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대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픽대로는 서울특별시의 강서구에서 강동구까지 한강 남쪽을 따라 건설된 자동차 전용도로이다. 1986년 아시안 게임과 1988년 하계 올림픽 개최를 위해 김포공항에서 서울올림픽주경기장까지의 원활한 수송을 목적으로 건설되었다. 한강종합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기존 강변도로를 확장하고 신설하여, 개화 나들목에서 암사 분기점까지 총 36km 구간이 1986년 5월 2일에 개통되었다. 현재는 2개 이상의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지정되어 있으며, 김포한강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등과 연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강동구의 교통 - 세종포천고속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는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에서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을 잇는 총 144.6km의 고속도로로, 구리~포천 구간은 개통되었고 세종~구리 구간은 건설 중이며, 건설 초기 명칭 및 노선 관련 논란이 있었고 현재는 구리~포천 구간은 서울북부고속도로주식회사가, 세종~구리 구간은 한국도로공사가 관리한다. - 서울 강동구의 교통 - 서울양양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는 서울 강동구에서 강원 양양군을 잇는 약 151km의 고속도로로, 1997년 타당성 조사 후 2017년 전 구간 개통되었으며, 민자 및 국고 구간으로 나뉘고 대한민국 최장 터널인 인제양양터널을 포함하여 원톨링 시스템 도입 등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서울 동작구의 교통 - 한강대교
한강대교는 1917년에 완공된 한강인도교를 전신으로 하며,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전쟁으로 파괴되었으나 1958년에 재건되었고, 1984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2020년에는 서울특별시 등록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었다. - 서울 동작구의 교통 - 한강철교
한강철교는 경부선 등 주요 철도 노선을 잇는 서울 한강의 철교로, A, B, C, D선의 4개 교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 철도 역사와 전쟁의 역사, 그리고 산업 발전의 상징으로 평가받고 있다. - 서울 강남구의 교통 - 테헤란로
테헤란로는 이란 테헤란에서 명칭이 유래되었으며, 1977년 테헤란 시장의 서울 방문을 기념하여 명칭이 변경되었고, 한국의 주요 비즈니스 및 금융 중심지로 발전했다. - 서울 강남구의 교통 - 도선여객
도선여객은 1973년 삼영교통으로 설립되어 서울여객을 인수하며 확장, 2004년 체계개편 후 간선 및 지선버스를 운영하며 개포동을 기점으로 현대자동차 버스를 운행하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운송업체이다.
올림픽대로 | |
---|---|
개요 | |
도로 종류 | 서울특별시도 도시고속화도로 자동차전용도로 |
노선 번호 | 서울특별시도 제88호선 |
노선명 | 올림픽대로 |
로마자 표기 | Olrimpik Daero |
한자 표기 | 올림픽大路 |
영문 표기 | Olympic Dae-ro |
일본어 표기 | オリンピック大路 (Orinpikku Ōdōri) |
개통년도 | 1986년 |
총 연장 | 40.678km |
방향 | 동서 |
노선 정보 | |
기점 |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 (행주대교) |
종점 | 서울특별시 강동구 강일동 (강일 나들목) |
주요 교차 도로 | |
국도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3호선 국도 제6호선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6호선 국도 제47호선 국도 제48호선 국도 제77호선 |
국가지원지방도 |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8호선 |
고속도로 | 경부간선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도시고속도로 | 서부간선도로 동부간선도로 (분당수서로) |
기타 | 미사대로 김포한강로 벌말로 |
지도 정보 | |
이미지 | |
![]() |
2. 역사
1986년 아시안 게임과 1988년 하계 올림픽을 앞두고 김포국제공항에서 서울종합운동장까지의 원활한 수송을 위해 '올림픽대로'라는 이름으로 건설되었다.
2. 1. 건설 이전
올림픽대로는 1988년 하계 올림픽을 위해 1982년부터 1986년까지 건설되었다.[1] 1982년 한강종합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공사가 시작되었으며, 1986년 5월 2일 준공되었다.2. 2. 건설 과정
올림픽대로는 제5공화국에서 한강종합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한강을 따라 남북에 자동차 전용도로를 새로 만들거나 기존 도로를 개선하여 한강 남쪽의 교통 수요를 처리하고자 건설되었다.[1] 또한 이 도로는 김포공항에서 한강변 잠실에 위치한 서울종합운동장 (서울올림픽주경기장)을 연결하여, 1986년 아시안 게임과 1988년 하계 올림픽에서 외국인 수송을 담당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었다. 이에 따라 강변북로와 달리 한강 남쪽의 도로에는 올림픽대로라는 이름이 붙여졌다.[2]올림픽대로라는 이름의 강변 고속화도로가 본격적으로 만들어지기 이전에도, 1967년부터 순차적으로 개통한 영등포구 양화동에서 강동구 암사동을 잇는 강변도로가 존재하였다. 그러나 좁은 차로와 신호 체계 부실 등 전체적으로 도로 사정이 좋지 않아 사고가 잦는 등 많은 문제가 있었다.[1] 따라서 1982년부터 기존의 강변도로를 정비 및 왕복 8차로로 확장하고, 강변도로가 없었던 양화동에서 행주대교 남단까지의 도로를 왕복 4차로 규모로 신설하는 공사를 진행하여[2] 1986년 5월 2일 개통한 것이 지금의 올림픽대로이다.
올림픽대로 구간 중 동작대교에서 암사동까지는 기존 강변도로인 강남1로, 강남2로, 강남3로[3]를 개선하여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나, 동작대교에서 행주대교까지의 구간은 1986년에 새로 지어진 도로이다. 이 중에서 양화동 ~ 동작대교 간의 경우 기존에 강변도로(강남3로, 강남4로)가 있었던 곳인데도 이를 활용하지 않고 그 옆에 왕복 4차선 도로를 새로 만들었다. 도로 개설 당시 계획은 동작대교를 기준으로 그 동쪽을 왕복 8차로로 운영하고, 그 서쪽을 왕복 4차로의 기존도로와 신설 왕복 4차로를 병행하여 운영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동작대교 남단에는 왕복 8차로를 복왕복 4차로로 전환시키기 위한 입체교차 시설이 설치되었으며, 여의도의 양극단에 여의상류IC와 여의하류IC를 설치하여 기존 도로와 신설 도로 간의 자유로운 왕래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기존 도로와 연결되어 있던 동작대교, 한강대교, 양화대교, 성산대교는 신설된 올림픽대로와는 직접 연결되어있지 않다. 이때 올림픽대로로 직접 활용되지 않은 강남3로 일부 구간과 강남4로가 각각 지금의 현충로와 노들로이다.
그러나 위와 같이 동작대교를 기준으로 그 서쪽의 교통량을 기존 도로와 분산 처리하겠다는 당국의 계획은 올림픽대로 개통을 전후하여 급격히 늘어난 차량 대수를 감당하지 못하였고, 실질적으로 동작대교 남단에서 왕복 8차로가 4차로로 줄어들면서 극심한 정체를 빚었다. 결국 얼마 지나지 않은 1993년에 곧바로 동작대교 이후 구간도 왕복 8차로로 확장을 완료하며 지금에 이른다.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2. 3. 건설 이후
올림픽대로는 제5공화국에서 추진한 한강종합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건설되었다. 한강을 따라 남북에 자동차 전용도로를 신설, 또는 개량하여 한강 남쪽의 교통 수요를 처리하고, 김포공항에서 한강변 잠실에 위치한 서울종합운동장 (서울올림픽주경기장)을 연결하여 1986년 아시안 게임과 1988년 하계 올림픽에서 외국인 수송을 담당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었다.[1] 강변북로와 달리 한강 남쪽의 도로에는 올림픽대로라는 이름이 붙여졌다.1967년부터 영등포구 양화동에서 강동구 암사동을 잇는 강변도로가 순차적으로 개통되었으나, 차로가 비좁고 신호 체계가 부실하여 사고가 잦는 등 문제가 많았다.[1] 이에 1982년부터 기존 강변도로를 정비 및 왕복 8차로로 확장하고, 양화동에서 행주대교 남단까지 왕복 4차로 규모의 도로를 신설하는 공사가 진행되어[2] 1986년 5월 2일 지금의 올림픽대로가 개통되었다.
올림픽대로 구간 중 동작대교에서 암사동까지는 기존 강변도로인 강남1로, 강남2로, 강남3로[3]를 개선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동작대교에서 행주대교까지는 1986년에 새로 지어진 도로이다. 양화동~동작대교 구간은 기존 강변도로(강남3로, 강남4로)가 있었음에도 그 옆에 왕복 4차선 도로를 새로 만들었다. 당시 계획은 동작대교 동쪽을 왕복 8차로, 서쪽을 왕복 4차로의 기존 도로와 신설 도로를 병행 운영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동작대교 남단에는 왕복 8차로를 복왕복 4차로로 전환하는 입체교차 시설이 설치되었고, 여의도 양끝에 여의상류IC와 여의하류IC를 설치하여 기존 도로와 신설 도로 간 왕래가 가능하게 했다. 기존 도로와 연결된 동작대교, 한강대교, 양화대교, 성산대교는 신설된 올림픽대로와 직접 연결되지 않았다. 이때 올림픽대로로 활용되지 않은 강남3로 일부와 강남4로가 현재의 현충로와 노들로이다.
그러나 동작대교 서쪽 교통량을 기존 도로와 분산 처리하려던 계획은 올림픽대로 개통 전후 급증한 차량 대수를 감당하지 못하고, 동작대교 남단에서 왕복 8차로가 4차로로 줄어들며 극심한 정체를 유발했다. 결국 1993년 동작대교 이후 구간도 왕복 8차로로 확장되었다.
3. 연혁
- 1967년 3월 6일: '''강변1로''' (영등포구 노량진동 ~ 신길동, 현재의 노들로) 도로 개설 공사 착공[4]
- 1967년 8월 30일: 강변1로 (영등포구 노량진동 ~ 신길동, 현재의 노들로) 구간 개통
- 1967년 9월 10일: 통행료 징수 개시[5]
- 1970년 12월 26일: '''강변5로'''(국립묘지 ~ 제3한강교[6]) 구간 도로 착공[7]
- 1971년 8월 15일: 강변5로 (국립묘지 ~ 제3한강교[6]) 구간 개통
- 1972년 11월 27일: 각 구간의 명칭을 한강 상류부터 '''강남1로, 강남2로, 강남3로, 강남4로, 강남5로'''로 변경[8] (강변1로+2로→강남4로, 강변5로→강남3로)
- 1974년 일자 미상: '''강남2로''' (한남대교 ~ 영동대교 구간) 개통
- 1975년 5월 1일: 통행료 인상 및 변경[9]
- 1975년 8월 26일: '''강남2로''' (영동대교 ~ 잠실대교 10.5km 구간) 개통[10]
- 1976년 7월 16일: 강남4로 (본동 ~ 영등포동) 구간 및 강남3로 (국립묘지 ~ 제3한강교) 구간 무료화[11]
- 1979년 일자 미상: 암사 분기점 ~ 하일 나들목 구간 개통
- 1980년 12월 16일: '''강남1로''' (잠실대교 ~ 광진교) 3.85km 구간 개통[12]
- 1982년: 한강종합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공사 착공
- 1986년 3월 13일: 각 구간 명칭을 '''강남로'''로 통합
- 1986년 4월 29일: '''올림픽대로'''로 명칭 변경
- 1986년 5월 2일: 개화 나들목(행주대교 남단) ~ 성산대교 ~ 동작대교 22.2km 구간 왕복 4차로 '''신설 개통''' 및 동작대교 ~ 암사 분기점 13.8km 구간 왕복 8차로 확장 개통(총 36km)[13][14]
- 1986년 7월 12일: 하일동 시계 ~ 행주대교 남단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15]
- 1993년 6월 3일: 화곡 나들목(현 가양대교 남단) ~ 동작대교 15km 구간과 암사 분기점 ~ 하일 나들목 (현 강일 나들목) 3.86km 구간 왕복 8차로 확장 개통[16]
- 2009년 7월 10일: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올림픽대로'''를 고시[17]
- 2019년 10월 1일: 여의도 중류램프 개통
4. 과거 명칭
1972년 이전에는 강남과 강북에 관계없이 준공 순서대로 '강변1로'부터 '강변9로'까지의 명칭을 사용하였다. 현재 올림픽대로의 노들로 구간은 강변1로, 강변2로, 강변5로, 강변7로, 강변9로로 불렸다. 1972년부터 1986년까지는 강남1로부터 강남5로까지의 명칭이 사용되었다.[1]
4. 1. 1972년 이전
1972년 이전의 강변도로에는 강남, 강북에 관계 없이 준공 순서대로 '강변1로 ~ 강변9로'의 명칭을 부여하였다. 현재의 올림픽대로(노들로 구간)는 다음과 같다.- '''강변1로''': 제1한강 ~ 영등포구청
- '''강변2로''': 영등포구청 ~ 제2한강
- '''강변5로''': 제1한강 ~ 영동교
- '''강변7로''': 영동교 북단 ~ 하일동시계
- '''강변9로''': 양화동 ~ 개화동시계
강변북로에 해당하는 구간은 다음과 같다.
4. 2. 1972년 ~ 1986년
1972년 ~ 1986년 구간은 다음과 같이 명명되었다.[1]5. 구조 및 특징
1986년 아시안 게임과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김포국제공항에서 선수촌과 서울올림픽주경기장으로 원활하게 수송하기 위해 한강 종합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건설되었다.[1]
6. 나들목 · 분기점
종류 | 이름[18] | 로마자 이름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19] | |
---|---|---|---|---|---|---|
김포한강로 직결 | ||||||
IC | 개화 나들목 | Gaehwa | 행주대교 국도 제39호선 (벌말로, 개화동로) 국도 제48호선 (개화동로) 국가지원지방도 제78호선 (금포로, 개화동로) | 서울특별시 | 강서구 | |
IC | 정곡 나들목 | Jeonggok | 양천로27길 | 하남 방향 진입만 불가능 | ||
JC | 88 분기점 (방화대교분기점) | 88 JC | 평택파주고속도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방화대로 | 공항 방향 진출과 하남 방향 진입만 가능 | ||
IC | 궁산 나들목 | Gungsan | 강서로 | 공항 방면 진입 불가 | ||
IC | 가양대교분기점 | Gayangdaegyo Br. | 가양대교 화곡로 | |||
IC | 명칭 미상 | 양천로61길 | 하남 방면만 진출 가능 | |||
IC | 염창 나들목 | Yeomchang | 월드컵대교 안양천로 양천로 국도 제6호선 (공항대로, 노들로) 국도 제48호선 (공항대로, 노들로) 국도 제77호선 (공항대로, 노들로) | |||
IC | 성산대교분기점 | Seongsandaegyo Br. | 성산대교 국도 제1호선 (서부간선도로) 국도 제6호선 (노들로) 국도 제48호선 (노들로) 국도 제77호선 (노들로) 양평로30길 | 영등포구 | 한강공원을 통해 연결 | |
IC | 여의하류 나들목 | Yeouido 2nd | 여의서로 노들로 | |||
JC | 여의 분기점 | Yeoui JC | 신월여의지하도로 | 공항 방향 진출과 하남 방향 진입만 가능 | ||
IC | 여의중류 램프 | 노들로 국도 제46호선 (경인로) | 공항 방향 진출 전용 서울교(경인로) 방면으로만 이용 가능 노들길지하차도 진입 불가 | |||
IC | 여의상류 나들목 | Yeouido 1st | 여의동로 노들로 | 동작구 | ||
BR | 노량대교 | Noryangdaegyo Br. | ||||
IC | 동작대교분기점 | Dongjakdaegyo Br. | 동작대교 동작대로 현충로 | 하남방향 동작대교 진출불가 | ||
IC | 반포대교분기점 | Banpodaeagyo Br. | 반포대교 반포대로 | 서초구 | ||
IC | 한남대교분기점 | Hannamdaegyo Br. | 한남대교 강남대로 구 경부고속도로 | 강남구 | ||
IC | 동호대교분기점 | Donghodaegyo Br. | 동호대교 논현로 | |||
IC | 성수대교분기점 | Seongsudaegyo Br. | 성수대교 언주로 | |||
IC | 영동대교분기점 | Yeongdongdaegyo Br. | 영동대교 국도 제47호선 (영동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영동대로) 도산대로 | 공항방향 영동대교남단 진출불가 | ||
JC | 청담대교분기점 | Cheongdamdaegyo Br. | 동부간선도로 (분당수서로) 봉은사로 | 양방향 청담대교 진출 불가 공항 방향 진출 불가 | ||
IC | 탄천 나들목 | Tancheon | 탄천동로 봉은사로 | 송파구 | 공항 방향 진출 불가 | |
IC | 종합운동장 분기점 | Sports Complex | 백제고분로 한가람로 | |||
IC | 잠실대교분기점 | Jamsildaegyo Br. | 잠실대교 국도 제3호선 (송파대로) | |||
IC | 올림픽대교분기점 | Olympicdaegyo Br. | 올림픽대교 강동대로 | |||
IC | 천호대교분기점 | Cheonhodaegyo Br. | 천호대교, 광진교 국도 제43호선 (천호대로) 구천면로 | 광진교는 공항 방향 진출만 가능 | ||
IC | 암사 분기점 | Amsa JC | 선사로 상암로 | 강동구 | 하남 방향 진출만 가능 | |
IC | 토끼굴입구 | 고덕로 선사로 | 진출불가(진입만 가능) 공항 방향 진출로 폐쇄됨 | |||
IC | 암사 나들목 | Amsa | 양재대로 올림픽로 | 올림픽로는 하남 방향 진출만 가능 | ||
IC | 강동고덕 나들목 | Gangdonggoduk | 세종포천고속도로 | |||
IC | 강일 나들목 | Gangil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 미사대로 | |||
서울양양고속도로, 미사대로와 직결 |
7. 경유지
8. 통행 제한
올림픽대로는 개통과 동시에 모든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자전거, 보행자, 우마차, 손수레 등의 통행이 금지되어 있다. 이륜자동차(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의 경우는 긴급자동차로 지정된 이륜자동차(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나 그 밖의 이륜자동차와 초소형 전기자동차, 농기계 등은 통행이 금지되어 있다. 또 내부순환로와 북부간선도로, 강남순환로와 마찬가지로 10톤 이상 화물자동차와 가스나 유류, 유독물, 농약 등 위험물질 운반차량, 건설기계 차량과 폭발물 운반차량은 통행이 제한된다.
9. 비판 및 논란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요약, 섹션 제목을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해드리겠습니다.)
참조
[1]
뉴스
交通死角지대 서울江邊도로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80-10-18
[2]
뉴스
楊花橋~幸州大橋 제방축조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83-03-28
[3]
일반
[4]
간행물
서울특별시공고 제114호
http://event.seoul.g[...]
1967-08-18
[5]
간행물
서울특별시공고 제121호
http://event.seoul.g[...]
1967-08-24
[6]
일반
[7]
간행물
서울특별시공고 제221호
http://event.seoul.g[...]
1971-10-26
[8]
뉴스
새이름 붙인 道路 107개로 늘어나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2-11-27
[9]
간행물
서울특별시공고 제95호
http://event.seoul.g[...]
1975-04-30
[10]
뉴스
清潭橋(청담교) 개통 江南(강남) 2路(로)도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5-08-26
[11]
간행물
서울특별시공고 제155호
http://event.seoul.g[...]
1976-07-15
[12]
뉴스
江南(강남)1路(로) 준공식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80-12-16
[13]
뉴스
올림픽大路(대로) 개통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86-05-02
[14]
뉴스
서울 江南路(강남로) 곧 開通(개통)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6-05-01
[15]
간행물
서울특별시공고 제394호
http://theme.archive[...]
1986-07-12
[16]
뉴스
올림픽大路(대로) 확장 완공 내일부터 개통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3-06-02
[17]
간행물
행정안전부고시 제2009-30호
http://gwanbo.mois.g[...]
2009-07-10
[18]
일반
[19]
일반
[20]
웹사이트
서울특별시청 도로현황 (2022년)
https://news.seoul.g[...]
[21]
웹사이트
서울특별시 도로안내 노선번호 개선
http://lib.seoul.go.[...]
[22]
일반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잠실 스포츠·MICE 복합공간 사업 서울시 건축심의 통과
'잠실 스포츠·마이스 복합공간 조성' 본격화…건축심의 통과
야간·빗길도 선명하게…서울시 '태양광 LED 도로표지병' 확대
한미반도체와 만난 팝아트.. 필립 콜버트 협업 아트워크 공개
대치도 뛰고 마천도 달린다…강남권 재건축·재개발 속도전
강남 대치·송파 마천 … 속도내는 재건축·재개발
압구정5구역, 최고 250m·1401세대 아파트로 탈바꿈
마포 합정역 초고층 주상복합 ‘라비움 한강’ 내달 분양
"아내가" 다급한 'SOS'…퇴근길서 펼쳐진 '모세의 기적'
남양주 도농 ‘부영 애시앙’ 특별 분양
퇴근길 올림픽대교서 달리던 차량 화재
폭염 후 기습폭우에 퇴근길 곳곳 혼란…도로·하천 통제
기습 폭우에 퇴근길 불편…"피할 곳 없다" 푹푹 찌는 밤
[속보] 서울 도심 폭우에 침수 피해···서부간선도로 등 일부 통제
"담 넘고, 철조망 넘고"…교통사고 뒤 도주한 운전자 정체는
호반건설, 자양1-4구역 가로주택 정비사업 수주
빠른 속도 6단지 노른자 입지 5·7단지 목동 재건축 대장 노린다
[꼬꼬무 찐리뷰] 하지 절단된 아내 이송, 그 구급차 앞에 끼어든 차량들…'모세의 기적' 시작은 이랬다
[스브스夜] '꼬꼬무' 하지 절단 환자의 골든타임을 지키기 위한 사투···'모세의 기적'을 일으킨 그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