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용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용황은 333년부터 348년까지 전연을 통치한 인물이다. 모용외의 아들이자 모용부의 황태자였으며, 333년 부친의 사망 이후 전연의 황제가 되었다. 즉위 초기 형제들과의 내분으로 혼란을 겪었으나 이를 극복하고 전연의 지배권을 확립했다. 337년에는 동진과의 관계를 단절하고 연왕을 자칭하며 전연을 건국, 후조와 대립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고구려를 공격하여 환도성을 함락시키는 등 군사적 업적을 이루었으며, 한화 정책과 농업 장려를 통해 국가 체제를 정비했다. 348년 낙마 사고로 사망했으며, 사후 문명황제로 추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48년 사망 - 성 스피리돈
    성 스피리돈은 3-4세기 키프로스 출신의 기독교 성인으로, 양치기에서 주교가 되어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삼위일체 교리를 옹호하고 아리우스주의를 반박했으며, 도자기 조각 비유로 삼위일체를 설명하는 기적을 행하고, 코르푸 섬의 수호성인으로 숭배받으며 도예가와 흑사병 퇴치, 코르푸 포위전 승리를 이끈 인물이다.
  • 348년 사망 - 불도징
    불도징은 중국으로 건너와 불교를 전파하고 석륵을 개종시켜 고문이 되었으며, 아나파나사티 명상법을 가르쳐 불교를 대중화하고 중국 불교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 전연의 황제 - 모용준
    모용준은 오호십육국시대 전연의 2대 군주이자 초대 황제로, 아버지 모용황의 뒤를 이어 연왕에 즉위한 후 후조의 혼란을 틈타 중원 진출을 본격화하여 황제를 칭하고 영토를 확장하며 전진, 동진과 대립했고 수도를 업으로 옮겼다.
  • 전연의 황제 - 모용위
    모용위는 오호 십육국 시대 전연의 황제이며, 모용준의 아들로 11세에 즉위하여 숙부와 모용평의 섭정을 받았으나 370년 전진의 침공으로 전연이 멸망하고 처형되었다.
모용황
기본 정보
칭호연나라 왕
모용황
원진
아명만년
묘호태조
시호문명황제
모용
생년297년
몰년348년
장지용평릉
부친모용외
모친무선황후 단씨
배우자단씨
자녀모용준, 모용각, 모용수, 모용덕
생애
출생297년
즉위 (요동군공)333년 6월 4일
즉위 (연왕)337년 11월 23일
사망348년 10월 25일
재위 기간 (요동군공)333년 6월 4일 – 337년 11월 23일
재위 기간 (연왕)337년 11월 23일 – 348년 10월 25일
후계자모용준
가계
가문모용씨
왕조전연
존호 및 시호
시호 (왕)문명왕 (文明王)
묘호태조 (太祖)
시호 (황제)문명황제 (文明皇帝)

2. 생애

모용외의 셋째 아들로, 321년에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333년 모용외가 사망하자 뒤를 이어 전연 제1대(초대) 황제가 되었다.

그러나 서형(序兄)인 모용한과 동생 모용인, 모용소와 대립하여 모용부는 혼란에 빠졌다. 모용인은 모용소와 함께 반란을 모의하였으나 발각되어 모용소는 죽임을 당했다. 모용인은 평곽(平郭)을 거점으로 반란을 일으켜 요동 일대를 장악하고 요동공을 자칭했다. 모용한은 서쪽의 단부로 망명하였다가 단부의 군대를 안내하여 모용황을 공격하였다. 모용황은 멸망 직전까지 몰렸으나 모용한이 모용부가 멸망할 것을 우려하여 철군함으로써 살아남았다. 336년, 모용황은 모용인을 공격하여 멸망시키고 다시 모용부의 지배권을 확립하였다.

337년, 모용황은 동진(東晉)에 대한 종속 관계를 끊고, 연왕(燕王)을 자칭하며 전연을 건국하였다. 338년 단부를 협공하였으나, 이후 후조와 갈등이 생겨 전쟁을 벌였다. 340년에는 후조의 (薊)를 습격하여 크게 승리하였다. 342년에 용성(龍城)으로 수도를 옮겼으며, 고국원왕 11년에 고구려에 침입해 환도성을 공략하여 크게 승리하였다. 344년에는 우문부(宇文部)를 공격하여 멸망시켰다.

모용황은 한족 유민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한화(漢化) 정책을 취하였으며 농경을 장려하여 국가 체제를 정비하는 데 주력하였다. 346년 모용준모용각을 시켜 부여를 공격하고, 현왕(玄王)과 백성 5만 명을 포로로 잡아 전연으로 끌고왔다. 모용황은 부여계 주민들을 회유하기 위하여 현왕을 사위로 삼고, 진동장군(鎭東將軍)의 작위(爵位)를 내렸다. 이로써 부여는 실질적으로 멸망하게 되었다.[59] 348년에 수렵 도중에 낙마하여 머리를 다쳐 사망하였다.

2. 1. 초기 생애

모용외와 단부인(단부 선우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형으로 모용한이 있었지만, 그는 서자였기 때문에 모용황이 세자로 여겨졌다.[4]

317년, 동진 조정으로부터 관군장군[7]에 임명되었다. 당시 모용부는 실질적으로는 독립 세력이었지만, 명목상으로는 동진에 종속하는 입장이었고, 그 산하의 지방 정부라는 위치였기 때문에 동진으로부터 임관을 받았다.

321년 12월, 모용외가 동진 조정으로부터 요동공에 책봉되자, 모용황은 세자(제후의 후계자)로 세워져 명실상부하게 모용외의 후계자로 인정받았다. 모용외는 유학에 정통했던 평원 출신의 유찬을 동상제주(동상은 황태자의 학교, 제주란 학정의 장관을 의미한다)에 발탁하여, 모용황은 중신의 자제들과 함께 그로부터 강의를 받게 되었다.

322년, 좌현왕을 제수받고, 망평후에 봉해졌다.[8]

326년, 동진 조정으로부터 평북장군에 임명되고, 조선공으로 진봉되었다. 그는 장군으로서의 재능이 있어 성장하자 스스로 군사를 이끌고 정벌에 나서 여러 차례 공적을 세웠다고 사서에 기록되어 있다.

모용황 시대의 주요 군사적 공적은 다음과 같다.

시기사건
319년 12월우문부의 우두머리 우문손닐연이 수십 만 군사를 이끌고 본거지인 극성(棘城)으로 쳐들어오자, 모용황은 장사 배의와 함께 정예병을 이끌고 맞이하는 군대의 선봉으로 출격하고, 모용외가 대군을 이끌고 뒤따랐다. 우문손닐연은 전군을 동원하여 맞서 싸웠지만, 성 밖에서 별동대를 이끌던 서형(庶兄) 모용한이 이 틈을 타 우문손닐연의 진영으로 돌입했기 때문에 협공을 받은 우문부 군대는 대혼란에 빠져 대패했고, 우문손닐연은 겨우 목숨만 건져 도망쳤다. 이로 인해 적병 대부분을 포로로 잡았고, 우문부에 대대로 전해지는 "끈 달린 옥새"를 손에 넣었다.
322년 12월단부의 본거지인 령지로 쳐들어가 천여 가구의 백성과 명마, 보물을 약탈하고 귀환했다.
325년 1월우문부의 우두머리 우문걸득귀가 직접 군사를 이끌고 모용부로 쳐들어오자, 모용황은 맞이하는 군대의 총대장으로 임명되었고, 군대의 우익에는 배의가, 군대의 좌익에는 동모제(同母弟) 모용인이 배치되었다. 우문걸득귀는 요락수(澆洛水, 현재의 시라무렌 강)를 따라 진을 치고, 형 우문실발퇴에게 좌익의 모용인을 공격하게 했지만, 모용인이 반격하여 우문실발퇴를 죽였다. 모용황은 이에 호응하여 우문걸득귀의 본대에 공격을 가해 대승을 거두자, 적군은 궤멸되었고 우문걸득귀는 군사를 버리고 도망가려 했으므로, 모용황 등은 진군을 계속하여 그대로 우문부의 도성으로 침입했다. 동시에 기병을 파견하여 도망친 우문걸득귀를 추격하게 하여, 3백 리 넘게 추격한 곳에서 돌아왔다. 이 승리로 금품과 보물을 다수 획득했고, 포로로 잡은 가축은 백 만 마리에 달했다. 또한, 모용부에 귀순한 백성은 수만 명에 달했다.


2. 2. 요동공 계승과 내부 갈등

333년 모용외가 사망하자 모용황은 요동공 지위를 계승했다.[5] 그는 동진에 사신을 보내 아버지의 죽음을 알리고 관직을 요청했으나, 동진의 임명이 도착하기 전에 요동공 작위를 자칭했다.[5]

모용황은 엄격하고 가혹하게 통치하여 부하들의 불만을 샀다. 그는 서형 모용한과 동생 모용인, 모용소를 의심했다. 모용한은 단부(요서국)로 망명하여 단요의 장군이 되었다. 모용인과 모용소는 반란을 모의했으나 발각되어 모용소는 죽임을 당했다. 모용인은 평곽(平郭, 현재 잉커우 시, 랴오닝성)을 거점으로 반란을 일으켜 요동 일대를 장악하고 요동공을 자칭했다.

334년, 단란이 이끄는 단나라 군대가 류성(柳城, 현재 자오양 시, 랴오닝성)을 공격하자, 모용황의 군대는 크게 패했다. 모용한은 모용부가 멸망할 것을 우려하여 퇴각했다.

336년 초, 모용황은 얼어붙은 발해를 통해 평곽을 기습 공격했다. 모용인은 패배하여 자결을 강요당했다.[10] 이로써 모용황은 모용부의 지배권을 확립하였다.

340년, 모용황은 상인 왕거(王車)를 통해 모용한을 귀환시켰다. 모용황은 모용한을 후대하고 건위장군(建威將軍)에 임명했다.

2. 3. 전연 건국과 대외 관계

337년, 모용황은 동진(東晉)과의 종속 관계를 끊고 연왕(燕王)을 자칭하며 전연을 건국하였다.[59] 그는 후조(後趙)와 동맹을 맺고 단부(段部)를 협공하여 멸망 직전까지 몰고 갔으나,[59] 후조와 갈등이 생겨 전쟁을 벌이기도 했다.

338년 모용황은 단부를 공격하여 민호와 가축을 약탈한 후 전쟁에서 이탈하였고, 후조의 석호는 이에 원한을 품고 전연을 공격하였다. 수도인 극성(棘城)이 포위되는 위기를 맞기도 하였으나, 모용황은 농성전 끝에 후조군을 격파하고 오히려 영토를 확장하였다.[59] 340년에는 후조의 (薊)를 습격하여 크게 승리하였다.[59]

342년에는 용성(龍城)으로 천도하고, 고국원왕 11년에 고구려를 공격하여 환도성을 함락시키는 등 군사적 업적을 이루었다.[59] 344년에는 우문부(宇文部)를 멸망시키고 그 백성들을 창려로 이주시켰다.[59]

다음은 모용황 시기 전연의 주요 대외 관계를 정리한 표이다.

시기사건상대결과
337년연왕(燕王) 자칭, 전연 건국-전연 건국
338년단부 협공, 후조와 갈등후조, 단부단부 멸망 직전, 후조와 전쟁
338년후조의 침입 격퇴후조전연 승리, 영토 확장
340년계(薊) 습격후조전연 승리
342년용성 천도, 고구려 공격고구려환도성 함락
344년우문부 멸망우문부우문부 백성 창려 이주


2. 4. 내정 강화와 통치

모용황은 한족 유민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한화(漢化) 정책을 추진하여 국가 체제를 정비하는 데 힘썼다.[59] 농경을 장려하고 조세를 감면하는 등 백성들의 삶을 안정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영화 원년(345년) 1월, 모용황은 가난한 백성에게는 국가 소유의 소를 주어 밭을 갈게 하고 수확의 8할을 징수하고, 소는 있지만 토지가 없는 백성에게는 국가 소유의 밭을 갈게 하고 수확의 7할을 징수하는 정책을 시행했다. 그러나 기실참군 봉유는 조세 경감, 관원 감축, 3년 동안 성과가 없는 학생이나 정원을 초과하는 장인·상인을 농민으로 전환, 우문부·단부에서 이주해 온 부족의 도성 근교 이주 제한, 충신 복직 및 아첨하는 신하 배척 등을 건의했다. 모용황은 조세 관련 건의를 받아들여 원유(황제 소유 토지)를 폐지하고 토지가 없는 백성에게 나누어 주었으며, 스스로 생활이 어려운 백성에게는 소를 지급하고 공전 개간 시 조세 비율을 정하는 등 관개 사업에도 힘을 쏟았다.[39] 다만 관원 감축은 중원 평정 시까지 보류하고, 장인·상인과 학생에 대해서는 정원을 정하여 관리했다. 또한 자신의 정책에 대한 건의를 장려했다.[39]

모용황은 학문 장려에도 힘써, 궁궐이 있던 곳에 동상(東廂, 동쪽 배움터)을 세우고 향사례(鄕射禮, 일반인 중 재능 있는 자 선발)를 통해 우수한 인재를 학생으로 선발했다.[40] 347년에는 직접 학생들을 시험하여 경서에 정통한 자를 근시(近侍)로 발탁하기도 했다.

347년, 장기간의 가뭄으로 백성에게 징수하던 조세를 반환하고, 과거 모용외 시대에 설치했던 유민 수용 목적의 군(郡)들을 폐지하는 대신 발해, 하간, 광평, 위군, 동래, 북해, 오(吳) 등 각지에서 온 백성들을 위한 현(縣)을 설치하고 연국(燕國) 관할 하에 두었다.[44]

한편, 모용황은 동진(東晉)과의 관계에서도 외교적 안정을 추구했다. 337년에는 동진과의 종속적 관계를 끊고 연왕(燕王)을 자칭하며 전연을 건국했지만, 345년 10월에는 동진의 연호 사용을 중단하고 독자적인 기년법을 사용하면서도 동진과의 관계를 완전히 단절하지는 않았다.[41] 347년 5월에는 동진으로부터 안북대장군으로 승진하는 등, 대외적인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2. 5. 죽음

348년 모용황은 수렵 도중에 낙마하여 머리를 다쳐 사망하였다.[59]

영화 4년(348년) 7월, 모용황은 서쪽 변경으로 나가 사냥을 하였다. 이때 강을 건너는 곳에서 붉은 옷을 입고 흰 말을 탄 한 노인을 만났는데, 그는 손을 흔들며 모용황에게 "이곳은 사냥할 곳이 아닙니다. 왕은 돌아가셔야 합니다"라고 말했지만, 모용황은 이에 아무 대답도 하지 않았다. 그 후에도 연일 사냥을 하여 큰 수확을 거두었다. 8월, 모용황은 흰 토끼를 발견하고 이를 쏘려고 말을 몰았지만, 이 과정에서 말이 넘어지면서 돌 위에 부딪혀 중상을 입었다. 연(임금의 수레)을 타고 곧바로 궁궐로 돌아왔지만, 이 상처로 인해 병이 생겨 얼마 지나지 않아 심하게 악화되었다.

죽음을 직감한 모용황은 태자 모용준과 속관들을 불러 후사를 부탁하며 "지금 중원은 평정되지 않았고, 세무(세상의 임무. 여기서는 중화 평정을 의미)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현걸(재능이 뛰어난 것)한 인물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모용각은 지혜와 용기가 모두 뛰어나고, 그 재능은 중임을 감당할 수 있다. 너(모용준)는 그에게 맡겨 나의 뜻을 이루도록 하라. 또한, 양사추(양무)는 사대부의 품행을 갖추고 고결하고 충성스럽고 굳세니, 큰일을 맡길 만한 인물이다. 너는 그를 잘 대하도록 하라"고 유언했다.

9월 병신일, 모용황은 승건전에서 세상을 떠났다. 재위 기간은 15년, 향년 52세였다. 10월, 유해는 용산에 안장되었다.

영화 8년(352년) 11월, 모용준이 황제에 즉위하자, 모용황은 문명황제로 추시되었고, 묘호는 태조, 능묘는 용평릉으로 명명되었다.

3. 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모용외(慕容廆)선비 추장, 요동양공, 추존 연 무선왕
어머니단씨단부 추장 단질(段階)의 딸
아내단비337년 책봉
주요 후궁고소의쾌왕 모용각의 어머니
란소의파왕 모용파의 어머니
공손소의납왕 모용납과 덕왕 모용덕의 어머니
모용씨선비탁발십이건에게 시집갔으며, 추존 소성황후
모용씨부여 여현에게 시집감


3. 1. 아내

3. 2. 아들

모용황에게는 여러 아들이 있었는데, 그 중 역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 아들들은 다음과 같다.

이름작위주요 업적 및 기타
모용준(慕容儁)경소제(景昭帝)장남, 전연의 황제
모용각(慕容恪)태원왕(太原王)차남
모용수(慕容垂)성무제(成武帝)3남, 모용패(慕容覇)라고도 함, 후연의 황제
모용교(慕容交)범양왕(范陽王)모용우(慕容友)라고도 함
모용의(慕容宜)여강왕(廬江王)
모용환(慕容桓)의도왕(宜都王)
모용준임하왕(臨賀王)
모용휘(慕容徽)하간왕(河間王)
모용룡(慕容龍)역양왕(歷陽王)
모용납(慕容納)북해왕(北海王)
모용수난릉왕(蘭陵王)
모용악(慕容岳)안풍왕(安豊王)
모용덕(慕容德)헌무제(獻武帝)남연의 황제
모용묵(慕容默)시안공(始安公)
모용루(慕容僂)남강공(南康公)
모용주(慕容宙)장무왕(章武王)


3. 3. 딸

4. 평가 및 영향

모용황은 용맹하고 굳센 의지를 가진 군략가이자 책략에 능한 장군이었다. 아버지 모용외 시대부터 군을 이끌고 정벌에 나서 여러 차례 공을 세웠다.[57]

평생 문학을 좋아하여 젊어서는 경학에 힘썼고, 왕위에 오른 후에도 한 달에 한 번은 배움터에 나가 학생들의 우열을 시험하고 강의를 하기도 했다. 그는 『태상장』이라는 교육서를 저술하여 『급취편』을 대체하게 했고, 『전계』 15편을 저술하여 종족과 제자들을 위한 교과서로 삼았다.

모용황은 끊임없이 적지를 공격하여 국토를 확장, 요서·요동 지방의 통일을 달성했다. 그의 치세에는 농업과 양잠에 힘써 경제를 발전시켰고, 한족을 비롯한 많은 유민을 받아들여 인구가 크게 증가했다. 유민에게는 둔전에 종사하게 하고, 경작용 소를 지급하여 경작을 장려했으며, 노역을 완화하고 조세를 가볍게 하여 백성들은 기력을 회복했다.[57] 또한 동학이라는 학교를 확대하고, 왕공대신의 자제에게 독서를 장려했으며, 인재를 적극 등용하여 우수한 자를 발탁했다.

그러나 형제들과의 사이는 좋지 않아, 즉위 직후 모용한의 이반과 모용인·모용소의 반란을 겪었다. 모용한이 귀순한 후에도 그에 대한 시기심을 버리지 못해 비극적인 최후를 맞게 했다.

5. 문화

모용황은 항복한 후조의 장수들을 우대했다. 후조의 사마였던 양유(陽裕)를 낭중령으로 발탁하고, 장군 선우량(鮮于亮)에게는 최비(崔毖)의 딸을 아내로 주고 좌상시로 발탁했다.[30]

5. 1. 모용황이 등장한 작품

6. 기타


  • 함강(咸康) 7년(341년), 극성(棘城)의 흑석곡(黒石谷)에 있는 큰 돌이 스스로 일어나 혼자서 이동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는 극성에서 용성(龍城)으로 도읍이 옮겨질 것을 암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58]

  • 같은 해 7월, 모용황은 용성에서 새로운 궁문을 짓게 했는데, 창려현(昌黎県)과 극성현(棘城県)에서 강변이 무너져 쇠와 절구공이가 총 1170개 나왔다. 영락(永樂)의 백성 곽릉(郭陵)은 이것을 보고 성에 가서 모용황에게 알렸다. 모용황은 "궁전을 짓기 시작한 이후 쇠와 절구공이가 나타났다. 이것은 사람과 신이 부합하는 것을 보여주는 징조이다."라며 기뻐하며 곽릉에게 관외후(関外侯) 작위를 하사했다.[58]

  • 영화(永和) 원년(345년) 2월, 한 쌍의 흑룡과 백룡이 용산(龍山)에 나타났다는 보고를 받은 모용황은 여러 신하들을 이끌고 직접 보러 갔다. 용으로부터 200보 정도 떨어진 곳에서 태뢰(太牢, 소, 양, 돼지 등의 산 제물)를 가지고 제사를 지냈다. 그러자 두 용은 머리를 맞대고 기뻐하며 날아올랐고, 뿔을 풀고 사라졌다. 모용황은 매우 기뻐하며 궁궐로 돌아와 영내에 대사령을 내리고, 새로 지은 궁전에 화룡궁(和龍宮)이라는 이름을 붙였으며, 산 위에 용상불사(龍翔仏寺)를 세웠다.

참조

[1] 사서 Zizhi Tongjian
[2] 사서 Zizhi Tongjian
[3] 사서 Jin Shu
[4] 사서 Jin Shu
[5] 사서 Zizhi Tongjian
[6] 사서 『晋書』
[7] 사서 『漢魏叢書』
[8] 사서 『十六国春秋』
[9] 문서
[10] 사서 『十六国春秋』
[11] 사서 『十六国春秋』
[12] 사서 『十六国春秋』
[13] 사서 『資治通鑑』
[14] 문서
[15] 사서 『資治通鑑』
[16] 사서 『資治通鑑』
[17] 사서 『晋書』
[18] 사서 『晋書』・『十六国春秋』
[19] 사서 『資治通鑑』
[20] 사서 『資治通鑑』
[21] 문서
[22] 사서 『資治通鑑』
[23] 사서 『十六国春秋』
[24] 사서 『資治通鑑』
[25] 사서 『資治通鑑』
[26] 문서
[27] 사서 『十六国春秋』
[28] 문서
[29] 사서 『晋書』
[30] 사서 『資治通鑑』
[31] 사서 『資治通鑑』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사서 『十六国春秋』
[36] 서적 資治通鑑
[37] 서적 魏書
[38] 문서
[39] 문서
[40] 문서
[41] 문서
[42] 문서
[43] 문서
[44] 서적 十六国春秋
[45] 문서
[46] 서적 資治通鑑
[47] 문서
[48] 문서
[49] 문서
[50] 문서
[51] 서적 資治通鑑
[52] 서적 十六国春秋
[53] 서적 十六国春秋
[54] 서적 資治通鑑
[55] 서적 通鑑考異
[56] 문서
[57] 서적 鮮卑族傑出政治家慕容皝
[58] 서적 十六国春秋
[59] 웹사이트 현왕(玄王) http://www.doope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