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천안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천안문은 베이징에 위치한 역사적인 건축물로, '하늘의 평안한 문'이라는 뜻을 지닌다. 명나라 시대에 처음 건설되었으며, 청나라 시대에 현재의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국가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마오쩌둥의 초상화가 걸려 있다. 1989년 톈안먼 사건과 같은 중요한 역사적 사건들의 무대가 되었으며, 2024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현재는 일반에 공개되어 관람이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변명 - 1989년 천안문 사건
    1989년 천안문 사건은 4월부터 6월 4일까지 베이징 천안문 광장에서 일어난 학생, 지식인, 노동자들의 민주화 요구 시위와 중국 정부의 강경 진압 과정으로, 정치 개혁, 언론 자유, 부패 척결 등의 요구가 있었으나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중국 현대사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는다.
  • 중국의 성문 - 정양문
    정양문은 명나라 영락제 시기에 건설된 베이징 내성의 남쪽 주요 성문으로, 웅장한 규모와 이중 옹성 구조를 가지며 베이징 남북 중심축에 위치하여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의화단 운동으로 파괴된 후 복원되어 현재는 관광지로 활용되고 있으며, 2024년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중국의 성문 - 중화문
    명나라 시대에 건설되어 중화민국 시대에 개명된 중화문은 난징 성벽의 일부로, 3개의 바르비칸과 4개의 아치형 문으로 연결된 독특한 구조를 가진 난징에서 가장 큰 규모의 문이자 문화 및 경관 명소이다.
천안문
지도
명칭
중국어 간체天安门
중국어 번체天安門
한어 병음Tiān'ānmén
웨이드-자일스Tʻien¹-an¹-mên²
민난어Thian-an-mn̂g
광둥어Tin1on1mun4
객가어Tīn'ōnmùhn
몽골어ᠠᠪᡣᠠᡳ ᡝᠯᡥᡝ ᠣᠪᡠᠷᡝ ᡩ᠋ᡠ᠋ᡴᠠ
만주어abkai elhe obure duka
의미천국의 평화의 문
영어Gate of Heavenly Peace
기본 정보
천안문
천안문
위치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완공1420년
용도베이징 황성 남문
좌표39°54′26.4″N 116°23′27.9″E
기타
로마자 표기법Tian'anmen

2. 이름

천안문의 만주어는 '하늘의 평안한 문'이라는 뜻이며, 한문으로는 '명을 따르고 하늘을 섬겨 나라를 평안하게 하고 백성을 다스린다'(受命于天, 安邦治民)는 뜻이다. 이것을 간략화한 것이 '천안'으로, 천안이라는 간략화한 말은 만주어와 중국어의 뜻 모두와 통한다. 덧붙여 옛날 자금성의 북쪽에 있는 경산 위쪽으로 지안문(地安門)이, 동서쪽에 각각 동안문과 서안문이 있었다. 이 때문에 천안문의 별명은 변명이라고도 한다.

천안문()의 중국어 이름은 "하늘", "평화", "문"을 의미하는 한자로 구성되어 있어, 일반적으로 "천안문(Gate of Heavenly Peace)"으로 번역된다. 그러나 이 번역은 다소 오해의 소지가 있는데, 중국어 이름은 "천명(天命)을 받들어 나라를 다스린다"()[3]에서 유래했기 때문이다. 만주어 번역인 ''Abkai elhe obure duka''는 천안문의 원래 의미에 더 가까우며, "천상의 평화 창조의 문(Gate of Heavenly Peacemaking)"으로 직역할 수 있다.[4] 천안문 북쪽에는 지안문(; 만주어: ''Na i elhe obure duka'')이라는 대응 건물이 있었는데, 이는 대략 "지상의 평화의 문(Gate of Earthly Peace)"으로 번역될 수 있다.

3. 역사

천안문은 명나라 영락제 시대인 1420년에 처음 지어졌으며, 당시 이름은 '승천문'(承天門)이었다. 1457년 낙뢰로 소실되었다가 1465년에 재건되었고, 1644년 이자성의 난으로 다시 파괴되었다. 현재의 천안문은 청나라 순치제 때인 1651년에 재건된 것으로, 이때 '천안문'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5]

'천안문'(天安門)이라는 이름은 '하늘의 평화의 문'으로 해석되기도 하지만, 만주어로는 "천명을 받들어 안정된 나라를 다스린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축약한 형태로 여겨진다.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에 천안문은 중요한 법령이나 명령을 발표하고, 출정하거나 개선하는 군대를 황제가 알현하는 장소로 사용되었다. 1949년 10월 1일에는 마오쩌둥이 이곳에서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을 선언하면서, 천안문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상징이 되었다.

1969년부터 1970년까지 천안문은 대대적인 개보수 작업을 거쳤다. 저우언라이 총리는 재건을 비밀로 할 것을 명령했고, 문 전체를 비계로 덮은 채 '보수 공사'라는 이름으로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지진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고, 엘리베이터, 상수도, 난방 시스템과 같은 현대 시설을 설치했다.[5]

2018년 6월부터는 성루 내부 침수, 벽화 균열, 노후 설비 교체 등을 위한 대규모 개수 공사가 시작되었고, 건국 70주년을 앞둔 2019년 5월 완료를 목표로 진행되었다.

천안문 부근 지도

3. 1.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

1420년 명나라 영락제자금성을 건설하면서 난징 황궁을 본떠 〈승천문〉(承天門)을 건설하였다. 이 문은 1457년 낙뢰로 소실되어 1465년 성화제가 재건을 명하였고, 이때 패방 형태에서 현재와 비슷한 거대한 성문 모습으로 바뀌었다.[5] 1644년 이자성의 북경 공격으로 명나라가 멸망하면서 함께 소실되었다.[5]

현재의 문은 청나라 순치제 8년(1651년)에 재건된 것으로, 이때 현재의 〈천안문〉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5] 이후 천안문은 청나라 기간 동안 황궁의 성문으로 쓰였으며, 천안문 맞은편 구역은 팔기의 일원인 양람기에서 관할하였다.

천안문은 1969년과 1970년에 걸쳐 대대적인 개보수 작업을 거쳤다. 저우언라이 총리는 천안문에 난방 기구, 엘리베이터, 수도관 등을 새롭게 설치하도록 하였고, 이 사실을 비밀에 부쳤다.[5]

3. 2. 중화민국 시대

1420년 명나라영락제가 자금성을 건설하면서 난징 황궁을 본따 <승천문>(承天門)을 건설하였다.[7] 이 문은 1457년 낙뢰로 소실되었다가 1465년에 재건되었는데, 이때 패방 형태에서 현재와 비슷한 거대한 성문 모습으로 바뀌었다.[7] 1644년 이자성의 공격으로 소실되었으나, 1651년 청나라 순치제 때 재건되면서 현재의 '천안문'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7]

천안문은 자금성 정면이라는 위치와 천안문 광장에서 일어난 역사적 사건들 때문에 중요한 정치적 의미를 지닌다. 1925년 중국 국민당 정부 통치 시기에는 쑨원(孫文)의 대형 초상화가 걸렸고, 1945년에는 항일전쟁 승리를 기념하여 장제스(蔣介石)의 초상화가 걸렸다.[7] 1949년 7월 7일에는 중일전쟁을 기념하여 주더(朱德)와 마오쩌둥(毛澤東)의 초상화가 걸렸다.[8]

1953년 스탈린 사망 후 걸린 요셉 스탈린의 초상화


2011년에는 중화민국 건국 100주년을 맞아 천안문 광장에 쑨원의 초상화를 걸자는 제안이 있었으나 거절되었다.[9]

3. 3. 중화인민공화국 시대

1420년 명나라 영락제 시대에 건설된 <승천문>(承天門)은 1644년 이자성의 북경 공격으로 소실되었다.[5] 현재의 문은 청나라 순치제 8년(1651년)에 재건된 것으로, 이때 현재의 '천안문'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천안문은 청나라 기간 동안 황궁의 성문으로 사용되었고, 맞은편 구역은 팔기의 일원인 양람기에서 관할했다.

1949년 10월 1일 마오쩌둥은 이 문 위에서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을 선언했고,[5] 이후 천안문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상징이 되었다.

1969년1970년 사이, 천안문은 노후화로 인해 대대적인 개보수 작업을 거쳤다.[5] 저우언라이 총리는 이 기회에 난방 기구, 엘리베이터, 수도관 등을 새롭게 설치하도록 지시했고, 이 사실은 비밀에 부쳐졌다.[5] 개보수 작업은 외관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지진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고 현대 시설을 설치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5]

2018년 6월부터 성루 내부 침수, 벽화 균열, 노후 설비 교체 등을 목적으로 대규모 개수 공사가 시작되었다. 이 공사는 건국 70주년을 앞둔 2019년 5월에 완료될 예정이었으며, 공사 기간 동안 관광객의 참관은 중단되었다.

3. 4. 톈안먼 사건

1989년 톈안먼 사건 당시 마오쩌둥(멀뚱) 초상화에 계란을 던져 훼손한 사건이 발생했다.[10] 이 사건으로 유동월(Yu Dongyue) 등 3명이 체포되었고, 유동월은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으나 17년 후인 2006년 보석으로 풀려났다.[11]

2007년 5월 12일 우루무치(Urumqi) 출신 35세 실업자가 마오쩌둥 초상화에 불을 붙여 약 15%가 손상되었고, 이후 수리되었다.[11]

2010년 4월 5일 한 시위자가 잉크를 던져 초상화 근처 벽을 맞혔고, 체포되었다.

4. 구조

천안문은 5개의 통로를 뚫은 성벽 위에 목조 누각을 지은 중국의 대표적인 성문 건축물이다. 지붕은 황금색 기와로 덮여 있으며, 잡상들이 위에 올라가 있다.

천안문의 화표


천안문(天安門) 주변을 장식하는 용과 봉황이 새겨진 화표(華表)


천안문 앞에는 두 개의 사자상이 세워져 있고, 다리에도 두 개의 사자상이 있다. 중국에서는 예로부터 사자가 악령을 쫓아준다고 믿었다. 천안문 앞에는 꼭대기에 동물상이 있는 두 개의 돌기둥, 화표가 서 있다. 원래 화표는 평민들이 탄원서를 써 붙이거나 글을 써서 황제에게 건의하는 용도로 세워졌으나, 천안문 앞의 화표는 장식적인 용도이다.

가운데에는 마오쩌둥(멀뚱)의 초상화가 걸려 있고, 양쪽에는 각각 "중화인민공화국 만세 세계인민대단결 만세"라는 문구가 걸려 있다.[6] 만세라는 표현은 전통적으로 중국 황제에게만 사용되었지만, 이제는 일반 백성에게도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시찰대 앞에는 황궁의 해자가 있는데, 물이 채워져 있지만 현재는 장식용 조명 분수가 설치되어 있다.

고대에는 천안문은 용정문(永定門), 전문(前門), 중국문과 함께 베이징 황궁에 들어갈 때 만나는 가장 중요한 문 중 하나였다. 안쪽으로 더 들어가면 다음 문은 천안문과 디자인이 같은 '단문'이고, 그 뒤에는 자금성의 남쪽 입구인 우안문(午安門)이 있다.

4. 1. 내부

천안문은 5개의 통로를 뚫은 성벽 위에 목조 누각을 지은 중국의 대표적인 성문 건축이다. 누각 가운데는 현재 중국 정부 요인이 여러 행사일에 천안문에 설 때 전후로 휴식을 취하기 위한 의자나 소파가 놓여 있다. 이전에는 성벽 5개의 통로 가운데, 중앙의 큰 통로는 황제용이었다. 길이는 66m, 너비는 37m, 높이는 32m이다. 지붕은 다른 황성 건축물들과 같이 황금색 기와로 덮여 있으며, 잡상들이 위에 올라가 있다.

2개의 사자상이 천안문 앞에 세워져 있고, 다리에도 2개의 사자상이 또 세워져있다. 중국에서는 예로부터 사자가 악령들을 쫓아내 준다고 믿었다. 천안문 앞에는 꼭대기에 동물상이 올라가 있는 2개의 돌기둥이 서있는데, 이를 화표라고 한다. 본디 화표는 평민들이 이 돌기둥에 탄원서를 써붙이거나 글을 붙여 황제에게 건의하는 용도로 세워졌으나, 천안문 앞의 화표는 순전히 장식적인 용도이다.

가운데에는 마오쩌둥(멀뚱)의 초상화가 걸려 있고(국공내전 이전에는 1945년 종전부터 장제스의 초상화가 걸려 있었다. 이후에는 철거.), 양쪽에는 각각 "중화인민공화국 만세 세계인민대단결 만세"()라고 쓰여 있다(1949년 건국 당시에는 정체자로 "중화인민공화국 만세 중앙인민정부 만세"()라고 쓰여 있었으나, 그 다음 해인 1950년에 오른쪽의 구호가 현재의 내용으로, 1956년부터 왼쪽 구호의 '萬'과 오른쪽 구호의 '團'과 '萬'이 간체자로 바뀌는 과도기를 거치다가 1964년부터는 간체자로 완전히 바뀌었다. 또 1970년에는 목제에서 금속제로 바뀌었다.).

4. 2. 주변 시설

천안문은 5개의 통로를 뚫은 성벽 위에 목조 누각을 지은 중국의 대표적인 성문 건축이다. 누각 가운데에는 현재 중국 정부 요인이 여러 행사일에 천안문에 설 때 전후로 휴식을 취하기 위한 의자나 소파가 놓여 있다. 이전에는 성벽 5개의 통로 가운데 중앙의 큰 통로는 황제용이었다. 길이는 66m, 너비는 37m, 높이는 32m이다. 지붕은 다른 황성 건축물들과 같이 황금색 기와로 덮여 있으며, 잡상들이 위에 올라가 있다.

천안문 앞에는 2개의 사자상이 세워져 있고, 다리에도 2개의 사자상이 또 세워져있다. 중국에서는 예로부터 사자가 악령들을 쫓아내 준다고 믿었다. 천안문 앞에는 꼭대기에 동물상이 올라가 있는 2개의 돌기둥이 서있는데, 이를 화표라고 한다. 본디 화표는 평민들이 이 돌기둥에 탄원서를 써붙이거나 글을 붙여 황제에게 건의하는 용도로 세워졌으나, 천안문 앞의 화표는 순전히 장식적인 용도이다.

가운데에는 마오쩌둥(멀뚱)의 초상화가 걸려 있고(국공내전 이전에는 1945년 종전부터 장제스의 초상화가 걸려 있었다. 이후에는 철거.), 양쪽에는 각각 "중화인민공화국 만세 세계인민대단결 만세"라고 쓰여 있다.[6] 1949년 건국 당시에는 정체자로 "중화인민공화국 만세 중앙인민정부 만세"라고 쓰여 있었으나, 그 다음 해인 1950년에 오른쪽의 구호가 현재의 내용으로, 1956년부터 왼쪽 구호의 '萬'과 오른쪽 구호의 '團'과 '萬'이 간체자로 바뀌는 과도기를 거치다가 1964년부터는 간체자로 완전히 바뀌었다. 또 1970년에는 목제에서 금속제로 바뀌었다. 만세라는 표현은 황궁 자체와 마찬가지로 전통적으로 중국 황제에게만 사용되었지만, 이제는 일반 백성에게도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문구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천안문 앞에는 해자가 있고, 아직도 물이 차있으며 그 앞에 장식용 분수가 있다. 왕조기의 천안문은 베이징 황성의 가장 중요한 문으로써, 영정문, 정양문, 중화문을 거쳐야 들어갈 수 있는 문이었다. 천안문 뒤에는 단문이 버티고 있으며, 단문을 지나면 자금성의 공식적인 정문인 오문으로 들어갈 수 있다.

5. 상징

천안문은 그 역사적 중요성 때문에 국장에 등장하며, 중화인민공화국이 발행한 우표와 주화 디자인에도 사용되었다.

천안문 앞에는 꼭대기에 동물상이 올라가 있는 2개의 화표가 서 있는데, 이는 순전히 장식적인 용도이다. 또한 2개의 사자상이 천안문 앞에 세워져 있고, 다리에도 2개의 사자상이 세워져 있다.

5. 1. 초상화

천안문 가운데에는 마오쩌둥(멀뚱)의 초상화가 걸려 있다. 국공내전 이전인 1945년 종전부터는 장제스의 초상화가 걸려 있었으나 이후 철거되었다. 양쪽에는 각각 "중화인민공화국 만세 세계인민대단결 만세"라고 쓰여 있다. 1949년 건국 당시에는 정체자로 "중화인민공화국 만세 중앙인민정부 만세"라고 쓰여 있었으나, 1950년에 오른쪽 구호가 현재 내용으로 변경되었다. 1956년부터 왼쪽 구호의 '萬'과 오른쪽 구호의 '團'과 '萬'이 간체자로 바뀌는 과도기를 거쳤고, 1964년부터는 간체자로 완전히 바뀌었다. 1970년에는 목제에서 금속제로 바뀌었다.

1925년에는 국민당 정부가 들어서면서 쑨원의 초상화가 걸렸고, 1945년에는 일본에 맞서 승리한 것을 기념하여 당시 총통이었던 장제스의 초상화가 걸렸다. 1949년 7월 7일에는 2차 중일전쟁에서 승리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주더마오쩌둥의 초상화가 나란히 걸렸으며, 1949년 10월 1일 이래로는 오직 마오쩌둥의 초상화만 걸렸다. 초상화는 매년 교체되며, 마오쩌둥 이외 인물의 초상화가 걸린 경우는 드물다. 1953년에 스탈린이 사망했을 때 그를 기리기 위하여 잠시 스탈린의 초상화를 걸어놓은 적이 있다.

타이완섬의 중화민국 측에서 마잉주 총통의 측근이 중국 통합의 의미로, 그리고 중화민국 건국 100주년을 기념하며 하루 동안만 마오쩌둥의 초상화를 내리고 쑨원의 초상화를 걸어놓자고 제안하였으나, 중화인민공화국 측에서 이를 거절하였다.

초상화의 무게는 1.5ton에 달하며, 훼손당할 때마다 새로 붙여진다. 1989년 톈안먼 사건 때 분노한 학생들이 계란으로 마오쩌둥의 초상화를 훼손하였는데, 이후 이 학생들은 감옥으로 보내졌고 17년 후인 2006년에 출소하였다. 2007년 5월 12일에는 한 실직자에 의하여 불이 붙어 초상화의 15% 가량이 불에 탔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재복구되었다. 2010년 4월 5일에는 한 항의 시위자가 잉크 병을 던져 초상화 주변 벽을 맞추었고, 곧 체포되었다.

1930년대 이후 중앙 통로 바로 위에는 장제스의 거대한 초상화가 게양되어 있었다. 1949년 국공내전에서 승리하여 중국 대륙을 지배하게 된 마오쩌둥은 이를 계승하여, 장제스 시대보다 중앙 통로에 더 가까운 위치에 마오쩌둥의 초상화를 게양했고, 현재까지도 이는 계속되고 있다. 다만, 1953년 3월 9일에는 요시프 스탈린을 추모하여 예외적으로 스탈린의 초상화로 교체된 적도 있었다.[14]

초상화의 세로 길이는 약 6미터이다. 건국 당시에는 군복 차림의 마오쩌둥 초상화였지만, 1950년대 중반 "인민들에게 친근하게 하기 위해" 인민복 차림의 마오쩌둥으로 바뀌었다(1960년설도 있지만, 1959년 건국 10주년 국경절 영상을 보면 이미 인민복 차림이다). 처음에는 장스전이 그린 완전한 그림이었지만, 현재는 사진을 바탕으로 정밀하게 그려진 것이다.

초상화 그림은 건국 이후 현재까지 최소 4번 버전이 바뀌었다.

시기복장방향비고
1949년~50년대 중반군복 차림
50년대 중반~60년대 중반인민복 차림정면
60년대 중반~80년대인민복 차림약간 비스듬히마오쩌둥 어록에도 채택된 유명한 것[https://web.archive.org/web/20070928145706/http://www1.job168.com/ccp/bbs/UpFile/UpAttachment/2006-9/200693122918.jpg (참고)]
80년대~현재인민복 차림정면현재의 초상화는 화가 거샤오광(葛曉光, Ge Xiaoguang)의 작품



이 초상화는 유채화 방식이며, 국경절 전날인 9월 30일에 다시 칠해지고 10년마다 갱신된다. 1989년 톈안먼 사건(제2차 천안문 사건)에서는 학생들이 던진(것으로 알려진) 페인트로 더럽혀진 적이 있다. 2006년에는 60년대 중반부터 게양되었던 버전의 초상화 원화가 옥션에 나왔다고 인민일보가 보도했다.

초상화 양쪽에는 왼쪽에 "중화인민공화국 만세", 오른쪽에 "세계 인민 대단결 만세"라는 큰 슬로건이 게양되어 있다. 이것은 후치아무(胡喬木)가 디자인한 것이다.[15] 건국 당시 오른쪽 슬로건은 "중앙인민정부 만세"였지만, 1950년에 현재 내용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처음에는 번체자였지만 1964년에 간체자로 변경되었다. 또한, 1970년에 나무에서 금속으로 변경되었다.

5. 2. 슬로건

가운데에는 마오쩌둥(멀뚱)의 초상화가 걸려 있고(국공내전 이전에는 1945년 종전부터 장제스의 초상화가 걸려 있었다. 이후에는 철거.), 양쪽에는 각각 "중화인민공화국 만세 세계인민대단결 만세"라고 쓰여 있다.[6] 1949년 건국 당시에는 정체자로 "중화인민공화국 만세 중앙인민정부 만세"라고 쓰여 있었으나, 그 다음 해인 1950년에 오른쪽의 구호가 현재의 내용으로 바뀌었다. 1956년부터 왼쪽 구호의 '萬'과 오른쪽 구호의 '團'과 '萬'이 간체자로 바뀌는 과도기를 거치다가 1964년부터는 간체자로 완전히 바뀌었다. 또 1970년에는 목제에서 금속제로 바뀌었다.[15] 만세라는 표현은 황궁 자체와 마찬가지로 전통적으로 중국 황제에게만 사용되었지만, 이제는 일반 백성에게도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문구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5. 3. 국가 상징

천안문은 5개의 통로를 뚫은 성벽 위에 목조 누각을 지은 중국의 대표적인 성문 건축이다. 길이는 66m, 너비는 37m, 높이는 32m이다. 지붕은 황금색 기와로 덮여 있으며, 잡상들이 위에 올라가 있다.

천안문 앞에는 꼭대기에 동물상이 올라가 있는 2개의 돌기둥인 화표가 서있는데, 이는 순전히 장식적인 용도이다. 또한 2개의 사자상이 천안문 앞에 세워져 있고, 다리에도 2개의 사자상이 또 세워져 있다.

가운데에는 마오쩌둥(멀뚱)의 초상화가 걸려 있고, 양쪽에는 각각 "중화인민공화국 만세 세계인민대단결 만세"()라고 쓰여 있다. 1949년 건국 당시에는 정체자로 "중화인민공화국 만세 중앙인민정부 만세"라고 쓰여 있었으나, 1950년에 오른쪽 구호가 현재의 내용으로 바뀌었다. 1956년부터 왼쪽 구호의 '萬'과 오른쪽 구호의 '團'과 '萬'이 간체자로 바뀌는 과도기를 거치다가 1964년부터 간체자로 완전히 바뀌었다. 1970년에는 목제에서 금속제로 바뀌었다.

천안문은 역사적 중요성 때문에 국장에 등장한다. 또한 중화인민공화국이 발행한 우표와 주화 디자인에도 등장했다.

6. 관람 정보

텐안먼 광장을 지나는 1번 버스


텐안먼 광장은 매일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5시까지 일반인에게 공개된다.[12] 입장권은 최소 하루 전에 위챗 미니 프로그램을 통해 온라인으로 예약해야 하며, 당일 또는 현장 구매는 불가능하다.

베이징 지하철 1호선은 텐안먼 광장의 양쪽에 있는 텐안먼 서역과 텐안먼 동역에 정차한다.

1번, 2번, 5번, 52번, 82번, 120번, 관광1번, 관광2번, 야간1번, 야간2번, 야간17번 시내버스가 텐안먼 광장 근처에 정차한다.

1988년부터 누각이 일반에 공개되었다. 중간에 여러 행사가 있을 때나 1989년의 천안문 사건 무렵에는 공개가 중단되었지만, 대체로 지속적으로 일반 공개가 계속되고 있다. 입장권 판매소와 입구는 문의 북쪽(고궁박물원 쪽)에 있다. 입장료는 15CNY이며, 외국인은 어린이도 동일 금액이다.

가방이나 짐은 일체 반입이 허용되지 않으며, 입장권 판매소 근처의 일시 보관소에 맡겨야 하지만, 카메라 반입은 허용된다. 입장 시에는 공항처럼 금속 탐지기를 통과한 후 간단한 신체 검사를 받는다. 문 위에서의 촬영은 가능하지만, 건물 내부에서의 촬영은 금지되어 있다. 문 위에서는 기념품 판매도 이루어진다.

7. 세계유산 등재

2024년 7월 27일 "베이징 중축선: 중국의 이상적인 질서를 보여주는 건축물 군"의 일부로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13]

참조

[1] 백과사전 Tiananmen Square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Tian’anmen, not Tiananmen https://pinyin.info/[...] 2009-06-02
[3] 서적 Tian'anmen Shandong huabao chubanshe 2004
[4] 간행물 Why the Sinologue Should Study Manchu 1930
[5] 뉴스 Secret reconstruction of Tiananmen 35 years ago https://web.archive.[...] Xinhua News Agency 2005-04-21
[6] 서적 親歷震撼時刻——老記者鏡頭下的紅色中國 https://books.google[...]
[7] 웹사이트 Chameleon Mao, the face of Tiananmen square. https://www.nytimes.[...] 2011-04-11
[8] 웹사이트 http://www.chinarevi[...] Chinareviewnews.com 2011-04-12
[9] 웹사이트 Call for reassessment of Sun Yat-sen from 'pioneer' to 'father of the nation' https://www.scmp.com[...] 2011-03-29
[10] 뉴스 Chinese protester throws ink at portrait of Chairman Mao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10-04-08
[11]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Sinchew.com.my 2007-05-13
[12] 웹사이트 参观天安门城楼时刻表及门票价格和乘车路线 http://www.lxjia.net[...] 2012-02-06
[13] 웹사이트 “北京中轴线——中国理想都城秩序的杰作”成功列入《世界遗产名录》 http://www.news.cn/2[...] 2024-07-27
[14] 웹사이트 中國評論新聞:20世紀以來 天安門掛過哪些人的畫像? http://www.chinarevi[...] Chinareviewnews.com 2019-02-11
[15] 논문 中华人民共和国成立后天安门城楼标语的演变 https://kns.cnki.net[...]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