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징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징조는 고대 근동, 그리스, 로마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미래를 예측하거나 신의 뜻을 알기 위한 수단으로 여겨졌다. 메소포타미아에서는 동물의 내장, 특히 양의 간을 관찰하는 점술이 발달했고, 아시리아에서는 점성술적 징조가 왕실의 중요한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새의 비행, 천둥, 번개 등의 자연 현상을 징조로 해석했으며, 로마에서는 점쟁이가 새의 움직임이나 동물의 내장을 통해 신의 뜻을 파악했다. 또한 일식, 월식, 혜성과 같은 천문 현상도 중요한 징조로 간주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언 - 종말론
    종말론은 죽음, 심판, 인류와 우주의 궁극적 운명을 다루는 신학 및 철학 분야로, 다양한 종교와 사상에서 독특한 종말관을 제시하며, 종교적 경전 해석, 과학기술 발전, 역사의 법칙성 논의 등과 연관되어 복잡한 해석을 갖는다.
  • 예언 - 정감록
    정감록은 조선 시대 말기부터 20세기 초에 작성된 예언서로, 이씨 왕조의 멸망과 정씨 왕조의 도래를 예언하며 사회 불안 속에서 민중의 염원을 담아 다양한 신흥 종교와 민중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미신 - 문지방
    문지방은 문틀과 바닥 사이의 부재로,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최근에는 사라지는 추세이지만 한국 전통 건축에서는 방을 구분하는 중요한 요소이자 문화적 상징으로 여겨져 다양한 관용구에 사용된다.
  • 미신 - 점복
    점복은 미래 예측이나 상황 해석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는 행위로, 고대부터 세계 각지에서 종교적 의례, 정치적 결정, 개인적 삶의 방향 설정 등 여러 목적으로 활용되어 왔으며, 현대에는 종교적 의례보다는 개인적 상담이나 오락적 목적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 점복 - 타로
    타로는 15세기 이탈리아에서 유래한 78장으로 이루어진 카드 덱으로, 게임용으로 사용되다가 18세기 후반부터 점술과 오컬트 목적으로 활용되었으며, 대 아르카나 22장과 완드, 소드, 컵, 코인 네 종류의 수트로 구성된 소 아르카나 56장으로 나뉜다.
  • 점복 - 사주팔자
    사주팔자는 사람이 태어난 년, 월, 일, 시를 간지로 나타내 개인의 운명을 예측하는 명리학의 한 분야이며, 십간과 십이지를 조합한 육십갑자를 기반으로 오행, 십이운성, 십성 등을 활용하여 개인의 성격, 직업, 길흉성패 등을 판단한다.
징조

2. 고대 근동의 징조

고대 근동에서 징조는 기원전 2천년기 전반기부터 왕과 일반 백성들의 삶에 큰 영향을 미쳤다. 징조에 대한 믿음은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시작되어 보가즈쾨이, 우가릿, 메깃도, 하솔 등 근동 전역과 그 너머로 퍼져나갔다. 징조는 왕실뿐만 아니라 마리 도시와 같은 일반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3]

2. 1. 메소포타미아 점술

고대 근동에서 징조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기원전 2천년기 전반기에 확인된 메소포타미아 관행에서 비롯된다. 이는 기원전 7세기 아시리아의 왕들인 에사르하돈과 그의 아들 아슈르바니팔에 의해 활발하게 행해졌다.[3]

징조는 간 점, 주술 점복, 향 점 등 여러 방법으로 해석되었다. 희생 양의 내장의 불규칙성과 이상을 관찰하는 점복술은 많은 왕실 의식에서 사용되었다.[3]

기원전 7세기 아시리아에서는 점성술적 징조가 유행했다. 점쟁이들은 징조를 해석하고 에사르하돈(기원전 681~669년) 왕에게 어떻게 끔찍한 운명을 피할 수 있는지 조언함으로써 영향력을 얻었다. 때때로 아시리아 왕은 대리 왕을 왕위에 올린 후 한동안 숨어 있었다. 궁정에서는 대리 왕이 징조의 악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위험이 지나갔다고 믿으면 대리 왕을 처형하고 진짜 왕이 왕위에 복귀했다.[3]

징조에 대한 관찰 결과는 일련의 기록으로 남겨졌다. 그중 일부는 기원전 2천년기 전반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이것들은 나중에 조건문(만약 이러이러한 경우라면 이러이러한 결과가 된다)으로 정리되었다.[3]

이러한 징조에 대한 믿음은 나중에 점쟁이들이 기술을 배우는 데 사용된 양 간의 점토 모형이 보가즈쾨이, 우가릿, 메깃도, 하솔에서 발견됨에 따라 근동 전역과 그 너머로 퍼져 나갔다.[3]

늦어도 기원전 18세기의 마리 도시의 편지들은 이러한 점술 관행이 왕실에만 국한되지 않고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을 보여준다.[3]

2. 2. 아시리아의 점성술적 징조

고대 근동에서 이러한 관행에 대한 가장 오래된 자료는 기원전 2천년기 전반기에 확인된 메소포타미아 관행에서 비롯된다. 이는 기원전 7세기 아시리아의 왕들인 에사르하돈과 그의 아들 아슈르바니팔에 의해 활발하게 행해졌다.[3]

징조는 간 점, 주술 점복, 향 점 등 여러 방법으로 해석되었다. 희생 양의 내장의 불규칙성과 이상을 관찰하는 점복술은 많은 왕실 의식에서 사용되었다.[3]

기원전 7세기 아시리아에서는 점성술적 징조가 유행했다. 점쟁이들은 징조를 해석하고 에사르하돈(기원전 681~669년) 왕에게 어떻게 끔찍한 운명을 피할 수 있는지 조언함으로써 영향력을 얻었다. 때때로 아시리아 왕은 대리 왕을 왕위에 올린 후 한동안 숨어 있었다. 궁정에서는 대리 왕이 징조의 악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위험이 지나갔다고 믿으면 대리 왕을 처형하고 진짜 왕이 왕위에 복귀했다.[3]

징조에 대한 관찰 결과는 일련의 기록으로 남겨졌다. 그중 일부는 기원전 2천년기 전반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이것들은 나중에 조건문(만약 이러이러한 경우라면 이러이러한 결과가 된다)으로 정리되었다.[3]

이러한 징조에 대한 믿음은 나중에 점쟁이들이 기술을 배우는 데 사용된 양 간의 점토 모형이 보가즈쾨이, 우가릿, 메기도, 하솔에서 발견됨에 따라 근동 전역과 그 너머로 퍼져 나갔다.[3]

늦어도 기원전 18세기의 마리 도시의 편지들은 이러한 점술 관행이 왕실에만 국한되지 않고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을 보여준다.[3]

3. 고대 그리스의 징조

고대 그리스에서 oionos|오이오노스grc(징조)는 특히 예언에 사용되는 육식성 독수리를 의미했다. 점쟁이들은 새의 울음소리와 비행 방향, 번개천둥을 보고 듣는 방향을 통해 미래를 예측하려 했다.[5] 징조는 신의 뜻을 나타내며, 신과 인간 세계 사이의 매개체 역할을 하는 이들이 징조를 이해할 수 있었다.[5] 호메로스 시대 이후 그리스인들은 징조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였다. 왼쪽에서 독수리를 보는 것은 불길하게 여겼고, 오른쪽에서 백로나 번개를 보는 것은 긍정적인 징조로 여겼다.[5]

3. 1. 새를 통한 점술

고대 그리스에서 oionos|오이오노스grc(징조)는 특히 예언의 새로서 육식성 독수리를 의미했다. 점쟁이들은 새의 울음소리와 비행 방향을 주의 깊게 관찰하여 미래를 예측하려고 시도했다.[5] 또한 제우스가 보낸 징조로 번개나 천둥을 여기고, 그것들을 보고 듣는 방향을 관찰했다.[5] 징조는 신의 뜻과 신들의 결정, 인간의 노력과 반대되는 위치를 나타냈으며, 당시 신성한 카리스마를 지니고 신과 인간 세계 사이의 매개체, 통로가 된 민감한 수신자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의도되었다.[5] 호메로스 시대 이후로 그리스인들은 이러한 징조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였다.[5] 왼쪽에서 독수리를 보면, 이는 제우스의 또 다른 상징이기도 하지만 불길한 징조로 여겼다.[5] 오른쪽에서 백로의 울음소리나 번개는 긍정적이고 유망한 징조로 여겨졌다.[5] 그리스 영토에서는 점쟁이들이 제물이 제단에 다가오려 하지 않거나 기꺼이 다가오는지, 그리고 도살될 때 내장의 상태를 통해 길흉을 판단하기도 했다.[5]

3. 2. 제물을 통한 점술

그리스 영토에서는 점쟁이들이 제물이 제단에 다가오려 하지 않는지, 혹은 기꺼이 다가오는지, 그리고 도살될 때 내장의 상태를 통해 길흉을 판단했다.[5]

4. 고대 로마의 징조

고대 로마에서는 점쟁이들이 새의 비행을 해석하거나, 신성한 닭의 행동을 관찰하거나, 제물로 바쳐진 동물의 내장을 조사하여 신의 뜻을 파악했다. 이러한 행위는 특정한 질문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한 것이었다.[6]

유성우, 자웅동체 출산, "피비린내 나는 비"와 같이 비정상적이거나 특이한 현상은 신들이 분노했음을 의미하는 징조로 해석되었다. 이러한 징조의 의미는 로마 원로원에서 공식적으로 논의되었고, 위협적인 징조는 제물과 의식을 통해 속죄될 수 있었다.[6]

기원전 217년, 집정관 가이우스 플라미니우스는 트라시메누스 호수 전투 전에 말에서 떨어지고 닭과 관련된 징조를 무시했다.[6] 낙뢰와 천둥은 국가나 개인에게 불길한 징조가 될 수 있었다. 마르켈루스는 집정관 선출 과정에서 천둥이 치자 후보직을 포기했고, 이후 중요한 업무를 볼 때 나쁜 징조를 피하기 위해 밀폐된 가마를 타고 다녔다.[7]

많은 로마인들은 특정 단어, 구절, 사건이 예언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고 믿었다. "나는 징조를 받아들인다, 나는 그것을 고수한다"(accepit omen, arripuit omenla)와 같은 말로 징조의 이점을 확보하거나 위협을 피할 수 있었다.[5] 수에토니우스의 "카이사르 열전"에는 여러 황제의 죽음이 징조와 꿈으로 예고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칼리굴라는 주피터에게 걷어차이는 꿈을 꾸고도 무시했다가 다음 날 암살당했다.[10]

4. 1. 점쟁이와 점복술사

고대 로마의 종교에서 점쟁이는 신들의 뜻을 알아내기 위해 새의 비행을 해석했다. 예를 들어, 왼쪽에서 나타나는 조짐은 보통 좋은 징조(길조)이고 오른쪽에서 나타나는 조짐은 나쁜 징조(흉조)였지만, 오른쪽에 까마귀와 왼쪽에 까치가 나타나는 것은 길조였다. 점쟁이들은 또한 상원 회의, 새로운 법 통과 또는 전투와 같은 중요한 일을 시작하기 전에 길들여진 신성한 닭의 행동을 관찰했다. 점쟁이들에 의한 이러한 공식적인 "신의 상담"은 "조짐을 살피다"로 알려져 있다.[6] 점복술사는 신들의 뜻을 해석하기 위해 동물 제물의 간, 폐 및 내장을 조사했다.

4. 2. 국가적 징조와 개인적 징조

고대 로마 종교에서 유성우, 자웅동체 출산, "피비린내 나는 비"와 같은 비정상적이거나 특이한 현상은 신들이 분노했음을 나타내는 국가적 징조로 여겨졌다. 이러한 징조의 의미는 로마 원로원에서 공식적으로 논의되었고, 위협적인 징조는 제물과 의식을 통해 속죄될 수 있었다.[6]

많은 로마인들은 특정 단어, 구절, 사건이 개인에게 예언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고 믿었다. 이러한 "사적인" 징조는 "나는 징조를 받아들인다, 나는 그것을 고수한다"(accepit omen, arripuit omenla)와 같은 구두 공식을 사용하여 그 이점을 확보하거나 위협을 피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L. 아밀리우스 파울루스는 페르세우스 왕과의 전쟁을 앞두고 딸에게서 페르사라는 개가 죽었다는 말을 듣고, 이를 페르세우스의 패배를 암시하는 징조로 받아들였다.[5] 반면, 키케로는 이러한 개인적인 징조를 단순한 우연의 일치로 보았다.[9]

5. 점성술과 징조

1066년 핼리혜성은 바이외 태피스트리에 기록되어 있다. 는 내셔널 지오그래픽지의 1966년 기사에서 "이 사람들은 별을 경이롭게 여기고 있다"라고 번역되었다.


점성술에서 일식월식, 혜성의 출현 등은 중요한 사건의 징조로 여겨졌다.

5. 1. 베들레헴의 별

점성술 분야에서 태양과 달의 일식월식(혜성의 출현과 어느 정도 보름달도 포함)은 역사를 통틀어 많은 사회에서 중요한 출산, 사망 또는 기타 중요한 사건의 징조로 여겨져 왔다. 성경의 한 예로 동방 박사가 마태복음에 나온다. 마태복음의 탄생 이야기에서 동방 박사들은 베들레헴의 별을 보고 예수의 탄생을 예언한 것으로 묘사된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Heavens - World Treasures: Beginnings - Exhibitions - Library of Congress https://www.loc.gov/[...] loc.gov 2010-07-29
[2] 웹사이트 Omen http://wordnetweb.pr[...] 2011-03-08
[3] 서적 The Anchor Yale Bible Dictionary Yale University Press 2009
[4] 웹사이트 Omen http://www.etymonlin[...] Douglas Harper 2011-03-08
[5] 서적 Dictionary of the Ancient World (Lexiko tou Archaiou Kosmou), Vol. I Domi Publications 1984
[6] 논문 Signifying Names and Other Ominous Accidental Utterances in Classical Historiography http://www.duke.edu/[...] Greek, Roman, and Byzantine Studies 2005
[7] 서적 A Companion to Roman Religion Wiley-Blackwell 2007
[8] 서적 Cicero on Divination, Book 1 Clarendon Ancient History Series 2006
[9] 웹사이트 Cicero De Divinatione 2.84 & Pliny Historia Naturalis 15.83 https://books.google[...] Bill Thayer's site & Teubner-Mahoff edn.
[10] 웹사이트 The Lives of Twelve Caesars, Life of Caligula 57 https://penelope.uc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