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페리 상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페리 상수(ζ(3))는 리만 제타 함수의 3에서의 값으로, 1978년 로제 아페리가 ζ(3)이 무리수임을 증명하면서 널리 알려졌다. 이 상수는 다양한 급수, 적분, 연분수 표현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전자의 자기 회전비 계산 등 물리학 분야에서도 활용된다. 2020년에는 대한민국의 김승민이 소수점 이하 1조 2000억 자리까지 계산하여 계산 자릿수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리수 - 황금비
황금비는 전체 길이와 긴 부분의 길이의 비가 긴 부분과 짧은 부분의 길이의 비와 같아지는 약 1.618의 비율로, 기하학, 예술,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나는 중요한 수학 상수이다. - 무리수 - 자연로그의 밑
자연로그의 밑 e는 극한, 적분, 무한 급수 등으로 정의되는 무리수이자 초월수이며, 수학의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해석적 수론 - 타원곡선
타원곡선은 체 위에서 정의되고 특이점이 없으며 종수가 1인 사영 대수 곡선으로, 유리점을 가지며, 특정 형태의 방정식으로 표현되고, 실수체 위에서는 연결 성분 개수가 판별식에 따라 달라지며, 복소수체 위에서는 원환면과 위상적으로 동형이고, 점들 간에 군 연산이 정의되어 암호학 및 정수론에 활용된다. - 해석적 수론 - 리만 제타 함수
리만 제타 함수는 복소수 s의 함수로, 실수부가 1보다 큰 영역에서 무한급수로 정의되고 s ≠ 1인 모든 복소수에서 유리형 함수로 해석적 연속이 가능하며 함수 방정식과 오일러 곱 공식을 만족하고, 영점 분포는 소수 분포와 관련이 있으며, 비자명 영점이 임계선 상에 있다는 리만 가설은 중요한 미해결 문제이다. - 제타 함수와 L-함수 - 리만 제타 함수
리만 제타 함수는 복소수 s의 함수로, 실수부가 1보다 큰 영역에서 무한급수로 정의되고 s ≠ 1인 모든 복소수에서 유리형 함수로 해석적 연속이 가능하며 함수 방정식과 오일러 곱 공식을 만족하고, 영점 분포는 소수 분포와 관련이 있으며, 비자명 영점이 임계선 상에 있다는 리만 가설은 중요한 미해결 문제이다. - 제타 함수와 L-함수 - 디리클레 L-함수
디리클레 L-함수는 디리클레 지표로 정의되는 복소함수로, 등차수열에 대한 디리클레 정리를 증명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리만 제타 함수의 일반화이자 오일러 곱, 함수 방정식 등의 성질을 가지며, 모듈러 형식, 타원 곡선과 관련되어 수론적 L-함수 연구의 핵심이고 암호론, 컴퓨터 과학 등에 응용된다.
아페리 상수 | |
---|---|
일반 정보 | |
명칭 | 아페리 상수 |
기호 | ζ(3) |
로마자 표기 | Aperi sangsu |
유형 | 무리수 |
값 | 1.2020569031595942854... |
OEIS | A002117 |
수학적 성질 | |
정의 | 양의 세제곱수의 역수의 합 |
수식 | ζ(3) = 1 + (1/2³) + (1/3³) + (1/4³) + ... |
유리수 여부 | 무리수 |
관련 항목 | 리만 제타 함수 |
역사 | |
이름의 유래 | 로저 아페리의 이름에서 유래 |
발견 | 1979년 |
무리수 증명 | 로저 아페리 |
중요성 | 수학, 물리학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짐 리만 제타 함수의 특수한 경우 연구에 기여 |
2. 아페리의 정리
1978년 로제 아페리는 ζ(3)이 무리수라는 증명을 발표하여 학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1] 이 결과는 '''아페리의 정리'''로 알려져 있다. 원래 증명은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웠지만,[1] 이후 더 간단한 증명이 발견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아페리의 증명을 리만 제타 함수의 다른 값과 홀수 인수에 대해 확장하려고 시도했다. 지금까지 특정 숫자에 대한 결과는 없었지만, 홀수 제타 상수 ζ(2n + 1) 중 무한히 많은 수가 무리수라는 것은 알려져 있다. 특히 ζ(5), ζ(7), ζ(9), 그리고 ζ(11) 중 적어도 하나는 무리수임에 틀림없다.
아페리 상수는 아직 초월수임이 증명되지 않았지만, 대수적 주기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1. 증명의 개략
1978년 6월, 로저 아페리(Roger Apéry)는 마르세유-뤼미니에서 열린 학회에서 리만 제타 함수(3) (Apéry's constant|아페리 상수영어)가 무리수임을 증명하여 발표했다. 이 증명은 초등적이었지만, 아페리는 증명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다소 농담 섞인 어조를 사용했고, 이는 일부 수학자들에게 비판을 받았다.[11]하지만 이후 그의 증명이 정확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2개월 후 헬싱키에서 열린 세계 수학자 대회에서 앙리 코앙(Henri Cohen)은 아페리의 강연을 바탕으로 돈 재기어의 아이디어를 포함한 완전한 증명을 발표했다. 아페리의 증명은 Acta Arithmetica 저널에 게재되었다.[12]
이후 프리츠 베우커스(Frits Beukers)는 더 간결한 증명법을 제시했다.[12] 베우커스는 르장드르 다항식을 이용하여 다음 적분 형태를 사용했다.
:
베우커스는 이 적분을 르장드르 다항식으로 근사하여 증명을 단순화했다.
아페리의 원래 증명은 다음과 같은 핵심적인 등식을 포함한다.[11]
:
이 등식은 당시에는 생소했기에, 청중들은 아페리에게 이 등식을 어떻게 발견했는지 질문했다. 아페리는 "우리 집 정원에서 자라났다"고 답했다. 이 일화는 그의 독특한 설명 방식을 보여준다.
아페리의 증명은 먼저 ζ(3)이 유리수라고 가정한 후, 르장드르 다항식과 부분적분을 사용하여 모순을 이끌어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르장드르 다항식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이를 이용하여 다음 등식이 성립함을 보인다.
:
여기서 과 은 정수이다. 부분적분과 아페리 상수가 유리수라는 가정을 통해 다음 부등식을 유도한다.
:
이 커짐에 따라 우변이 0으로 수렴하므로 모순이 발생한다.
3. 급수 표현
아페리 상수는 무한 급수 형태로 표현될 수 있으며,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제시한 고전적인 급수 외에도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다음은 아페리 상수의 여러 가지 급수 표현들이다.
:
:
- 기타 급수 표현
:
:
:
:
:
:
:
여기서 P(n)은 다음과 같다.
:
이러한 급수 표현 중 일부는 아페리 상수의 소수점 아래 수백만 자릿수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었다. Broadhurst(1998)는 계산될 수 있는 임의의 이진수를 받아들이는 급수 전개를 얻었다.
3. 1. 오일러의 급수 표현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1772년에 다음과 같은 급수 표현을 제시했다.[1]:
이 급수는 이후 여러 번 재발견되었다.[1]
3. 2. 수렴 가속 급수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1772년에 다음 급수를 제시했다.[5]:
이 급수는 이후 여러 번 재발견되었다.
시몽 플루페는 다음 급수를 포함한 몇 가지 급수를 제시했는데, 이 급수들은 반복될수록 여러 자리의 정확도를 제공하여 주목할 만하다.
:
:
이 외에도 많은 급수 전개가 발견되었다.
:
:
:
:
:
:
:
여기서 P(n)은 다음과 같다.
:
이들 중 몇몇은 아페리 상수의 소수점 아래 수백만 자릿수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었다.
1998년, 브로드허스트는 임의의 이진수를 계산할 수 있는 급수 표현을 제시했으며, 이를 통해 상수를 거의 선형 시간 및 로그 공간에 구할 수 있게 되었다.
라마누잔은 다음 급수 표현을 발견했다.[5]
:
3. 3. 투에-모스 수열 관련 급수
다음 표현은 2022년 토스에 의해 발견되었다.[4]:
여기서 는 투에-모스 수열의 ''n''번째 항이다. 사실, 이것은 실수부가 1보다 큰 모든 ''s''에 대해 유효한 다음 공식의 특수한 경우이다.
:
4. 적분 표현
아페리 상수는 여러 가지 적분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1] 이러한 적분 표현 중 일부는 간단하고, 다른 일부는 더 복잡하다.
4. 1. 간단한 적분 표현
제타 함수의 적분 정의에서 유도되는 다음과 같은 간단한 형태의 적분 표현이 있다.[1]: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적분 표현들이 있다.[1]
:
:
4. 2. 복잡한 적분 표현
아페리 상수는 여러 가지 복잡한 적분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프리츠 베우커스는 르장드르 다항식을 이용하여 아페리 상수에 대한 삼중 적분 표현을 단순화하였다.[1]:
반 데르 포르텐은 다음 적분을 언급하며 베우커스의 접근 방식을 설명했다.
:
여기서 , 는 르장드르 다항식이고, 부분 수열 는 정수 또는 거의 정수이다.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적분 표현들이 존재한다.[6]
:
:
:
감마 함수의 도함수와 관련된 표현은 다음과 같다.
:
이 표현은 감마 함수와 폴리감마 함수에 대한 적분 공식을 통해 다양한 적분 표현을 유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5. 연분수 표현
아페리 상수는 다음의 연분수와 관련이 있다.[7]
:
여기서 이고, 이다.
이것의 단순 연분수는 다음과 같다.[8]
:
6. 알려진 자릿수
아페리 상수의 소수점 아래 자릿수는 컴퓨터 성능 향상과 알고리즘 개선에 힘입어 꾸준히 증가해 왔다. 1735년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소수점 아래 16자리까지 계산한 이래, 꾸준히 기록이 경신되어 왔다.
날짜 | 자릿수 | 발견자 |
---|---|---|
1735년 | 16 | 레온하르트 오일러 |
알려져 있지 않음 | 16 | 아드리앵 마리 르장드르 |
1887년 | 32 | 토마스 요아너스 스틸티어스 |
1996년 | 520,000 | 그레그 J. 피 & 시몽 플루페 |
1997년 | 1,000,000 | Bruno Haible & Thomas Papanikolaou |
1997년 5월 | 10,536,006 | Patrick Demichel |
1998년 2월 | 14,000,074 | Sebastian Wedeniwski |
1998년 3월 | 32,000,213 | Sebastian Wedeniwski |
1998년 7월 | 64,000,091 | Sebastian Wedeniwski |
1998년 12월 | 128,000,026 | Sebastian Wedeniwski |
2001년 9월 | 200,001,000 | Shigeru Kondo & Xavier Gourdon |
2002년 2월 | 600,001,000 | Shigeru Kondo & Xavier Gourdon |
2003년 2월 | 1,000,000,000 | Patrick Demichel & Xavier Gourdon |
2006년 4월 | 10,000,000,000 | Shigeru Kondo & Steve Pagliarulo |
2009년 1월 21일 | 15,510,000,000 | Alexander J. Yee & Raymond Chan |
2009년 2월 15일 | 31,026,000,000 | Alexander J. Yee & Raymond Chan |
2010년 9월 17일 | 100,000,001,000 | Alexander J. Yee[13] |
2013년 9월 23일 | 200,000,001,000 | Robert J. Setti[13] |
2015년 8월 7일 | 250,000,000,000 | Ron Watkins[13] |
2015년 12월 21일 | 400,000,000,000 | Dipanjan Nag[14] |
2017년 8월 13일 | 500,000,000,000 | Ron Watkins[15] |
2019년 5월 26일 | 1,000,000,000,000 | Ian Cutress[16] |
2020년 7월 26일 | 1,200,000,000,100 | 김승민[17][18] |
6. 1. 대한민국에서의 기록 경신
2020년 7월 26일, 대한민국의 김승민이 아페리 상수를 소수점 이하 1조 2000억 자리까지 계산하여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17][18] 이전 기록은 2019년 이안 커트리스(Ian Cutress)가 계산한 1조 자리였다.[16]7. 응용
아페리 상수는 전자의 자기 회전비의 2차 및 3차 항에서 양자 전기역학을 사용하여 여러 물리적 문제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한다. 또한 무작위 최소 신장 트리 분석, 감마 함수와 관련하여 몫으로 된 지수 함수를 포함하는 특정 적분을 풀 때도 나타난다. 드바이 모형의 2차원 경우와 슈테판-볼츠만 법칙을 평가할 때와 같이 물리학에서도 종종 나타난다.
7. 1. 역수
Reciprocal|역수영어(0.8319073725807...)는 임의로 선택된 세 개의 양의 정수가 서로 소수일 확률이다. 즉, N이 무한대로 접근할 때, N보다 작은 세 개의 양의 정수를 균일하게 무작위로 선택했을 때, 공통 소인수를 공유하지 않을 확률이 이 값에 접근한다.[1] 같은 의미로, 임의로 선택된 양의 정수가 1보다 큰 정수의 세제곱으로 균등하게 나누어 떨어지지 않을 확률이다.[1]참조
[1]
문헌
[2]
문헌
[3]
문헌
[4]
간행물
Linear Combinations of Dirichlet Series Associated with the Thue-Morse Sequence
http://math.colgate.[...]
[5]
문헌
[6]
간행물
The logarithmic derivative of the Gamma function
https://scipp.ucsc.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Cruz
2010
[7]
웹사이트
Apéry's Constant
https://mathworld.wo[...]
2024-09-21
[8]
웹사이트
Apéry's Constant Continued Fraction
https://mathworld.wo[...]
2024-09-21
[9]
간행물
Records set by y-cruncher
http://www.numberwor[...]
2024-04-01
[10]
간행물
Apéry's constant world record by Seungmin Kim
https://ehfd.github.[...]
2020-07-28
[11]
문서
Proving A Proof Is A Proof « Gödel’s Lost Letter and P=NP
http://rjlipton.word[...]
[12]
논문
A Note on the Irrationality of and .
[13]
문헌
[14]
문헌
[15]
웹인용
Records set by y-cruncher
http://www.numberwor[...]
2019-06-08
[16]
웹인용
Records set by y-cruncher
http://www.numberwor[...]
2019-06-08
[17]
웹인용
Records set by y-cruncher
http://www.numberwor[...]
2020-08-10
[18]
웹인용
Apéry's constant world record by Seungmin Kim
https://ehfd.github.[...]
2020-07-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