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차이나 미에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차이나 미에빌은 영국의 소설가이자 정치 이론가로, "뉴 위어드" 장르를 대표하는 작가 중 한 명이다. 그는 1998년 소설 《쥐의 왕》으로 데뷔했으며, 이후 《퍼디도 스트리트 정거장》, 《흉터》, 《철의 의회》, 《언런던》, 《이중 도시》, 《크라켄》, 《대사관 도시》, 《레일시》 등 다양한 작품을 발표했다. 미에빌은 아서 C. 클라크 상을 3회 수상하며, 휴고상, 로커스상, 영국 판타지상 등 다수의 문학상을 받았다. 또한, 마르크스주의 국제법 이론을 다룬 논픽션 《평등한 권리 사이에서》를 저술하기도 했다. 미에빌은 롤플레잉 게임과 다양한 장르의 문학에서 영향을 받았으며, 톨킨의 판타지를 비판하며 자신만의 독특한 스타일을 구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반전 운동가 - 로저 워터스
    로저 워터스는 핑크 플로이드의 핵심 멤버로서 전쟁과 사회 불의를 주제로 음악을 만들고 솔로 아티스트로도 활동하며 사회·정치적 이슈에 대해 발언하는 영국의 뮤지션, 작사가, 영화 제작자, 사회 운동가이다.
  • 영국의 반전 운동가 - 에밀리 홉하우스
    에밀리 홉하우스는 영국의 사회 개혁가이자 평화 운동가로서, 보어 전쟁 당시 강제 수용소의 실태를 폭로하고 개선을 촉구하며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고, 전쟁 후에는 보어인 여성 자립 지원과 평화 운동에 헌신하여 남아프리카 공화국 명예 시민으로 선정될 만큼 존경받는 인물이다.
  • 영국의 판타지 작가 - 로알드 달
    웨일스 출신 영국 작가 로알드 달은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경험을 바탕으로 아동 문학 및 성인 단편 소설 분야에서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하여 전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었으나, 동시에 여러 논란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영국의 판타지 작가 - C. S. 루이스
    C. S. 루이스는 북아일랜드 출신 영국의 소설가이자 학자, 기독교 변증가로, 옥스퍼드 대학교와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중세 및 르네상스 문학을 연구했으며, 기독교 변증 저술과 《나니아 연대기》 등의 소설을 통해 널리 알려졌다.
  • 영국의 SF 작가 - 아서 C. 클라크
    영국의 SF 작가이자 발명가, 해저 탐험가인 아서 C. 클라크는 '스페이스 오디세이' 시리즈로 유명하며 SF계의 '빅3'로 불리고, 정지 궤도 통신 위성의 개념을 제안하여 '클라크 궤도'라는 용어를 탄생시킨 인물이다.
  • 영국의 SF 작가 - H. G. 웰스
    H. G. 웰스는 《타임머신》, 《모로 박사의 섬》, 《투명인간》, 《우주 전쟁》 등의 작품을 쓴 영국의 소설가이자 과학 소설의 선구자이며, 사회 개혁에도 관심을 가진 인물이다.
차이나 미에빌
기본 정보
미에빌, Utopiales (2010)
본명차이나 톰 미에빌
출생일1972년 9월 6일
출생지노리치, 노퍽, 잉글랜드
직업단편 소설 작가, 소설가, 수필가, 만화책 작가
활동 기간1998년–현재
장르도시 판타지
기이한 소설
스팀펑크
사조뉴 위어드
주요 작품페르디도 거리 역 (2000)
도시와 도시 (2009)
'10월: 러시아 혁명의 이야기' (2017)
웹사이트chinamieville.net
영향J.G. 발라드
마이클 드 라라베티
토머스 M. 디시
존 엘
제인 개스켈
제인 그레이
M. 존 해리슨
하워드 필립스 러브크래프트
마이클 무어콕
머빈 피크
팀 파워스
T.F. 보이스
셈베네 우스만
프랭크 H. 스피어먼
진 울프
학력
대학케임브리지 대학교 클레어 칼리지 (BA)
대학원런던 정경대학교 (PhD)
수상
주요 수상세계 환상 문학상
아서 C. 클라크상
영국 환상 문학상
로커스상
기타
로마자 표기차이나 미에빌 (China Miéville)
발음,
소속사회주의 노동자당

2. 유년기와 교육

미에빌은 런던 북서쪽 근교 와일스덴에서 태어나 유년기를 시내에서 보냈다. 부모님은 그가 태어난 직후 이혼했고, 그는 교사인 어머니, 여동생과 함께 살면서 아버지가 누군지 모른다고 말했다. 오컴 스쿨을 졸업하고, 1990년 18세에 이집트에서 1년간 영어를 가르치며 아랍 문화와 중근동 정치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1994년 캠브리지에서 사회인류학 학사학위를, 2001년 런던 정경대학에서 국제법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하버드 대학교 프랭크 녹스 장학생으로 공부하기도 했다. 박사 학위 논문은 《대등한 권리: 국제법에 관한 마르크스주의 이론》(Between Equal Rights: A Marxist Theory of International Law)으로, 2005년 브릴에서 "역사적 유물론" 시리즈로, 2006년 하이마켓 북스에서 출판되었다.[7]

2. 1. 출생과 가족

차이나 미에빌은 영국 노리치에서 태어나 런던 북서부 윌레스든에서 자랐다. 그의 부모는 그가 태어난 직후 헤어졌고, 그는 아버지를 "제대로 알지 못했다"고 말했다.[7] 그는 누이 제미마와 어머니 클라우디아와 함께 자랐다. 그의 어머니는 번역가이자 작가이자 교사였으며, 레오 클로드 복스 미에빌의 딸이었다. 레오 클로드 복스 미에빌의 아내 유라(옛 성은 해리슨)는 에드워드 리틀턴, 제4대 해더턴 남작의 손녀였다.[8][9] 그의 부모는 아름다운 이름을 찾다가 사전에서 그의 이름 '차이나'를 선택했다.[10] 어머니의 국적에 따라 미에빌은 영국 국적 외에 미국 국적도 가지고 있다. 1982년 그의 어머니는 조지 찰스 모스틴, 제6대 해로우든의 복스 남작의 외손인 폴 라이트풋과 결혼했고, 1992년 이혼했다.[8][11][12]

2. 2. 학창 시절

미에빌은 런던 북서쪽 근교 윌스덴에서 태어나 유년기를 시내에서 보냈다. 부모님은 그가 태어난 직후 이혼했고, 그는 아버지를 모른 채 교사인 어머니, 여동생과 함께 살았다. 그는 사립 오컴 스쿨을 2년간 다닌 후 졸업했다. 1990년 18세에 이집트에서 1년간 영어를 가르치며 아랍 문화와 중동 정치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7]

1994년 캠브리지에서 사회인류학 학사 학위를, 2001년 런던 정경대학에서 국제법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하버드 대학교 프랭크 녹스 장학생으로 공부하기도 했다.[7] 대학에서 마르크스주의자가 되었다.[7] 박사 학위 논문은 《대등한 권리: 국제법에 관한 마르크스주의 이론》(Between Equal Rights: A Marxist Theory of International Law)으로, 2005년 브릴에서 "역사적 유물론" 시리즈로, 2006년 하이마켓 북스에서 출판되었다.

3. 정치 활동 및 성향

미에빌은 트로츠키주의를 표방하는 영국의 사회주의노동자당(SWP) 당원으로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2001년 영국 총선에서는 영국 하원 의원에 사회주의 연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노동당 지지 기반인 리전트 파크와 켄싱턴 노스 지역에서 459표(1.2%)를 얻는 데 그쳐 낙선했다.[23][24] 그는 '레닌묘(Lenin's Tomb)'라는 블로그에 '차이나'라는 필명으로 글을 기고하기도 했다.

2013년 1월, SWP 지도부를 비판하던 미에빌은 3월에 SWP 고위 간부에 대한 강간 혐의 처리 문제로 SWP에서 탈퇴했다.[22][25][26] 이후 켄 로치, 질베르 아슈카르, 케이트 허드슨, 마이클 로젠 등과 함께 가디언에 공개 서한을 보내 좌파연합 설립을 발표했다.[6] 이들은 영국 노동당의 긴축 정책과 노동조합과의 관계 단절을 "노동 계급에 대한 최종적인 배신"이라고 비판하며, "사회주의적이고, 환경주의적이며, 페미니스트적이고 모든 형태의 차별에 반대하는 정당"을 표방하는 좌파 연합이 2013년 11월 30일 런던에서 창립 회의를 열 것이라고 밝혔다.

2014년, 미에빌은 리처드 시모어 등과 함께 국제사회주의네트워크에서 탈퇴했다. 이는 다샤 주코바가 소장한 논란이 되는 예술 작품에 대한 논쟁에서 비롯된 성적 "인종 놀이"의 허용 가능성에 대한 분쟁 때문이었다.[27][28][29]

2015년, 그는 혁명적 예술과 문학 저널인 "살베이지"(Salvage)의 창립 편집자로 발표되었으며,[30] 2014년부터 살베이지 출판사의 이사를 역임했다.[31]

2024년 4월 22일, 조이브라토 무케르지에게 보낸 편지에서 DAAD 펠로우십 후보 지명을 거부했다. 이는 무케르지가 팔레스타인 옹호 서한에 서명했다는 이유로 유대계 미국 정치 이론가 낸시 프레이저의 쾰른 대학교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교수직을 취소한 데 대한 항의였다. 미에빌은 "그 기관이 그러한 부끄러운 탄압과 반팔레스타인 인종차별 프로그램에 맞설 것이라는 믿음이 없기" 때문이라고 밝혔다.[33]

3. 1. 마르크스주의 입문

미에빌은 대학에서 역사와 정치적 사건을 설명하는 데 있어 포스트모더니즘과 페미니즘 이론의 한계를 절감하고 마르크스주의자가 되었다.

그는 주요 정치학 저술인 《대등한 권리》에서 러시아 마르크스주의자 에브게니 파쉬카니스의 법이론을 다듬어 국제법학자인 마이어스 맥두걸, 특히 마르티 코스케니미 같은 학자들의 비판적 법연구 운동으로부터 도출해낸 이론들과 접목시키면서 국제법 실제에 적용했다. 미에빌은, 추상적이며 형식적으로 동등한 주체간의 분쟁을 해결하는 법적 절차는, 사유재산에 대해 동등한 권리를 보유한 참가자들이라는 전제하에 일반적인 재화 교환을 다루는 자본주의 체제와 관련지어 설명할 수밖에 없다고 한다. 하지만, 대등한 교환 관계라는 것이 계급과 착취를 감추기 위한 것처럼, 법 앞에서의 평등은 폭력적인 권력관계를 감추기 위한 기만일 뿐이라고 그는 역설한다. 법은 구조적으로 불확정 상태이므로, 특정 사례에 적용하는 경우 해석은 언제나 권력의 문제로 환원되고, 결국 법적 분쟁에서 경쟁하는 파벌 중 힘이 더 강한 쪽이 법의 지지를 얻게 될 거라고 보았다. 그러므로 국제법은 이를 뒷받침하는 권력이 없음에도 어떤 의미에서는 진짜 법이나 마찬가지일뿐만 아니라, 국가가 영토 내에서 "사유재산권"을 행사하는 개인에 해당하는 국내법의 보다 단순한 형태로 볼 수도 있다고 한다. 이런 분석의 결과, 미에빌은 국제법이 국제사회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을 거란 생각에 회의적이다. 게다가 "법으로 인한 전쟁과 불평등을 시정하려는 노력은 유토피아적인 망상이 아닌 자기 방어일 뿐이다. 국제법을 둘러싼 세계는 제국주의적 폭력이 횡행하는 곳이 될 수밖에 없다. 우리를 둘러싼 혼돈과 폭력으로 가득 찬 세계는 바로 법치의 결과인 것이다"라고 결론짓고 있다.[68]

3. 2. 사회주의노동자당 활동

미에빌은 트로츠키주의 조직인 영국 사회주의노동자당 당원이었다. 그는 대학에서 역사와 정치적 사건을 설명하는 데 있어 포스트모더니즘과 페미니즘 이론의 한계를 절감하고 마르크스주의자가 되었다.[22] 2001년 영국 총선에서 전통적으로 노동당 지지 기반인 리전트 파크와 켄싱턴 노스 지역에서 사회주의 연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459표(1.2%)를 얻어 낙선했다.[23][24]

그의 주요 정치학 저술인 《대등한 권리》에서 미에빌은 러시아 마르크스주의자 에브게니 파쉬카니스의 법이론을 다듬어 국제법 실제에 적용했다. 그는 마이어스 맥두걸과 같은 학자들의 비판적 법연구 운동으로부터 도출해낸 이론들과 접목시켰다. 미에빌은 추상적이며 형식적으로 동등한 주체간의 분쟁을 해결하는 법적 절차는, 사유재산에 대해 동등한 권리를 보유한 참가자들이라는 전제하에 일반적인 재화 교환을 다루는 자본주의 체제와 관련지어 설명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대등한 교환 관계라는 것이 계급과 착취를 감추기 위한 것처럼, 법 앞에서의 평등은 폭력적인 권력관계를 감추기 위한 기만일 뿐이라고 역설한다. 법은 구조적으로 불확정 상태이므로, 특정 사례에 적용하는 경우 해석은 언제나 권력의 문제로 환원되고, 결국 법적 분쟁에서 경쟁하는 파벌 중 힘이 더 강한 쪽이 법의 지지를 얻게 될 거라고 보았다. 그러므로 국제법은 이를 뒷받침하는 권력이 없음에도 어떤 의미에서는 진짜 법이나 마찬가지일뿐만 아니라, 국가가 영토 내에서 "사유재산권"을 행사하는 개인에 해당하는 국내법의 보다 단순한 형태로 볼 수도 있다고 한다.

이런 분석의 결과, 미에빌은 국제법이 국제사회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을 거란 생각에 회의적이다. 게다가 "법으로 인한 전쟁과 불평등을 시정하려는 노력은 유토피아적인 망상이 아닌 자기 방어일 뿐이다. 국제법을 둘러싼 세계는 제국주의적 폭력이 횡행하는 곳이 될 수밖에 없다. 우리를 둘러싼 혼돈과 폭력으로 가득 찬 세계는 바로 법치의 결과인 것이다"라고 결론짓고 있다.

미에빌은 레닌묘(Lenin's Tomb)라는 블로그에 차이나라는 이름으로 가끔씩 글을 올리곤 한다. 그는 이전에 미국 국제사회주의조직(International Socialist Organization) 회원이자, 2013년 3월 13일까지 영국 사회주의노동자당(Socialist Workers Party, SWP) 회원이었다.[22] 2013년 1월, 그는 SWP 지도부를 비판하기 시작했고, 3월에는 SWP 고위 간부에 대한 강간 혐의 처리 문제로 사퇴했다.[22][25][26]

2013년 8월, 미에빌은 켄 로치, 질베르 아슈카르, 케이트 허드슨, 마이클 로젠, 로저 로이드-팩 등 9명의 서명자와 함께 가디언에 보낸 공개 서한에서 "좌파의 새로운 정당"인 좌파연합(Left Unity)의 설립을 발표했다. 이 서한은 노동당의 긴축 정책과 노동조합과의 관계 단절이 "대표하려 했던 노동 계급에 대한 최종적인 배신"에 해당한다고 주장하며, 좌파 연합이 2013년 11월 30일 런던에서 창립 회의를 열고 노동당의 "대안"으로서 "사회주의적이고, 환경주의적이며, 페미니스트적이고 모든 형태의 차별에 반대하는 정당"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6]

2014년, 미에빌은 리처드 시모어 등과 함께 좌파 연합의 한 파벌인 국제사회주의네트워크(International Socialist Network)를 탈퇴했다. 이는 다샤 주코바가 소장한 논란이 되는 예술 작품에 대한 논의에서 비롯된 성적 "인종 놀이"(sexual "race play")의 허용 가능성에 대한 분쟁 때문이었다.[27][28][29]

2015년, 그는 격년간 발행되는 혁명적 예술과 문학 저널인 "살베이지"(Salvage)의 창립 편집자 중 한 명으로 발표되었다.[30] 그는 2014년부터 살베이지 출판사(Salvage Publications)의 이사를 역임했다.[31]

3. 3. 사회주의노동자당 탈퇴와 이후 활동

미에빌은 영국 사회주의노동자당(SWP) 당원으로 활동하다가 2001년 총선에 영국 사회주의 연맹 후보로 출마했으나 459표(1.2%)를 얻는 데 그쳤다.[23][24] 그는 대학에서 포스트모더니즘과 페미니즘 이론의 한계를 느끼고 마르크스주의자가 되었다.

그의 주요 정치학 저술인 《대등한 권리》에서 미에빌은 러시아 마르크스주의자 에브게니 파쉬카니스의 법이론을 발전시켜 국제법에 적용했다. 그는 마이어스 맥두걸, 마르티 코스케니미 등 비판적 법연구 학자들의 이론을 접목하여, 법이 자본주의 체제와 유사하게 작동한다고 주장했다. 즉, 법은 평등한 주체 간 분쟁을 해결하는 절차이지만, 이는 사유재산에 대한 동등한 권리를 전제로 한 재화 교환과 마찬가지로 계급과 착취를 감추는 기만이라는 것이다. 그는 법이 구조적으로 불확정적이기 때문에 해석은 권력의 문제로 귀결되며, 결국 힘이 강한 쪽이 법의 지지를 얻게 된다고 보았다. 따라서 국제법은 이를 뒷받침하는 권력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어떤 의미에서는 진짜 법과 마찬가지이며, 국가는 영토 내에서 "사유재산권"을 행사하는 개인과 같다고 주장했다. 미에빌은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국제법이 국제사회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을지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68]

미에빌은 '레닌묘(Lenin's Tomb)'라는 블로그에 '차이나'라는 필명으로 글을 기고하기도 했다. 그는 미국 국제사회주의조직 회원이었으며, 2013년 3월까지 영국 사회주의노동자당(SWP) 회원이었다.[22] 2013년 1월, 그는 SWP 지도부를 비판하기 시작했고, 3월에는 SWP 고위 간부에 대한 강간 혐의 처리 문제로 당을 탈퇴했다.[22][25][26]

2013년 8월, 미에빌은 켄 로치, 질베르 아슈카르, 케이트 허드슨, 마이클 로젠, 로저 로이드-팩 등과 함께 가디언에 공개 서한을 보내 좌파연합의 설립을 발표했다. 이 서한은 영국 노동당의 긴축 정책과 노동조합과의 관계 단절을 "노동 계급에 대한 최종적인 배신"이라고 비판하며, 좌파 연합이 "사회주의적이고, 환경주의적이며, 페미니스트적이고 모든 형태의 차별에 반대하는 정당"을 표방하며 2013년 11월 30일 런던에서 창립 회의를 열 것이라고 밝혔다.[6]

2014년, 미에빌은 리처드 시모어 등과 함께 국제사회주의네트워크를 탈퇴했는데, 이는 다샤 주코바가 소장한 논란이 되는 예술 작품에 대한 논쟁에서 비롯된 성적 "인종 놀이"의 허용 가능성에 대한 분쟁 때문이었다.[27][28][29]

2015년, 그는 혁명적 예술과 문학 저널인 "살베이지"(Salvage)의 창립 편집자 중 한 명으로 발표되었다.[30] 그는 2014년부터 살베이지 출판사의 이사를 역임했다.[31]

2024년 4월 22일, 미에빌은 조이브라토 무케르지에게 보낸 편지에서 DAAD 펠로우십 후보 지명을 거부했다. 그 이유는 무케르지가 팔레스타인 옹호 서한에 서명했다는 이유로 유대계 미국 정치 이론가 낸시 프레이저의 쾰른 대학교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교수직을 취소했기 때문이며, 미에빌은 "그 기관이 그러한 부끄러운 탄압과 반팔레스타인 인종차별 프로그램에 맞설 것이라는 믿음이 없기" 때문이라고 밝혔다.[33]

3. 4. 국제법 이론

미에빌은 러시아 마르크스주의자 에브게니 파쉬카니스의 법이론을 발전시켜 국제법에 적용했다. 그는 미국의 국제법 학자 마이어스 맥두걸과 마르티 코스케니미 같은 학자들의 비판적 법연구 운동에서 도출된 이론들을 통합했다.[68]

미에빌은 법이 추상적이고 형식적으로 동등한 주체 간의 분쟁을 해결하는 절차이며, 이는 사유재산에 대해 동등한 권리를 가진 참가자들이라는 전제하에 일반적인 재화 교환을 다루는 자본주의 체제와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대등한 교환 관계가 계급과 착취를 감추는 것처럼, 법 앞의 평등은 폭력적인 권력관계를 감추기 위한 기만일 뿐이라고 역설한다.[68]

그는 법이 구조적으로 불확정적이기 때문에 특정 사례에 적용할 때 해석은 언제나 권력의 문제로 환원되며, 결국 법적 분쟁에서 경쟁하는 파벌 중 힘이 더 강한 쪽이 법의 지지를 얻게 될 것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국제법은 이를 뒷받침하는 권력이 없음에도 어떤 의미에서는 진짜 법이나 마찬가지일 뿐만 아니라, 국가가 영토 내에서 "사유재산권"을 행사하는 개인에 해당하는 국내법의 보다 단순한 형태로 볼 수도 있다고 한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미에빌은 국제법이 국제사회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을 거란 생각에 회의적이다.[68]

또한 "법으로 인한 전쟁과 불평등을 시정하려는 노력은 유토피아적인 망상이 아닌 자기 방어일 뿐이다. 국제법을 둘러싼 세계는 제국주의적 폭력이 횡행하는 곳이 될 수밖에 없다. 우리를 둘러싼 혼돈과 폭력으로 가득 찬 세계는 바로 법치의 결과인 것이다"라고 결론짓고 있다.[68]

4. 문학적 영향 및 특징

미에빌의 작품들은 모두 환상적이거나 초자연적인 세계 또는 시나리오를 묘사한다.[13] 그는 모든 장르의 소설을 쓰려고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으며,[14] 고전적인 미국 서부극 (''아이언 카운슬''), 해양 모험 (''더 스카''와 ''레일시'') 그리고 탐정 누아르 (''도시와 도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작품들을 "구축"했다.[15]

문학적 관점 못지않게 미에빌의 좌익 성향도 그의 작품 속에서(특히 세 번째 바스락 소설인 《아이언 카운슬》에서) 두드러진다. 그는 정치와 글쓰기의 관계에 관한 컨벤션에 참석해서 우파 작가들에 맞서 열변을 토하곤 했다. 하지만 그는 "난 환상소설이라는 발칙한 수단에 사악한 메시지를 몰래 끼워넣는 좌파가 아니다. (중략) 다만 평소의 정치적 시각을 가진 채 작품에 접근하다보니, 내가 창조하고 있는 세계에 일상의 관심사들이 반영되는 것뿐이다."라고 말한다.[16]

르 귄은 『언어 도시』(2011년)에 대해 “이 젊은 작가가 진가를 발휘하여 SF를 최근의 눈에 띄지 않는 곳에서 주목받는 곳으로 끌어올리는 모습을 보는 것은 기쁘다”라고 극찬했다.[66] 2005년 이후에 발표한 작품을 모은 단편집 『폭발의 세 조각』(2015년)은 SF, 판타지, 호러 등의 장르를 넘나들고 있으며, 르 귄은 “눈부신 기지, 생생한 유머, 그리고 활기찬 상상력은 놀라울 따름이다”라고 칭찬했다.[67]

2010년, 세 번째 아서 C. 클라크 상 수상 직후의 미에빌

4. 1. 다양한 장르의 영향

미에빌의 스타일은 20세기 초 잡지부터 지금의 텔레비전 드라마와 영화에 이르는 펄프 과학소설 및 다수의 환상소설과 공포소설 작가들로부터 영향을 받으면서 형성되었다. 그는 M. 존 해리슨, 마이클 더 라라베이티, 무어콕, 토머스 디시, 밸러드를 자신의 문학적 "영웅"으로 꼽았으며, 러브크래프트, 머빈 피크, 진 울프에게서도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13] 그는 이언 싱클레어가 런던을 다루듯 자신의 작품을 통해 [가공의 도시] 뉴크로부존을 다루고 싶다고 밝혔다. 미에빌은 어렸을 때 던전 앤 드래곤 등 롤플레잉 게임을 즐겨 했으며, 《퍼디도 스트리트 정거장》에서 "돈과 경험만" 추구하는 등장인물들을 비롯해 마법과 과학기술을 체계화하려는 경향도 여기서 영향을 받았다.[7] 드래곤 매거진 2007년 2월호에는 던전 앤 드래곤 게임 규칙으로 그의 작품 속 세계관을 분석하는 기사가 실리기도 했다.

미에빌은 환상소설을 톨킨의 영향에서 노골적으로 분리하려 하며, 톨킨의 영향을 받은 환상소설을 비웃거나 대놓고 거스르곤 한다. (예전에 그는 톨킨을 "환상소설의 엉덩이에 난 종기"라고 한 적이 있다.[19]) 이런 경향은 마이클 더 라라베이티의 보러블 3부작에 빚지고 있는 듯한데, 미에빌은 이 책을 자신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작품이라 밝혔고, 2002년 재출간되었을 때 서문을 쓰기도 했다. (서문은 결국 책에서 제외되었지만 라라베이티의 웹사이트에서 볼 수 있다).[21] 미에빌은 톨킨을 흉내 내는 환상소설을 비판하면서 어떤 작품을 칭찬하고 어떤 작품을 비판할지에 대한 판단 근거로 무어콕의 에세이 〈푸 서사시〉를 언급하기도 했다.

4. 2. '뉴 위어드' 장르

미에빌은 20세기 초 펄프 픽션부터 현대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나 영화까지, 현대의 많은 판타지·호러 작가들에게 영향을 받았다. M. 존 해리슨, 마이클 드 라 라베티, 마이클 무어콕, 토마스 M. 디시, 찰스 윌리엄스, 팀 파워스, J. G. 발라드를 자신의 '영웅'으로 언급하며, H. P. 러브크래프트, 마빈 픽, 진 울프의 영향도 자주 언급한다. 자신의 소설이 “뉴크로부존은 허구의 도시이지만, 이안 싱클레어가 묘사하는 런던에 대해서처럼” 읽히기를 바란다고 말한다.[13] 그의 작품은 뉴 위어드 소설로 묘사된다.

젊은 시절 『던전 앤 드래곤』 등 롤플레잉 게임을 많이 한 경험이 있으며, 이 경험과 해당 장르 지식을 바탕으로 허구의 마법 및 기술 체계화를 하는 경향이 있다. 『퍼디도 스트리트 정거장』에서 “돈이나 경험치”에만 관심 있는 캐릭터를 긍정적으로 묘사하기도 한다.[7]

미에빌의 두 작품 세계관은 『던전 앤 드래곤』 규칙 시스템으로 변환되어 ''Dragon Magazine'' 2007년 2월호에 게재되었다. 2008년 2월에는 《바스-러그》 시리즈 세계관 기반 RPG가 개발 중이라고 ''Adamant Entertainment''에서 발표했다.[64] 2010년 2월에는 『파스파인더 RPG』 서플리먼트(설정 자료집) 저자로 이름을 올렸으며, 이 RPG를 출판하는 파이조 사는 미에빌의 처녀작 수록 단편집도 출판하고 있다.[18]

미에빌은 톨킨을 우스꽝스럽고 보수적이라고 평가하며,[65] 판타지에서 톨킨의 영향을 배제하려 적극적으로 노력한다.

4. 3. 롤플레잉 게임의 영향

미에빌은 젊은 시절 던전 앤 드래곤이나 유사한 롤플레잉 게임을 많이 플레이한 경험이 있으며, 그 경험과 동 장르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허구의 마법 및 기술 체계화를 하는 경향이 있다. 퍼디도 스트리트 정거장에서 “돈이나 경험치”에만 관심 있는 캐릭터에 대한 긍정적인 묘사를 하기도 했다.[7]

실제로 미에빌의 두 작품 세계관은 던전 앤 드래곤의 룰 시스템으로 변환되어, ''Dragon Magazine''지 2007년 2월호에 게재되었다. 2008년 2월에는 《바스-러그》 시리즈의 세계관을 기반으로 한 RPG가 개발 중이라고 ''Adamant Entertainment''에서 발표했다.[64] 2010년 2월에는 패스파인더 RPG의 서플리먼트(설정 자료집) 저자로 이름을 올렸으며, 해당 RPG를 출판하는 파이조 사는 미에빌의 처녀작을 수록한 단편집도 출판하고 있다.

4. 4. 톨킨 비판

미에빌은 톨킨을 우스꽝스럽고 보수적이라고 평가하며,[65] 판타지에서 톨킨의 영향을 배제하려고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그는 환상소설을 톨킨의 영향으로부터 노골적으로 분리시키려 하며, 톨킨의 영향하에 있는 환상소설을 비웃거나 대놓고 거스르곤 한다. 그는 톨킨을 "환상소설의 엉덩이에 난 종기"[19]라고 묘사한 적도 있다. 이러한 경향은 마이클 더 라라베이티의 보러블 3부작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데, 미에빌은 이 책을 자신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작품이라 밝혔고, 2002년 재출간되었을 때 서문을 쓰기도 했다. 그의 서문은 결국 책에서 제외되었지만 라라베이티의 웹사이트에서 볼 수 있다.[21] 미에빌은 마이클 무어콕의 에세이 〈푸 서사시〉(Epic Pooh)를 톨킨 모방 판타지에 대한 비판의 근거로 언급하기도 했다. 그러나 미에빌은 2009년 블로그 게시물에서 톨킨이 판타지에 기여한 공헌을 칭찬하며 다섯 가지 긍정적인 이유를 제시하기도 했다.[20]

5. 작품 목록

차이나 미에빌의 작품 목록은 ISFDB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제목출판 연도비고
Highway Sixty One Revisited영어1986년Young Words에 수록
Looking for Jake영어1999년Neonlit Vol. 1에 수록
Different Skies영어1999년Brit-pulp!에 수록
An End to Hunger영어2000년Book of Internet Stories에 수록
Details영어2002년The Children of Cthulhu에 수록
Familiar영어2002년Conjunctions: 39, The New Wave Fabulists에 수록
Buscard's Murrain영어2003년The Thackery T. Lambshead Pocket Guide to Eccentric & Discredited Diseases에 수록
Reports of Certain Events in London영어2004년'McSweeneys Enchanted Chamber of Astonishing Stories''에 수록
찾아라, 제이크 (Looking for Jake영어)2005년
사과 소책자 (The Apology Chapbook영어)2013년
폭발의 세 조각 (Three Moments of an Explosion: Stories영어)2015년



=== 논픽션 ===


  • 《보리블스: 소개》(The Borribles: An Introduction), 2001년
  • 《광기의 산맥: 소개》(At the Mountains of Madness: An Introduction), 2005년
  • 《평등한 권리 사이에서: 국제법의 마르크스주의 이론》(Between Equal Rights: A Marxist Theory of International Law), 2005년[1]
  • 《달나라 최초의 사람들: 소개》(First Men in the Moon: An Introduction), 2005년
  • 《부유하는 유토피아: 바다의 자유와 비자유》(Floating Utopias: Freedom and Unfreedom of the Seas), 2007년
  • 《M.R. 제임스와 양자 뱀파이어: 기이함; 유령론적: 대조와/또는 그리고/또는 또는?》(M.R. James and the Quantum Vampire: Weird; Hauntological: Versus and/or and and/or or?), 2008년
  • 《뉴 위어드여 영원하라》(Long Live the New Weird), 2003년
  • 《10월: 러시아 혁명 이야기》(October: The Story of the Russian Revolution), 2017년[1]

5. 1. 장편 소설


  • 쥐의 왕(1998)
  • 퍼디도 스트리트 정거장(2000)
  • * 아서 C. 클라크상 (2001), 영국 판타지 대상 수상
  • 상흔(2002)
  • * 로커스상 장편 판타지 부문 (2003), 영국 판타지 대상 수상
  • 아이언 카운슬(2004)
  • * 아서 C. 클라크상 (2005), 로커스상 장편 판타지 부문 수상
  • 언런던(2007)
  • * 로커스상 청소년 부문 (2008) 수상
  • 이중 도시(2009)
  • * 영국SF협회상 장편 부문 (2009), 아서 C. 클라크상 (2010), 휴고상 (2010), 세계환상문학대상 (2010), 로커스상 판타지 장편 부문 (2010) 수상
  • 크라켄(Kraken) (2010)
  • * 로커스상 판타지 장편 부문 (2011) 수상
  • 언어 도시(Embassytown) (2011)
  • * 로커스상 SF장편 부문 수상
  • 레일시(Railsea) (2012)
  • * 로커스상 청소년 부문 (2013) 수상
  • 디스 센서스-테이커(This Census-Taker) (2016)
  • 뉴 파리의 마지막 날들(The Last Days of New Paris) (2016)

5. 2. 중단편 소설


  • 제이크를 찾아서 (Looking for Jake), 1999년
  • 다른 하늘 (Different Skies), 1999년
  • 기아의 종식 (An End to Hunger), 2000년
  • 세부 사항 (Details), 2002년
  • 정령 (Familiar), 2002년
  • 부스카드의 전염병 (Buscard's Murrain), 2003년
  • 런던에서 일어난 특정 사건들에 대한 보고 (Reports of Certain Events in London), 2004년 - 로커스상 수상
  • 나만의 방 (A Room of One's Own), 2008년
  • 헬블레이저 (Hellblazer), 2008년
  • 61번 고속도로 재방문(Highway Sixty One Revisited), 1986년

5. 3. 단편 소설집

제목출판 연도비고
Highway Sixty One Revisited영어1986년Young Words에 수록
Looking for Jake영어1999년Neonlit Vol. 1에 수록
Different Skies영어1999년Brit-pulp!에 수록
An End to Hunger영어2000년Book of Internet Stories에 수록
Details영어2002년The Children of Cthulhu에 수록
Familiar영어2002년Conjunctions: 39, The New Wave Fabulists에 수록
Buscard's Murrain영어2003년The Thackery T. Lambshead Pocket Guide to Eccentric & Discredited Diseases에 수록
Reports of Certain Events in London영어2004년'McSweeneys Enchanted Chamber of Astonishing Stories''에 수록
찾아라, 제이크 (Looking for Jake영어)2005년
사과 소책자 (The Apology Chapbook영어)2013년
폭발의 세 조각 (Three Moments of an Explosion: Stories영어)2015년



미에빌의 작품에 대한 포괄적인 목록은 ISFDB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4. 논픽션


  • 《보리블스: 소개》(The Borribles: An Introduction), 2001년
  • 《광기의 산맥: 소개》(At the Mountains of Madness: An Introduction), 2005년
  • 《평등한 권리 사이에서: 국제법의 마르크스주의 이론》(Between Equal Rights: A Marxist Theory of International Law), 2005년[1]
  • 《달나라 최초의 사람들: 소개》(First Men in the Moon: An Introduction), 2005년
  • 《부유하는 유토피아: 바다의 자유와 비자유》(Floating Utopias: Freedom and Unfreedom of the Seas), 2007년
  • 《M.R. 제임스와 양자 뱀파이어: 기이함; 유령론적: 대조와/또는 그리고/또는 또는?》(M.R. James and the Quantum Vampire: Weird; Hauntological: Versus and/or and and/or or?), 2008년
  • 《뉴 위어드여 영원하라》(Long Live the New Weird), 2003년
  • 《10월: 러시아 혁명 이야기》(October: The Story of the Russian Revolution), 2017년[1]

6. 수상 경력

미에빌은 공상과학 소설 분야에서 수많은 상을 수상했으며, 아서 C. 클라크 상을 가장 많이 수상한 기록(3회)을 보유하고 있다. 잃어버린 거리의 역(Perdido Street Station)은 역대 최고의 20세기 판타지 소설을 뽑는 로커스 투표에서 6위를 차지했다.[49]

책/상아서 C.
클라크
영국
판타지
영국
SF
휴고로커스네뷸러월드
판타지
참고
잃어버린 거리의 역수상수상후보후보후보후보후보[50][51]
흉터후보수상후보후보수상후보[52][53]
철의 의회수상후보수상후보[55][54]
언 룬 던수상[55]
도시와 도시수상수상수상수상수상[56][57][58]
크라켄수상[55]
대사관 마을후보후보후보수상후보[55][59]
레일시후보후보[60]


참조

[1] 간행물 Reveling in Genre: An Interview with China Miéville https://www.depauw.e[...] 2003-11-00
[2] 블로그 A Week to Remember: Happy Birthday, China Miéville! https://www.lapl.org[...] 2019-09-01
[3] 뉴스 A life in writing: China Miévill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1-05-14
[4] 웹사이트 Locus Online: 2012 All-Centuries Polls Results https://www.locusmag[...] 2024-05-09
[5] 웹사이트 Royal Society of Literature » Current RSL Fellows https://web.archive.[...] 2019-04-07
[6] 뉴스 Letters: 'Left Unity ready to offer an alternativ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3-08-12
[7] 간행물 Reveling in Genre: An Interview with China Miéville http://www.depauw.ed[...] DePauw University 2003-11-00
[8] 서적 Debrett's Peerage and Baronetage Debrett's Peerage Ltd 1995
[9] 서적 Burke's Peerage, Baronetage and Knightage Burke's Peerage Ltd 2003
[10] 간행물 Reveling in Genre: An Interview with China Miéville http://www.depauw.ed[...] DePauw University 2003-11-00
[11] 서적 Burke's Peerage, Baronetage and Knightage Burke's Peerage Ltd 2003
[12] 서적 Between Equal Rights: A Marxist Theory of International Law Haymarket Books 2006
[13] 뉴스 The City and the City by China Miéville: review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09-06-15
[14] 웹사이트 A Truly Monstrous Thing to Do: Mieville Interview http://www.long-sund[...]
[15] 웹사이트 A Category Unto Himself: The Works of China Miéville http://www.tor.com/2[...] Tor Books 2015-08-04
[16] 웹사이트 Nadeyus' Nikto Ne Sochtet Oktyabr' Nekrtichnoy Agiografiey https://gorky.media/[...] 2017-10-25
[17] 웹사이트 RPG Player's Handbook https://web.archive.[...]
[18] 웹사이트 Pathfinder Chronicles: Guide to the River Kingdoms (PFRPG) Print Edition http://paizo.com/sto[...] Paizo Publishing
[19] 웹사이트 Scar by China Mieville http://www.panmacmil[...]
[20] 웹사이트 Amazon Book Review https://www.amazonbo[...] 2019-08-28
[21] 웹사이트 'The Borribles': An Introduction by China Miéville https://web.archive.[...]
[22] 블로그 Resigning from the Socialist Workers Party http://international[...] International Socialism 2013-03-11
[23] 뉴스 BBC NEWS – VOTE 2001 – RESULTS & CONSTITUENCIES – Regent's Park & Kensington North http://news.bbc.co.u[...] BBC News
[24] 간행물 Ansible 168 http://news.ansible.[...] 2001-07-00
[25] 뉴스 What does the SWP's way of dealing with sex assault allegations tell us about the left? http://www.newstates[...] New Statesman 2013-01-11
[26] 블로그 Britain: Reflections on the crisis in the Socialist Workers Party http://links.org.au/[...] LINKS –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ist Renewal 2013-01-13
[27] 뉴스 No sex please comrades, we're British https://www.thetimes[...] The Times 2014-05-17
[28] 뉴스 Comrades at war: the decline and fall of the Socialist Workers Party https://www.newstate[...] New Statesman 2014-05-20
[29] 뉴스 Russian socialite sparks outrage with 'racist chair' photograph http://www.theguardi[...] the Guardian 2014-01-21
[30] 웹사이트 Contributors http://salvage.zone/[...]
[31] 웹사이트 China MIEVILLE personal appointments - GOV.UK https://find-and-upd[...] 2014-12-09
[32] 뉴스 October by China Miéville review – a brilliant retelling of the Russian Revolution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7-05-17
[33] 웹사이트 Letter to the DAAD https://salvage.zone[...] 2024-04-23
[34] 웹사이트 China Mieville Interview https://www.indiebou[...]
[35] 웹사이트 Notting Hill https://web.archive.[...]
[36] 웹사이트 Out of this World: China Miéville: what if? http://britishlibrar[...] 2022-02-06
[37] 웹사이트 Unpleasant Allegations, and a Response http://blogs.publish[...] 2022-01-23
[38] 웹사이트 A Note of Warning https://tentacular.t[...] 2022-01-24
[39] 뉴스 China Miéville Writes a Secret Novel With the Internet’s Boyfriend (It’s Keanu Reeves) https://www.wired.co[...] 2024-06-06
[40] 뉴스 Keanu Reeves and China Miéville to release collaborative novel The Book of Elsewhere https://www.theguard[...] 2024-01-10
[41] 웹사이트 London's Overthrow http://www.londonsov[...] 2011-11-12
[42] 웹사이트 Paramount Vantage Gets 'Details' http://www.indiewire[...]
[43] 웹사이트 The City & the City at Lifeline Theatre {{!}} Theater review https://www.timeout.[...] 2019-08-08
[44] 웹사이트 The City & the City: A Custom More Honored in Breach http://gapersblock.c[...] 2024-09-25
[45] 웹사이트 Lifeline Theatre Continues its 30th Season With THE CITY & THE CITY https://www.broadway[...] 2019-08-08
[46] 뉴스 The City & The City http://www.mariamgha[...] 2018-07-25
[47] 웹사이트 Estate - based on the story by China Miéville https://www.estatemo[...] 2020-08-23
[48] 웹사이트 Estate review: Urban folklore https://www.scifinow[...] 2020-09-11
[49] 웹사이트 Locus Online, 20th Century Fantasy Novel http://www.sfadb.com[...] Locus Science Fiction Foundation 2021-12-27
[50] 웹사이트 Science Fiction & Fantasy Books by Award: 2001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worldswit[...] 2009-03-28
[51] 웹사이트 Awards won by ''Perdido Street Station'' http://www.worldswit[...] 2009-03-28
[52] 웹사이트 Science Fiction & Fantasy Books by Award: 2003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worldswit[...] 2009-05-03
[53] 웹사이트 Awards won by ''Scar'' http://www.worldswit[...] 2009-05-03
[54] 웹사이트 Science Fiction & Fantasy Books by Award: 2005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worldswit[...] 2009-03-28
[55] 웹사이트 China Miéville Awards http://www.sfadb.com[...] Locus Science Fiction Foundation
[56] 뉴스 China Miéville and Paolo Bacigalupi tie for Hugo award https://www.theguard[...] 2010-09-09
[57] 웹사이트 2010 Hugo Awards Winners http://www.locusmag.[...] 2012-06-28
[58] 웹사이트 World Fantasy Awards Winners http://www.locusmag.[...] 2012-06-28
[59] 웹사이트 2012 Hugo Awards http://www.thehugoaw[...] Hugo Awards 2012-04-09
[60] 웹사이트 Current Fellow https://www.gf.org/f[...] John Simon Guggenheim Memorial Foundation
[61] 간행물 SFマガジン 早川書房 2009-06-30
[62] 웹사이트 Letters: "Left Unity ready to offer an alternative" http://www.theguardi[...] 2013-08-12
[63] 웹사이트 Joan Gordon - Reveling in Genre: An Interview with China Miéville http://www.depauw.ed[...]
[64] 웹사이트 Adamant Entertainment & China Miéville Present: TALES OF NEW CROBUZON http://www.gamingrep[...]
[65] 웹사이트 Mieville on Tolkien http://www.boingboin[...]
[66] 문서 [[言語都市]]解説 早川書房
[67] 문서 [[爆発の三つの欠片]]訳者あとがき 早川書房
[68] 서적 Between Equal Rights Haymarket Books
[69] 웹사이트 Resigning from the Socialist Workers Party http://international[...] International Socialism 2013-03-11
[70] 뉴스 BBC NEWS – VOTE 2001 – RESULTS & CONSTITUENCIES – Regent's Park & Kensington North http://news.bbc.co.u[...]
[71] 뉴스 Ansible 168 http://news.ansible.[...] 2001-07-00 #날짜가 일만 명시되어 있어서 00으로 처리했습니다.
[72] 뉴스 What does the SWP's way of dealing with sex assault allegations tell us about the left? http://www.newstates[...] 2013-01-11
[73] 블로그 Britain: Reflections on the crisis in the Socialist Workers Party http://links.org.au/[...] 2013-0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