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증보산림경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증보산림경제는 16권 12책, 총 16지로 구성된 농업, 임업, 의학, 가정생활 등에 관한 백과사전이다. 주택, 건축, 건강 관리, 곡식 재배, 채소 재배, 가축 양식, 응급 처치, 흉년 대비, 약 조제, 길흉 선택, 잡기 손질법 등 산림경제에 있던 항목과 더불어 식품 저장, 조리법, 가정 살림, 난임 치료 관련 내용이 추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66년 책 - 영국법 주해
    《영국법 주해》는 윌리엄 블랙스톤이 1765년에 출판한 4권으로 구성된 저서로, 인적 권리, 사물의 권리, 사적/공적 불법 행위 등 영국법의 원리를 체계적으로 설명하며, 관습법을 쉽게 풀어썼다는 평가를 받아 영국과 미국 법률가들의 필독서가 되었다.
  • 요리 책 - 음식디미방
    《음식디미방》은 조선시대 장계향이 쓴 한글 조리서로, 주식부터 술까지 다양한 음식의 조리법과 보관법을 상세히 기록하여 당시 상류층의 식생활과 조선시대 식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요리 책 - 도문대작
    도문대작은 조선 시대 음식 관련 기록으로, 각 지방의 진미, 명물, 다양한 식품을 상세히 기록하고 품평하며, 과실류, 고기류, 생선류, 채소류, 조과류 등 다양한 음식 정보를 담고 있다.
  • 조선의 책 - 동의보감
    동의보감은 허준이 편찬하여 1613년에 간행된 조선 시대의 의서로, 조선 의학과 명나라 의학을 통합하고 실용성을 중시하여 당대 의학 지식을 집대성했으며, 2009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조선의 책 - 난중일기
    《난중일기》는 이순신이 임진왜란 중 군중에서 직접 쓴 친필 일기로, 전쟁 상황과 개인적인 소회, 사회상 등이 기록된 7권의 일기이며 국보 제76호이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이다.
증보산림경제
기본 정보
증보산림경제
한글증보산림경제
한자增補山林經濟
로마자 표기Jeungbo sallim gyeongje
매큔-라이샤워 표기Chŭngbo sallim kyŏngje

2. 구성 (16권 12책)

증보산림경제》는 16권 12책, 총 16지(志)로 구성되어 있다.
산림경제에 있던 항목복거(卜居)에서는 주택의 선정과 건축에 대해 다룬다. 섭생(攝生)에서는 건강을, 치농(治農)에서는 곡식과 목화 및 기타 특용작물의 재배법을 다룬다. 치포(治圃)에서는 채소류, 화초류, 담배, 약초류 재배법을, 종수(種樹)에서는 과수와 임목의 육성을 다룬다. 양화(養花)에서는 화초, 화목, 정원수를 가꾸는 방법을 다룬다.

양잠(養蠶)에서는 누에 양식을, 목양(牧養)에서는 가축, 가금, 벌, 물고기 양식을 다룬다. 구급(救急)에서는 150가지 응급처리법을, 구황(救荒)에서는 흉년에 대비하는 비상조치법을 다룬다. 치약(治藥)에서는 의 조제, 금기하는 약 등을 논하고, 선택(選擇)에서는 길흉일과 방향의 선택을 다룬다. 잡방(雜方)에서는 그림, 글씨, 촉대, 도자기, 악기, 장검 등을 손질하는 방법을 다룬다.
증보 또는 추가된 항목식품저장법, 조리법, 가공법을 다루는 치선상(治膳上)과 치선하(治膳下)가 추가되었다. 가정상(家庭上) 및 가정하(家政下), 구사상(救嗣上) 및 구사하(救嗣下)도 증보되었다. 이와 함께 증보사시찬요(增補四時纂要), 사가점후(四家占候), 동국산수록(東國山水錄), 남사고십승보신지(南師古十勝保身地), 동국승구록(東國勝區錄)이 추가되었다.

2. 1. 산림경제에 있던 항목

복거(卜居)에서는 주택의 선정과 건축에 대해 다룬다. 섭생(攝生)에서는 건강을, 치농(治農)에서는 곡식과 목화 및 기타 특용작물의 재배법을 다룬다. 치포(治圃)에서는 채소류, 화초류, 담배, 약초류 재배법을, 종수(種樹)에서는 과수와 임목의 육성을 다룬다. 양화(養花)에서는 화초, 화목, 정원수를 가꾸는 방법을 다룬다.

양잠(養蠶)에서는 누에 양식을, 목양(牧養)에서는 가축, 가금, 벌, 물고기 양식을 다룬다. 구급(救急)에서는 150가지 응급처리법을, 구황(救荒)에서는 흉년에 대비하는 비상조치법을 다룬다. 치약(治藥)에서는 의 조제, 금기하는 약 등을 논하고, 선택(選擇)에서는 길흉일과 방향의 선택을 다룬다. 잡방(雜方)에서는 그림, 글씨, 촉대, 도자기, 악기, 장검 등을 손질하는 방법을 다룬다.

2. 2. 증보 또는 추가된 항목

식품저장법, 조리법, 가공법을 다루는 치선상(治膳上)과 치선하(治膳下)가 추가되었다. 가정상(家庭上) 및 가정하(家政下), 구사상(救嗣上) 및 구사하(救嗣下)도 증보되었다. 이와 함께 증보사시찬요(增補四時纂要), 사가점후(四家占候), 동국산수록(東國山水錄), 남사고십승보신지(南師古十勝保身地), 동국승구록(東國勝區錄)이 추가되었다.

3. 의의와 영향

3. 1. 현대적 관점

참조

[1] 웹사이트 증보산림경제 (增補山林經濟) http://100.empas.com[...] Nate / Britannica
[2] 웹사이트 증보산림경제 (增補山林經濟) http://100.empas.com[...] Nate / EncyKore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