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인민방송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앙인민방송국은 1940년 중국 공산당이 옌안에 설립한 옌안신화방송국으로 시작하여, 1949년 베이징으로 이전 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현재 17개의 채널을 운영하며, 뉴스, 경제, 음악, 소수민족, 지역 관련 프로그램을 중국어, 한국어, 몽골어 등 다양한 언어로 방송한다. 중국 공산당의 선전 도구로 활용된다는 비판과 검열 및 통제 논란이 있으며, 다른 방송국과의 혼신이나 방해 전파가 발생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0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NHK 기후 방송국
NHK 기후 방송국은 일본 기후현 지역을 관할하며, 종합 텔레비전과 FM 방송을 자체적으로 송출하고, 지역 뉴스와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국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라디오 - 칭다오 방송
칭다오 방송은 1933년 칭다오 최초의 라디오 방송국에서 시작되어 여러 시기를 거쳐 2009년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국이 합병되어 설립되었으며, 현재 9개의 텔레비전 채널과 9개의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고 일부는 칭다오 방언으로 방송한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라디오 - 톈진 방송국
톈진 방송국은 톈진 지역의 주요 방송국으로 톈진인민방송과 톈진 텔레비전으로 구성되어 중국어와 한국어 라디오 방송 및 뉴스, 문화, 오락, 스포츠 등 다양한 텔레비전 채널을 제공한다. - 중파방송 - MBC 표준FM
MBC 표준FM은 1959년 부산문화방송으로 개국하여 1961년 수도권 방송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라디오 채널이며, 뉴스, 시사, 교양, 오락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24시간 방송한다. - 중파방송 - FEBC FM
FEBC FM은 1956년 개국한 대한민국의 기독교 방송국으로, AM 및 FM 주파수를 통해 전국에 방송을 제공하며 한국어, 중국어, 러시아어, 일본어 방송과 TV 동영상 서비스도 제공하고,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지사를 두고 있다.
중앙인민방송국 | |
---|---|
기본 정보 | |
![]() | |
![]() | |
국가 | 중국 |
본사 위치 | 베이징, 중국 |
방송 지역 | 아시아-태평양 |
웹사이트 | 중국 국가 라디오 공식 웹사이트 |
운영 | |
소유주 | 중국 미디어 그룹 (중화인민공화국 정부) |
설립일 | 1940년 12월 30일 |
개국일 | 1949년 12월 5일 |
채널 | |
라디오 방송국 수 | 지상파 방송국 17개, 디지털 라디오 채널 4개 |
이전 명칭 | |
이전 명칭 목록 | 옌안 신화 방송국 산베이 신화 방송국 베이핑 신화 방송국 베이징 신화 방송국 중앙 인민 방송국 |
2. 연혁
- 1940년 12월 12일 중앙인민방송의 전신인 옌안신화방송국이 중국 옌안에서 개국하였다.[1]
- 1949년 3월 25일 베이징으로 이전하였다.
- 1949년 12월 5일 중앙인민방송국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1]
- 1950년 3월 중화인민공화국 국가신문총서에서 중앙인민방송국에 소수민족방송을 증설하기로 결정하였다.
- 1950년 5월 22일 티베트어 방송을 개국하였다.
- 1956년 7월 6일 중앙인민방송 조선어방송이 개국하여 하루 30분씩 2회 방송하였다.
- 1960년 12월 5일 중화인민공화국 방송사업국의 결정으로 소수민족방송이 잠정 폐지되었다.
- 1962년 7월 저우언라이 총리의 지시로 중앙인민방송국 소수민족방송이 복구되었다.
- 1972년 8월 1일 중앙인민방송 조선어방송이 재개국하여 하루 45분씩 3회 방송하였다.
- 1989년 중앙인민방송 조선어방송의 방송 시간이 하루 60분씩 3회 방송으로 변경되었다.
- 1998년 8월 홈페이지를 개설하였다.
- 2000년 8월 일부 채널의 인터넷 방송을 시작하였다.
- 2004년 4월 홈페이지를 통한 뉴스 제공을 시작하였다.
- 2006년 9월 14일 베이징에서 중앙인민방송 조선어방송 개국 50주년 기념대회를 개최하였다.
3. 방송 채널
중앙인민방송은 17개의 라디오 채널과 2개의 텔레비전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1956년 7월 6일 첫 방송을 시작한 한국어/조선어방송은 민족의 소리 채널을 통해 송출되며, 중화인민공화국 내 조선족과 한국인을 주 청취 대상으로 한다. 대한민국의 한국방송공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조선중앙방송위원회와 정기적인 교류도 이루어지고 있다.[1]
3. 1. 라디오 채널
중앙인민방송국은 다양한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고 있으며, 각 채널은 특정 주제나 청취자 층을 대상으로 한다. 주요 채널은 다음과 같다.채널 이름 | 설명 | 주요 프로그램 및 특징 | 주파수 |
---|---|---|---|
중국의 소리 (CNR 1) | 뉴스, 보도 중심의 종합 채널 | 뉴스 및 신문 요약, 전국 뉴스 동시 방송, 뉴스 라이브 | FM 106.1MHz, 중파 540kHz, 639kHz, 945kHz, 981kHz, 1035kHz, 1377kHz, 1593kHz, 단파 5030kHz, 6000kHz, 6030kHz, 9500kHz, 9645kHz, 9860kHz, 11750kHz |
경제의 소리 (CNR 2) | 경제, 과학, 기술, 생활 정보 제공 | 경제 뉴스 중심 | FM 96.6MHz, 중파 630kHz, 720kHz, 855kHz, 단파 3985kHz, 9530kHz, 17625kHz |
음악의 소리 (CNR 3) | 대중음악 전문 채널 | 중국 및 세계 팝 음악 | FM |
클래식 음악 방송 (CNR 4) | 클래식 및 민족 음악 방송 | 클래식, 민족 음악, 레트로 음악 | FM 101.8MHz |
타이해의 소리 (CNR 5) | 중화민국(타이완) 및 해외 화교 대상 방송 | 뉴스, 엔터테인먼트, 토크 | 중파 549kHz, 765kHz, 1116kHz, 단파 5925kHz, 7620kHz, 9685kHz, 11620kHz |
신주의 소리 (CNR 6) | 신주 지역 청취자 대상 방송 | 하카어, 민난어 등 방언 및 중국어(표준)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 | 중파 684kHz, 1089kHz, 단파 6165kHz, 9170kHz, 11905kHz, 15880kHz |
광둥 홍콩 마카오 대만구의 소리 (CNR 7) | 홍콩, 마카오, 주강 삼각주 지역 대상 방송 | 광둥어(일부 프로그램은 중국어(표준) 혼합 가능), 차오저우어, 하카어 | FM 101.2MHz |
민족의 소리 (CNR 8) | 소수민족 대상 방송 (한국어, 몽골어) | 한국어 및 몽골어 서비스[1] | 중파 1017kHz, 1143kHz, 1305kHz, 1476kHz, 단파 6010kHz, 7350kHz, 9890kHz, 11720kHz |
문예의 소리 (CNR 9) | 문학, 예술 전문 방송 | 문학 및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 | 중파 747kHz |
노인 방송 (CNR 10) | 노년층 대상 프로그램 제공 | 노인을 위한 엔터테인먼트, 건강 프로그램 | 중파 1053kHz |
티베트어 방송 (CNR 11) | 티베트어 방송 | 티베트어 서비스 | 중파 1098kHz |
읽다 소리 (CNR 12) | 오디오북 방송 | 오디오 독서 | 중파 747kHz |
위구르어 방송 (CNR 13) | 위구르어 방송 | 위구르어 서비스 | 중파 1098kHz |
홍콩의 소리 (CNR 14) | 홍콩 대상 방송 | 중국어(표준), 광둥어, 차오저우어, 하카어 | FM 87.8MHz, 중파 675kHz |
중국 교통방송 (CNR 15) | 교통 정보 제공 | 고속도로 정보 | FM 99.6MHz |
중국 시골의 소리 (CNR 16) | 농촌 지역 대상 방송 | 농업 프로그램 | 중파 720kHz |
카자흐어 방송 (CNR 17) | 카자흐어 방송 | 카자흐어 서비스 | 중파 1008kHz |
국가 응급 방송 | 재난 등 긴급 상황 발생 시 정보 제공 | 단파 9800kHz, 12000kHz |
각 채널은 특정 시간대에 따라 프로그램 편성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일부 채널은 특정 지역에서만 청취 가능할 수 있다.
3. 2. TV 채널
4. 조선어 방송
1956년 7월 6일 중앙인민방송 조선어방송이 개국되었다. 처음에는 하루 30분씩 2차례 방송되었다.[1] 1972년 8월 1일 재개국하면서 하루 45분씩 3차례 방송으로 확대되었다.[1] 1989년에는 방송 시간이 하루 60분씩 3차례로 다시 늘어났다.[1]
'민족의 소리' 채널을 통해 방송되며, 주 청취 대상은 중화인민공화국 내에 거주하는 200여만 명의 조선족과 한국인이다.[1] 대한민국의 한국방송공사(KBS),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조선중앙방송위원회와 정기적인 교류도 하고 있다.[1]
매일 3시간씩 방송되며, 방송 주파수는 다음과 같다.
한국 표준시 | 중파 주파수 | 단파 주파수 | FM 주파수 |
---|---|---|---|
14:00-19:00 | 5975, 9785 | 1017, 1143 | |
19:00-23:00 | 5975, 9785 | 1143 |
5. 방송 언어
중앙인민방송국은 다음 언어로 방송을 송출한다.
6. 비판 및 논란
중앙인민방송은 중국 공산당의 선전 도구로 활용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특히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중요한 선전 역할을 수행했다.[1]
단파 방송은 상당히 많은 채널에서 방송되고 있어, 종종 다른 방송국과의 혼신을 일으키기도 한다. 또한, 방해 전파로 방송되는 경우도 있다.[2]
참조
[1]
서적
Television: Critical Concepts in Media and Cultural Studies
Routledge Publishing
2003
[2]
웹사이트
CNR website
http://www.cnr.cn/in[...]
2007-04-29
[3]
서적
Newborn socialist things : materiality in Maoist China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1
[4]
서적
Newborn socialist things : materiality in Maoist China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1
[5]
뉴스
QVC Announces China Joint Venture
http://www.prnewswir[...]
QVC news release via PR Newswire
2012-03-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