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창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창힐은 전설에 따르면 황제를 섬기던 사관으로, 중국 문자의 기원을 상징하는 인물이다. 그는 새와 짐승의 발자국을 보고 문자를 만들었다는 전설을 통해, 한자 창제의 신화적 인물로 묘사된다. 창힐은 네 개의 눈을 가진 인물로 묘사되기도 하며, 중국 여러 지역에 창힐을 기리는 유적과 기념물이 존재한다. 또한, 진나라 시대에 편찬된 소학서인 『창힐편』은 한자 교육에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 학계에서는 한자가 창힐 한 사람에 의해 발명된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발전했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역사가 - 후스
    후스는 중국의 철학자, 문학가,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백화문 운동을 주도하여 중국 문학 혁명에 기여하고 실용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학문 연구와 사회 개혁을 추진했으며, 베이징 대학 교수, 중화민국 주미대사, 베이징 대학 총장, 중앙연구원 원장 등을 역임했다.
  • 중국의 역사가 - 우한 (역사가)
    우한은 중국 근현대사의 격변기를 살았던 역사학자이자 정치인으로, 명나라 연구의 선구자였으나 경극 희곡 《해서파관》으로 인해 문화대혁명 당시 탄압받고 사망 후 복권되었으며 그의 삶과 정치적 입장은 재평가되고 있다.
  • 문자 발명가 - 벤저민 프랭클린
    벤저민 프랭클린은 미국의 정치가, 과학자, 발명가, 작가, 출판인, 외교관으로서 미국 독립 선언문 초안 작성, 프랑스와의 군사 동맹 체결, 피뢰침과 프랭클린 스토브 발명, 전기에 대한 연구, "가난한 리처드의 연감" 출판, 사회 개혁 활동, 필라델피아 도서관 설립, 미국 헌법 제정 참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기며 미국 건국과 계몽주의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문자 발명가 - 새뮤얼 모스
    새뮤얼 모스는 미국의 화가이자 발명가로, 초상화가로서 작품을 남겼으며, 아내의 사망 소식을 늦게 접한 것을 계기로 전신 시스템과 모스 부호를 발명하여 통신 기술 발전에 기여했고, 만년에는 정치적 활동을 펼치기도 했다.
  • 한자 - 한문
    한문은 고대 중국어 문법에 기반한 문어체로, 동아시아 각국에서 현지화되었으며, 한자의 특성상 해석이 다양할 수 있고, 외교 및 문화 교류를 통해 수용되어, 현대에는 학술 연구, 고전 문학 등에서 사용되며 동아시아 문화와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한자 - 한자 부활
    한자 부활은 과거 한자 문화권 국가에서 한자 사용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이나 주장을 의미하며, 대한민국에서는 한글 전용법 이후 제한된 한자 사용에 대한 논쟁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한자 교육 부활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한자 미사용이, 베트남에서는 로마자 보급 후 감소한 한자 사용에 대한 부활 주장이 나타나고 있다.
창힐
기본 정보
창힐의 초상화
이름창힐
한자倉頡
로마자 표기법Cangjie
중국어 병음Cāngjié
주음 부호ㄘㄤ ㄐㄧㄝˊ
광둥어 발음Cong1kit3
월병Chōngkit
민난어 발음Tshong-khiat (문어) / Tshng-khiat (구어)
한국어 발음창힐
한자 (한국)倉頡
일본어 발음소우케츠
한자 (일본)蒼頡
베트남어 발음Thương Hiệt
설명
역할전설적인 고대 중국 인물
업적한자 창제의 전설적인 창시자
관련 항목창힐 입력법

2. 전설

창힐에 관한 전설은 여러 가지가 있다.

창힐(Ts'ang Chieh)의 청동 부조, 리 로리(Lee Lawrie) 작, 1939년, 미국 의회도서관의 존 애덤스 건물, 워싱턴 D.C.에 소장


중국 사람들은 잉카 제국의 키푸와 같은 끈 매듭(결승)을 기록으로 사용했지만, 창힐은 새와 짐승의 발자국 모양으로 원래 동물을 추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착안해 문자로 개념을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한다.

전국 시대(중국)에는 창힐의 전설이 이미 널리 알려져 있었다. 회남자에는 "창힐이 문자를 만들자 하늘에서는 기장을 내리고, 귀신들은 밤에 울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설문해자에는 "창힐이 처음 만든 문자는 모두 상형 문자이며, 이를 '문(文)'이라고 부른다. 그 후에 형성 문자가 만들어졌는데, 이를 '자(字)'라고 부른다"라고 적고 있다.

오늘날에는 창힐의 전설이 한자를 개량한 실존 인물을 모델로 하고 있을 가능성은 있지만, 한자는 단일 인물에 의해 창조된 것이 아니라고 여겨진다.

창힐묘는 현재 산서성 백수현 사관향에 있으며, 그의 무덤 옆에는 큰 측백나무가 심어져 있다. 전설에 따르면 그 나무는 높이 17m이며, 약 4700년 전 창힐에 의해 심어진 것이라고 한다.

2. 1. 황제의 명으로 문자를 창제

황제는 중국을 통일한 직후,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으로 매듭으로 묶는 방법에 불만을 가졌다. 그래서 황제는 사관이었던 창힐에게 새로운 문자 체계를 만들도록 지시했다.[1] 창힐은 강가에 자리를 잡고 오랫동안 노력했지만, 글자를 만들지 못했다. 그러던 어느 날, 창힐은 하늘을 나는 봉황이 부리에 무언가를 물고 있는 것을 보았다. 그 물건은 땅에 떨어졌고, 창힐은 그것이 발자국의 흔적임을 알았다. 어떤 동물의 발자국인지 알 수 없어 지나가던 사냥꾼에게 도움을 요청했는데, 사냥꾼은 그것이 피시우의 발자국이라고 알려주었다.[1]

사냥꾼과의 대화는 창힐에게 큰 영감을 주었다. 그는 지구상의 모든 것들을 구별하는 특징을 그림으로 포착한다면 그것이야말로 완벽한 글자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날부터 창힐은 해, 달, 별, 구름, 호수, 강, 바다를 비롯한 모든 동물과 새들의 특징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그는 발견한 특징에 따라 글자를 만들기 시작했고, 곧 많은 글자들을 모았다.[1]

황제는 창힐이 완성한 글자들을 보고 기뻐하며, 구주의 총리들을 불러 창힐에게 새로운 문자 체계를 가르치게 했다. 창힐이 글자를 만든 강가에는 그의 공을 기리는 기념비와 사당이 세워졌다.[1]

2. 2. 거북 등껍질에서 영감을 얻음

창힐은 거북의 혈관 무늬를 보고 영감을 얻어 한자를 만들었다는 전설이 있다.[3] 이 전설은 갑골 문자와의 연관성 때문에 고고학적으로 주목할 만하다. 갑골 문자는 거북 등껍질에 새겨진 초기 한자 형태로, 상나라 시대의 중요한 기록물이다.[3]

2. 3. 네 개의 눈을 가진 인물

초상화에서 창힐은 종종 네 개의 눈을 가진 인물로 묘사되는데, 이는 그의 뛰어난 관찰력을 표현한 것이라고 한다.[1] 중국 신화나 역사에서 요순과 항우도 네 개의 눈을 가진 인물로 그려진다.

3. 유적과 기념물

중국 산둥성, 허난성, 허베이성, 산시성 등 여러 지역에 창힐을 기리는 무덤이 있다. 그의 후손들은 사관(史官)으로서의 그의 공로를 인정받아 사(史) 성을 사용했다고 한다.[4] 산시성(陝西省) 백수이 현(白水県) 사관향(史官郷)에는 창힐묘(蒼頡廟)가 있으며, 그 옆에는 창힐이 심었다고 전해지는 큰 측백나무가 있다. 전설에 따르면 그 나무는 높이 17m이다.

4. 『창힐편』

진(秦)나라 시대에 편찬되고 한(漢)나라 시대에 재편찬된 소학서(識字教科書, 훈몽 문자 교재)로, 한나라 시대 소학서의 성립에 큰 영향을 미쳤다.[5]

진시황제(始皇帝)는 문자를 통일하여 소전(小篆)을 공식 서체로 채택하였다. 그때 쓰여진 것이 이사(李斯)의 『창힐편(蒼頡篇)』, 조고(趙高)의 『원력(爰歷)』, 호무경(胡毋敬)의 『박학편(博学篇)』이다.[5] 한나라 시대에 들어서 "려리서사(閭里書師)"가 이상의 3편을 합쳐 55장으로 나누어 『창힐편(蒼頡篇)』이라고 총칭하였다.[6] 그 후에는 소실되었다.

20세기에 들어서 돈황한간(敦煌漢簡) 『창힐편(蒼頡篇)』과 거연한간(居延漢簡) 『창힐편(蒼頡篇)』이 출토되었다. 1977년에는 한나라 시대 재편찬 이전 것으로 추정되는 부양한간(阜陽漢簡) 『창힐편(蒼頡篇)』도 출토되었으나, 추정되는 전체 글자 수의 6분의 1 정도만 알려져 전모는 불명확했다. 그러나 2008년에 출토된 수천자한간(水泉子漢簡) 『창힐편(蒼頡篇)』과 2009년에 베이징대학(北京大学)이 입수한 북대한간(北大漢簡) 『창힐편(蒼頡篇)』에 의해 연구의 진전이 기대되고 있다.[7]

5. 한자 창제에 대한 현대적 관점

현대 학계에서는 한자가 창힐 한 사람에 의해 발명된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발전했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창힐 전설은 한자 개량에 기여한 실존 인물을 모델로 했을 가능성은 있지만, 한자는 특정 개인의 발명품이라기보다는 사회적, 문화적 필요에 의해 자연스럽게 형성된 문자 체계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1]

참조

[1] 서적 《中华印刷通史》 http://www.cgan.net/[...] XingCai Literary Foundation
[2] 뉴스 為火星目標地中文命名 王阿蓮博士為世界華人爭得殊榮 http://www.scanews.c[...] 聖路易時報 (St. Louis Chinese American News) 2006-02-23
[3] 서적 The Paper Trail: An Unexpected History of a Revolutionary Invention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2016
[4]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Family Names in Britain and Ireland
[5] 문서 『[[説文解字]]』 및 『[[漢書]]』의 내용
[6] 문서 漢書芸文志의 내용
[7] 웹사이트 『蒼頡篇』について-中国出土文献研究会 http://www.shutudo.o[...]
[8] 서적 《中华印刷通史》 http://www.cgan.net/[...] XingCai Literary Foundation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