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입자 비대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입자 비대칭은 우주에 물질이 반물질보다 훨씬 더 많은 현상을 의미한다. 안드레이 사하로프는 1967년, 물질-반물질 비대칭을 설명하기 위해 바리온 수 위반, C 대칭성 및 CP 대칭성 위반, 열적 평형 상태가 아닌 상호작용이라는 세 가지 조건을 제시했다. 표준 모형은 CP 대칭성 깨짐을 허용하지만, 관측된 중입자 비대칭을 설명하기에는 불충분하여 표준 모형 이후의 물리학 이론이 필요하다. 중입자 비대칭을 설명하기 위해 전기 쌍극자 모멘트(EDM) 존재, 반물질이 많은 우주 구역, 거울 반우주 등의 이론이 제시되었으며, 비대칭 파라미터 η를 사용하여 중입자 비대칭의 크기를 나타낸다.
1967년, 안드레이 사하로프는[4] 물질과 반물질이 서로 다른 비율로 생성되는 바리온 생성 상호작용이 만족해야 하는 세 가지 필요 조건을 제시했다. 이는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방사[5]와 중성 카온 계에서의 CP 대칭성 깨짐[6]에 영감을 받은 것이다. "사하로프 조건"은 다음과 같다.
기본 입자에 전기 쌍극자 모멘트(EDM)가 존재하면 P대칭과 T대칭이 위반된다. 이는 입자와 반입자의 붕괴 속도 차이를 유발하여 물질-반물질 비대칭으로 이어질 수 있다. 여러 실험이 진행 중이나, 현재까지 측정 결과는 EDM이 0임을 나타낸다. 2014년 산화토륨(ThO) 분자를 이용한 실험에서 전자의 EDM 상한선이 측정되었다.[20]
2. 중입자 비대칭의 기원: 사하로프 조건
각 조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2. 1. 바리온 수 위반
안드레이 사하로프는 1967년에 반바리온보다 바리온이 더 많이 생성되려면 바리온 수가 보존되지 않아야 한다는 조건을 제시했다.[4] 표준 모형에서는 섭동적으로는 바리온 수가 보존되지만, 비섭동적으로는 바리온 수 보존이 깨질 수 있다. 표준 모형에서 바리온 수는 대역 U(1) 이상 현상에 의해 비섭동적으로만 보존이 깨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통일 이론이나 초대칭성 모델에서는 X 보손과 같은 가상의 입자를 통해 바리온 수 위반이 일어날 수 있다.
2. 2. C 대칭성과 CP 대칭성 위반
중입자 비대칭이 일어나려면 물질 생성 비율이 반물질 생성보다 빨라야 한다. 이를 CP 위반이라고 한다. 표준 모형에서는 약한 상호작용의 쿼크 섞임 행렬에서 복소 위상으로 CP 대칭성 깨짐이 나타난다. 중성미자 섞임 행렬에도 CP 대칭성 깨짐이 있을 수 있지만, 현재는 측정되지 않았다.[4]
우젠슝의 실험을 통해 처음으로 패리티 깨짐이 확인되었고, 1964년 중성 카온을 이용한 피치-크로닌 실험에서 CP 대칭성 깨짐이 검증되었다. 이 실험으로 제임스 왓슨 크로닌과 밸 로그즈던 피치는 1980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6] 붕괴 과정에서 직접 CP 대칭성이 깨지는 현상(직접 CP 대칭성 깨짐)은 1999년에 발견되었다.
CPT 대칭에 따라 CP 대칭성 깨짐은 T-대칭성 깨짐을 요구한다. 표준 모형에서 CP 대칭성 깨짐이 허용되지만, 바리온 수 깨짐에 대한 제한 때문에 관측된 우주의 중입자 비대칭을 설명하기에는 부족하다. 따라서 표준 모형 너머의 새로운 물리학 이론이 필요하다.[8]
LHC의 LHCb 협력단은 바텀 람다(Λb0)와 그 반입자의 붕괴를 분석하여 CP 대칭성 깨짐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했다. 데이터는 CP 대칭성에 민감한 양에서 최대 20%의 비대칭성을 보여 CP 대칭성 깨짐을 암시했다.
2. 3. 열적 평형 상태가 아닌 상호작용
바리온 비대칭을 생성하는 반응 속도가 우주의 팽창 속도보다 느려야 한다.[9] 이러한 상황에서 입자와 그에 상응하는 반입자는 빠른 팽창으로 인해 쌍소멸 발생이 감소하여 열적 평형에 도달하지 못하고 비대칭이 유지된다.
3. 중입자 비대칭을 설명하는 다른 이론들
우주가 물질과 반물질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다는 가설도 존재한다. 이 경계에서는 쌍소멸로 인해 엄청난 감마선이 방출될 것이다.[17][18] 은하계 사이 공간의 밀도를 바탕으로 감마선 양을 계산할 수 있지만, 아직 이러한 지역은 관측되지 않았다. 30년간의 연구 결과, 관측 가능한 우주 내에는 반물질 영역이 없는 것으로 추측된다.[19][12]
빅뱅을 우주-반우주 쌍으로 보는 모델도 있다. 이 모델에서 반우주는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며 반물질이 지배적이다. 우리 우주와 비교했을 때 공간적 특성은 반전된다.[13] 이 모델은 암흑 물질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며, 초중성 중성미자(불임 중성미자)를 다량 생성하여 고에너지 우주선 폭발의 원인이 될 수 있다.[15]
3. 1. 전기 쌍극자 모멘트 (EDM)
어떤 기본 입자라도 전기 쌍극자 모멘트(EDM)가 존재하면 P대칭과 T대칭이 위반된다. EDM 때문에 입자와 반입자가 서로 다른 속도로 붕괴될 수 있고, 이는 현재 관측되는 물질-반물질 비대칭으로 이어질 수 있다. 여러 입자의 EDM을 측정하는 실험이 진행 중이다. 현재까지 모든 측정 결과는 EDM이 0임을 나타낸다. 그러나 물리 모델에서 대칭 위반이 매우 작으면 결과가 거의 보이지 않을 수 있다. 2014년에는 산화토륨(ThO) 분자를 이용한 실험에서 전자의 EDM 상한선이 측정되었다.[20]
3. 2. 반물질이 많은 우주 구역 (한국어 문서)
우주가 물질이 많은 구역과 반물질이 많은 구역으로 나누어져 있다는 가설이 있다. 매우 먼 거리에서는 물질 원자와 반물질 원자를 구분할 수 없으며, 물질과 반물질 모두 같은 방식으로 광자를 방출한다. 하지만 물질 영역과 반물질 영역의 경계선에서는 서로 쌍소멸하면서 엄청난 감마선을 내뿜을 것이다.[17][18] 만일 이러한 쌍소멸이 일어나는 공간이 실제로 존재한다면 깊은 은하계 사이 공간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은하계 사이 공간의 물질 밀도는 1m²당 1개의 원자가 존재한다.[10][11] 경계선의 밀도가 이것과 같다고 가정하면 경계 지역에서 방출하는 감마선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감마선을 대량으로 방출하는 지역은 아직 관측되지 않았으나, 30년간의 연구에서는 이 경계가 얼마나 멀리 있을지에 대해 추측하고 있다. 이 분석에 기초하면, 아직 관측 가능한 우주 내에서는 반물질이 많은 지역이 없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19][12]
3. 3. 거울 반우주 (영어 문서)
현재 우주의 상태는 CPT 대칭성을 위배하지 않는다. 빅뱅은 고전적으로나 양자역학적으로나 모두 우주-반우주 쌍으로 구성된 양면성 사건으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이 우주는 반우주의 전하(C), 공간 반전(P), 시간 반전(T) 이미지이다. 이 쌍은 빅뱅 시대에서 직접적으로 뜨겁고 방사선이 지배하는 시대로 나타나지 않았다. 반우주는 빅뱅으로부터 시간을 거슬러 흘러가며 커지고 반물질이 지배할 것이다. 우리 우주와 비교했을 때 공간적 특성은 반전되며, 이는 진공에서 전자-양전자 쌍을 생성하는 것과 유사한 상황이다.[13] 캐나다 페리미터 이론물리학 연구소의 물리학자들이 고안한 이 모델은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방사(CMB)의 온도 변동이 빅뱅 특이점 근처 시공간의 양자역학적 특성 때문이라고 제안한다.[13] 우리 우주의 미래의 한 점과 반우주의 먼 과거의 한 점은 고정된 고전적인 점을 제공하는 반면, 모든 가능한 양자 기반 순열은 그 사이에 존재한다. 양자 불확정성으로 인해 우주와 반우주는 서로 완벽한 거울상이 아니다.[14]
이 모델은 인플레이션 시나리오에 관한 특정 관측 결과, 예를 들어 대규모에서 우주의 균일성을 설명하는 것 등을 재현할 수 있는지 여부를 보여주지는 않았다. 그러나 암흑 물질에 대한 자연스럽고 간단한 설명을 제공한다. 이러한 우주-반우주 쌍은 초중성 중성미자(일명 불임 중성미자)를 다량 생성할 것이다. 이러한 중성미자는 최근 관측된 고에너지 우주선 폭발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15]
4. 중입자 비대칭 파라미터 (영어 문서)
물리학 이론의 과제는 물질이 반물질보다 우세하게 생성된 방법과 이러한 비대칭의 크기를 설명하는 것이다. 중요한 지표는 비대칭 파라미터 η이다.
:
이 값은 중입자와 반중입자의 전체 수 밀도 차이(각각 ''n''B 및 ''n'')와 우주 배경 복사 광자의 수 밀도 ''n''''γ''의 관계를 나타낸다.
빅뱅 이론에 따르면, 물질은 약 3,000,000의 온도(평균 운동 에너지 3,000,000 / () = 0.3eV)에서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CBR)로부터 분리되었다. 분리 후, CBR 광자의 총 개수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시공간 팽창으로 인해 광자 밀도는 감소한다. 평형 온도 ''T''에서 입방 센티미터당 광자 밀도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여기서 ''k''B는 볼츠만 상수, ''ħ''는 플랑크 상수를 2로 나눈 값, ''c''는 진공에서의 빛의 속도, ''ζ''(3)는 아페리 상수이다. 현재 CBR 광자 온도 2,725에서는 입방 센티미터당 약 411개의 CBR 광자 밀도 nγ에 해당한다.
따라서 위에서 정의한 비대칭 파라미터 ''η''는 "적절한" 파라미터가 아니다. 대신, 선호되는 비대칭 파라미터는 엔트로피 밀도 ''s''를 사용한다.
:
이는 우주의 엔트로피 밀도가 대부분의 진화 과정에서 상당히 일정하게 유지되었기 때문이다. 엔트로피 밀도는 다음과 같다.
:
여기서 ''p''와 ''ρ''는 에너지 밀도 텐서 ''T''''μν''의 압력과 밀도이고, ''g''*는 온도 ''T''에서 "무질량" 입자(즉, ''mc''2 ≪ ''k''B''T''가 성립하는 경우)에 대한 유효한 자유도 수이다.
:
보손과 페르미온에 대해 각각 ''g''''i''와 ''g''''j'' 자유도를 온도 ''T''''i''와 ''T''''j''에서 갖는다. 현재 ''s'' = 이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matter-antimatter asymmetry problem
https://home.cern/to[...]
2018-04-03
[2]
웹사이트
The Mystery of the Matter Asymmetry
https://web.archive.[...]
2018-04-03
[3]
서적
Particle and astroparticle physics
CRC Press
[4]
논문
Violation of CP invariance, C asymmetry, and baryon asymmetry of the universe
http://www.jetplette[...]
[4]
논문
Violation of CP invariance, C asymmetry, and baryon asymmetry of the universe
https://web.archive.[...]
2017-12-06
[4]
논문
Violation of CP invariance, C asymmetry, and baryon asymmetry of the universe
https://ufn.ru/en/ar[...]
[5]
논문
A Measurement of Excess Antenna Temperature at 4080 Mc/s
[6]
논문
Evidence for the 2π decay of the K meson
[7]
논문
Baryon Asymmetry of the Universe in the Minimal Standard Model
[8]
웹사이트
New source of asymmetry between matter and antimatter CERN
https://home.cern/ab[...]
2017-12-05
[9]
논문
Recent progress in baryogenesis
[10]
서적
Wrinkles in Time
Avon
[11]
서적
Big Bang
https://books.google[...]
Freeman
[12]
논문
Matter and Antimatter in the Universe
[13]
웹사이트
Our universe has antimatter partner on the other side of the Big Bang, say physicists
https://physicsworld[...]
2020-02-04
[14]
논문
C P T -Symmetric Universe
2018-12-20
[15]
논문
Synopsis: Universe Preceded by an Antiuniverse?
2018-12-20
[16]
서적
Particle and astroparticle physics
https://archive.org/[...]
CRC Press
[17]
서적
Wrinkles in Time
https://archive.org/[...]
Avon
[18]
서적
Big Bang
https://books.google[...]
Freeman
[19]
논문
Matter and Antimatter in the Universe
[20]
논문
Order of Magnitude Smaller Limit on the Electric Dipole Moment of the Electron
http://www.sciencema[...]
2014-0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