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차려 자세는 군대 및 기타 의례적인 상황에서 사용되는 자세로, 국가별로 차이점을 보인다. 핀란드군은 발뒤꿈치를 붙이지 않고 주먹 하나 정도의 간격을 두며, 폴란드군과 터키군은 엄지손가락 사이 간격을 발 길이만큼 벌린다. 스위스군은 발뒤꿈치를 붙이고 발가락을 60도, 영국, 미국, 뉴질랜드, 호주군은 45도, 캐나다군은 30도로 벌린다. 스웨덴군과 자위대는 손가락을 펴지 않고 주먹을 쥔다. 각 국가의 군대 및 단체마다 차려 자세의 세부 규정이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세 - 십자가형
십자가형은 고대 로마에서 사용된 사형 방식으로, 십자가에 못 박아 공개 처형하는 잔혹한 형벌로, 주로 노예나 반란자에게 적용되었으며 질식이나 심부전 등으로 사망에 이르게 했다. - 자세 - 도게자
도게자는 일본의 전통적인 예법으로, 엎드려 이마를 땅에 대는 행위이며, 공손함, 사죄, 간청 등의 의미를 담고 있으며, 사죄의 의미로 일반화되었지만 부정적인 이미지도 존재한다. - 예절 - 건배
건배는 축하, 기념, 존경의 의미로 술잔을 함께 들고 마시는 행위이며, 독살 방지 또는 토스트 관습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고,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와 예절이 존재하며, 한국에서는 술잔을 부딪히지 않고 낮은 위치에서 술을 다 마시는 예절이 있다. - 예절 - 청첩장
결혼을 알리고 예식에 초대하는 청첩장은 인쇄술 발달과 사회 변화에 따라 형태와 디자인이 변화해 왔으며, 신랑 신부의 개성을 반영한 디자인과 온라인 주문이 보편화되고 결혼식 간소화 추세에 따라 생략에 대한 논의도 이루어지고 있다.
차려 | |
---|---|
군사적 자세 | |
![]() | |
![]() |
2. 국가별 차려 자세
- 핀란드군에서는 발뒤꿈치를 붙이지 않고, 주먹 하나 정도의 간격을 둔다.
- 폴란드군과 터키군에서는 양쪽 엄지손가락 사이의 간격을 발과 같은 길이로 벌린다.
- 스위스군에서는 양쪽 발뒤꿈치를 붙이고, 발가락을 60도의 각도로 벌린다.
- 영국군, 미국군, 뉴질랜드군, 호주군에서는 양쪽 발뒤꿈치를 붙이고, 발가락을 45도의 각도로 벌린다.
- 캐나다군에서는 양쪽 발뒤꿈치를 붙이고, 발가락을 30도의 각도로 벌린다.
- 스웨덴군·자위대에서는 손가락을 펴지 않고 주먹을 쥔다.
2. 1.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군의 차려 자세에 대한 내용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2. 2. 영국 및 영연방 국가
영국, 뉴질랜드 방위군, 호주 국방군에서는 발을 45도 각도로 벌리고 뒤꿈치를 붙인다. 캐나다군에서는 발을 30도 각도로 벌리고 뒤꿈치를 붙인다. 차렷 자세는 또한 캐나다 국가(O Canada)가 연주될 때 모든 청중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O Canada가 연주되는 동안 차렷 자세를 취하지 않는 것은 매우 무례한 행동으로 간주된다.영국군, 미국군, 뉴질랜드군, 호주군에서는 양쪽 발뒤꿈치를 붙이고, 발가락을 45도의 각도로 벌린다. 캐나다군에서는 양쪽 발뒤꿈치를 붙이고, 발가락을 30도의 각도로 벌린다.
2. 3. 러시아 및 독립국가연합
러시아와 소련의 영향권에 있는 국가들에서 차렷 명령(스미르노/Смирноru)에 따라, 병사들은 턱을 들고 정면을 주시하며 머리를 앞으로 꼿꼿이 세운다. 핀란드군에서는 발뒤꿈치를 붙이지 않고 주먹 하나 정도의 간격을 둔다. 폴란드군과 터키군에서는 양쪽 엄지손가락 사이의 간격을 발과 같은 길이로 벌린다. 스위스군에서는 양쪽 발뒤꿈치를 붙이고, 발가락을 60도의 각도로 벌린다. 영국군, 미국군, 뉴질랜드군, 호주군에서는 양쪽 발뒤꿈치를 붙이고, 발가락을 45도의 각도로 벌린다. 캐나다군에서는 양쪽 발뒤꿈치를 붙이고, 발가락을 30도의 각도로 벌린다. 스웨덴군·자위대에서는 손가락을 펴지 않고 주먹을 쥔다.2. 4. 스페인
스페인 육군에서는 정렬 후에 "차려" 명령이 내려진다. 훈련병이 명령을 내리면, 정렬 자세를 유지해야 하는 병사들은 고개를 왼쪽으로 돌리고, 지휘 명령 "¡Mar!" 또는 "¡Ar!" 후에 앞 병사와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뻗었던 팔을 내리고, 양팔을 몸 옆에 붙인다. 병사들이 제복을 입고 있을 때는 주먹을 쥐고 엄지로 검지 손가락 사이를 덮어 손가락 마디가 다리에 닿도록 한다. 병사들이 사복이나 운동복을 입고 있을 경우, 팔은 똑같이 유지하지만 손은 펴고 지휘 명령이 내려질 때 다리를 쳐야 한다.2. 5. 미국
미국 군대에서 "차려" 자세는 발을 45도 각도로 벌리고 뒤꿈치를 붙이며 손가락을 느슨하게 굽힌 주먹을 쥔다. 턱을 들지 않고 아래로 당기고 목을 곧게 세운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자세와는 다르다.2. 6. 기타 국가
핀란드군은 발가락 사이의 거리를 두 주먹 너비와 같게 하며, 발뒤꿈치를 붙이지 않고 주먹 하나 정도의 간격을 둔다. 폴란드군과 터키군은 발의 엄지발가락 사이 거리를 병사의 발 길이와 같게 한다. 스위스군은 발꿈치를 붙인 채 발을 60도 각도로 유지한다. 스웨덴 육군, 스웨덴 해군, 스웨덴 공군은 손을 꽉 쥐어 싸울 준비가 되어 있다는 신호를 보낸다. 영국군, 미국군, 뉴질랜드군, 호주군은 발뒤꿈치를 붙이고 발가락을 45도 각도로 벌린다. 캐나다군은 발뒤꿈치를 붙이고 발가락을 30도 각도로 벌린다. 스웨덴군과 자위대는 손가락을 펴지 않고 주먹을 쥔다. 스카우트는 이 자세를 "경계"라고 부른다.3.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Standing Attention
https://www.cdc.gov/[...]
2007-05-26
[2]
웹사이트
Drill
https://www.13thguar[...]
[3]
웹사이트
Position of Attention
https://www.armystud[...]
2022-06-18
[4]
서적
古屋
1990
[5]
문서
あごを上げるのが正式とするものも存在する。
[6]
웹사이트
Commissioned Corps Personnel Office :Military Customs and Courtesy
http://www.cdc.gov/o[...]
미국疾病予防管理センター
2011-01-19
[7]
웹인용
Military Customs and Courtesy
http://www.cdc.gov/o[...]
2016-06-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