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소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집은 시마자키 도손의 자전 소설로, 1898년부터 1910년까지 12년간의 코이즈미 가문과 하시모토 가문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작가의 실제 가족을 모델로 한 등장인물들이 등장하며, 몰락해 가는 명문가에서 전통적인 가치관과 시대정신 간의 갈등, 가족 제도의 문제점, 개인의 정체성 혼란 등을 다룬다. 소설은 1976년 영어로 번역되었으며, 2013년에는 영화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1년 소설 - 피터와 웬디
《피터와 웬디》는 J. M. 배리가 1911년에 발표한 소설로, 영원히 자라지 않는 소년 피터 팬과 웬디 달링의 만남과 네버랜드에서의 모험을 그리며, 어린 시절의 순수함, 성장 과정의 갈등, 낭만주의적 사랑 등의 주제를 담고 있고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어 널리 알려져 있다. - 1911년 소설 - 서구인의 눈으로
조지프 콘래드의 소설 《서구인의 눈으로》는 1905년 러시아 혁명 실패 후 러시아 사회를 배경으로 혁명가 암살 사건에 휘말린 대학생 라주모프의 갈등과 배신, 파멸을 그린 작품으로, 러시아 혁명에 대한 서구인의 시각을 담고 있으며 영화, 오페라, 연극으로 각색되었다. - 연재 소설 - 피노키오의 모험
카를로 콜로디가 1883년에 발표한 이탈리아 소설 《피노키오의 모험》은 나무 인형 피노키오가 여러 모험을 통해 인간이 되어가는 과정을 그린 이야기로, 인간 본성과 사회 모순을 풍자하며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고전이다. - 연재 소설 - 만세전
《만세전》은 염상섭의 소설로, 일제강점기 도쿄 유학생인 '나'가 아내의 위독 소식을 듣고 귀국하는 과정에서 조선의 암울한 현실과 식민지 지식인의 무기력함을 묘사한다.
집 (소설)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家 (Ie) |
저자 | 시마자키 도손 |
국가 | 일본 |
언어 | 일본어 |
장르 | 자연주의 소설 자전적 소설 |
출판 정보 | |
발표 | 요미우리 신문 (1910년) 주오코론 (1911년) |
출판사 | 요미우리 신문 (1910년) 주오코론 (1911년) |
발표일 | 1910년-1911년 |
영어 번역판 출판일 | 1976년 |
미디어 유형 | 인쇄 |
번역가 | Cecilia Segawa Seigle |
2. 배경
島崎藤村일본어의 자전소설로, 1898년 여름부터 1910년 여름까지 12년 동안 벌어진 일상을 다룬다. 저자(시마자키 도손)의 26세부터 38세까지 고뇌로 점철된 청장년기의 삶을 예술화해서 기록한 것으로, 등장인물은 대부분 실재 인물을 모델로 하고 이름만 바꾸었다.[1]
기소에는 코이즈미 가문과 하시모토 가문이라는 두 명문가가 있었다. 두 가문의 가장인 코이즈미 미노루와 하시모토 타츠오는 전통적인 가치관에 얽매여 시대에 뒤떨어져 갔다. 한편, 그 뒤를 이을 하시모토 쇼타와 타츠오의 의붓동생인 코이즈미 산키치는 명문가 출신이라는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했다.[1]
작품은 스물여섯 청년 시인 고이즈미 산키치가 누이가 시집간 기소 후쿠시마의 하시모토 가에 놀러 가 여름 한철을 지내는 것으로 시작된다.
3. 줄거리
쇼타는 집안을 돕고자 주식에 손을 댔지만 실패하고, 여성 문제로 고뇌하다 나고야에서 사망했다. 산키치는 부부 관계와 형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작가로서 성공하여 집안의 기둥이 되었다.[1]
4. 등장인물
이름 설명 고이즈미 산키치 시마자키 도손을 모델로 한 인물이다. 아내는 오유키이다.[1] 하시모토 쇼타 타카세 켄키를 모델로 한 인물이다. 카오루의 장남으로, 사업에 실패하고 병으로 사망한다.[1] 고이즈미 미노루 시마자키 히데오를 모델로 한 인물이다. 고이즈미 타다히로(도손의 아버지)의 아들이다.[1] 하시모토 타츠오 타카세 카오루를 모델로 한 인물이다. 하시모토 가의 가장이며, 아내는 오타네이다.[1]
4. 1. 코이즈미 가문
4. 2. 하시모토 가문
4. 3. 그 외 인물
시마자키 도손 본인. 아내는 오유키.
모델은 타카세 켄키. 카오루의 장남. 사업에 실패하고 병으로 사망한다.
모델은 시마자키 히데오. 고이즈미 타다히로(모델은 도손의 아버지)의 아들.
모델은 타카세 카오루. 하시모토 가의 가장. 아내는 오타네.
```
변경 사항:
5. 주제
島崎藤村일본어의 자전소설인 ≪집≫은 근대화 과정에서 전통적인 가치관과 새로운 시대정신 간의 갈등, 즉 '신(新)'과 '구(舊)'의 대립을 보여준다. 몰락해 가는 가문을 지키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개인의 희생과 고통을 통해 가족 제도의 문제점을 조명한다. 또한, 새로운 가정에서는 남녀평등을 기반으로 한 부부 관계가 유지되어야 함을 제시하며,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개인이 겪는 정체성 혼란과 내면적 갈등을 묘사한다.[1]
6. 평가
도손은 이 작품을 "내 스스로도 우울한 작품"이라고 평가했지만, 메이지 시대 일본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드러낸 수작으로 평가받는다. 전통적 인습과 새로운 시대정신의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비극을 사실적으로 그려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7. 번역
1976년 세실리아 세가와 세이글이 영어로 번역한 『집』(The Family)이 출판되었다.[1]
8. 영화
2013년 아키하라 키타요시 감독에 의해 영화화되었으며, 배급은 카에루 카페가 맡았다. 하시모토 타츠오의 아내 오타네(하시모토 타네코)를 주역으로 니시무라 토모미가 주연을 맡았다.[2]
8. 1. 영화 스태프
역할 | 담당 |
---|---|
원작 | 시마자키 도손 《집》 |
감독 | 아키하라 기타다네 |
기획·제작·선전·배급 | 아키하라 마사토시 |
각본·편집 | 오치아이 유키에 |
촬영 | 하나보 |
음악 | THE 킨카쿠 |
음향 효과 | 스티브 에토 |
번화가 연주 | 키무라 하루요, 하바시리 코이치 |
삽입곡 | 쿠로사키 준코 Life goes on, 미스터 달링 (Life goes on은 엔딩 테마로도 사용) |
8. 2. 영화 관련 비판
영화에서는 쇼와 시대 초기를 배경으로 설정하였으나, 등장인물이 청바지를 입고 있거나, 잔디밭 위에 벤치가 놓여 있거나, 라미네이트된 종이가 문에 붙어 있는 등 시대적 고증이 미흡하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2]참조
[1]
서적
The Family
University of Tokyo Press
[2]
웹사이트
『家』 - カエルカフェの金をかけずに映画をつくる黄金のコンビネーション
https://www.targma.j[...]
2013-05-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