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 (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도는 동경 125도 37분~126도 28분, 북위 34도 08분~34도 35분에 위치한 섬으로, 전라남도 면적의 3.06%를 차지한다. 과거에는 삼별초의 항쟁지였으며, 임진왜란 당시 명량 해전이 벌어진 곳으로 역사적 의미가 깊다. 현재는 진도대교를 통해 해남군과 연결되어 있다. 지형은 산지와 평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기, 도미, 갈치 등 수산물이 풍부하다. 진돗개와 진도아리랑으로도 유명하며, 매년 바닷길이 열리는 신비의 바닷길 축제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도군의 지리 - 관매도
관매도는 전라남도 진도군에 위치한 섬으로,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하며 수령 800년의 후박나무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 진도군의 지리 - 가사군도
가사군도는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에 속한 여러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불교적 전설 및 지형적 특징이 반영된 이름 유래를 가지고 있고,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하며, 목포항에서 여객선을 통해 접근할 수 있고, 고려 시대에는 '가서'로 불렸다. - 전라남도의 섬 - 다라도
다라도는 뛰어난 자연경관과 가마우지, 바다제비 서식지로 인해 특정도서로 지정되어 생태계 보전을 위한 다양한 행위가 제한되는 섬이다. - 전라남도의 섬 - 거금도
거금도는 전라남도 고흥군에 속하며 과거 절이도로 불렸고, 이순신이 절이도 해전에서 승리한 곳이며, 현재는 금장교회, 거금대교 전망대, 김일 기념관 등의 관광 시설이 있는 섬이다. - 섬에 관한 - 울릉도
울릉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신라에 정복된 후 공도 정책과 어업권 분쟁을 겪었으며, 현재는 어업과 관광이 주요 산업이고, 독도를 포함한 해양 생태 보호를 위해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2025년 울릉공항 개항을 목표로 건설이 진행 중이다. - 섬에 관한 - 독도
독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한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에서 영유권 분쟁이 있으며, 한국은 역사적 기록과 실효 지배를 근거로 영토임을 주장하고 일본은 1905년 시마네현 편입을 근거로 영유권을 주장한다.
진도 (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별칭 | 없음 |
위치 | 황해, 동중국해 |
군도 | 해당사항 없음 |
총 섬 수 | 해당사항 없음 |
주요 섬 | 해당사항 없음 |
면적 | 363.16 km² |
길이 | 해당사항 없음 |
폭 | 해당사항 없음 |
최고점 | 첨찰산 |
해발고도 | 485 m |
소속 국가 | 대한민국 |
도 | 전라남도 |
군 | 진도군 |
가장 큰 도시 | 진도군 |
인구 | 자료 없음 |
인구 조사 기준 | 자료 없음 |
인구 밀도 | 자료 없음 |
민족 | 한국인 |
지리 | |
![]() | |
행정 구역 | |
도 | 전라남도 |
군 | 진도군 |
기타 정보 | |
한국어 이름 | 진도 |
한글 | 진도 |
한자 | 珍島 |
로마자 표기 | Jindo |
일본어 가타카나 표기 | 치ンド |
일본어 히라가나 표기 | ちんとう |
2. 지리
동경 125도37분∼126도28분, 북위 34도08분∼34도35분에 위치해 있으며, 전라남도 면적의 3.06%를 차지한다. 명량해협(울돌목)에서 육지와 350여m 떨어져 있으나, 이곳은 물살이 세서 과거에는 옥동에서 벽파진 나루터로 왕래했다. 현재는 진도대교를 통해 해남군 우수영(문내면)과 연결되어 있다.
지질은 주로 반암이며, 섬의 역사적 중심지이자 현재 군청이 있는 성내리는 섬의 중앙부에 있다. 바닷길이 일어나는 곳은 동해안의 회동이다.
2. 1. 지형
섬의 동쪽은 첨찰산(485m)·여귀산(458.4m) 등의 산지로 되어 있으나, 서북쪽은 고도가 낮아 평지가 총면적의 32%를 차지한다. 평지는 대부분 구릉성이고 욕실천·침계천 유역이 비옥하여 농경지에 적당하다.섬의 동부와 서부에서 남부에 걸쳐 산지가 있으며, 남부의 산괴에서 흘러나온 하천에 의해 중북부가 트인 지형을 이루고 있다. 동부의 산괴에는 첨찰산 외에 덕신산(德神山|덕신산한국어, 385m), 동북부에는 기암으로 알려진 금골산(金骨山|금골산한국어, 193m)이 있다. 서부에는 지력산(智力山|지력산한국어, 325m), 서남부에는 여귀산(女貴山|여귀산한국어, 457m)이 있다.
최고봉은 섬의 동부에 있는 첨찰산(尖察山|첨찰산한국어, 485m)이다.
2. 2. 명량 해협
은 진도와 해남군 사이의 해협이다. 울돌목이라고도 불린다. 해협의 가장 좁은 지점은 약 300m이며 최대 수심은 22m이다. 봄에는 조수 간만의 차가 최대 6m에 달한다. 조류는 최대 6m/s에 달하며 아시아에서 가장 빠른 것으로 여겨진다. 해협의 소용돌이와 결합된 이러한 빠른 조류는 항해를 방해한다.[9] 이 지역은 평균 풍속 48m/s의 태풍의 영향을 자주 받는다. 해안선은 매우 불규칙하며 수많은 작은 계곡, 산 및 작은 섬을 포함한다. 해안은 가파르며 침식된 화성암과 화산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해협에는 상당한 항해가 이루어진다.[8]
2. 3. 기후
진도의 연평균 기온은 13도로 온난하다.3. 역사
진도는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995년에는 해양도(海陽島)로 불렸으며, 이후 옥주(沃州)로 이름이 바뀌어 14개 한국 주(州) 중 하나가 되었다. 1001년, 옥주는 진도(珍島)로 변경되었다. 1231년부터 1270년까지 몽골의 고려 침략 기간 동안, 이 섬은 삼별초의 난 군대의 피난처 역할을 했다.[3]
1973년 1월 25일 목포에서 진도로 향하던 연락선이 침몰하여 62명이 사망하거나 실종되었다.[20]
''자세한 내용은 진도군#약력 참조.''
3. 1. 고려 시대
고려 시대에 삼별초가 몽골에 항전하였다.[3] 1271년 몽골군은 섬을 점령하고 모든 정착지를 철거했다. 몽골 침략 이후 돌아온 주민들은 왜구의 침략에 끊임없이 위협받았고, 따라서 14세기 동안 섬은 거의 비어 있었다.[4]3. 2. 조선 시대
고려 시대에는 삼별초가 몽골에 항전하였다.[3] 몽골군은 1271년에 섬을 점령하고 모든 정착지를 철거했으며, 이후 섬은 왜구의 침략에 끊임없이 위협받아 14세기 동안 거의 비어 있었다.[4]1597년 임진왜란 때 명량 해협에서 명량 해전이 벌어졌다. 이순신 장군은 13척의 판옥선과 약 200명의 병력으로 133척의 일본 군함과 200척의 지원선으로 구성된 함대를 격파했다.[5][6][7] 이순신 장군 생전에 해협은 '울돌목' 또는 '우는 해협'으로 알려졌는데, 이는 봄에 큰 소리를 내는 해협의 강력한 조류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9]
과거에는 사상범의 유배지로 사용되었으며, 당시의 사적 등이 남아 있다.
3. 3. 현대
고려 시대에는 삼별초가 몽골에 항전하였다.[3][4] 1597년 임진왜란 기간 중 명량 해협에서 이순신 장군이 이끄는 조선 수군이 일본 수군을 대파한 명량 해전이 벌어졌다.[5][6][7] 이순신의 생애 동안, 해협은 '울돌목' 또는 '우는 해협'으로 알려졌는데, 이는 봄철 해협의 강력한 조류가 내는 큰 소리 때문으로 추정된다.[9] 과거에는 정치범의 유배지로 사용되었으며, 당시의 사적이 남아있다. 1973년 1월 25일에는 목포에서 진도로 향하던 연락선이 침몰하여 62명이 사망하거나 실종되었다.[20]4. 문화 및 관광
진돗개는 진도 고유의 중형 사냥개 품종으로, 맹렬한 충성심과 고향에 대한 애착, 사냥 능력으로 유명하다.[1] 섬에는 진돗개 연구 및 시험 센터가 있다.[13]
조수 간만의 차로 인해 진도 본섬과 남쪽의 모도 사이에는 길이 2.9km, 폭 10m~40m의 길이 약 1시간 동안 열리는 현상이 매년 4~6월경 두 번 정도 발생한다. 이 현상은 "진도 신비의 바닷길" 축제로 기념되며, 매년 약 50만 명의 관광객이 찾는다.[14][15][16] 축제에는 강강술래, 씻김굿, 들노래 등 다양한 전통 행사가 열린다.[17][18]
섬에는 소전, 남진, 소치 등 과거 화가들의 작품을 소장한 미술관이 3곳 있다.[19] 섬 남쪽 끝의 남도석성은 다도해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4. 1. 진돗개
진돗개는 이 섬의 고유종인 중형 사냥개 품종이다.[1] 한국에서 진돗개는 맹렬한 충성심, 고향에 대한 애착, 사냥 능력으로 유명하다.[11] 1936년부터 국가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12] 섬에는 진돗개 연구 및 시험 센터가 있다.[13]
4. 2. 신비의 바닷길 (진도 바닷길)
조수 간만의 차이로 인해 진도 본섬과 진도 남쪽의 작은 모도 사이에는 길이 2.9km, 폭 10~40m의 길이 약 1시간 동안 열린다. 이 현상은 매년 4월~6월경에 약 두 번 발생한다.[14] 1975년 프랑스 대사 피에르 랑디가 프랑스 신문에 이 현상을 묘사하기 전까지는 세계적으로 거의 알려지지 않았지만, "진도 신비의 바닷길"이라는 지역 축제에서 오랫동안 기념되었다.[15][16]오늘날에는 약 50만 명의 외국인 및 지역 관광객이 매년 이 행사에 참여한다. 이 행사에는 강강술래, 씻김굿, 들노래, 망가(장례 의식 노래), 진돗개 쇼, 북놀이(타악 공연) 및 불꽃놀이가 포함된 지역 축제가 함께 열린다.[17][18]
매년 4, 5월경 대조기에 한 번 나타나는 현상으로, 진도와 남동쪽 해상에 떠 있는 모도 사이를 가르는 약 2km의 바다에 두 섬을 잇는 길이 생겨 육지가 되는 신기한 현상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진도의 바다 갈라짐(별명: 신비의 바다 갈라짐)에는 국내외에서 많은 관광객이 모여, 물이 빠지기를 기다리며 많은 사람들이 모도를 향해 길을 걷기 시작한다.
4. 3. 예술
진돗개(진도 고유의 중형 사냥개 품종)는 한국에서 맹렬한 충성심, 고향에 대한 애착, 사냥 능력으로 유명하다.[1] 1936년부터 국가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12] 섬에는 진돗개 연구 및 시험 센터가 있다.[13]
조수 간만의 차이로 인해 진도 본섬과 남쪽의 작은 모도 사이에는 길이 2.9km, 폭 10m~40m의 육로가 약 1시간 동안 열린다. 이 현상은 매년 4월~6월경에 약 두 번 발생한다.[14] 오랫동안 "진도 신비의 바닷길"이라는 지역 축제로 기념되었지만, 1975년 프랑스 대사 피에르 랑디가 프랑스 신문에 이 현상을 묘사하기 전까지는 세계적으로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15][16] 오늘날에는 약 50만 명의 외국인 및 지역 관광객이 매년 이 행사에 참여한다. 이 행사에는 강강술래(한국 전통 원무), 씻김굿(죽은 자의 영혼을 위로하는 무속 의례), 들노래(전통 농부의 노래), 망가(장례 의식 노래), 진돗개 쇼, 북놀이(타악 공연) 및 불꽃놀이가 포함된 지역 축제가 함께 열린다.[17][18]
이 섬에는 과거 수세기 동안 이곳에서 활동했던 화가들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는 소전, 남진, 소치 등 3개의 미술관이 있다.[19]
4. 4. 남도석성
섬 남쪽 끝에 위치한 남도석성은 다도해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참조
[1]
웹사이트
Korea Kennel Federation
https://www.thekkf.o[...]
[2]
웹사이트
Jindo Mysterious Sea Road
http://eng.jindo.go.[...]
2012-03-03
[3]
서적
A Brief history of Korea, Vol. 1
https://books.google[...]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2005
[4]
웹사이트
History
http://eng.jindo.go.[...]
2011-07-22
[5]
서적
朝鮮の役
Kyu Sanbo Honbu
1965
[6]
서적
Nanjung Ilgi. War Diary of Admiral Yi Sun-sin
Yonsei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1977
[7]
서적
Samurai Invasion: Japan’s Korean War 1592–98
Cassell & Co, London
2002
[8]
간행물
Twinning of Jindo Grand Bridge, Republic of Korea
https://books.google[...]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
2001
[9]
웹사이트
Nokjin Area
http://eng.jindo.go.[...]
2010-02-03
[10]
웹사이트
Korean Bridge Series
http://www.pennfamil[...]
2010-09-08
[11]
웹사이트
Jindo
http://www.ukcdogs.c[...]
2011-06-03
[12]
웹사이트
Details of designation
http://eng.jindo.go.[...]
2011-09-14
[13]
웹사이트
Jindo Dog Research and Testing Center
http://eng.jindo.go.[...]
2011-07-22
[14]
웹사이트
Times sea way opens in 2009
http://eng.jindo.go.[...]
2012-03-03
[15]
웹사이트
The Moses Miracle Of Jindo Island
http://www.impactlab[...]
2020-11-27
[16]
웹사이트
Майские фестивали в Чолладо – от "чуда Моисея" до боя быков
http://vestnik.tripo[...]
2009-07-31
[17]
서적
Korea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2007
[18]
웹사이트
Jindo Mysterious Sea Road
http://eng.jindo.go.[...]
2012-03-03
[19]
웹사이트
Sojun Art Gallery/Memorial
http://eng.jindo.go.[...]
2012-03-03
[20]
뉴스
連絡船が沈没 死者不明62人
朝日新聞
1973-01-26
[21]
웹인용
120417(조간)_2012년도_지적통계연보_발간(지적기획과1)
http://www.molit.go.[...]
2012-04-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