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곡경대병원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칠곡경대병원역은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기점이다. 칠곡경북대학교병원 인근에 위치하며, 2015년 4월 23일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며, 모든 열차가 이 역에서 차량기지로 회차한다. 역 주변에는 경상북도청 산하 사업소와 대구교통공사 칠곡차량사업소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북구의 전철역 - 대구역
대구역은 1905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여러 번의 변화를 거쳤으며, 경부선과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운행하고 2024년 대경선 1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 대구 북구의 전철역 - 칠성시장역
칠성시장역은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지하역으로, 칠성시장 내에 위치하며 역명은 인근 칠성시장에서 유래되었고, 칠성시장 활성화를 위해 칠성역에서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4개의 출구를 갖추고 있다. -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역 - 원대역
원대역은 대구광역시 북구 원대동에 위치한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고가역으로, 조선 시대 대로원 터를 원대라고 부르던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역 - 명덕역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3호선의 환승역인 명덕역은 1호선이 지하에, 3호선이 지상에 위치하며 2·28민주운동기념회관이 부역명으로, 1호선은 1997년 개통 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로 운행이 중단된 적 있으며 2015년 3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원대역
원대역은 대구광역시 북구 원대동에 위치한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고가역으로, 조선 시대 대로원 터를 원대라고 부르던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명덕역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3호선의 환승역인 명덕역은 1호선이 지하에, 3호선이 지상에 위치하며 2·28민주운동기념회관이 부역명으로, 1호선은 1997년 개통 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로 운행이 중단된 적 있으며 2015년 3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칠곡경대병원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명 | 칠곡경대병원역 |
모국어 표기 | 칠곡경대병원역 |
한자 표기 | 漆谷慶大病院驛 |
로마자 표기 | Chilgok Gyeongdae byeongwon yeok |
부역명 | 해당 없음 |
역 번호 | 312 |
노선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주소 | 대구광역시 북구 팔거천동로 386 (동호동) |
운영 정보 | |
소속 사업자 | 대구교통공사 (DTRO) |
역 종류 | 해당 없음 |
역 등급 | 해당 없음 |
역사 | |
개업일 | 2015년 4월 23일 |
폐지일 | 해당 없음 |
물리적 구조 | |
역 구조 | 고가역 |
승강장 | 2면 2선 (상대식) |
플랫폼 | 2 |
선로 수 | 2 |
인접 역 | |
이전 역 | 해당 없음 |
다음 역 | 학정역 |
역간 거리 | 0.8km |
기타 정보 | |
전보 약호 | 해당 없음 |
비고 | 해당 없음 |
![]() | |
![]() |
2. 특징
현재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기점이다. 향후 이 역에서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까지 연장하는 방안이 검토 중이다. 대구체육중고교와 경북농업기술원 사이에 역이 있으며, 칠곡경북대학교병원과는 약간 떨어져 있다. 칠곡경북대학교병원 셔틀버스가 이 역으로 운행할 예정이다. 공사 당시의 역명은 동호역이었다.
공사 당시 역명은 '''동호역'''이었으나, 인근에 있는 칠곡경북대학교병원의 이름을 따서 현재의 역명으로 정해졌다. 역에서 칠곡경북대학교병원까지의 거리는 532m이며, 4번 출구에서 도보로 약 8분 거리이다.
칠곡경대병원역행 열차가 이 역에 도착하여 승객을 모두 하차시킨 후, 차량기지 또는 회차선 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차선로를 통해 회차한다. 회차가 완료되면 즉시 용지행으로 행선지를 변경하고 반대편 승강장으로 진입한다. 이 역이나 용지역의 용지 방면 승강장에서는 회차선을 통해 모노레일 선로가 실제로 움직이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승강장
역 주변에는 경상북도청 산하 사업소들이 많이 밀집해 있으며, 경상북도청이 이전한 후에도 농업기술원 등이 아직 남아 있다.
3호선의 모든 열차는 이 역에서 차량기지 인입선을 통해 회차한다.
이 역 앞으로 다니는 배차간격이 짧은 시내버스 노선은 간선 730번이 유일했지만, 영진교통 차고지가 칠곡기지 남서쪽으로 이전한 후 칠곡3지구 회차지가 강북소방서 신축 공사로 폐쇄되면서 몇몇 노선들이 이 역으로 연장됐다.
역 앞으로는 영진교통 차고지 방향으로 횡단할 수 있는 지하 보도가 있다.
3. 역명의 유래
4. 회차 방식
5. 역 구조
서쪽 방면 ← 3호선 하차 전용 동쪽 방면 → 3호선 용지 방면 (학정) → 상대식 승강장, 오른쪽 문 열림 L1
대합실대합실 요금 게이트, 승차권 자동 발매기, 역무실 G
지상지상 출입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