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한 (역사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한은 중국의 역사가이자 정치인으로, 1909년에 태어나 1969년에 사망했다. 칭화 대학에서 역사학을 전공하고, 윈난 대학과 국립 서남 연합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중국 민주정단동맹에 가입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베이징시 부시장을 역임했으나, 역사 희곡 《해서파관》 사건을 계기로 문화대혁명 시기에 박해를 받아 옥사했다. 사후 덩샤오핑 등에 의해 복권되었으며, 명나라 역사 연구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우시 출신 - 낙빈왕
낙빈왕은 당나라 초기의 뛰어난 시인이자 문장가로, 왕발, 양형, 노조린과 함께 '당나라 사걸'로 불리며, 측천무후를 비판하는 격문을 작성한 것으로 유명하고, 화려한 변문 스타일과 복잡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작품을 남겼으며, 이경업의 난 이후 행방이 묘연해졌으나 그의 삶과 문학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이우시 출신 - 러우지웨이
러우지웨이는 칭화 대학에서 경제학 석사 학위를 받고 주룽지 시장을 보좌하며 경제 개혁에 참여한 후 여러 주요 직책을 거쳐 리커창 내각에서 재정부장을 지낸 중국의 개혁파 정치인으로, 타임지가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에 선정되기도 했다. - 중국의 역사가 - 후스
후스는 중국의 철학자, 문학가,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백화문 운동을 주도하여 중국 문학 혁명에 기여하고 실용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학문 연구와 사회 개혁을 추진했으며, 베이징 대학 교수, 중화민국 주미대사, 베이징 대학 총장, 중앙연구원 원장 등을 역임했다. - 중국의 역사가 - 창힐
창힐은 중국 전설에서 황제의 사관으로 문자 창시자로 여겨지며 새와 짐승의 발자국에서 영감을 받아 문자를 만들었다고 전해지지만, 현대 학계에서는 한자가 오랜 기간 발전해 온 결과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 칭화방 - 시진핑
시진핑은 2012년부터 중국 최고지도자로, 반부패 운동 추진, '중국몽' 제시, 국가주석 임기 제한 철폐 및 '시진핑 사상' 당헌 명기 등을 통해 장기 집권 기반을 마련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 칭화방 - 후진타오
후진타오는 칭화대학교를 졸업하고 중국공산당에서 경력을 쌓아 덩샤오핑 등의 지지로 최연소 상무위원이 되었으며, 장쩌민의 뒤를 이어 중국공산당 총서기와 중화인민공화국 주석을 역임하면서 베이징 올림픽 개최와 경제 성장을 이끌었다.
우한 (역사가)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우한 (吴晗) |
출생일 | 1909년 8월 11일 |
출생지 | 청나라 저장성 이우시 |
사망일 | 1969년 10월 11일 |
사망 원인 | (정보 없음) |
국적 | 중국 |
학력 | |
모교 | 칭화 대학 |
정치 활동 | |
소속 정당 | 중국 민주 동맹 중국 공산당 |
가족 | |
배우자 | 위안전 (1969년 3월 18일 사망) |
자녀 | 2명 (우샤오옌 포함) |
주요 작품 | |
대표작 | 해서파관 |
2. 생애
1909년 저장성 이우시에서 태어나 상하이 등지에서 공부한 뒤 1931년 칭화 대학 역사학과에 들어갔다.[1] 졸업 후 윈난 대학을 거쳐 1940년 국립 서남 연합대학 교수가 되었고, 중국 민주정단동맹에 가입했다.[1] 제2차 세계 대전 후 칭화 대학 교수로 복귀했다.[1]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에는 베이징시 부시장, 중국 민주동맹의 주요 직책을 맡았고, 1957년 반우파 운동 이후 중국 공산당 당원이 되었다.[1] 1960년대 이후 역사 희곡 《해서파관》 사건으로 마오쩌둥 등의 탄압을 받다가 문화대혁명 초기에 옥사했다.[1] 사후 덩샤오핑 등에 의해 정치적으로 복권되었다.[1]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909년 저장성 이우시에서 태어났다. 중학교 졸업 후 고향에서 초등학교 교사를 지냈다. 이후 황포군관학교 입학을 희망했으나, 여비 마련이 어려워 포기했다. 상하이 중국 공학 예과 등에서 공부한 뒤 1927년부터 저장성 즈장 대학 (전 기독교 사립 대학)에서 공부했고, 1931년 칭화 대학 역사학과에 들어갔다. 재학 중 후스(후적)의 중국 문화 연구회에 소속되어 "전한의 경제 상황"이라는 논문을 작성하여 인정을 받았다.[1] 칭화 대학에서 샹팅푸(蔣廷黻) 등에게 가르침을 받았고, 후스(胡適)의 강의에 영향을 받았다.[2] 남매를 부양해야 했기에 유학을 갈 수 없었다.[2] 졸업 후 칭화 대학 조교로 재직하며 명나라 역사에 관한 논문들을 발표하기 시작했다.[2]2. 2. 학문 및 정치 활동 (1937년 ~ 1953년)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우한은 윈난성 쿤밍에 있는 국립 서남연합대학으로 갔다. 그곳에서 명나라 창업주인 주원장의 전기(1943년 출판, 1947년 확장 개정)를 집필했다. 그는 1940년대 민주 운동의 주요 지식인이자 다작의 수필가가 되었다. 중국 민주정단동맹(후에 중국 민주동맹)에 참여하면서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에 참여했다.[1]제2차 세계 대전 종료 후, 1946년에 칭화 대학 교수로 복귀하였으며, 1949년에 중국 민주동맹 베이핑시 서기, 칭화 대학 문학원장 임시 대행(후임은 진웨린) 등을 맡았다.
새로운 연합전선이 성립되자, 민주촉진회 회원으로서 우한은 교육 및 문화 업무를 담당하는 베이징 부시장직을 제안받았다. 그는 중화인민공화국 전역의 지방자치단체의 모델이 된 6개 현의 시정구역을 담당했다. 1950년대 우한은 문화 순방을 통해 중국을 대표했고, 역사 속 인물을 모델이자 우화적 인물로 활용하여 국내에서 자신의 연구를 대중화했다. 그는 1950년대 중반 중국 공산당에 잠입 가입했는데, 이 사실은 최고위급을 제외한 동료나 당원들에게 알려지지 않았다. 그의 파일이 발견된 후 홍위병의 폭로로 문화 대혁명 당시에야 비로소 밝혀졌다.
항일전쟁 중에는 쿤밍으로 이전하여 설립된 남서연합대학 교수가 되어 계속해서 역사학을 강의하는 동시에, 국민당의 부패에 반발하여 중국민주동맹(민맹)에 가입하여 쿤밍에서 유력한 활동가가 되었다. 동시에 중국 공산당에 호의적이었으며, 공산당 문헌 학습회에도 참가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에는 칭화대학 인문과학부장, 베이징시 부시장을 역임했다. 당시 중국에서는 『청사』 편찬이 계획되었고 청사 연구의 뒤처짐과 연구자 부족이 문제가 되었다. 이 때문에 우한이 중심이 되어 청나라 역사 연구의 중점화와 전문적인 연구자 육성 체계 구축이 이루어졌다. 1957년 3월 민맹 동맹원으로서 중국공산당에 입당했다. 공산당 입당은 처음에는 비공개였으나, 나중에 공개되었다. 1957년 반우파투쟁에서는 공산당 측에 서서 민맹 간부의 입장에서 라롱기 등 공산당에 비판적인 의견을 공개한 민주당파 간부들을 강하게 비판했다.
2. 3.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1953년 ~ 1966년)
1957년 3월, 우한은 민주동맹 동맹원으로서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3] 처음에는 입당 사실이 공개되지 않았으나, 나중에 공개되었다.[3] 같은 해 반우파 투쟁에서는 공산당 측에 서서 라롱기 등 공산당에 비판적인 의견을 낸 민주당파 간부들을 강하게 비판했다.[3]1960년부터 1961년까지 중국 연극계에서 진행된 역사극 논쟁에서 우한은 역사학자로서 역사극에서 역사적 사실을 존중해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했다.[4] 1961년, 경극 희곡 『해뢰파관』을 발표했다.[4]
2. 4. 문화대혁명과 사망 (1966년 ~ 1969년)
1965년 요원위안(姚文元)이 《해서파관》을 비판하는 글을 발표했는데, 이는 문화대혁명의 발단이 되었다.[2] 마오쩌둥은 《해서파관》과 펑더화이(彭德懷) 해임을 연결시켜 비판했다.[2] 이로 인해 우한은 베이징시 부시장에서 해임되었다.[2] 문화대혁명이 본격화되면서 우한은 박해를 받고 투옥되었다.[2]1969년 우한은 옥중에서 사망했는데, 정확한 사인은 불명이다. 자살했다는 설이 유력하지만, 동료 수감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구타당했을 가능성도 있고, 지병이었던 결핵이 재발했을 가능성도 있다.[2] 그의 아내 위안전(袁震)도 옥중에서 사망했고, 양녀 우샤오옌(吳小燕)은 정신 질환을 앓다가 정신병원에서 자살했다.[2]
3. 사후 복권과 평가
문화대혁명이 끝난 뒤, 덩샤오핑, 후야오방, 야오이린 등 중공 유력 정치인들과 중국 민주동맹에 의해 정치적으로 복권되었다.[1]
4. 주요 저작
- 《주원장전》, 1949년
- 《독사차기》, 1955년
- 《투창집》, 1959년
- 《등화집》, 1960년
- 《오한전집》 전10권, 2009년 (베이징시 부시장 시절 행정 문서와 반우파 투쟁 당시 언론은 미수록)
- 《新中国の人間観|신중국의 인간관일본어》 경초서방, 1965년
참조
[1]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2]
학술지
[3]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4]
서적
The World Turned Upside Down: A History of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Farrar, Straus and Giroux
2021
[5]
서적
The World Turned Upside Dow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