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오대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오대사는 송나라가 오대 시대의 역사를 정리하고 송 왕조의 정통성을 확립하기 위해 편찬한 역사서이다. 설거정 등이 주도하여 편찬되었으며, 후량, 후당, 후진, 후한, 후주의 역사를 각각 양서, 당서, 진서, 한서, 주서로 구성하였다. 또한, 열전과 지(志)를 통해 다양한 인물과 제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구오대사는 오대 시대 연구의 중요한 사료로, 특히 고려, 발해, 신라 등 한반도 국가에 대한 기록을 포함하여 한국사 연구에도 가치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세기 역사책 - 구당서
    구당서는 기전체 역사서로 당나라의 역사를 기록하며, 황제 연대기인 본기, 제도와 문화를 다룬 지, 다양한 인물 전기와 주변국 정보를 제공하는 열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 10세기 역사책 - 오대회요
  • 송나라의 문학 - 자치통감
    사마광이 편찬한 《자치통감》은 기원전 403년부터 959년까지 1362년간의 중국 역사를 연대순으로 기록한 294권의 방대한 편년체 역사서로, 통치자들의 흥망성쇠를 통해 정치적 교훈을 제시하고 다양한 시각과 사마광의 역사관을 담아 송대 이후 역사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송나라의 문학 - 전기소설
    전기소설은 당나라 시대 중국에서 발생한 소설 유형으로, 괴이하고 초자연적인 이야기부터 현실적인 이야기까지 다루며, 당나라 초기에 지괴소설에서 발전하여 중당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고 송대 이후 쇠퇴했으나 후대 문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 이십사사 - 삼국지
    진수가 쓴 《삼국지》는 위, 촉, 오 삼국의 역사를 기록한 기전체 역사서로, 위지, 촉지, 오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대에 《삼국지연의》에 영향을 주고 동아시아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쓰인다.
  • 이십사사 - 명사 (역사서)
    명사(明史)는 청나라가 편찬한 명나라의 역사서로, 명나라 황제, 제도, 인물들의 기록을 담고 있으며, 자료적 가치가 높지만 명나라에 대한 부정적 묘사 및 역사 왜곡 가능성도 제기된다.
구오대사
개요
제목_원어중국어 간체: 旧五代史
중국어 정체: 舊五代史
로마자 표기Jiù Wǔdài Shǐ
기타 명칭양오대사 (梁五代史)
성격역사서
시대오대
언어한문
국가
장르기전체 역사서
저자
저자설거정
출판
출판년도974년
구성
권수150권
관련 정보
수록 위치이십사사
관련 문서신오대사

2. 편찬 배경 및 목적

송나라 건국 후, 오대의 혼란을 극복하고 새로운 통일 왕조 건설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구오대사》가 편찬되었다. 송 태조는 오대 각국의 실록(實錄)을 바탕으로 새로운 역사서를 편찬할 것을 명하였고, 설거정 등이 이를 주도하였다.[8] 송나라는 편찬 과정에서 오대 왕조의 정통성을 계승하였음을 강조하고, 천명 사상에 따라 송나라의 건국이 필연적이었음을 주장하였다.

설거정은 다섯 왕조 각각이 중국의 전통적인 심장부를 지배했고, 남쪽의 어떤 왕국보다 훨씬 더 넓은 영토를 보유했기 때문에, 천명이 자연스럽게 이 왕조들을 통해 흘러갔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오대(五代)를 거쳐 왕조에서 송 왕조로 이어지는 천명의 경로를 확립하는 과정에서 몇 가지 문제에 직면해야 했다.


  • 첫 번째 문제는 오대 중 첫 번째 왕조인 후량이 자행한 잔혹함이었다. 주전충의 잔혹함은 지도자가 인(仁)으로 다스려야 한다는 요건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이 왕조를 천명에서 제외시키기를 원하게 만들었다.
  • 또 다른 문제는 후당, 후진, 후한 세 왕조와 관련이 있었다. 이들 왕조는 모두 한족이 통치하는 왕조가 아니라 사타족이 이끌었다.
  • 마지막 주요 난관은 중국 전체를 통치할 수 있는 능력과 관련이 있었다. 이들 다섯 왕조는 모두 당시 다른 중국 국가들보다 더 넓은 영토를 차지했지만, 그 중 어느 왕조도 남부 왕국을 정복하고 전체 영토를 통일할 현실적인 기회를 갖지 못했다.

3. 구성

쉐수정(薛守正)의 저서는 907년부터 960년까지 중국 북부 대부분을 통치했던 오대(五代)에 대한 귀중한 역사 정보를 제공하며, 오늘날 역사가들이 이 중국사 시기에 대해 알고 있는 내용의 많은 부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1]

그러나 이 책은 역대 왕조를 위해 역사의 사실을 왜곡하는 것을 포함하여 천명(天命) 주장을 강화하기 위해 공식 역사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는 통치 주장을 정당화하기 위해 역사를 왜곡한 최초의 사례는 아니었지만(중국 내외 모두), 이 저서는 중국 역사에서 이러한 경향을 강화했다.[1]

또한, 이 책은 외국 왕조를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는 다음 천 년 동안 중국의 운명을 대부분 지배할 정복 왕조에 대한 정당성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1]

3. 1. 개요

《구오대사》는 총 150권으로, 본기(本紀) 61권, 열전(列傳) 77권, 지(志) 12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쉐수정(薛守正)의 저서는 907년부터 960년까지 중국 북부 대부분을 통치했던 오대(五代)에 대한 귀중한 역사 정보를 제공하며, 오늘날 역사가들이 이 중국사 시기에 대해 알고 있는 내용의 많은 부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1]

그러나 이 책은 역대 왕조를 위해 역사의 사실을 왜곡하는 것을 포함하여 천명(天命) 주장을 강화하기 위해 공식 역사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는 통치 주장을 정당화하기 위해 역사를 왜곡한 최초의 사례는 아니었지만(중국 내외 모두), 이 저서는 중국 역사에서 이러한 경향을 강화했다.[1]

또한, 이 책은 외국 왕조를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는 다음 천 년 동안 중국의 운명을 대부분 지배할 정복 왕조에 대한 정당성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1]

3. 2. 양서(梁書)

《구오대사》의 〈양서(梁書)〉는 오대십국시대 후량의 역사를 다룬다. 본기(本紀)와 열전(列傳)으로 구성되어 있다.

  • 본기(本紀): 주전충주우정의 재위 기간 동안의 주요 사건을 다룬다.
  • 열전(列傳): 주전충의 부인, 주전충을 도와 후량을 건국한 인물, 후량 멸망에 관련된 인물들의 이야기가 실려있다.

3. 2. 1. 본기(本紀)

本紀중국어는 후량의 역사를 기록한 부분이다. 여기에는 주전충주우정의 재위 기간 동안의 주요 사건들이 기록되어 있다.

제목황제시기(음력)비고
권1양서1태조 주황880년 12월 ~ 897년 12월
( 광명 원년 ~ 건녕 4년)
rowspan="7" |
권2양서2태조 주황898년 1월 ~ 906년 12월
(당 건녕 5년 ~ 당 천우 3년)
권3양서3태조 주황907년 1월 ~ 907년 12월
(당 천우 4년 ~ 개평 원년)
권4양서4태조 주황908년 1월 ~ 909년 윤 8월
( 개평 2년 ~ 개평 3년)
권5양서5태조 주황909년 9월 ~ 910년 9월
( 개평 3년 ~ 개평 4년)
권6양서6태조 주황910년 10월 ~ 911년 12월
( 개평 4년 ~ 건화 원년)
권7양서7태조 주황912년 1월 ~ 912년 6월
(건화 2년)
권8양서8영왕 주우규
말제 주우정
912년 6월 ~ 916년 12월
(건화 2년 ~ 정명 2년)
rowspan="3" |
권9양서9말제 주우정917년 1월 ~ 919년 12월
(정명 3년 ~ 정명 5년)
권10양서10말제 주우정920년 1월 ~ 923년 10월
(정명 6년 ~ 용덕 3년)


3. 2. 2. 열전(列傳)

주전충의 부인 장씨(元貞張皇后), 주우정의 아버지 주전충을 도와 후량을 건국한 인물들, 그리고 후량의 멸망에 관련된 인물들의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

  • '''후비'''
  • * 문혜황후 왕씨(文惠王太后)
  • * 원정황후 장씨(元貞張皇后)
  • * 덕비 장씨(德妃 張氏)
  • '''종실'''
  • * 광왕(廣王) 주전욱
  • * 형왕(衡王) 주우량
  • * 혜왕(惠王) 주우능
  • * 소왕(邵王) 주우회
  • * 안왕(安王) 주우녕
  • * 밀왕(密王) 주우륜
  • * 침왕(郴王) 주유유
  • * 전왕(傳王) 주우문
  • * 영왕(郢王) 주우규
  • * 복왕(福王) 주우장
  • * 하왕(賀王) 주우옹
  • * 건왕(建王) 주우휘
  • * 강왕(康王) 주우경
  • '''기타 인물'''

인물비고
주선
주진
시부
왕사범
유지준
양숭본
강인(姜寅), 장만진(張萬進)
나소위
조주(趙犨)
왕가(王珂)
한건
이한지
풍행습(馮行襲)
손덕소(孫德昭)
조극유(趙克裕)
장신사(張愼思)
갈종주
사언장(謝彦章)
호진(胡眞)
장귀패(張歸霸)
장귀후(張歸厚)
장귀변(張歸弁)
성예(成汭)
두홍(杜洪)
전군(田頵)
조광응(趙匡凝)
장길(張佶)
뇌만(雷滿)
장문위
설이구(薛貽矩)
장책(張策)
두효(杜曉)
경상
이진(李振)
씨숙종(氏叔琮)
주우공(朱友恭)
왕중사(王重師)
주진
이사안(李思安)
등계균(鄧季筠)
황문정(黃文靖)
호규(胡規)
이당(李讜)
사동(謝瞳)
사마업(司馬鄴)
유한(劉捍)
왕경효(王敬蕘)
고초(高劭)
마사훈(馬嗣勳)
장존경(張存敬)
구언경(寇彦卿)
방사고
곽존(霍存)
부도조(符道詔)
서회옥(徐懷玉)
곽언(郭言)
이당빈(李唐賓)
왕건유(王虔裕)
유강예(劉康乂)
왕언장
하덕륜(賀德倫)
양사후
우존절(牛存節)
왕단(王檀)
유심(劉鄩)
하괴(賀瑰)
강회영(康懷英)
왕경인(王景仁)
이정(李珽)
노증(盧曾)
손즐(孫騭)
장준(張俊)
장연(張衍)
두순학
나은
구은(仇殷)
단심(段深)


3. 3. 당서(唐書)

《구오대사》의 당서(唐書)는 후당의 역사를 다루는 부분이다. 후당은 이존욱이 건국한 왕조로, 오대십국시대의 혼란기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3. 3. 1. 본기(本紀)

구오대사 본기(本紀) 목록


3. 3. 2. 열전(列傳)

列傳중국어은 후비, 종실, 주요 신하들의 전기를 수록한 부분이다.

  • 권49 (당서25): 정간조태후, 유태비, 위국부인 진씨, 신민유황후, 한숙비, 이덕비, 소의하황후, 화무조황후, 선헌위태후, 공황후, 유황후 등 후비들의 전기가 실려있다.
  • 권50 (당서26) ~ 권51 (당서27): 이극양, 이극수, 이극공, 이극녕, 영왕 존패, 옹왕 존미, 설왕 존례, 신왕 존악, 목왕 존예, 통왕 존학, 위왕 계급, 이종경, 진왕 종영, 이종찬, 허왕 종익, 이중길, 옹왕 중미 등 종실 인물들의 전기가 수록되어 있다.
  • 권52 (당서28) ~ 권74 (당서50): 이사소, 배약, 이사본, 이사은, 이존신, 이존효, 이존진, 이존장, 이존현, 왕용, 왕소해, 왕처진, 강군위, 설지근, 사건당, 이승사, 사엄, 개우, 이광, 이승훈, 사경용, 주덕위, 부존심, 곽숭도, 조광봉, 정각, 최협, 이기, 소정, 정회, 염보, 부습, 조진, 왕찬, 원상선, 장온, 이소문, 이습길, 왕함, 이경의, 노여필, 이덕휴, 소순, 이금전, 안원신, 안중패, 유훈, 장경순, 유언종, 원건풍, 서방업, 장존해, 손장, 맹방위, 장문례, 동장, 장전의, 주우겸, 곽언위, 왕안구, 대사원, 주한빈, 공경, 유기, 주지유, 이건급, 석군위, 고행규, 장연유, 왕사동, 색자통, 안중해, 석홍조, 주홍실, 강의성, 약언조, 송영순, 두로혁, 위설, 노정, 조봉, 이우, 임원, 설연규, 최근, 유악, 봉순향, 두몽휘, 이보단, 귀애, 공막, 장문보, 진애, 유찬, 장헌, 왕정신, 호장, 최이손, 맹학, 손악, 장연랑, 유연호, 유연랑, 원행흠, 하노기, 요홍, 이엄, 이인구, 강사위, 장경달, 마욱, 사공정, 조연은, 소희보, 약종지, 가복, 마고, 나관, 순우안, 장객, 허적, 주현표, 장승업, 장거한, 마소굉, 맹한경, 모장, 섭서, 온도, 단응, 공염, 이업, 강연효, 주수단, 양립, 두연완, 장건소, 양언온 등 주요 신하들의 전기가 담겨 있다. 특히 이존욱을 도와 후당을 건국한 인물들과 후당의 멸망에 관련된 인물들의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다.
  • 권75 (진서1) ~ 권85 (진서11): 고조 석경당소제 석중귀 시대의 주요 신하들의 전기가 수록되어 있다.
  • 권104 (한서 후비 열전 1) ~ 권109 (한서 열전 6): 유지원의 후비, 황족 및 유진우 시대 주요 신하들의 전기가 수록되어 있다.
  • 권132 (세습 계승자 열전 1) ~ 권133 (세습 계승자 열전 2): 이모진, 고완흥, 한순, 이인부, 고계흥, 마인, 유암, 전류 등 세습 계승자들의 전기가 수록되어 있다.
  • 권134 (절외(불법 독립 왕국) 열전 1) ~ 권136 (절외 열전 3): 양행미, 이변, 왕심지, 유수광, 유지, 유숭, 왕건, 맹지상 등 불법적으로 독립한 왕국 통치자들의 전기가 수록되어 있다.
  • 권137 (외국 열전 1) ~ 권138 (외국 열전 2): 거란, 토번, 위구르 카간국, 고려, 발해말갈, 흑수말갈, 신라, 당항, 곤명족, 호탄, 호탄국, 장가만 등 외국에 대한 기록이 수록되어 있다.

3. 4. 진서(晉書)

진서(晉書)》는 후진의 역사를 다루고 있으며, 본기(本紀), 열전(列傳), 지(志)로 구성되어 있다.

본기(本紀)는 석경당석중귀의 재위 기간 동안의 주요 사건을 다룬다.

열전(列傳)은 후비, 종실, 그리고 여러 신하들의 전기를 담고 있다.

지는 천문, 역법, 오행, 예악, 음악, 음식과 운송, 형법, 선거, 직관, 군 및 현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지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 권139 천문지
  • 권140 역법지
  • 권141 오행지
  • 권142 예악지 1
  • 권143 예악지 2
  • 권144 음악지
  • 권145 음악지
  • 권146 음식과 운송지
  • 권147 형법지
  • 권148 선거지
  • 권149 직관지
  • 권150 및 현지

3. 4. 1. 본기(本紀)

석경당석중귀 재위 기간 동안의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부제목록비고
권86진서12이황후(李皇后), 안태비(安太妃), 장황후(張皇后), 마황후(馬皇后)
권87진서13광왕 경위(廣王 敬威), 한왕 운(韓王 惲), 초왕 중신(楚王 重信), 수왕 중애(壽王 重乂)
권88진서14경연광(景延廣), 이언도(李彦韜), 장희숭(張希崇), 왕정윤(王庭胤), 사광한(史匡翰), 양한옹(梁漢顒), 양사권(楊思權), 윤휘(尹暉), 이종장(李從璋), 이종온(李從溫), 장만진(張萬進)
권89진서15상유한(桑維翰), 조형(趙瑩), 유구(劉昫), 풍옥(馮玉), 은붕(殷鵬)
권90진서16조재례(趙在禮), 마전절(馬全節), 장균(張筠), 화온기(華溫琪), 안숭완(安崇阮), 양언순(楊彦詢), 이승약(李承約), 육사탁(陸思鐸), 안원신(安元信), 장랑(張朗), 이덕충(李德珫), 전무(田武), 이승복(李承福), 상리금(相里金)
권91진서17방지온(房知溫), 왕건립(王建立), 강복(康福), 안언위(安彦威), 이주(李周), 장종훈(張從訓), 이계충(李繼忠), 이경(李頃), 주광보(周光輔), 부언요(符彦饒), 나주경(羅周敬), 정종(鄭琮)
권92진서18요의(姚顗), 여기(呂琦), 양문규(梁文矩), 사규(史圭), 배호(裴皞), 오승범(吳承範), 노도(盧導), 정도광(鄭韜光), 왕권(王權), 한운(韓惲), 이역(李懌)
권93진서19노질(盧質), 이전미(李專美), 노첨(盧詹), 최탈(崔梲), 설융(薛融), 조국진(曹國珍), 장인원(張仁愿), 조희(趙熙), 이하(李遐), 윤옥우(尹玉羽), 정운수(鄭雲叟)
권94진서20장종간(萇從簡), 반환(潘環), 방태(方太), 하건(何建), 장정온(張廷蘊), 곽연로(郭延魯), 곽금해(郭金海), 유처양(劉處讓), 이경(李瓊), 고한균(高漢筠), 손언도(孫彦韜), 왕부증(王傅拯), 비경(祕瓊), 이언(李彦)
권95진서21황보 우(皇甫 遇), 왕청(王淸), 양한장(梁漢璋), 백봉진(白奉進), 노순필(盧順密), 주환(周環), 심윤(沈贇), 오만(吳巒), 적장(翟璋), 정복윤(程福贇), 곽린(郭璘)
권96진서22공숭필(孔崇弼), 진보극(陳保極), 왕유(王瑜), 장계조(張繼祚), 정완(鄭阮), 호요(胡饒), 유수청(劉遂淸), 방고(房暠), 맹승회(孟承誨), 유계훈(劉繼勳), 정수익(鄭受益), 정손(程遜), 이욱(李郁), 정현소(鄭玄素), 마중적(馬重績), 진현(陳玄)
권97진서23범연광(范延光), 장종빈(張從賓), 장연파(張延播), 양광원(楊光遠), 여문진(廬文進), 이금전(李金全)
권98진서24안중영(安重榮), 안종진(安從進), 장언택(張彦澤), 조덕균(趙德鈞), 장려(張礪), 소한(蕭翰), 유희(劉晞), 최정훈(崔廷勳)


3. 4. 2. 열전(列傳)

列傳|열전중국어은 후비, 종실, 주요 신하들의 전기를 수록하였다.

부제목록비고
진서12이황후, 안태비, 장황후, 마황후
진서13광왕 경위, 한왕 운, 초왕 중신, 수왕 중애
진서14경연광, 이언도, 장희숭, 왕정윤, 사광한, 양한옹, 양사권, 윤휘, 이종장, 이종온, 장만진
진서15상유한, 조형, 유구, 풍옥, 은붕
진서16조재례, 마전절, 장균, 화온기, 안숭완, 양언순, 이승약, 육사탁, 안원신, 장랑, 이덕충, 전무, 이승복, 상리금
진서17방지온, 왕건립, 강복, 안언위, 이주, 장종훈, 이계충, 이경, 주광보, 부언요, 나주경, 정종
진서18요의, 여기, 양문규, 사규, 배호, 오승범, 노도, 정도광, 왕권, 한운, 이역
진서19노질, 이전미, 노첨, 최탈, 설융, 조국진, 장인원, 조희, 이하, 윤옥우, 정운수
진서20장종간, 반환, 방태, 하건, 장정온, 곽연로, 곽금해, 유처양, 이경, 고한균, 손언도, 왕부증, 비경, 이언
진서21황보우, 왕청, 양한장, 백봉진, 노순필, 주환, 심윤, 오만, 적장, 정복윤, 곽린
진서22공숭필, 진보극, 왕유, 장계조, 정완, 호요, 유수청, 방고, 맹승회, 유계훈, 정수익, 정손, 이욱, 정현소, 마중적, 진현
진서23범연광, 장종빈, 장연파, 양광원, 여문진, 이금전
진서24안중영, 안종진, 장언택, 조덕균, 장려, 소한, 유희, 최정훈


3. 5. 한서(漢書)

《구오대사》 중 〈한서(漢書)〉는 후한(後漢)의 역사를 다루고 있으며, 황후와 비(妃)들의 이야기, 황실 종친, 그리고 여러 신하의 전기(列傳)를 담고 있다.

부제목록
[한서6] 후비(后妃)이황후(李皇后)
[한서7] 종실(宗室)위왕 승훈(魏王 承訓), 진왕 승훈(陳王 承勳), 채왕 신(蔡王 信), 상음공 운(上陰公 贇)
[한서8]왕주(王周), 유심문(劉審交), 무한구(武漢球), 장관(張瓘), 이은(李殷), 유재명(劉在明), 마한(馬萬), 이언종(李彦從), 곽근(郭謹), 황보립(皇甫立), 백재영(白再榮), 장붕(張鵬)
[한서9]사홍조(史弘肇), 양분(楊邠), 왕장(王章), 이홍건(李洪建), 염진향(閻晉卿), 섭문진(聶文進), 후찬(後贊), 곽윤명(郭允明), 유수(劉銖)
[한서10]이숭(李崧), 소봉길(蘇逢吉), 이린(李鏻), 용민(龍敏), 유정(劉鼎), 장윤(張允), 임연호(任延皓)
[한서11]두중위(杜重威), 이수정(李守貞), 조사관(趙思綰)


3. 5. 1. 본기(本紀)

유지원과 유승우의 재위 기간 동안의 주요 사건을 기록한 내용이다.

부제목록
[권104]한서6후비(后妃)이황후(李皇后)
[권105]한서7종실(宗室)위왕 승훈(魏王 承訓), 진왕 승훈(陳王 承勳), 채왕 신(蔡王 信), 상음공 운(上陰公 贇)
[권106]한서8왕주(王周), 유심문(劉審交), 무한구(武漢球), 장관(張瓘), 이은(李殷), 유재명(劉在明), 마한(馬萬), 이언종(李彦從), 곽근(郭謹), 황보립(皇甫立), 백재영(白再榮), 장붕(張鵬)
[권107]한서9사홍조(史弘肇), 양분(楊邠), 왕장(王章), 이홍건(李洪建), 염진향(閻晉卿), 섭문진(聶文進), 후찬(後贊), 곽윤명(郭允明), 유수(劉銖)
[권108]한서10이숭(李崧), 소봉길(蘇逢吉), 이린(李鏻), 용민(龍敏), 유정(劉鼎), 장윤(張允), 임연호(任延皓)
[권109]한서11두중위(杜重威), 이수정(李守貞), 조사관(趙思綰)


3. 5. 2. 열전(列傳)

부제목록
후비(后妃)이황후(李皇后)
종실(宗室)위왕 승훈(魏王 承訓), 진왕 승훈(陳王 承勳), 채왕 신(蔡王 信), 상음공 운(上陰公 贇)
왕주(王周), 유심문(劉審交), 무한구(武漢球), 장관(張瓘), 이은(李殷), 유재명(劉在明), 마한(馬萬), 이언종(李彦從), 곽근(郭謹), 황보 립(皇甫立), 백재영(白再榮), 장붕(張鵬)
사홍조(史弘肇), 양분(楊邠), 왕장(王章), 이홍건(李洪建), 염진향(閻晉卿), 섭문진(聶文進), 후찬(後贊), 곽윤명(郭允明), 유수(劉銖)
이숭(李崧), 소봉길(蘇逢吉), 이린(李鏻), 용민(龍敏), 유정(劉鼎), 장윤(張允), 임연호(任延皓)
두중위(杜重威), 이수정(李守貞), 조사관(趙思綰)


3. 6. 주서(周書)

wikitext

《구오대사》의 주서(周書)는 후주의 역사를 다룬다.

부제목록
권121후비(后妃)성목시황후(聖穆柴皇后), 양숙비(楊淑妃), 장귀비(張貴妃), 동덕비(董德妃), 정혜유황후(貞惠劉皇后), 선의부황후(宣懿苻皇后)
권122종실(宗室)섬왕 곽동(剡王 郭侗), 기왕 곽신(杞王 郭信), 월왕 시종의(越王 柴宗誼), 조왕 시종양(曹王 柴宗讓), 기왕 시희근(紀王 柴熙謹), 기왕 시희회(蘄王 柴熙誨)
권123고행주(高行周), 안심기(安審琦), 안심휘(安審暉), 안심신(安審信), 이종민(李從敏), 정인회(鄭仁誨), 장언성(張彦成), 안숙천(安叔千), 송언균(宋彦筠)
권124왕은(王殷), 하복진(何福進), 유사(劉詞), 왕진(王進), 사언초(史彦超), 사의(史懿), 왕영온(王令溫), 주밀(周密), 이회충(李懷忠), 백문가(白文珂), 백연우(白延遇), 당경사(唐景思)
권125조휘(趙暉), 왕수은(王守恩), 공지준(孔知濬), 왕계홍(王繼弘), 풍휘(馮暉), 고윤권(高允權), 절종완(折從阮), 왕요(王饒), 손방간(孫方諫)
권126풍도
권127노문기(盧文紀), 마예손(馬裔孫), 화응(和凝), 소우규(蘇禹珪), 경범(景範)
권128왕박(王朴), 양응식(楊凝式), 설인겸(薛仁謙), 소원(蕭愿), 노손(盧損), 왕인유(王仁裕), 배우(裴羽), 단희요(段希堯), 사도후(司徒詡), 변울(邊蔚), 왕민(王敏)
권129상사(常思), 적광업(翟光鄴), 조영(曹英), 이언군(李彦頵), 이휘(李暉), 이건숭(李建崇), 왕중예(王重裔), 손한영(孫漢英), 허천(許遷), 조봉(趙鳳), 제장진(齊藏珍), 왕환(王環), 장언초(張言超), 장영(張穎), 유인섬(劉仁贍)
권130왕준(王峻), 모용언초(慕容彦超), 염홍로(閻弘魯), 최주도(崔周度)
권131유호(劉皞), 장항(張沆), 장가복(張可復), 우덕진(于德辰), 왕연(王延), 신문병(申文炳), 호재(扈載), 유곤(劉袞), 가위(賈緯), 조연의(趙延義), 심구(沈遘), 이지손(李知損), 손성(孫晟)



풍도는 여러 왕조를 섬겼던 인물로, 그의 전기는 오대 시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3. 6. 1. 본기(本紀)

주어진 요약은 곽위, 시영, 시종훈의 재위 기간 동안의 주요 사건을 기록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제공된 원문 소스(source)는 '주서'의 목록으로, 각 권(卷)에 어떤 인물들이 포함되어 있는지 나열할 뿐, 구체적인 사건 내용은 포함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주어진 자료만으로는 요약에서 요구하는 내용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이전 출력 결과와 동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

요약에 해당하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3. 6. 2. 열전(列傳)

부제목록
권121후비(后妃)성목시황후(聖穆柴皇后), 양숙비(楊淑妃), 장귀비(張貴妃), 동덕비(董德妃), 정혜유황후(貞惠劉皇后), 선의부황후(宣懿苻皇后)
권122종실(宗室)섬왕 곽동(剡王 郭侗), 기왕 곽신(杞王 郭信), 월왕 시종의(越王 柴宗誼), 조왕 시종양(曹王 柴宗讓), 기왕 시희근(紀王 柴熙謹), 기왕 시희회(蘄王 柴熙誨)
권123고행주(高行周), 안심기(安審琦), 안심휘(安審暉), 안심신(安審信), 이종민(李從敏), 정인회(鄭仁誨), 장언성(張彦成), 안숙천(安叔千), 송언균(宋彦筠)
권124왕은(王殷), 하복진(何福進), 유사(劉詞), 왕진(王進), 사언초(史彦超), 사의(史懿), 왕영온(王令溫), 주밀(周密), 이회충(李懷忠), 백문가(白文珂), 백연우(白延遇), 당경사(唐景思)
권125조휘(趙暉), 왕수은(王守恩), 공지준(孔知濬), 왕계홍(王繼弘), 풍휘(馮暉), 고윤권(高允權), 절종완(折從阮), 왕요(王饒), 손방간(孫方諫)
권126풍도
권127노문기(盧文紀), 마예손(馬裔孫), 화응(和凝), 소우규(蘇禹珪), 경범(景範)
권128왕박(王朴), 양응식(楊凝式), 설인겸(薛仁謙), 소원(蕭愿), 노손(盧損), 왕인유(王仁裕), 배우(裴羽), 단희요(段希堯), 사도후(司徒詡), 변울(邊蔚), 왕민(王敏)
권129상사(常思), 적광업(翟光鄴), 조영(曹英), 이언군(李彦頵), 이휘(李暉), 이건숭(李建崇), 왕중예(王重裔), 손한영(孫漢英), 허천(許遷), 조봉(趙鳳), 제장진(齊藏珍), 왕환(王環), 장언초(張言超), 장영(張穎), 유인섬(劉仁贍)
권130왕준(王峻), 모용 언초(慕容 彦超), 염홍로(閻弘魯), 최주도(崔周度)
권131유호(劉皞), 장항(張沆), 장가복(張可復), 우덕진(于德辰), 왕연(王延), 신문병(申文炳), 호재(扈載), 유곤(劉袞), 가위(賈緯), 조연의(趙延義), 심구(沈遘), 이지손(李知損), 손성(孫晟)



풍도는 여러 왕조를 섬겼던 인물로, 그의 전기는 오대 시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3. 7. 열전(列傳) (통합)

wikitext

###부제목록비고
권132열전1세습(世襲) 1이무정(李茂貞), 고만흥(高萬興), 한손(韓遜), 이인복(李仁福)
권133열전2세습(世襲) 2고계흥(高季興), 마은(馬殷), 유언(劉言), 전류(錢鏐)
권134열전3참위(僭僞) 1양행밀(楊行密), 이변(李昪), 왕심지(王審知)
권135열전4참위(僭僞) 2유수광(劉守光), 유척(劉陟), 유숭(劉崇)
권136열전5참위(僭僞) 3왕건(王建), 맹지상(孟知祥)
권137열전6외국(外國) 1거란(契丹)
권138열전7외국(外國) 2토번(吐蕃), 위구르(回鶻), 고려(高麗), 발해(渤海靺鞨), 흑수말갈(黑水靺鞨), 신라(新羅), 탕구트(党項), 쿤밍(昆明部落), 호탄(于闐), 점성(占城), 장가만(牂牁蠻)


3. 8. 지(志)

는 국가 운영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를 다룬다. 여기에는 천문(天文), 역(曆), 오행(五行), 예(禮), 악(樂), 식화(食貨), 형법(刑法), 선거(選擧), 직관(職官), 군현(郡縣) 등이 포함된다.

제목비고
지1천문(天文)
지2역(曆)
지3오행(五行)
지4예(禮) 上
지5예(禮) 下
지6악(樂) 上
지7악(樂) 下
지8식화(食貨)
지9형법(刑法)
지10선거(選擧)
지11직관(職官)
지12군현(郡縣)


4. 특징 및 사료적 가치

《구오대사》는 오대 각국의 실록(實錄) 등을 바탕으로 편찬되어 사실주의에 입각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사료적 가치도 높게 평가받는다.[8] 사마광의 《자치통감》 편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었고, 오대 시대 연구의 기본 사료로 인정받고 있다.

《구오대사》에는 '외국전'이 처음으로 등장하는데,[7] 여기에는 고려, 발해, 신라 등 한반도 국가에 대한 기록이 있어, 당시 한국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그러나 송나라의 정통성을 강조하기 위해 일부 사실을 윤색하거나 왜곡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설거정(薛居正)은 오대의 계승을 통해 송나라의 천명(天命)에 대한 주장을 확립하고자 하였으며, 오대(五代)를 거쳐 당(唐) 왕조에서 송(宋) 왕조로 이어지는 천명(天命)의 경로를 확립하는 과정에서 몇 가지 문제에 직면해야 했다. 그중에는 주전충(朱溫)의 잔혹함, 후당(後唐)과 후진(後晉), 후한(後漢)이 한족이 아닌 사타족이 이끌었다는 점, 그리고 이들 왕조가 중국 전체를 통일하지 못했다는 점 등이 있었다. 이러한 점은 역사가들에 의해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5. 현대적 의의 및 영향

《'''구오대사'''》는 오대 시대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를 제공하며, 동아시아 역사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이 책은 후대 역사서 편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신오대사》와 비교 연구되면서 오대 시대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기여하였다.[8]

쉐거정의 저서는 907년부터 960년까지 중국 북부 대부분을 통치했던 오대(五代)에 대한 귀중한 역사 정보를 제공하며, 오늘날 역사가들이 이 중국사 시기에 대해 알고 있는 내용의 많은 부분을 의존하고 있다.

이 책은 외국 왕조를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는 다음 천 년 동안 중국의 운명을 대부분 지배할 정복 왕조에 대한 정당성을 확립했다. 또한 역대 왕조를 위해 역사의 사실을 왜곡하는 것을 포함하여 천명(天命) 주장을 강화하기 위해 공식 역사를 활용한다는 점도 이 책의 유산이다. 이는 통치 주장을 정당화하기 위해 역사를 왜곡한 최초의 사례는 아니었지만, 이 저서는 중국 역사에서 이러한 경향을 강화했다.

참조

[1] 서적 中国の歴史8 疾駆する草原の征服者 講談社 2005
[2] 웹인용 오대사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2017-05-02
[3] 서적 중국역사박물관 6 오대십국.북송.남송 http://book.naver.co[...] 범우사 2004-07-06
[4] 웹인용 사학과 영락대전의 편찬 https://terms.naver.[...] 2017-05-02
[5] 뉴스 선택의 해 고전을 만나다 <15> 진보의 얼굴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12-05-08
[6] 서적 한권으로 읽는 고구려왕조실록 http://book.naver.co[...] 범우사 2004-11-18
[7] 뉴스 ‘중국 정사 외국전’ 2차분 6권 발간 https://news.naver.c[...] 문화일보 2010-04-22
[8] 웹인용 신오대사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2017-05-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