짐 월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짐 월리스는 1948년 미시간 주에서 태어난 미국의 진보적 기독교인으로, 사회 정의와 평화를 추구하며 활동해 왔다.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교 재학 중 사회 정의를 다루는 잡지 《소저너스》를 창간했으며,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 시민 불복종 운동에 참여했다. 그는 그리스도 중심의 정치 신학을 강조하며, 가난한 사람, 사회 정의, 빈곤 문제, 사형 제도 반대, 동성 결혼 지지 등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한 기독교적 입장을 밝혀왔다. 또한, 버락 오바마, 힐러리 클린턴 등 민주당 정치인들과 교류하며 정치적 조언을 제공했고, 저술 활동을 통해 자신의 사상을 널리 알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기독교 - 칼 퍼킨스
칼 퍼킨스는 미국 테네시주 출신의 싱어송라이터이자 기타리스트로, 로큰롤의 선구자 중 한 명이며, "Blue Suede Shoes" 등의 히트곡으로 로큰롤 역사에 중요한 발자취를 남겼고, 로커빌리 장르 발전에 기여한 그의 음악적 업적은 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 등으로 인정받고 있다. - 미국의 기독교 - 바이블 벨트
바이블 벨트는 미국 남부와 중서부 일부 지역에서 복음주의 개신교가 우세하며 사회적 보수주의 성향을 띠는 지역을 지칭하는 용어로, 헨리 루이스 멩켄이 처음 사용했다. - 미국의 신학자 - 존 캅
존 캅은 일본에서 태어나 미국에서 교육받고 과정철학을 연구한 신학자이자 철학자로, 클레어몬트에서 과정연구센터를 설립하여 과정신학과 철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생태신학, 종교 다원주의, 지속 가능한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제 간 연구를 수행하고 사회 정의와 환경 보호를 위한 활동을 펼쳤다. - 미국의 신학자 - 토니 캠폴로
토니 캠폴로는 미국 복음주의 목사이자 사회학자, 작가, 활동가로서 이스턴 대학교 교수, 복음주의 교육 증진 협회 설립, 사회 정의 운동, 진보적 정치 신념 등으로 논쟁을 일으키며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미국의 활동가 - 시어도어 카진스키
미국 수학자이자 "유나바머"로 알려진 시어도어 카진스키는 뛰어난 수학적 재능으로 대학 조교수를 지냈으나 산업 사회에 대한 비판으로 18년간 우편 폭탄 테러를 감행, 체포되어 가석방 없는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복역 중 사망했다. - 미국의 활동가 - 노엄 촘스키
노엄 촘스키는 변형생성문법 이론으로 언어학에 혁명을 일으키고 인지 과학 등 여러 학문에 영향을 미쳤으며, 미국 외교 정책과 자본주의를 비판하는 저명한 지식인이자 사회운동가이다.
짐 월리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짐 월리스 |
원어명 | Jim Wallis |
본명 | 제임스 E. 월리스 주니어 |
출생일 | 1948년 6월 4일 |
출생지 | 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 |
국적 | 미국 |
직업 | 기독교 출판인, 작가, 활동가 |
배우자 | 조이 캐럴 |
종교 | 기독교 |
소속 | 소저너스 공동체 |
웹사이트 | 레드 레터 크리스천스 |
학력 | |
대학 | 미시간 주립 대학교 |
신학대학원 |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대학원 |
활동 | |
경력 | |
직책 | 조지타운 대학교 신앙과 정의 석좌 교수 |
저서 |
2. 초기 생애 및 교육
1948년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에서 필리스(옛 성씨 모렐)와 제임스 E. 월리스 시니어의 아들로 태어났다.[4] 그는 전통적인 플리머스 브레더런 가정에서 자랐다.[5] 젊은 시절 민주 사회를 위한 학생회[6]와 미국 시민권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970년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교에 입학하여 신학을 공부하던 짐 월리스는 1971년 동료 신학생들과 함께 《포스트-아메리칸》(Post-Americaneng)이라는 잡지를 창간하고 사회 정의를 추구하는 공동체를 결성했다. 이 잡지는 일리노이주 디어필드에서 시작되었다. 그의 진보적인 신앙 활동은 당시 보수적인 신학교 분위기와 마찰을 빚었고, 이로 인해 신학 공부를 마치지 못하게 되었다.
미시간 주립대학교 학생 시절, 백인 기독교인들이 인종차별 문제에 무관심한 현실을 접하면서 사회 정의와 평화운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특히 마태복음서 25장과 마틴 루터 킹 목사의 암살 사건은 그의 사회 비평 의식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월리스는 미시간 주립대학교를 졸업하고 일리노이주에 있는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교에 다녔다. 신학교 시절 그는 다른 젊은 신학생들과 함께 공동체를 설립했는데, 이는 나중에 소저너스(Sojourners)가 되었다. 이 공동체는 1971년 일리노이주 디어필드에서 Post-Americaneng이라는 이름의 잡지를 처음 발간했다.
3. 소저너스 활동
하지만 그가 신학생 시절 시작했던 잡지는 1975년 《소저너스》(Sojournerseng)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어 현재까지 발행되고 있다. 《소저너스》는 사회 정의, 빈곤 퇴치, 평화, 반인종주의 등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을 제시하며 국제적으로도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특히 한국에서는 기독교 사회 운동 잡지인 《복음과 상황》에 《소저너스》의 글들이 번역되어 연재되면서, 한국 기독교 사회 운동에도 영향을 주었다.
4. 신학 및 사상
짐 월리스의 기독교 사상은 복음을 통해 정치 및 사회 문제를 바라보면서도, 특정 정치 이념과 기독교 신앙을 동일시하지 않는 점이 특징이다. 그는 잡지 《소저너스》에 기고한 칼럼에서 "하느님은 미국 민주당의 하느님도, 미국 공화당의 하느님도 아니다"라고 주장하며 이러한 입장을 분명히 했다.[39]
월리스는 1974년에 "새로운 복음주의 의식은 성경적 기독교로의 회귀와 성경적 통찰력을 새로운 형태의 사회정치적 참여의 필요성에 적용하려는 열망으로 가장 잘 특징지어진다"고 언급하며, 신앙과 사회 참여의 연결을 강조했다.[7]
그의 정치 신학은 그리스도론적 기반 위에 세워져 있다. 1976년 출간된 그의 저서 ''성경적 백성을 위한 의제''에 대한 한 서평은 그의 신학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 그리스도의 삶과 죽음, 그리고 부활은 세상의 '권세들'에 대한 승리를 의미한다. 예수는 이 '권세들'의 절대적인 권위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를 보여줌으로써 그들의 신화를 깨뜨렸고, 그들의 통치에 도전하며 복종하지 않았다. 결국 타락한 권세들은 그리스도의 행동에 위협을 느껴 그를 죽음으로 몰아갔다. 십자가는 죽음이 승리 속에서 삼켜지는 자유를 상징하며, 그리스도의 부활은 그의 삶과 죽음의 방식이 옳았음을 증명하고 그의 승리를 확고히 한다. 이를 통해 다른 사람들도 '그리스도 안에 있음'으로써 세상의 '권세들' 속에서 자유롭고 인간답게 살아갈 수 있게 된다. 이것이 바로 교회가 선포하고 증거해야 할 메시지이다. 교회는 역사 속에서 새로운 힘으로서 '권세들'에게 그들의 지배가 깨졌음을 보여주는 표징이 되어야 한다. 월리스에게는 도덕적 독립성을 실천하는 사람들의 공동체가 존재하는 것 자체가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독립성에 대한 눈에 보이고 구체적인 증명이 없다면, 교회가 세상의 제도에 대해 가하는 모든 외적인 공격은 실패로 끝날 것이기 때문이다.'[8]
월리스는 1980년 ''순례자들''에 기고한 글에서 공동체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했다. 그는 "복음의 선포, 카리스마적 은사, 사회 행동, 그리고 예언적 증거만으로는 현재의 세상에 실질적인 위협이 되지 못한다. 특히 완전히 새로운 질서를 구현하는 공동체와 분리될 때 더욱 그러하다"고 지적했다. 그에게 있어 "믿음의 공동체의 지속적인 삶" 자체가 세상에 대한 근본적인 도전이며, 실현 가능하고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길이다. 따라서 교회는 "신앙의 주장에 실체를 부여하는 공동체를 재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9]
4. 1. 주요 관심사
짐 월리스는 사회적 정의와 평화 문제, 특히 빈곤 퇴치에 깊은 관심을 두고 활동하는 인물이다. 그의 이러한 관심은 기독교 신앙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특히 마태복음서 25장의 메시지와 마틴 루터 킹 목사의 삶과 사상에서 큰 영향을 받았다. 그는 사회의 구조적 불의에 맞서 목소리를 내며, 국가가 개인의 생명을 박탈하는 사형 제도에 대해서도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40]
4. 1. 1. 사회 정의
미시간 주립대학교 학생 시절, 백인 기독교인들이 인종차별 문제에 무관심한 현실을 목격하면서 사회 문제에 눈을 뜨게 되었다. 특히 마태복음서 25장과 마틴 루터 킹 목사의 암살 사건은 그가 사회적 정의와 평화운동에 헌신하는 급진적인 기독교인으로 변화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1970년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교에 입학하여 신학을 공부하던 중, 친구들과 함께 1971년 《Post-American|포스트-아메리칸eng》이라는 잡지를 창간하고 사회 정의를 추구하는 모임을 만들었다. 그러나 그의 진보적인 신앙 활동은 보수적인 신학교 분위기와 맞지 않았고, 결국 신학 공부를 중단하게 되었다.
하지만 월리스는 사회 정의를 향한 신념을 굽히지 않았다. 신학생 시절 창간했던 잡지는 1975년 《소저너스》(Sojourners|소저너스eng)라는 이름으로 다시 발행되었으며, 이 잡지는 한국의 《복음과 상황》에도 번역되어 연재될 정도로 한국 기독교 사회운동에도 영향을 미쳤다.
현재 월리스는 하버드 대학교 케네디 행정대학원과 신학대학원에서 학생들에게 그리스도 신앙과 정치, 사회의 관계에 대해 강의하며, 빈곤 퇴치 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4. 1. 2. 빈곤 문제
짐 월리스는 미시간 주립대학교 재학 시절 마태복음서 25장의 영향을 받아 사회 비평 의식을 키웠으며, 이는 그가 사회적 정의와 평화 운동, 특히 빈곤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4. 1. 3. 사형 제도 반대
윌리스는 국가가 사형에 처할 만한 범죄를 저지른 사람에게 사형을 집행하는 것에 반대하였다. 이러한 그의 생각은 성공회와 가톨릭의 입장과 같다.[40]
5. 정치 및 사회적 영향력
짐 월리스는 미국의 진보적 기독교계를 대표하는 인물 중 하나로, 정치 및 사회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영향력을 행사해왔다. 그는 2006년 해리 리드 상원의원의 초청으로 민주당 주간 라디오 연설을 통해 워싱턴의 도덕적 리더십과 사회 문제 해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10] 2007년에는 ''타임''지에 종교 우파 시대의 종말과 주류 기독교의 부흥 가능성에 대한 글을 기고하며 복음주의자들의 변화를 언급했다.[11]
월리스는 오바마 행정부 시절 신앙 기반 및 지역 사회 파트너십 사무소 자문위원회에서 활동했으며,[30] 오바마 대통령의 영적 조언자 역할도 수행했다.[12] 또한 전 영국 총리 고든 브라운[13], 전 호주 총리 케빈 러드와도 개인적인 친분을 쌓으며 국제적인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월리스는 러드를 "헌신적인 기독교인으로서 자신의 신앙을 공직에 적용하려고 노력하는, 세계에서 가장 희망찬 젊은 정치 지도자 중 한 명"으로 평가했다.[14]
사회 문제에 대한 그의 입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기도 했다. 동성 결혼에 대해 처음에는 결혼 성사의 전통적 정의를 지지하며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으나(2008년),[16] 2013년에는 입장을 바꿔 동성 결혼 지지를 선언했다.[17] 낙태 문제에 대해서는 낙태 감소를 강력히 지지하면서도, 이를 범죄화하는 것에는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그는 "원치 않는 임신을 예방하는 것"과 "낙태 감소"가 모두 좋은 일이며, 입양을 더 쉽게 만드는 등 여성의 선택권을 존중하는 방향을 제시했다.[19] 그는 낙태 문제보다는 빈곤과 세계적 불평등이 "우리 시대의 근본적인 도덕적 문제"라고 강조했다.[18] 월리스는 연방 정부의 낙태 자금 지원 금지 조항이 명시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오바마 행정부의 의료보험 법안 통과를 지지하는 서한에 서명했다.[22][23]
2009년 미국 의료 개혁 논쟁 당시, 월리스는 페일린이 '죽음의 위원회'와 같은 주장을 통해 공포를 조장한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페일린에게 "사라, 당신이 '악한' 행동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당신은 자신의 정치적 목적을 위해 의도적으로 왜곡하고 속이는 사람들의 최악의 전통에 따라 선동가처럼 말하고 있습니다. 당신은 사람들의 최악의 두려움을 자극한 다음, 다행히도 그들이 당신과 같은 사람을 지도자로 여기기를 바랍니다... 더 이상 당신의 '기독교 신앙'을 언급하여 하나님의 백성을 더욱 난처하게 만들지 마십시오. 이 중요한 논쟁에서 미국인들을 두려워하게 하려는 당신의 노력이 실패하기를 바랍니다. 당신의 정치적 미래도 실패하기를 바라며... 이제 우리는 당신이 진정 누구인지 알게 되었기 때문입니다."라고 말했다.[6]
월리스는 2010년 소로스로부터 소저너스 운영 자금을 지원받았다는 사실을 처음에는 부인했으나 이후 인정했으며,[24][25] 2011년에는 소로스의 열린 사회 재단으로부터 15만달러를 추가로 지원받았음을 시인했다.[26] 그는 2024년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 카멀라 해리스를 지지했다.[28]
월리스는 시민 불복종 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2009년까지 22번 체포된 경력이 있다.[30] 그는 베트남 전쟁 당시 반전 운동에 참여했으며,[31] 2011년에는 의회 예산안 문제에 항의하며 단식을 벌였다.[32] 그는 "예산은 도덕적인 문서이다"라는 말을 통해 예산 편성에 있어 빈곤층 보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32] 2013년에는 이민 개혁을 촉구하는 단식에 동참했고,[33] 2014년 퍼거슨에서는 마이클 브라운 사망 사건에 항의하는 시위에 참여했다가 다른 성직자들과 함께 체포되기도 했다.[34] 그는 월가 점령 운동에 대해서도 "점거자들의 변화에 대한 열망과 그것에 대해 무언가를 하기 위한 행동 의지는 우리 모두에게 영감을 주어야 합니다."라며 지지 의사를 밝혔다.[27]
5. 1. 비판적 관점
짐 월리스의 기독교 사상은 복음을 통해 정치 및 사회 문제를 바라보면서도, 특정 정치 이념과 기독교 신앙을 동일시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가진다. 그는 잡지 소저너스에 기고한 칼럼에서 하느님은 미국 민주당의 하느님도, 미국 공화당의 하느님도 아니라고 주장하며 이러한 입장을 분명히 했다.[39] 이는 특정 정당에 치우치지 않고 독립적인 관점을 유지하려는 그의 태도를 보여준다.
5. 1. 1. 민주당에 대한 비판
월리스는 자신이 '좌파 문화'라고 부르는 것이 민주당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그는 힐러리 클린턴과 민주당이 낙태에 대한 "중도적인" 접근 방식을 받아들이지 못한 것을 비판했다. 그는 클린턴과 도널드 트럼프 모두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결함 있는 선택"이라고 말했지만, 낙태 접근에 대한 그녀의 지지 때문에 많은 보수적인 기독교인들이 클린턴에게 투표하기를 꺼리는 이유도 이해했다. 그는 또한 클린턴이 낙태가 "드물어야 한다"고 말하기를 거부한 것을 비판했다.[29]6. 저술 활동
짐 월리스는 1971년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교 재학 시절 친구들과 함께 《포스트-아메리칸》(''Post-American'') 잡지를 창간하며 글쓰기를 통한 사회 참여를 시작했다. 이 잡지는 1975년 《소저너스》(''Sojourners'')로 제호를 변경하여 계속 발행되었으며, 한국의 《복음과 상황》에도 번역문이 연재될 만큼 진보적 기독교 사회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월리스는 사회 정의, 빈곤, 정치, 신앙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다수의 책을 저술했다. 그의 대표적인 저서로는 신앙과 사회 참여의 관계를 탐구한 《회심》(''The Call to Conversion'')과 미국 정치의 현실을 기독교 신앙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한 《하나님의 정치》(''God's Politics: Why the Right Gets It Wrong and the Left Doesn't Get It'')가 있다. 특히 《하나님의 정치》는 '왜 우파는 잘못 이해하고 좌파는 이해하지 못하는가'라는 부제를 통해 기존 정치 지형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드러낸다. 2015년에 출간된 《미국의 원죄》(''America's Original Sin'')는 미국의 제도적 인종차별 문제를 정면으로 다루며 사회적 성찰을 촉구한다.[36]
그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원제 | 번역 제목 / 설명 | 출판 연도 |
---|---|---|
The Call to Conversion | 《회심》 (정모세 옮김, IVP) | 1981 (개정 2005) |
Revive Us Again | 1983 | |
The Soul of Politics | 《정치의 영혼: "종교 우파"와 "세속 좌파"를 넘어서》 | 1995 |
Who Speaks for God? | 1997 | |
Faith Works | 《믿음이 작용하는 방식: 신앙 기반 단체들이 삶, 이웃, 그리고 미국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 2000 |
'Gods Politics'' | 《하나님의 정치: 왜 우파는 잘못 이해하고 좌파는 이해하지 못하는가》 (청림출판) | 2005 |
The Great Awakening | 《대각성: 포스트 종교 우파 미국에서 신앙과 정치를 되살리기》 | 2008 |
'Americas Original Sin'' | 《미국의 원죄》 (미국의 제도적 인종차별을 다룸) | 2015 |
월리스의 저서 중 《회심》, 《하나님의 정치》 등은 한국어로 번역되어 한국 사회와 교회에 소개되었으며, 사회 정의와 평화에 대한 논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7. 개인사
월리스는 조이 캐롤 월리스와 결혼했다.[37] 그의 아내 조이 캐롤 월리스는 영국 성공회 최초의 여성 사제 중 한 명이었으며, BBC 시트콤 《디블리의 사제》(The Vicar of Dibleyeng) 주인공의 모델이 되기도 했다.[37] 부부 사이에는 두 아들이 있으며, 짐 월리스는 아들들의 리틀리그 야구팀 코치를 맡기도 했다.[38]
참조
[1]
웹사이트
Sojourners Fellowship - LC Linked Data Service | Library of Congress
http://id.loc.gov/au[...]
2016-08-07
[2]
웹사이트
Reverend Jim Wallis Joins Georgetown as Inaugural Chair in Faith and Justice, Will Lead New Faith and Justice Center
https://mccourt.geor[...]
2021-08-16
[3]
웹사이트
Start Here
http://www.redletter[...]
Red Letter Christians
2016-08-07
[4]
웹사이트
Jim Wallis: Jim Wallis, Sr.: A Thanksgiving - God's Politics
http://www.beliefnet[...]
2016-08-07
[5]
논문
God's Democrat: the Church of Jim Wallis
http://www.weeklysta[...]
News America Incorporated
2005-04-11
[6]
웹사이트
Honey, Jim Wallis Shrunk the Church | The American Spectator
http://spectator.org[...]
2016-08-07
[7]
서적
The Eye of the Storm: Living Spiritually in the Real World
https://archive.org/[...]
HarperCollins
[8]
논문
Book review, ''Agenda for Biblical People''
http://theologytoday[...]
2010-03-23
[9]
서적
The Mustard Seed Conspiracy: You Can Make a Difference in Tomorrow's Troubled World
Word Books
[10]
웹사이트
We Need Greater Moral Leadership
http://www.beliefnet[...]
Beliefnet
2008-02-29
[11]
웹사이트
The Religious Right's Era Is Over.
https://web.archive.[...]
2007-02-16
[12]
뉴스
Without a Pastor, Obama Turns to a Circle of 5
https://www.nytimes.[...]
2009-03-15
[13]
뉴스
Meet Jim Wallis, the Chancellor's religious guru
https://www.theguard[...]
2006-02-05
[14]
서적
Rediscovering Values: On Wall Street, Main Street, and Your Street
Howard Books
[15]
웹사이트
God's Politics: An Interview With Jim Wallis
https://www.motherjo[...]
Foundation for National Progress
2006-10-10
[16]
웹사이트
Jim Wallis on Abortion, Sex, and Politics
http://www.christian[...]
2008-04-16
[17]
웹사이트
Jim Wallis Talks Faith's Role In Politics, Gay Marriage And Immigration
http://www.huffingto[...]
Huffington Post Religion
2015-06-10
[18]
간행물
Where Jim Wallis Stands
http://www.christian[...]
2016-08-07
[19]
웹사이트
Wallis, the Democrats and the Abortion Debate
http://www.newsweek.[...]
2016-11-10
[20]
웹사이트
Evangelical scholars call for broad discussion of Pope's social encyclical : News Headlines
http://www.catholicc[...]
Catholic Culture
2016-08-07
[21]
간행물
Whom Will Obama Choose for Vatican Ambassador?
https://www.usnews.c[...]
2016-08-07
[22]
웹사이트
Another Unholy Compromise on Obamacare
http://www.weeklysta[...]
2016-11-10
[23]
웹사이트
Can the Religious Left Protect Obamacare?
http://spectator.org[...]
2016-11-10
[24]
간행물
Wallis Apologizes to Olasky after Sojourners Funding Flap
http://www.christian[...]
2010-08-27
[25]
간행물
Wallis Admits to Soros Funding
http://blog.christia[...]
2010-08-20
[26]
웹사이트
There He Goes Again
https://world.wng.or[...]
2016-11-10
[27]
웹사이트
Praying for Peace and Looking for Jesus at #OccupyWallStreet
http://www.huffingto[...]
2011-10-06
[28]
뉴스
'Christians for Kamala' reaches 40,000 people
https://baptistnews.[...]
2024-08-14
[29]
웹사이트
Cultural Left's Influence on Democratic Party Is a 'Real Problem,' Jim Wallis Warns
https://www.christia[...]
2019-06-28
[30]
웹사이트
Evangelical Minister Jim Wallis Is in Demand in Obama's Washington
https://www.usnews.c[...]
U.S. News
[31]
서적
Millennial Dreams and Apocalyptic Nightmares
Oxford University Press
[32]
웹사이트
Budget foes, unsatisfied, to continue fast through Easter
https://www.christia[...]
2019-06-28
[33]
웹사이트
Fasting for Families and Immigration Reform
https://www.huffingt[...]
2019-06-28
[34]
웹사이트
Clergy Arrested While Asking Officers To 'Repent'
https://www.huffpost[...]
2019-06-28
[35]
웹사이트
Jim Wallis on Ferguson: Repentance has not happened there yet
https://religionnews[...]
2019-06-28
[36]
웹사이트
Parables For Understanding A Nation's Racial 'Sin'
https://www.npr.org/[...]
NPR
2015-10-11
[37]
서적
Beneath the Cassock: The Real-life Vicar of Dibley
HarperCollins
2002
[38]
서적
Rediscovering Values
Howard Books
2010
[39]
간행물
복음과 상황
복음과 상황
2008-08
[40]
서적
Politics according to the Bible : a comprehensive resource for understanding modern political issues in light of Scripture
https://www.worldcat[...]
Zondervan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