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교 새번역 성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주교 새번역 성경은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성서위원회의 주도로 번역된 성경으로, 1988년 구약성서 번역 사업 추진을 시작으로 2005년 '성경'이라는 제목으로 천주교 공용 성경으로 채택되었다. 구약성경은 1992년부터 1999년까지, 신약성경은 2000년부터 2002년까지 번역되었으며, 히브리어, 그리스어 원문을 현대 한국어로 완역했다. 번역에는 여러 신부, 국문학자, 우리말 전문가들이 참여했으며, 최종 번역문 확정을 위해 윤문위원회의 검토 과정을 거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5년 기독교 - 2005년 콘클라베
2005년 콘클라베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후임자를 선출하기 위해 열린 콘클라베로, 베네딕토 16세가 새로운 교황으로 선출되었으며 115명의 추기경 선거인이 참여하였다. - 한국어 성경 - 공동번역성서
공동번역성서는 개신교와 천주교의 교회일치운동으로 1977년 출판된 한국어 성경 번역본이며, 개신교와 천주교 학자들이 함께 번역하여 대한성공회와 한국 정교회에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개신교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고 천주교는 자체 번역 성경으로 대체했다. - 한국어 성경 - 예수성교전서
예수성교전서는 1887년 존 로스, 서상륜, 백홍준 등이 공동 번역하여 만주에서 출판된 최초의 신약성경 한글 번역본이며, 초기 개신교 선교와 한글 연구에 기여한 국가등록문화재이다. - 가톨릭 성경 - 불가타
불가타는 히에로니무스가 그리스어와 히브리어 원전을 참고하여 옛 라틴어 성경을 수정 및 번역하고, 이후 여러 학자들의 개정을 거쳐 트렌트 공의회에서 가톨릭 교회의 공식 성경으로 인정받았으며, 서구 기독교와 여러 언어에 큰 영향을 미친 라틴어 성경이다. - 가톨릭 성경 - 예루살렘 성경
예루살렘 성경은 1943년 교황 비오 12세의 회칙에 따라 예루살렘 에콜 비블리크의 도미니코회 신학자들이 히브리어와 그리스어 원전을 바탕으로 번역한 성경으로, 여러 차례 개정을 거치며 원전 번역과 해석의 정확성을 높이고 현대 학문적 성과를 반영해왔다.
천주교 새번역 성경 | |
---|---|
성경 정보 | |
제목 | 성경 |
다른 이름 | 한국 가톨릭 성경 |
약칭 | KCB |
언어 | 한국어 |
출판일 | 2005년 9월 20일 |
소속 | 천주교 |
출판사 | 한국천주교주교회의 |
본문 정보 | |
구약 성경 | 포함 |
신약 성경 | 포함 |
외경 | 포함 |
근거 | 미상 |
번역 | |
번역자 | 미상 |
유형 | 미상 |
성경 구절 | |
창세기 1:1-3 | 한처음에 하느님께서 하늘과 땅을 창조하셨다. 땅은 아직 꼴을 갖추지 못하고 비어 있었는데, 어둠이 심연을 덮고 하느님의 영이 그 물 위를 감돌고 있었다. 하느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빛이 생겨라.” 하시자 빛이 생겼다. |
요한복음 3:16 | 하느님께서는 세상을 너무나 사랑하신 나머지 외아들을 내주시어, 그를 믿는 사람은 누구나 멸망하지 않고 영원한 생명을 얻게 하셨다. |
2. 번역의 역사
1988년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는 공동번역성서를 대체하기 위해 새로운 성경 번역 사업을 시작하였다. 이는 1989년부터 2002년 말까지 진행되었으며, 2005년에 히브리어 성경과 그리스어 구약 및 신약 성경 원문을 현대 한국어로 완역하는 17년간의 노력을 통해 결실을 맺어 한국 천주교 성경이 일반에 공개되었다.
2. 1. 번역 과정 및 발행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에서는 1988년 기존에 쓰이던 공동번역성서를 대신할 번역본을 만드는 작업을 시작해 2005년 번역을 마치고, 완역 성경을 출간했다.[1]천주교 전례력상으로 2006년 첫 날인 2005년 11월 27일부터 한국어로 거행되는 모든 전례에서 사용되고 있다.[1]
이 성경은 200주년 성서와 마찬가지로 직역에 중점을 두었고, 기존에 중국어 성경으로부터 전래되어 쓰이던 구약과 신약 성경의 각 이름을 일부 수정(출애굽기-탈출기, 전도서-코헬렛,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로마신자들에게 보낸 서간 등)하였으며, 외래어 표기를 표기법에 맞춰 일부 수정하였고(루가-루카 등), 경사성의 공지에 따라 구약성경의 야훼를 하느님 또는 주님으로 수정하는 등 단어 표현에 많은 변화를 주었다.[1]
1988년 주교회의 추계 정기총회에서 천주교 구약성서 번역 사업을 성서위원회에 추진하도록 하였으며, 이후 임승필 신부를 성서위원회 총무에 임명하였다. 1992년 6월 "구약성서 새 번역 1 - 시편"을 시작으로 낱권 성서를 출간하였고, 1999년 12월 "구약성서 새 번역 18 - 마카베오 상하"를 끝으로 구약성서의 새 번역을 마쳤다.[1]
이어 2000년 10월 신약성서 번역 위원을 위촉하여 2001년 7월 "신약성서 새 번역 1 - 마태오 복음서"를 시작으로 2002년 12월 "신약성서 새 번역 10 - 요한묵시록"을 출간함으로써 신약성서의 새 번역을 마쳤다.[1]
2003년 3월 임승필 신부의 선종으로, 2003년 5월 공석인 주교회의 성서위원회 성서번역 담당 총무에 이기락 신부가 임명되었고, 2003년 6월 ‘새 번역 성서 합본위원회’가 구성되었다. 이어 그해 7월에는 ‘새 번역 성서 합본 실무반’을 구성하여 "신구약 성서 새 번역" 윤문과 용어통일 작업을 하였다.[1]
2005년 주교회의 춘계 정기총회에서는 새 번역 성서에 「성경」이라는 제목을 붙여 공용 전례 성서로 사용하기로 결정하되 3개월의 기간을 두고 우리말을 좀더 다듬도록 하였다. 이에 윤문위원회를 임시로 구성, 2005년 4월 7일부터 5월 24일까지 12차례의 모임을 갖고 신약 성경 전체와 시편을 검토하여 합본위원회에 수정 제안을 하였으며, 2005년 6월 27일부터 30일까지 합본위원회 위원들과 실무반이 같이 모여 최종 번역문을 확정하였다.[1]
2005년 9월 20일 새 번역 "성경"을 발행하였다.[1] 1988년,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는 새 성경 번역 사업을 구성했다. 1989년에 시작된 새 번역은 2002년 말에 완료되었다. 2005년, 히브리어 성경과 그리스어 구약/신약 성경 원문을 현대 한국어로 완역하는 17년간의 노력을 통해 한국 천주교 성경이 일반에 공개되었다.[1]
- '''본문 자료''' ('''구약''': 비블리아 헤브라이카 슈투트가르텐시아, '''외경''': 칠십인역, '''신약''': UBS 그리스어 신약성경 4판)[1]
2. 2. 번역 대본
구약성경의 히브리말 부분은 슈투트가르트 히브리말 성경(BHS: Biblia Hebraica Stuttgartensia, 히브리말 본문을 출판하면서 판면 하단에 본문 비평의 각주를 덧붙인 성경)에 실려 있는 마소라 본문을 대본으로 삼았다.구약성경의 그리스어 부분은 원칙적으로 괴팅겐 칠십인역 성경(Septuaginta: Vetus Testamentum graece auctoritate Societatis Goettingensis editum)을 대본으로 삼았다.
신약성경은 세계성서공회가 발행한 그리스말 신약성경(The Greek New Testament 4th edition, The United Bible Societies, 1993년)을 그 번역 대본으로 삼았다.[1]
- '''본문 자료''' ('''구약''': 비블리아 헤브라이카 슈투트가르텐시아, '''외경''': 칠십인역, '''신약''': UBS 그리스어 신약성경 4판)[1]
3. 편집 원칙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성서위원회는 1988년 7월 12일과 1989년 2월 28일에 성서학자 회의를 열고, 임승필 신부를 번역 전담 총무로 선임하여 성경 번역진을 구성한 뒤, 1989년 7월 4일에 열린 번역위원회 회의에서 번역의 원칙과 절차를 정하였다. 그 세부 원칙은 번역 작업과 병행하여 마련했다.
- 순서는 새 대중 라틴 말 성경(Nova Vulgata)을 따른다. 다만, 마카베오기 상하권은 공동번역 개정판처럼 역사서 맨끝, 곧 에스테르기 뒤에 두었다.
- 반드시 필요한 최소한의 각주만을 붙인다.
- 우리말은 국립국어연구원에서 펴낸 「표준국어대사전」을 기준으로 삼는다.
- 외국말 고유명사와 외래어 표기는 정부에서 발표(문교부 고시 제85-11호, 1986.1.7.)한 ‘외래어 표기법’을 따르되, 주교회의에서 확정한 용어와 공동 번역 등 현대 성경 번역에서 널리 쓰이는 관용을 폭넓게 존중하면서, 번역위원회에서 정한 원칙에 따라 음역하고 고딕체로 표기한다.
- 히브리 말 “야훼”는 “주” 또는 “주님”, 때에 따라서는 “하느님”으로 옮기고, 굵은 고딕체로 표기한다. 다만, 하느님께서 직접 이름을 계시하시는 곳에서는(탈출기 3,15; 6,2 등) “야훼”를 그대로 썼다.
- 히브리 말 ‘기름붓다’에서 나온 특수 명사 “기름부음받은이”와 예수님을 가리키는 칭호 “사람의 아들”은 고딕체로 표기한다.
- 히브리 말, 그리스 말 도량형은 원칙적으로 음역하여 옮긴다. 부록에 제시한 도량형의 환산은 기본적으로 로쿰 방식(Ökumenisches Verzeichnis der biblischen Eigennamen nach den Loccumer Richtlinien)을 따른다.
- 한 문단에서 “너”와 “너희”가 섞여 나올 때에는, 되도록이면 “너희”로 통일하였다.
- 신약성경의 각주에 기재한 구약성경의 구절들이 우리 성경 본문과 다른 경우는, 기본적으로 칠십인역 성경을 바탕으로 삼았다.
4. 번역 및 참여자
(1988년, 198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