 담당했다. 1978년 4월에는 신문 발행 부과장, 1980년 11월에는 우편 부과장이 되었다. 1982년 4월, 왕이는 창춘 우체국 부국장으로 임명되었다.[5]

이 기간 동안 왕이는 1983년 9월부터 1987년 7월까지 길림대학에서 국가 경제 관리를 전공하여 학위를 취득했고, 1988년 9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길림대학교 경제경영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 2. 중앙 정부 진출

1985년 10월, 왕자루이는 국가 우정통신부에 들어가 신문 발행국의 부국장, 국장을 역임했다.[5] 1983년 9월부터 1987년 7월까지 지린대학교에서 국가 경제(economic) 관리를 전공하며 학위를 취득했다. 1992년 7월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경제무역사무소 사업국 부국장으로 승진했고, 1993년 6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중화인민공화국 상무부(당시 MOFTEC) 총국 부국장으로 근무했다. 1988년 9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지린대학교 경제경영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94년 12월부터 1995년 8월까지는 MOFTEC 시장유통국 국장을 역임했다.

1995년 8월, 산둥성 칭다오로 자리를 옮겼다. 2000년 9월 중국공산당 국제부 부부장으로 임명되었고, 2003년 3월부터 부장을 역임했다.[5] 왕자루이는 국제부장 재임 기간 동안 북한, 윁남, 쿠바와 같은 다른 공산 국가들과의 연락 업무를 주로 담당했다.

2009년에는 베이징을 방문하여 한반도 외교 문제와 관련된 지도자들과 회담을 가졌다.[3][4]

중국공산당 제16차 중앙위원회 후보위원, 제17차 중앙위원회 위원, 제18차 중앙위원회 위원이었다.

3. 칭다오시 시장 및 당 간부

1995년 8월, 왕자루이는 산둥성 칭다오시로 자리를 옮겨 칭다오 시 당위원회 상무위원, 부시장 겸 부서기를 역임했다. 1998년 2월에는 칭다오 시장 겸 부서기가 되었다. 이 기간 동안 푸단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산업경제(industrial economics) 박사후 연구과정을 수료했고, 2000년 3월부터 5월까지는 중국공산당 중앙당교에서 수학했다.[5]

4. 중국공산당 중앙대외연락부

왕자루이는 2000년 9월 중국공산당 중앙대외연락부(약칭 중련부) 부부장에 임명되었고, 2003년 3월 부장이 되었다. 중련부장 재임 기간 동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베트남, 쿠바 등 공산 국가들과의 연락 업무를 주로 담당했다.[3] 2002년 11월 중앙위원 후보로 선출되었고, 2003년 3월 정식으로 중련부장에 취임하여 2015년 11월까지 재직했다.[5] 2009년에는 평양을 방문하여 한반도 외교 문제와 관련된 지도자들과 회담을 가졌다.[4]

4. 1. 북한과의 관계

왕자루이는 중국공산당 국제부 부장으로 재임하던 2003년부터 2009년까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베트남, 쿠바 등 공산 국가들과의 연락 업무를 주로 담당했다.[3] 2009년에는 평양을 방문하여 한반도 외교 문제와 관련된 지도자들과 회담을 가졌다.[4]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의 후계자인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첫 외국 요인과의 회담 상대[10]가 되는 등 북한과의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4. 2. 일본과의 관계

왕자루이는 일본과의 관계를 중시하여 일중여당협의회와 일중교류협의기구를 설립하고 자유민주당, 공명당, 민주당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7] 자민공명연립정권에서 민사국연립정권으로의 교체로 중단되었던 일중여당협의회도 제2차 아베 내각에 의한 자민당·공명당의 정권 복귀를 받아들여 일중관계의 부침과 관계없이 정례화하는 것으로 자민당·공명당과 합의했다.[8] 2015년 12월 일중여당협의회가 재개되었을 때 후임 중앙대외연락부 부장인 송濤와 함께 참석했다.[9]

또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김정일 총서기와는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의 후계자로서 북한의 최고지도자가 된 김정은의 첫 외국 요인과의 회담 상대[10]가 되는 등 활동 무대가 넓다.

5.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2013년부터 제12기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부주석을 역임하고 있다.[6]

6. 중국공산당 내 직책

왕이(王毅)는 1973년 10월 중국공산당에 입당했으며,[3][4] 중국공산당 제16차 중앙위원회 후보위원, 제17차 중앙위원회 위원, 제18차 중앙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1995년 8월, 산둥성 칭다오시 당위원회 상무위원, 부시장, 부시장 겸 부서기를 역임했다. 1998년 2월에는 칭다오 시장 겸 부서기가 되었다. 2000년 9월에는 중국공산당 국제부 부부장으로 임명되었고, 2003년 3월부터 부장을 역임했다.[5] 국제부장 재임 기간 동안 북한, 베트남, 쿠바와 같은 다른 공산 국가들과의 연락 업무를 주로 담당했다.

2002년 11월 중앙위원 후보로 선출되었다.[5] 2009년에는 평양을 방문하여 한반도 외교 문제와 관련된 지도자들과 회담을 가졌다.[3][4]

2013년부터 제12기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부주석을 역임하고 있다.[6]

참조

[1] 뉴스 US embassy cables: China tells North Korea to act nice https://www.theguard[...] 2010-12-26
[2] 뉴스 Senior CPC official meets Henry Kissinger to promote bilateral ties http://www.chinadail[...] 2010-12-26
[3] 뉴스 U.S. and Japan Declare Concern Over North Korea https://www.nytimes.[...] 2010-12-26
[4] 뉴스 Kim Jong Il meets first foreign dignitary since illness https://www.usatoday[...] 2010-12-26
[5] 웹사이트 中国、対北朝鮮政策総括に習近平側近の宋濤氏 http://japan.hani.co[...]
[6] 웹사이트 中国側の引き止めも牡丹峰楽団帰国…公演チケットは一時190万ウォンに https://japanese.joi[...]
[7] 뉴스 日中(民主党・中国共産党)「交流協議機構」 http://www1.dpj.or.j[...] 2018-04-15
[8] 뉴스 日中与党交流再開を確認 自公幹事長と中国共産党要人 https://www.nikkei.c[...] 2018-04-15
[9] 뉴스 中日与党交流協議会第5回会議が開幕 http://j.people.com.[...] 2018-04-15
[10] 뉴스 金正恩氏、外国要人と初会談 中国高官と https://www.nikkei.c[...] 2018-01-19
[11] 웹사이트 中왕자루이, 조만간 방북할 듯 http://media.daum.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