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창려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창려군은 중국의 옛 행정 구역으로, 후한 시대 요동속국에서 기원하여 위진 시대, 남북조 시대를 거쳐 수나라 때 폐지되었다. 요동속국은 유주에 속했으며, 창려, 빈도 등 6개 현을 관할했다. 244년 요동속국이 창려군으로 개명되었고, 이후 평주, 영주, 남영주, 역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서진 시대에는 창려와 빈도 두 현을, 북위 시대에는 용성, 광흥, 정황 세 현을 관할했다. 모용선비의 초기 근거지 중 하나였으며, 전연 시기에는 수도가 위치하기도 했다. 수나라 때는 요서군에 통폐합되었다.

2. 역사

후한의 '''요동속국'''을 전신으로 한다. 요동속국은 유주에 속했으며, 후한 말에 한때 폐지되었다가 244년 (삼국 정시 5년)에 부활했다.[2] 얼마 지나지 않아 창려군으로 개명되었고, 군 치소는 창려현에 설치되었다.

276년 (서진의 함녕 2년), 평주로 전속되었다. 서진의 창려군은 창려, 빈도 2개 현을 관할했다.[3]

244년부터 342년까지는 모용선비의 초기 근거지 중 하나였으며, 모용외전욱의 고도라고 선언하고 수도를 두었던 극성이 이 지역에 있었다.

444년 (북위 태평진군 5년), 영주로 전속되었고, 533년 (영희 2년) 남영주로 전속되었다. 581년 (수의 개황 원년), 역주로 전속되었다가 583년 (개황 3년) 수가 군제를 폐지하자 폐지되어 역주에 편입되었다.[5]

2. 1. 전한 ~ 후한

후한 '''요동속국'''을 전신으로 한다. 요동속국은 유주에 속했으며, 창려, 빈도, 투허, 부리, 험독, 방의 6개 현을 관할했다.[1] 요동속국은 후한 말에 한때 폐지되었다.

244년 (정시 5년), 요동속국이 부활했고[2] 얼마 지나지 않아 창려군으로 개명되었다. 창려군은 유주에 속했으며, 군 치소는 창려현에 설치되었다.

2. 2. 위진 시대

244년(위 소제 정시 5년), 요동속국도위의 관할지에서 군으로 분리되었다. 서진 건국 이후 276년(사마염 함녕 2년) 요동군, 낙랑군, 대방군, 현도군과 함께 평주로 분리되었다. 조위 말엽 때부터 상기한 선비족의 침공으로 크게 황폐화되었기 때문에 요하 서쪽 대릉하 유역의 광활한 땅을 관할하고 있었으나 2현 900호만을 거느리는 작은 군이 되었다.[6]

창려군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창려현昌黎縣진저우 시 이 현
빈도현賓徒縣진저우 시 서북
극성棘城진저우 시 이 현 서쪽솔의왕으로 책봉된 막호발이 모용선비의 중심지로 삼았다.



창려군이 분리되기 이전, 사마의를 따라 공손연 토벌에 가담했던 막호발이 솔의왕(率義王)으로 책봉된 이래 본군 내에 있던 극성에 정착하면서 모용선비의 초기 근거지 중 하나가 되었다. 281년(사마염 태강 2년), 서진을 배신한 모용섭귀가 본군을 공격했으나 1년 뒤 안북장군 엄순의 반격으로 패배했고 요동군 북쪽으로 이주하면서 모용선비는 창려군을 떠났다. 하지만 294년(사마충 원강 4년), 모용외전욱의 고도라고 선언하고 극성에 수도를 두고 체제를 정비하면서 재건되었고[7] 342년(동진 함강 8년), 전연을 건국한 모용황이 지금의 차오양 시 일대에 있던 용성으로 수도를 옮기기 전까지 모용선비의 수도가 되었다.[8]

2. 3. 남북조 시대 ~ 수나라

447년(북위 태무제 태평진군 8년), 기양군과 함께 영주의 속현이 되었다. 201호 918명을 거느렸다.[9] 수나라 때는 요서군에 통폐합되었다.

창려군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용성현龍城縣차오양 시전연의 중기 수도였으며, 447년 극성현과 창려현을 통폐합했다. 요임금을 모신 사당, 유돈성(榆頓城), 낭수(狼水)가 있었다.
광흥현廣興縣진저우 시447년 도하현, 영락현, 연창현을 통폐합했다. 계명산(鷄鳴山), 석성(石城), 대유성(大柳城)이 있었다.
정황현定荒縣미상녹두산(鹿頭山)과 송산(松山)이 있었다.



444년 (북위 태평진군 5년), 창려군은 영주로 전속되었다. 533년 (영희 2년), 남영주로 전속되었다. 북위의 창려군은 용성, 광흥, 정황의 3개 현을 관할했다.[4]

581년 (수의 개황 원년), 창려군은 역주로 전속되었다. 583년 (개황 3년), 수가 군제를 폐지하자 창려군은 폐지되어 역주에 편입되었다.[5]

3. 행정 구역

후한의 '''요동속국'''을 전신으로 한다. 요동속국은 유주에 속했으며, 창려, 빈도, 투허, 부리, 험독, 방의 6개 현을 관할했다.[1] 요동속국은 후한 말에 한때 폐지되었다.

244년 (삼국 정시 5년), 요동속국이 부활했다.[2] 얼마 지나지 않아 요동속국은 창려군으로 개명되었다. 창려군은 유주에 속했으며, 군 치소는 창려현에 설치되었다. 276년 (서진 함녕 2년), 창려군은 평주로 전속되었다.[3]

444년 (북위 태평진군 5년), 창려군은 영주로 전속되었고, 533년 (영희 2년) 남영주로 전속되었다.[4]

581년 (수나라 개황 원년), 창려군은 역주로 전속되었다. 583년 (개황 3년), 수가 군제를 폐지하자 창려군은 폐지되어 역주에 편입되었다.[5]

3. 1. 위진 시대

244년(위 소제 정시 5년), 요동속국도위의 관할지에서 군으로 분리되었다. 서진 건국 이후 276년(사마염 함녕 2년) 요동군, 낙랑군, 대방군, 현도군과 함께 평주로 분리되었다. 조위 말엽 때부터 상기한 선비족의 침공으로 크게 황폐화되었기 때문에 요하 서쪽 대릉하 유역의 광활한 땅을 관할하고 있었으나 2현 900호만을 거느리는 작은 군이 되었다.[6]

창려군 소속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창려현昌黎縣진저우 시 이 현
빈도현賓徒縣진저우 시 서북
극성棘城진저우 시 이 현솔의왕으로 책봉된 막호발이 모용선비의 중심지로 삼았다.



후한의 '''요동속국'''을 전신으로 한다. 요동속국은 유주에 속했으며, 창려, 빈도, 투허, 부리, 험독, 방의 6개 현을 관할했다.[1] 요동속국은 후한 말에 한때 폐지되었다.

244년 (나라 정시 5년), 요동속국이 부활했다.[2] 얼마 지나지 않아 요동속국은 창려군으로 개명되었다. 창려군은 유주에 속했으며, 군 치소는 창려현에 설치되었다.

276년 (서진 함녕 2년), 창려군은 평주로 전속되었다. 서진의 창려군은 창려, 빈도의 2개 현을 관할했다.[3]

3. 2. 북위 시대

447년(북위 태무제 태평진군 8년), 기양군과 함께 영주의 속현이 되었다. 당시 201호 918명을 거느렸다.[9] 수나라 때는 요서군에 통폐합되었다.

북위 시대 창려군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용성현龍城縣차오양 시전연의 중기 수도였으며, 447년 극성현과 창려현을 통폐합했다. 요임금을 모신 사당, 유돈성(榆頓城), 낭수(狼水)가 있었다.
광흥현廣興縣진저우 시447년 도하현, 영락현, 연창현을 통폐합했다. 계명산(鷄鳴山), 석성(石城), 대유성(大柳城)이 있었다.
정황현定荒縣미상녹두산(鹿頭山)과 송산(松山)이 있었다.



444년(북위 태평진군 5년), 창려군은 영주로 전속되었다. 533년(영희 2년), 남영주로 전속되었다. 북위의 창려군은 용성, 광흥, 정황의 3개 현을 관할했다.[4]

참조

[1] 서적 後漢書
[2] 서적 三国志
[3] 서적 晋書
[4] 서적 魏書
[5] 서적 隋書
[6] 서적 晋書 https://zh.wikisourc[...]
[7] 서적 晋書 https://zh.wikisourc[...]
[8] 서적 晋書 https://zh.wikisourc[...]
[9] 서적 魏書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