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발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증발산은 지구 표면의 물이 대기 중으로 이동하는 복합적인 과정으로, 증발과 증산으로 구성된다. 이는 수문학에서 물 손실 예측, 작물 물 요구량, 관개 계획 및 유역 관리에 중요한 요소이다. 증발산량은 밀리미터(mm) 단위로 측정되며, 토지 강수량의 상당 부분이 증발산을 통해 대기로 되돌아간다. 증발산은 물과 공기의 증기압, 온도, 기압, 수질, 증발 표면 형상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으며, 물수지, 에너지 균형, 기상 데이터를 통해 추정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태학적 과정 - 생태인류학
생태인류학은 인간을 생태적 집단으로 보고 문화와 환경 간의 관계를 연구하며, 시스템 이론 등을 활용하여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을 탐구하는 인류학의 하위 분야이다. - 생태학적 과정 - 자연선택
자연선택은 찰스 다윈과 알프레드 러셀 월리스가 제시한 이론으로, 생존과 번식에 유리한 형질을 가진 개체가 더 많은 자손을 남겨 유전형질이 다음 세대에 더 많이 전달되는 진화의 주요 메커니즘이며, 개체변이, 유전, 환경에 따른 생존 및 번식률 차이 등의 조건과 다양한 유형 및 수준에서 작용하는 복잡한 과정을 포함한다. - 기후학 - 수증기
수증기는 물이 증발하거나 승화하여 생성되는 기체 상태의 물질로, 온도 변화에 따라 물로 응축되기도 하며, 대기 중 습도 조절, 온실 효과,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활용 등 여러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기후학 - 오호츠크해 기단
오호츠크해 기단은 세력이 강해지거나 위치가 변동될 때 야마세라는 북동풍을 발생시켜 일본 태평양 연안 지역에 저온 현상과 냉해를 유발하고 벼농사에 큰 영향을 미친다. - 농학 - 광합성
광합성은 생물이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로부터 유기물을 합성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과정으로, 엽록체 내 틸라코이드 막에서 일어나는 명반응과 스트로마에서 일어나는 암반응으로 구성되며, 환경에 따라 탄소 농축 메커니즘을 통해 효율을 높이기도 하고, 지구 대기의 산소를 생성하는 주요 원천이다. - 농학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농업 및 농촌 경제 발전을 위한 정책 연구, 계획 수립, 정책 분석 등을 수행하고 정부기관에 정책 자료를 제공하는 농업 정책 연구 기관이다.
증발산 | |
---|---|
개요 | |
정의 | 증발산(蒸發散, evapotranspiration)은 토양이나 식물 등의 표면에서 물이 증발하여 대기 중으로 날아가는 현상과, 식물의 잎의 기공을 통해 수증기가 증산되는 현상을 합쳐서 일컫는 말이다. |
설명 | 증발산은 수문학, 농업, 생태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증발산량은 물 수지 계산, 관개 계획, 토지 이용 계획 등에 활용된다. |
증발산의 종류 | |
증발 | 물 표면, 토양, 식물 표면 등에서 액체 상태의 물이 기체 상태로 변하는 현상 |
증산 | 식물의 잎의 기공을 통해 액체 상태의 물이 기체 상태로 배출되는 현상 |
증발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
기상 요인 | 태양 복사 에너지 기온 습도 바람 |
식생 요인 | 식물의 종류 식물의 성장 단계 식물의 잎 면적 |
토양 요인 | 토양의 수분 함량 토양의 종류 토양의 표면 상태 |
증발산량 측정 방법 | |
직접 측정법 | 증발 접시 라이시미터 에디 공분산 |
간접 측정법 | Penman-Monteith 식 Blaney-Criddle 식 Thornthwaite 식 |
활용 | |
수문학 | 물 수지 분석, 유역 모델링 |
농업 | 관개 계획, 작물 생육 모델링 |
생태학 | 생태계 모델링, 기후 변화 연구 |
2. 증발산의 정의 및 중요성
증발산(蒸發散, Evapotranspiration)은 지구 표면에서 대기로 물이 이동하는 복합적인 과정으로, 수체, 얼음 표면, 맨땅 및 식생에서 물이 대기로 이동하는 현상을 모두 포함한다.[2] 증발산은 크게 증발과 증산으로 나뉜다. 증발은 토양 및 수체에서 물이 직접 대기 중으로 이동하는 것이고, 증산은 식물이 뿌리로 흡수한 물이 잎의 기공을 통해 수증기 형태로 방출되는 것이다.
증발산량(ET)은 수문학적 수지식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이 식은 ET를 제외한 다른 변수들의 값을 대입하여 증발산량을 구하는 방식이다.
잠재증발산(potential evapotranspiration)은 특정 지역의 기후 조건에서 지표면이나 식물 표면이 항상 습윤 상태일 때 가능한 최대 증발산량을 의미한다. 건조 지역에서는 잠재증발산량이 강수량보다 훨씬 많고, 우기의 습윤 지역에서는 강수량이 증발산량보다 많다.
평형 증발산량(equilibrium evapotranspiration)은 수증기압이 평형 상태일 때의 증발산량을 말한다. 이는 대기 중 수증기가 포화 상태이거나 지면이 완전히 건조된 경우에 해당한다.
2. 1. 정의
'''증발산'''은 지구 표면을 구성하는 수체, 얼음 표면, 맨땅 및 식생에서 물이 대기로 이동하는 복합적인 과정이다.[2] 작물의 물 요구량, 관개 계획,[4] 유역 관리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측정되는 증발과 증산의 조합이다.[5]증발산은 크게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 '''증발:''' 토양 및 수체와 같은 수원에서 물이 공기 중으로 직접 이동하는 현상이다. 열, 습도, 태양 복사, 풍속과 같은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6]
- '''증산:''' 식물이 뿌리를 통해 흡수한 물이 잎의 기공을 통해 수증기 형태로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현상이다. 식물 종류, 토양 유형, 기상 조건, 물 함량, 재배 관행 등의 영향을 받는다.[6]
증발산은 일반적으로 설정된 시간 단위로 물의 밀리미터(mm) (즉, 지구 표면 단위 면적당 이동하는 물의 양)로 측정된다.[6] 전 세계적으로 토지 강수량의 평균 5분의 3에서 4분의 3 사이가 증발산을 통해 대기로 되돌아가는 것으로 추정된다.[7][8][9]
증발산은 물을 대기로 되돌리는 데 관여하는 다른 메커니즘(눈, 얼음의 승화)은 고려하지 않지만, 고도가 높거나 위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표준 조건에서도 대기 수분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ET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으며, 단위는 mm/일 또는 mm/d이다. 일본의 논에서는 평균 6mm/일 ~ 8mm/일이라는 자료가 있다.
2. 2. 중요성
증발산은 작물의 물 요구량, 관개 계획irrigation scheduling영어[4] 및 유역 관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수문학에서 증발산은 호수나 저수지에서 물 손실을 예측하는 데 중요하다.[2] 전 세계적으로 토지 강수량의 평균 5분의 3에서 4분의 3 사이가 증발산을 통해 대기로 되돌아가는 것으로 추정된다.[7][8][9]3. 증발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증발산(蒸發散, Evapotranspiration)은 지표면에서 물이 증발하거나 식물의 증산 작용을 통해 대기 중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증발산량은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는데, 일반적으로 ET로 표현하며 단위는 mm/일 또는 mm/d를 사용한다. 일본 논에서는 평균 6-8mm/일의 증발산량을 보인다.
증발산량(ET)은 아래의 수문학적 수지식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
- ''F'': 침투량
- : 대상 토양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
- : 대상 토양에서 다른 토양으로 유출되는 물의 양
- ''P'': 강수량
- ''S'': 보수량
- : 토양에 스며들기 전 제외되는 물의 양 (웅덩이 등)
- ''R'': 표면 유출 (토양 표면 유수 등)

증발산은 주요 요인 외에도 부차적인 요인들의 영향을 받는다. 초본 식물은 목본 식물보다 증산량이 적고, 뿌리가 깊은 식물은 더 많은 물을 증산할 수 있다.[12] 침엽수림은 활엽수림보다 증발산율이 높은 경향이 있다.[13] 증산 작용은 식생이 풍부한 지역에서 증발산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14]
운무림이나 열대 우림과 같이 예외적인 경우도 있다. 운무림에서는 나무가 안개나 낮은 구름 속 물을 모아 땅으로 떨어뜨려 증발산보다 물을 더 많이 모으기도 한다.[15][16] 열대 우림에서는 증발산이 습도를 높여 물 수율을 증가시키기도 한다.
관개 시설이 없는 지역에서는 실제 증발산량이 강수량을 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지하수위가 높은 지역에서는 모세관 현상으로 인해 예외가 발생할 수 있다.
3. 1. 주요 요인
증발산량은 주로 세 가지 요인에 의해 조절된다.[10]요인 | 설명 |
---|---|
물의 양 | 증발산이 일어날 수 있는 충분한 물이 존재해야 한다. |
에너지(열) | 공기와 토양에 충분한 에너지가 있어야 물이 증발 또는 증산될 수 있다. 기후 변화로 인한 지구 온난화는 육지에서의 증발산을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 중 하나이다.[11] |
습도 | 대기가 물을 흡수할 수 있는 능력, 즉 습도가 증발산에 영향을 미친다. |
증발률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물과 공기의 증기압인데, 이 증기압은 물과 공기의 온도, 기압, 수질, 증발 표면 형상에 영향을 받는다.[10]
3. 2. 부차적 요인
초본 식물은 잎이 덜 무성하기 때문에 목본 식물보다 증산량이 적다.[12] 뿌리가 깊이 뻗어 있는 식물은 더 많은 물을 식물과 잎으로 끌어올릴 수 있기 때문에 물을 더 꾸준히 증산시킬 수 있다. 침엽수림은 활엽수림보다, 특히 겨울과 이른 봄철에 증발산율이 더 높은 경향이 있는데, 침엽수가 상록수이기 때문이다.[13]증산 작용은 식생이 풍부한 지역에서 증발산의 더 큰 구성 요소이다.[14] 숲과 같이 밀도가 높은 식생은 증발산을 증가시키고 물 수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운무림과 열대 우림은 예외적인 경우이다. 운무림에서는 나무가 안개 또는 낮은 구름 속의 액체 물을 표면에 모아 땅으로 떨어뜨린다. 이러한 나무는 증발산에 기여하지만, 증발하거나 증산하는 것보다 더 많은 물을 모으는 경우가 많다.[15][16] 열대 우림에서는 증발산이 숲 내부의 습도를 증가시키면서 물 수율이 증가한다. 식생의 밀도는 햇빛을 차단하고 지면의 온도를 낮추며 바람 속도를 줄여 공기 중의 수분 손실을 줄인다.
관개 시설이 없는 지역에서 실제 증발산량은 대개 강수량을 넘지 않는다. 예외는 높은 지하수위 지역으로, 모세관 현상으로 인해 지하수의 물이 토양 기질을 통해 표면으로 상승할 수 있다. 잠재 증발산량이 실제 강수량보다 크다면, 관개를 사용하지 않는 한 토양이 건조해진다.
4. 증발산량 측정 및 추정
증발산량은 직접 측정하거나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증발산(ET)은 mm/일 또는 mm/d 단위를 사용하며, 일본 논에서는 평균 6-8mm/일이다.
증발산량(ET)은 다음 수문학적 수지식을 바탕으로 ET 이외의 변수에 수치를 대입하여 산출할 수 있다.
:
- ''F''는 침투량으로, 체적(용량) 또는 길이로 지정할 수 있다.
- 는 대상 토양 덩어리에 다른 토양으로부터 유입되는 양이다.
- 는 대상 토양 덩어리에서 다른 토양으로 유입되는 양이다.
- ''P''는 강수량이다.
- ''S''는 보수량이다.
- 는 웅덩이 등 토양에 스며들기 전에 제외되는 물의 양이다.
- ''R''은 토양 표면의 유수 등의 표면 유출이다.
4. 1. 직접 측정
증발산은 무게 측정식 또는 팬 리시미터를 사용하여 직접 측정할 수 있다. 리시미터는 식물이 자라는 토양의 무게와 강수 또는 관개로 추가된 물의 양을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토양 내 물의 저장 변화는 무게 변화를 측정하여 모델링된다. 적절하게 사용하면 작은 면적에서 증발산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4. 2. 간접 추정
대기 중 수증기 흐름은 직접 측정하기 어렵거나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9] 증발산은 일반적으로 여러 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추정된다. 증발산(ET)은 mm/일 또는 mm/d 단위를 사용하며, 일본 논에서는 평균 6-8mm/일이다.증발산량(ET)은 수문학적 수지식을 바탕으로 ET 이외의 변수에 수치를 대입하여 산출할 수 있다.
:
- ''F''는 침투량으로, 체적(용량) 또는 길이로 지정할 수 있다.
- 는 대상 토양 덩어리에 다른 토양으로부터 유입되는 양이다.
- 는 대상 토양 덩어리에서 다른 토양으로 유입되는 양이다.
- ''P''는 강수량이다.
- ''S''는 보수량이다.
- 는 웅덩이 등 토양에 스며들기 전에 제외되는 물의 양이다.
- ''R''은 토양 표면의 유수 등의 표면 유출이다.
4. 2. 1. 유역 물수지 방정식
물수지 방정식을 통해 특정 지역의 증발산량을 추정할 수 있다. 물수지 방정식은 유역 내에 저장된 물의 변화량(''ΔS'')을 강수량(''P''), 증발산(''ET''), 하천 유출량(''Q''), 지하수 함양(''D'')을 통해 계산한다. 다른 변수 값을 알 경우 증발산량은 다음과 같이 추정할 수 있다.:
증발산량은 ET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으며, 단위는 mm/일 또는 mm/d이다. 일본 논에서는 평균 6 - 8mm/일이라는 자료가 있다.
증발산량 ET는 다음과 같은 수문학적 수지식을 바탕으로 ET 이외의 변수에 수치를 대입하여 산출할 수 있다.
:
- ''F''는 침투량이다. 체적(용량) 또는 길이로 지정할 수 있다.
- 는 대상 토양 덩어리에 다른 토양으로부터 유입되는 양이다.
- 는 대상 토양 덩어리에서 다른 토양으로 유입되는 양이다.
- ''P''는 강수량이다.
- ''S''는 보수량이다.
- 는 웅덩이 등 토양에 스며들기 전에 제외되는 물의 양이다.
- ''R''은 토양 표면의 유수 등의 표면 유출이다.
4. 2. 2. 에너지 균형
에너지 균형 방정식을 이용하여 증발산에 사용되는 에너지를 계산하고, 이를 통해 증발산량을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lambda E\)는 물이 액체에서 기체로 변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이고, \(R_n\)은 순 복사, \(G\)는 토양 열 플럭스, \(H\)는 현열 플럭스이다. 섬광계나 토양 열 플럭스 플레이트 또는 복사 미터와 같은 기기를 사용하면 에너지 균형의 구성 요소를 계산할 수 있으며, 실제 증발산에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를 구할 수 있다.[19]
SEBAL 및 METRIC 알고리즘은 위성 이미지를 사용하여 지구 표면에서 에너지 균형을 계산한다. 이를 통해 실제 증발산과 잠재 증발산을 픽셀 단위로 계산할 수 있다. 증발산은 물 관리 및 관개 성능의 핵심 지표이다. SEBAL과 METRIC은 이러한 핵심 지표를 시간과 공간에서 며칠, 몇 주 또는 몇 년 동안 매핑할 수 있다.[19]
4. 2. 3. 기상 데이터
기상 데이터(풍속, 기온, 습도 등)를 이용하면 기준 증발산량을 계산할 수 있다. 기준 증발산량 계산에 가장 일반적이고 널리 사용되는 방정식은 펜만 방정식이다. 펜만-몬테이스 방정식은 유엔 식량 농업 기구[20]와 미국 토목 학회에서 권장한다.[21] 더 간단한 블레이니-크리들 방정식은 수년 동안 미국 서부에서 인기가 있었지만, 습도가 높은 습윤 지역에서는 정확도가 떨어진다. 기상 데이터로부터 증발산량을 추정하는 다른 방정식으로는 간단하지만 특정 위치에 맞게 보정해야 하는 마킨크 방정식과 하그리브스 방정식 등이 있다.5. 잠재 증발산량
잠재 증발산량(Potential Evapotranspiration)은 특정 기후 조건에서 지표면이나 식물 표면이 항상 습윤한 상태일 때, 즉 물 공급에 제약이 없을 때의 최대 증발산량을 의미한다. 건조 지역에서는 잠재 증발산량이 강수량을 크게 초과하는 반면, 우기의 습윤 지역에서는 강수량이 증발산량을 크게 초과한다.[1]
수증기압이 평형 상태일 때의 증발산량을 평형 증발산량(equilibrium evapotranspiration)이라고 한다. 이는 대기 중의 수증기가 포화 상태이거나, 지면이 완전히 건조된 경우에 적용된다.[1]
5. 1. 잠재 증발산량과 실제 증발산량
잠재 증발산은 특정 대기 조건에서 토양과 식생에서 증발하는 물의 양을 나타내는 증발산의 한 형태이다. 물 공급에 제약이 없다고 가정한다. 즉, 토양은 물로 포화되어 있고, 식생은 물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조건에서 얼마나 많은 물이 증발할 수 있는지 측정한다. 잠재 증발산은 태양 복사, 기온, 습도 및 풍속과 같은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1]잠재 증발산은 수문학, 농업 및 기후 연구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지표이다. 수문학에서는 물 가용성 평가, 관개 요구량 예측, 물 관리 전략 개발에 사용된다. 농업에서는 작물 수분 요구량 추정, 관개 일정 계획, 가뭄 피해 평가에 사용된다. 기후 연구에서는 기후 변화 영향 이해, 기후 모델 검증, 물 순환 연구에 사용된다.[1]
잠재 증발산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기상 데이터를 이용한 Penman-Monteith 방정식, Hargreaves-Samani 방정식, Thornthwaite 방법과 증발계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1]
실제 증발산은 특정 위치에서 증발하는 물의 실제 양이다. 실제 증발산은 토양의 수분 가용성 및 식생의 유형과 같은 요인에 의해 잠재 증발산과 다를 수 있다. 잠재 증발산과 실제 증발산의 차이는 토양 수분 부족을 나타내며, 이는 작물 생산과 물 관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
증발산량(ET)은 mm/일 또는 mm/d 단위를 사용한다. 일본 논에서는 평균 6-8mm/일이다.[1]
증발산량(ET)은 다음 수문학적 수지식을 바탕으로 ET 이외의 변수에 수치를 대입하여 산출할 수 있다.[1]
:
- ''F'': 침투량. 체적(용량) 또는 길이로 지정.
- : 대상 토양 덩어리에 다른 토양으로부터 유입되는 양.
- : 대상 토양 덩어리에서 다른 토양으로 유입되는 양.
- ''P'': 강수량.
- ''S'': 보수량.
- : 웅덩이 등 토양에 스며들기 전에 제외되는 물의 양.
- ''R'': 토양 표면의 유수 등의 표면 유출.
잠재 증발산(potential evapotranspiration)은 해당 지역 예상 기후 조건에서 항상 지표면이나 식물 표면이 습윤한 경우의 최대 증발산량을 의미한다. 건조 지역에서는 잠재 증발산량이 강수량을 크게 초과하는 반면, 우기의 습윤 지역에서는 강수량이 증발산량을 크게 초과한다.[1]
수증기압이 평형 상태일 때의 증발산량을 평형 증발산량(equilibrium evapotranspiration)이라 한다. 이는 대기 중 수증기가 포화 상태이거나 지면이 완전히 건조된 경우에 적용된다.[1]
6. 물의 상태 변화와 에너지
대기 중의 수증기는 온도에 따라 기체, 액체, 고체 상태로 변하며 존재한다. 대기 중의 수증기는 0~4% 범위로 존재한다. 물의 상태 변화에는 숨은열(잠열)이 방출되거나 흡수된다. 그 양은 다음과 같다.
- 얼음 ↔ 물: 80 칼로리
- 물 ↔ 수증기: 600 칼로리
- 얼음 ↔ 수증기: 680 칼로리
7. 육상 강수와 담수
육지에 내린 강수의 약 30%만이 하천을 흘러 바다로 유입하고, 지역마다 차이가 있으나 보통 연평균 강수량의 약 70%는 지면이나 식물로부터 증발산하여 대기로 되돌아간다.[1]
지구 상의 담수는 빙하, 설원, 지하수, 호소 등에 저장된다. 그 중에서 빙하에 최대량의 담수가 저장되어 있는데, 현재 지표에는 2500만km3 이상의 얼음이 존재한다. 만일 지구 상의 모든 얼음과 눈을 녹인다면 해수면이 30∼60m나 상승하게 될 것이다.
설원에도 상당히 많은 양의 물이 저장되어 있다. 한극역의 연변에서 강설량이 최대이고 한후기에는 많은 양의 눈이 쌓이지만 봄에는 급속히 녹는다. 지구의 최한역에는 소량의 눈이 내릴 뿐이지만 증발과 융해의 율이 작기 때문에 그 대부분은 저장된다.
눈은 밀도에 따라 같지 않으나 대략 눈 10∼15mm를 녹이면 물 1mm로 된다. 눈 밑의 땅이 얼어 있으므로 눈이 녹은 물의 대부분은 지표를 흘러서 하천이나 호소로 유입한다. 만일 눈 밑의 흙이 얼지 않았다면 녹은 물은 지중으로 침투하여 지하수로 된다.
강우의 경우, 그 강도가 극히 약하다면 직접 증발되어 대기 속으로 되돌아 갈 것이고 강우가 강하고 계속된다면 상당히 많은 양이 땅 속으로 침투하고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기도 한다.
8. 관련 용어
- 소비수량(consumptive use): 특정 지역에서 총 증발량과 식물 성장에 필요한 물의 양을 합한 것이다.
- 실제증발산량: 증발산계, 물수지 방법, 증발 접시와의 상관 정도를 이용해 산정한 증발산량 또는 잠재 증발산량에 계수를 곱해 산정한 증발산량이다.
9. 원격탐사 기반 증발산 모델
원격탐사 기술을 이용하여 증발산량을 추정하는 다양한 모델들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주요 모델은 다음과 같다:[22][23][24][25][26][27][28][29][30][31][32][33][34]
- ALEXI
- BAITSSS
- METRIC
- Abtew 방법
- SEBAL
- SEBS
- SSEBop
- PT-JPL
- ETMonitor
- ETLook
- ETWatch
참조
[1]
간행물
Global climate-related predictors at kilometre resolution for the past and future
https://doi.org/10.5[...]
2023-01-08
[2]
간행물
Annex II: Glossary
https://www.ipcc.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3]
웹사이트
Evapotranspiration - an overview
https://www.scienced[...]
2022-05-02
[4]
서적
Evapotranspiration: Principles and Applications for Water Management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3-09-26
[5]
논문
Potential evaporation functions compared on US watersheds: Possible implications for global-scale water balance and terrestrial ecosystem modeling
https://www.scienced[...]
1998-06-25
[6]
서적
Crop Evapotranspiration: Guidelines for Computing Crop Water Requirements
https://www.fao.org/[...]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7]
논문
Recent decline in the global land evapotranspiration trend due to limited moisture supply
https://www.nature.c[...]
2010-10-21
[8]
논문
Global Hydrological Cycles and World Water Resources
https://www.science.[...]
2006-08-25
[9]
서적
Evapotranspiration: An Overview
https://books.google[...]
BoD – Books on Demand
2013-04-30
[10]
간행물
A Brief Overview of Approaches for Measuring Evapotranspiration
http://doi.wiley.com[...]
American Society of Agronomy, Crop Science Society of America, and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Inc.
2018-06-05
[11]
간행물
Chapter 8: Water Cycle Changes
https://www.ipcc.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
[12]
논문
Diagnosing evapotranspiration responses to water deficit across biomes using deep learning
2023-08-25
[13]
논문
Streamflow Greatly Reduced by Converting Deciduous Hardwood Stands to Pine
http://coweeta.uga.e[...]
1974-09-06
[14]
논문
Terrestrial water fluxes dominated by transpiration
2013-04-03
[15]
논문
Rainfall interception and fog precipitation in a tropical montane cloud forest of Guatemala
https://www.scienced[...]
2004-03-22
[16]
웹사이트
Cloud Forest
https://cloudforestc[...]
2022-05-02
[17]
웹사이트
How plants play a vital role for rainfall within the tropical rainforest
https://www.britanni[...]
2022-05-02
[18]
웹사이트
How Forests Attract Rain: An Examination of a New Hypothesis
https://academic.oup[...]
2022-05-02
[19]
웹사이트
SEBAL_ WaterWatch
http://www.waterwatc[...]
[20]
서적
Crop Evapotranspiration: Guidelines for Computing Crop Water Requirements
http://www.fao.org/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1]
논문
Evaluation of Daily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Methods as Compared with the ASCE-EWRI Penman-Monteith Equation Using Limited Weather Data in Northeast Louisiana
[22]
논문
Mapping daily evapotranspiration at field to continental scales using geostationary and polar orbiting satellite imagery
2011-01-21
[23]
논문
Evaluation of uncalibrated energy balance model (BAITSSS) for estimating evapotranspiration in a semiarid, advective climate
2019-07-15
[24]
논문
Evapotranspiration between satellite overpasses: methodology and case study in agricultural dominant semi-arid areas
2016
[25]
논문
Satellite-Based Energy Balance for Mapping Evapotranspiration with Internalized Calibration (METRIC)—Model
2007-08-01
[26]
논문
Evapotranspiration Measurements and Modeling for Three Wetland Systems in South Florida
[27]
논문
A remote sensing surface energy balance algorithm for land (SEBAL). 1. Formulation
1998-12-01
[28]
논문
The Surface Energy Balance System (SEBS) for estimation of turbulent heat fluxes
2002
[29]
논문
Operational Evapotranspiration Mapping Using Remote Sensing and Weather Datasets: A New Parameterization for the SSEB Approach
https://digitalcommo[...]
2013-05-13
[30]
간행물
Remote sensing determination of evapotranspiration – Algorithms, strengths, weaknesses, uncertainty and best fit-for-purpose
https://doi.org/10.4[...]
FAO
2023
[31]
간행물
Global estimates of the land–atmosphere water flux based on monthly AVHRR and ISLSCP-II data, validated at 16 FLUXNET sites
[32]
간행물
Monitoring of evapotranspiration in a semi-arid inland river basin by combining microwave and optical remote sensing observations
https://doi.org/10.3[...]
[33]
간행물
Remote sensing determination of evapotranspiration – Algorithms, strengths, weaknesses, uncertainty, and best fit-for-purpose
https://doi.org/10.4[...]
FAO
2023
[34]
간행물
Regional actual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 with land and meteorological variables derived from multi-source satellite data
https://doi.org/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