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산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산역은 대구 도시철도 3호선에 있는 역이다. 2013년 10월 2일에 역명이 결정되었으며, 2015년 4월 23일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며, 난간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주변에는 지산네거리, 대구광역시경찰청, 대구광역시 교통연수원, 대구용지초등학교, 대구지산초등학교, 지산중학교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수성구의 전철역 - 연호역
연호역은 대구 도시철도 2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2005년 개통 이후 인근 군부대 위치로 인해 승객 수가 가장 적다. - 대구 수성구의 전철역 - 고산역 (대구)
고산역은 2005년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지하철역이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주변에 학교와 우체국 등이 위치한다. -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역 - 원대역
원대역은 대구광역시 북구 원대동에 위치한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고가역으로, 조선 시대 대로원 터를 원대라고 부르던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역 - 명덕역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3호선의 환승역인 명덕역은 1호선이 지하에, 3호선이 지상에 위치하며 2·28민주운동기념회관이 부역명으로, 1호선은 1997년 개통 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로 운행이 중단된 적 있으며 2015년 3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원대역
원대역은 대구광역시 북구 원대동에 위치한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고가역으로, 조선 시대 대로원 터를 원대라고 부르던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명덕역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3호선의 환승역인 명덕역은 1호선이 지하에, 3호선이 지상에 위치하며 2·28민주운동기념회관이 부역명으로, 1호선은 1997년 개통 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로 운행이 중단된 적 있으며 2015년 3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지산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주소 | 대구광역시 수성구 지산동 |
노선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구조 | 고가 |
승강장 | 2 |
선로 | 2 |
개업일 | 2015년 4월 23일 |
역 번호 | 339 |
운영 기관 | 대구교통공사 |
한국어 역명 | |
한글 | 지산역 |
한자 | 池 |
로마자 표기 | Jisan yeok |
노선 정보 | |
노선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이전 역 | 수성못역 |
다음 역 | 범물역 |
역간 거리 (수성못역) | 1.2km |
역간 거리 (범물역) | 0.8km |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 21.7km (칠곡경대병원 기점) |
2. 역명의 유래
이 지역은 본래 대구부 수동면의 지역이었다. 뒷산의 모양이 키처럼 생겼다고 하여 원래는 치산 또는 치산리라고 불렀는데, 1914년 죽리를 병합하여 지산동으로 명명하였다.
난간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3. 역 구조
3. 1.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고가역이다. 대합실을 통해 반대편 승강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승강장 번호는 별도로 지정되어 있지 않다.
4. 역사
- 2013년 10월 2일: '''지산역'''으로 역명이 결정되었다.
- 2015년 4월 23일: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
5. 역 주변
6. 승차량 변동
wikitext
노선 | 승차 인원 | 주석 | ||||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3호선 | 2,289 | 2,499 | - | [1] |
7. 인접한 역
(칠곡경대병원 방면)
(용지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