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청담대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담대교는 서울특별시의 한강 다리로, 1993년 착공하여 1999년 도로교가 먼저 개통되었고, 2000년 8월 서울 지하철 7호선 철도교가 개통되었다. 1989년 서울 지하철 7호선 하저터널 계획이 뚝섬유원지 대기 오염 문제로 취소된 후, 분당신도시 개발과 동부간선도로 건설 계획에 따라 7호선 철교와 동부간선도로를 함께 짓는 복층 교량으로 건설되었다. 대한민국 최초의 복층 교량으로, 교통량 분산 및 지역 발전에 기여하며, 뚝섬한강공원 및 뚝섬 전망문화 콤플렉스(자벌레)와 인접해 있다. 현재는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에서 관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1년 완공된 교량 - 게이츠헤드 밀레니엄 브리지
    게이츠헤드 밀레니엄 브리지는 영국 게이츠헤드와 뉴캐슬어폰타인을 잇는 세계 최초의 경사교로, 선박 통행 시 다리 전체가 회전하는 "깜빡이는 눈 다리"라는 별칭을 가진 지역 랜드마크이자 관광 명소이다.
  • 2001년 완공된 교량 - 수에즈 운하 대교
    수에즈 운하 대교는 이집트 수에즈 운하 경제 구역 개발 계획의 일부로 건설된 총 길이 3.9km의 사장교로, 운하 양쪽 지역 연결을 통해 물류 이동을 촉진하고 경제 발전에 기여하며, 일본 정부의 엔 차관으로 건설되어 가시마 건설, 현대건설, 오라스콤 건설이 참여했고, 수에즈막스 기준에 맞춰 하부 통항 가능 높이가 70m이다.
  • 서울 지하철 7호선 - 도봉차량사업소
    도봉차량사업소는 서울교통공사 소속 차량기지로, 일부 6000호대, 7000호대 전동차와 인천교통공사 SR000호대 전동차의 중정비 및 입출고 검수를 담당하며, 폐차된 6, 7호선 전동차 관리, 복잡한 배선 시스템 운영, 그리고 경기도 의정부시의 이전 요청과 관련되어 있다.
  • 서울 지하철 7호선 - 인천교통공사 SR000호대 전동차
    인천교통공사 SR000호대 전동차는 서울 지하철 7호선에서 운행되는 8량 1편성 전동차로, 2011년 연장 개통을 앞두고 도입되어 총 7개 편성이 운행 중이며, 일부 편성은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었고 라바 테마 열차로 운행되기도 했다.
  • 라멘교 - 노량대교 (서울)
    노량대교는 서울특별시 올림픽대로 위에 위치한 다리로서, 교통량 증가로 인해 확장되어 차로별 통행 구분이 적용된다.
  • 라멘교 - 거제대교
    거제대교는 1971년 개통된 다리로, 경상남도 통영시와 거제시를 연결하며 거제도의 육지 연결을 통해 조선 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청담대교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다리 이름청담대교
원어 이름청담대교
원어 이름 (언어)한국어
로마자 표기Cheongdam daegyo
수송자동차 교통, 지하철
건넘한강
위치서울특별시, 대한민국
엔지니어링동부엔지니어링
디자인강철 박스 거더교
길이1,211m
27m
건설사동부건설
착공1993년 12월
완공1999년 12월 23일
비용963억 대한민국 원
이전 다리잠실대교
다음 다리영동대교
한국어 이름 정보
한글청담대교
한자淸潭大橋
로마자 표기Cheongdam daegyo
문화어 표기Ch'ŏngdam taegyo
교량 정보
공식 명칭청담대교 淸潭大橋 Cheongdam Bridge
교통 시설6차선
횡단한강
위치대한민국 광진구 자양동 ~ 강남구 청담동, 삼성동
관리도로교: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
철도교: 서울교통공사
설계복층교 -상부:Steel Box Girder,강상판형,RC Slab -하부:T형,라멘식
길이본선 1,211m, 램프 1,978m
너비본선 27m, 램프 5.5m~19.6m
착공일1993년 12월 31일
개통일도로교: 1999년 12월 23일
지하철: 2000년 8월 1일
지도대한민국 서울
위도 (도/분/초)37/31/34 N
경도 (도/분/초)127/3/51 E

2. 건설 배경

1989년 2기 지하철 계획 당시, 현재의 청담대교 위치에 서울 지하철 7호선 하저터널 건설이 계획되었으나, 뚝섬유원지 인근 대기오염 및 폐장 가능성으로 인해 서울특별시의 반대로 취소되었다. 1990년 1기 신도시 개발과 함께 분당신도시와 강남, 서울 도심을 연결하기 위한 동부간선도로 (분당수서로) 및 강변북로 연결 교량이 필요하게 되었다. 올림픽대로 상의 영동대교잠실대교 사이 교통 정체 해소를 위해 두 다리 사이에 새 교량을 건설하기로 하고, 7호선 철교와 동부간선도로 교량을 통합하였다. 동호대교, 동작대교와 달리 능동로 구간이 좁아 1층은 7호선, 2층은 동부간선도로가 지나는 복층 교량으로 계획되었다.

2. 1. 초기 계획: 하저터널 vs 교량

1989년 2기 지하철 계획 당시, 현재의 청담대교 위치에 서울 지하철 7호선이 지나는 하저터널을 건설하는 계획이 청담대교의 시초였다. 그러나 하저터널을 건설하면 한강변에 환풍구(배기구)가 뚝섬유원지 쪽으로 솟아 뚝섬유원지 인근에 대기오염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뚝섬유원지가 폐장될 수 있다는 서울특별시 측의 강력한 반대로 인해 하저터널 계획은 취소되었다. 표면상의 이유는 토지보상 문제와 예산 부족이었다.

한편, 1990년 1기 신도시 개발과 함께 분당신도시와 강남 및 서울 도심을 연결하기 위해 동부간선도로 강남 구간 (분당수서로) 및 강변북로와 연결되는 한강 다리가 계획되었다. 당시 올림픽대로 구간의 영동대교잠실대교 사이의 거리가 멀어 교통 정체가 심했기 때문에, 동부간선도로 교량 역시 두 다리 사이에 건설하기로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하저터널 계획이 취소되고 철교로 추진될 예정이었던 7호선과 동부간선도로 한강 교량 계획이 통합되었다. 그러나 동호대교동작대교처럼 철교와 도로교를 같은 높이로 건설하기에는 뚝섬유원지 방면 능동로 구간이 좁아, 청담대교는 1층은 7호선, 2층은 동부간선도로가 지나는 복층 교량으로 계획되었다.

2. 2. 동부간선도로 교량 필요성 증대

1989년 2기 지하철 계획 당시 현재의 청담대교 위치에 서울 지하철 7호선이 지나는 하저터널을 계획한 것이 청담대교의 시초이다. 그러나 하저터널을 건설하면 한강변에 환풍구(배기구)가 뚝섬유원지 쪽으로 솟아 대기오염이 발생하여 뚝섬유원지가 폐장될 것으로 예상되어 서울특별시 측이 하저터널 계획에 강력히 반대했다. 표면상으로는 토지보상 문제와 부족한 예산 문제를 이유로 하저터널은 취소되었다.

한편 1990년에 1기 신도시 개발과 맞물려 분당신도시와 강남 및 서울 도심의 연계를 위해 동부간선도로 강남 구간 (분당수서로) 및 강변북로와의 연계를 위한 한강 교량이 계획되고 있었다. 당시 올림픽대로 구간의 영동대교잠실대교 간의 거리가 상당히 멀어 두 다리 사이가 교통정체구간에 속했기 때문에 동부간선도로 교량 역시 두 다리 사이에 건설하기로 하였고, 이에 따라 하저터널 계획이 취소되고 철교로 추진될 7호선과 동부간선도로 한강 교량 계획이 합쳐졌다. 그러나 동호대교동작대교처럼 철교와 도로교를 같은 높이로 건설하기에는 뚝섬유원지 방면 능동로 구간이 상당히 좁았기 때문에, 청담대교는 1층은 7호선, 2층은 동부간선도로가 지나는 복층식 교량으로 계획되었다.

2. 3. 7호선 철교와 동부간선도로 교량 통합

1989년 2기 지하철 계획 당시, 현재의 청담대교 위치에 서울 지하철 7호선이 지나는 하저터널 건설 계획이 청담대교의 시초였다. 그러나 하저터널을 건설하면 한강변에 환풍구(배기구)가 뚝섬유원지 쪽으로 솟아 뚝섬유원지 인근에 대기오염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뚝섬유원지가 폐장될 수 있다는 서울특별시 측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혔다. 표면상으로는 토지보상 문제와 예산 부족 문제를 이유로 하저터널 계획은 취소되었다.

1990년, 1기 신도시 개발과 함께 분당신도시와 강남 및 서울 도심을 연결하기 위해 동부간선도로 강남 구간 (분당수서로) 및 강변북로와의 연결을 위한 한강 교량 건설이 계획되었다. 당시 올림픽대로 구간의 영동대교잠실대교 사이의 거리가 멀어 교통 정체가 심했기 때문에, 동부간선도로 교량 역시 두 다리 사이에 건설하기로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하저터널 계획이 취소되고 철교로 추진될 7호선과 동부간선도로 한강 교량 계획이 통합되었다. 그러나 동호대교동작대교처럼 철교와 도로교를 같은 높이로 건설하기에는 뚝섬유원지 방면 능동로 구간이 좁아, 청담대교는 1층은 7호선, 2층은 동부간선도로가 지나는 복층 교량으로 계획되었다.

3. 구조 및 특징

한강의 17번째 다리[5]로, 이 교량이 개통되면서 동부간선도로, 서부간선도로, 내부순환로, 강변북로, 올림픽대로 등 1단계 도시고속도로망 구축사업이 완료되었다. 이로 인해 극심한 체증을 빚었던 올림픽대로의 수서~김포 구간을 오가는 교통량이 강변북로로 분산되었다.[6]

청담대교는 건대입구~청담동 구간을 연결하는 7호선과 강변북로~분당·수서 구간을 연결하는 도시고속도로(동부간선도로 남부구간)를 동시에 개통한 병행 교량이다.

4. 연혁

5. 교통 및 지역에 미친 영향

청담대교는 건대입구~청담동간을 연결하는 7호선과 강변북로~분당·수서간을 연결하는 도시고속도로(동부간선도로 남부구간)를 동시에 개통한 병행 교량이다.[6]

5. 1. 교통량 분산 및 흐름 개선

한강의 17번째 다리[5]로, 이 교량 개통으로 동부간선도로, 서부간선도로, 내부순환로, 강변북로, 올림픽대로 등 1단계 도시고속도로망 구축사업이 완료되었다. 올림픽대로의 수서~김포간을 오가는 교통량이 강변북로로 분산되어 극심한 체증이 완화되었다.[6] 청담대교는 건대입구~청담동간을 연결하는 7호선과 강변북로~분당·수서간을 연결하는 도시고속도로(동부간선도로 남부구간)를 동시에 개통한 병행 교량이다.

6. 주변 시설

청담대교 주변에는 뚝섬한강공원과 뚝섬 전망문화 콤플렉스(자벌레) 등 다양한 시설이 있다.[11][12]

6. 1. 뚝섬 한강공원

축구장, 농구장, 테니스장, 게이트볼장, 족구장, 체력단련장, 수영장, 수상스키장 등 운동 시설과 음수대, 그늘막, 샤워실, 어린이 놀이터, 매점 등 편의 시설이 있다.[11]

6. 2. 뚝섬 전망문화 콤플렉스 (자벌레)

뚝섬한강공원 내에 있는 문화 시설로, 자벌레 모양으로 만들어졌다. 미디어아트 전시, 디자인 서울 갤러리, 한식당 등이 있으며, 지하철 7호선 뚝섬유원지역 3번 출구와 연결되어 있다.[12]

7. 관리

청담대교는 도로교와 철도교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로교는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 시설안전부에서[1], 철도교는 서울교통공사에서 관리한다.[2]

7. 1. 도로교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 시설안전부[1]

7. 2. 철도교

서울교통공사[2]

참조

[1] 웹사이트 청담대교 [淸潭大橋] http://terms.naver.c[...] Naver 2014-01-20
[2] 백과사전 청담대교 [淸潭大橋] http://terms.naver.c[...] Naver 2014-01-20
[3] 뉴스 [서울 서울 서울] 청담대교 http://www4.hankooki[...] 한국일보 2001-05-17
[4] 뉴스 한강다리 건너기 자전거로도 쉽게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3-11-17
[5] 웹사이트 청담대교는 국내 최초의 □□□□이다 - 자세한설명보기 http://dbcon.dongbu.[...] 동부건설 스펀知 2016-01-30
[6] 백과사전 청담대교 http://www.encyber.c[...] 두산백과사전 EnCyber & EnCyber.com
[7] 뉴스 청담대교「복층型(형)」건설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93-04-10
[8] 뉴스인용 청담대교 내일 개통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9-12-22
[9] 간행물 서울특별시공고 제2000-424호 http://event.seoul.g[...] 2000-06-30
[10] 뉴스 청담대교∼건대역 고가로 개통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1-01-10
[11] 웹사이트 뚝섬한강공원 시설안내 http://hangang.seoul[...] 2010-05-19
[12] 웹사이트 뚝섬전망문화콤플렉스 http://hangang.seoul[...] 2010-04-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