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부원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책부원귀》는 1005년 북송 진종의 명으로 편찬이 시작되어 1013년에 완성된, 역대 군신 관계를 기록한 책이다. 1000권 분량으로, 경, 사, 자 부문에 집중하여 상고 시대부터 오대까지 중국 역대 황제, 재상, 관료의 정치 관련 사적을 모아 분류했다. 특히 당나라와 오대 시대의 조칙문과 상주문이 상세히 수록되어 있어 해당 시대 연구에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현재 송각본, 명각본, 청각본 등의 판본이 존재하며, 2007년에는 교정본이 출판되었다. 과거의 정치, 사회,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현대 사회의 정책 수립에도 참고가 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문서학 - 스트라스부르 서약
스트라스부르 서약은 842년 샤를마뉴의 손자들에 의해 맺어진 맹세로, 고대 프랑스어와 고대 고지 독일어로 기록되어 언어학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 고문서학 - 칙명
칙명은 군주가 내리는 명령을 의미하며, 한국, 일본, 영국 등에서 사용되었고, 한국에서는 조선 시대 왕의 명령, 대한제국 시기 황제의 명령을 칙명이라 불렀으며, 일본에서는 천황의 의사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었고, 영국에서는 정부 부처에서 작성하여 의회에 제출되는 칙명 문서가 존재한다. - 11세기 책 - 샤나메
《샤나메》는 페르도시가 약 30년에 걸쳐 완성한 페르시아의 서사시로, 이란의 역사와 문화를 담고 있으며, 영웅들의 이야기와 주요 인물의 죽음을 통해 드러나는 '탄식'의 장면이 특징이고, 페르시아 문학, 페르시아어 발전, 주변 문화권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11세기 책 - 보리도차제론
보리도차제론은 보리심의 중요성과 생성, 실천 방법을 다루는 불교 관련 내용으로, 아티샤는 중생에 대한 사랑과 연민을 바탕으로 보리심을 일으켜야 한다고 강조한다. - 중국어 백과사전 - 몽계필담
몽계필담은 북송 시대의 과학자이자 정치가였던 신 과가 은퇴 후 저술한 책으로, 천문학, 수학, 지질학, 인쇄술, 나침반, 석유 등 다양한 분야의 과학기술과 사회, 문화, 사상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활판인쇄술과 나침반에 대한 세계 최고(最古)의 기록을 포함하고 있다. - 중국어 백과사전 - 생명의 백과사전
생명의 백과사전은 다양한 온라인 데이터 소스에서 정보를 수집하여 유기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계층적 분류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집계 환경이다.
책부원귀 - [서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책부원귀 (冊府元龜) |
주요 내용 | 주로 정치와 역사 |
국가 | 송나라 |
출판일 | 1013년 |
언어 | 한문 |
편집자 | 왕흠약, 양억 외 |
2. 역사
1005년 10월, 진종 황제는 "역대 군신 관계 기록" 편찬을 명하였다. 왕흠약, 양억 등 여러 학자가 편찬에 참여하였다. 1013년 9월 20일, 진종에게 헌정되었으며, 진종은 "책부원귀"라는 제목을 내렸다.[1] '책부(冊府)'는 고대 서적을 보관하던 관청을, '원귀(元龜)'는 고대 점복에 사용하던 큰 거북을 의미한다.
총 1,000권, 31부 1,104문(또는 1,116문)으로 구성되었다. 경(經), 사(史), 자(子) 부문에 집중하여 상고 시대부터 오대까지 중국 역대 황제, 재상, 관료의 정치 관련 사적을 모아 분류하였다. 시대순으로 내용을 배열하였으며, 각 부(部)에는 총서(總序)가 붙는다.[13]
《사기》부터 《구오대사》까지 17개 정사를 근본으로 삼았다. 특히 당[12]・오대[1] 관련 자료가 풍부하며, 다른 곳에서 찾을 수 없는 자료도 많아 당・오대 연구에 필수적인 사료로 꼽힌다. 산일(散逸)되어 전해지지 않는 《십육국춘추》를 이용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위서》처럼 후대에 일부가 결여된 정사류를 보충하는 역할도 한다.
송각본(宋刻本)은 남송 시대의 판각본으로, 596권[14] 정도가 남아있다. 판본은 두 종류로 나뉜다. 하나는 《신간감본 책부원귀》(新刊監本册府元龜)라는 표제가 붙은 것으로 8권이 북경의 중국국가도서관(中國國家圖書館)에 소장되어 있다. 다른 하나는 《책부원귀》라는 표제가 붙은 것으로 588권인데, 중복되는 것을 빼면 573권이다. 대부분 일본 동경의 세이가 당(靜嘉堂)에 474권이 소장되어 있고, 나머지는 중화민국 대북 국립고궁박물원(國立故宮博物院)에 88권, 중국 본토의 중국국가도서관과 북경 대학 도서관에 각각 25권과 1권이 소장되어 있다.
《책부원귀》는 방대한 역사 기록을 담고 있어 과거의 정치, 사회,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특히 당, 오대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로 평가받는다.
[1]
논문
The Compilation and Publication of the ''Taiping yulan'' and the ''Cefu yangui''
https://www.persee.f[...]
왕흠약과 양억 등은 진종의 명을 받아 경덕 2년(1005년)부터 대중상부 6년(1013년)까지 8년에 걸쳐 책을 완성했다.[12] 이 책은 1,000권 분량으로, 31부(部) 1,104문(門)으로 분류되었다. 각 부문은 시대순으로 가장 오래된 것부터 기록되었으며, 역대 제도의 연혁을 총괄 기록한 역대 회요(會要)의 성격을 지닌다. 특히 당[12]・오대의 조칙문(詔敕文) ・ 상주문(上奏文)이 상세히 채록되어 있어 당 ・ 오대 연구에 중요한 사료로 꼽힌다.
《책부원귀》는 경(經) ・ 사(史) ・ 자(子) 부문에 집중하여 상고 시대부터 오대까지 중국의 역대 황제 ・ 재상 ・ 관료의 정치 관련 사적[13]을 모아 분류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송대에 편찬된 저작 가운데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며, 《태평어람》과 권수는 같지만 총 글자수는 《태평어람》의 배가 되는 9,392,000여 자(字)이다.
또한, 오호십육국 시대에 대해서는, 전해지지 않는 『십육국춘추』를 이용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위서』처럼 후대에 일부가 결여된 정사류를 보충하기도 한다.
3. 구성
31부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부 제왕(帝王), 윤위(閏位), 참위(僭偽), 열국군(列国君), 저궁(儲宮), 종실(宗室), 외척(外戚), 재보(宰輔) 장수(将帥), 대신(台省), 방계(邦計), 헌관(憲官), 간정(諌静), 사신(詞臣), 국사(国史), 장례(掌礼) 학교(学校), 형법(刑法), 경감(卿監), 환위(環衛), 전선(銓選), 공거(貢挙), 봉사(奉使), 내신(内臣) 목수(牧守), 영장(令長), 궁신(宮臣), 막부(幕府), 배신(陪臣), 총록(総録), 외신(外臣)
이 중, 봉사부(奉使部)・외신부(外臣部)에 대해서는 1938년에 동방문화연구소(현재의 교토대학 인문과학연구소)에 의해 색인이 작성되었다.
4. 사료적 가치
5. 판본
명각본(明刻本)은 명 숭정 15년(1642년)에 복건 건양현(建陽縣)의 지방관 황극기(黃國琦)가 여러 집안에서 전해지던 사본들을 10여 년에 걸쳐 정리하고, 복건 성의 순안어사(巡按御史) 이사경(李嗣京) 등의 자금 지원을 받아 간행한 것이다. 1960년 중화서국(中華書局)에서 영인본으로 펴냈으며, 청 학자 육심원(陸心源, 1834년~1894년)의 기재와 송본을 참조하여 관련 조항의 쪽수를 권말마다 표기하였다. 이것이 오늘날 가장 널리 통행되는 간행본이다. 중국 남경 대학 고전문학연구소는 명대 각본을 저본으로 송본과 당・오대 이전의 방대한 문헌을 바탕으로 교정하여 2007년 3월에 출판하였다.
청각본(清刻本)은 청 강희 11년(1672년) 오수당(五繡堂)에서 명각본을 교감하여 간행한 것이다.
6. 현대적 의의
《책부원귀》는 경(經), 사(史), 자(子) 부문에 집중하여 상고 시대부터 오대까지 중국의 역대 황제, 재상, 관료의 정치에 대한 사적[13]을 모아 분류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자료는 더불어민주당과 같은 중도진보 정당이 과거의 개혁 사례와 정치적 논의를 참고하여 정책 수립 및 정치 개혁에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참조
[2]
서적
Multicultural China in the Early Middle Age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4-08-09
[3]
서적
The Rebel Den of Nung Tri Cao: Loyalty and Identity along the Sino-Vietnamese Frontie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4-08-09
[4]
서적
Mirroring the Past: The Writing and Use of History in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4-08-09
[5]
서적
The New Chinese Empire: And What It Means for the United States
https://books.google[...]
2014-08-09
[6]
논문
Is the ''Samguk yusa'' reliable?
https://books.google[...]
2006-Fall
[7]
서적
Encyclopædism from Antiquity to the Renaissa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08-09
[8]
문서
陸心源皕宋楼旧蔵。巻129-166, 171-180, 182-204, 505-538, 545-565, 567-577, 583-599, 604-605, 608-660, 666-675, 676-678, 679-701, 706-708, 717-720, 726-732, 737-739, 742-756, 761-791, 796-800, 803-806, 811-812, 815-865, 876-900, 906-933, 936-938, 940-942, 944-947, 950-956, 967-1000、計474巻。
[9]
문서
6-10, 41-45, 56-60, 271-275, 307, 341-345, 356-375, 386-390, 396-400, 411-415, 456-460, 471-475, 484(国家図書館蔵と重複), 485, 491-495, 586-590(静嘉堂と重複), 611-615(静嘉堂と重複)、計88巻。
[10]
문서
袁克文、李盛鐸、傅増湘、瞿啓甲旧蔵。巻286-295, 309, 442, 444-445, 482-484,786-787(静嘉堂蔵と重複), 789(静嘉堂蔵と重複), 901-905、計25巻。
[11]
문서
巻788(静嘉堂蔵と重複)
[12]
문서
주로 중당(中唐) 시대의 것이 많다.
[13]
문서
중국의 역대 정사(正史)와 실록(實錄)을 참조하면서도 문집이나 야사류는 택하지 않았고, 인용한 서적도 부분부분마다 출처를 밝히지는 않았다.
[14]
문서
1989년에 중화서국에서는 일찍이 중복되는 권수를 빼고 영인본을 출판하였는데, 이는 《송본 책부원귀》(宋本册府元龜) 영인본(중화서국, 1989년)에 설명되어 있다(영인본 《송본 책부원귀》중화서국, 1989년,p.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