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체파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체체파리는 아프리카 열대 지역에 서식하는 흡혈성 파리이다. 체체파리는 머리, 흉부, 배로 구성되며, 날개가 접히고 주둥이가 뾰족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체체파리는 혈액을 먹이로 하며, 암컷은 유충을 낳는 대신 자궁 내에서 알을 부화시키는 독특한 생물학적 생활사를 가지고 있다. 체체파리는 트리파노소마증을 매개하며, 인간에게는 수면병을, 가축에게는 나가나병을 유발한다. 이러한 질병은 아프리카의 농업과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며, 체체파리 구제를 위해 불임 곤충 기술(SIT)과 같은 방법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리카의 파리목 - 이집트숲모기
이집트숲모기는 다리 흰색 무늬와 가슴 리라 모양 무늬가 있는 검은색 모기로,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황열병 등을 매개하는 해충이며, 방제를 위해 서식지 제거, 살충제 사용, 유전자 변형 기술 등이 활용되고 볼바키아균 이용 생물학적 방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파리목 - 모기아목
등에아목은 짧은 더듬이와 구더기 형태의 유충, 9쌍의 기문을 가진 파리목의 한 아목으로, 파리매하목, 집파리하목, 동애등에하목, 등에하목, 베르밀레오하목, 밑들이파리매하목 등을 포함하며 분류가 복잡하다. - 파리목 - 파리 (곤충)
파리는 파리목 곤충의 총칭으로,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 유기물 등을 섭취하고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질병을 전파하는 위생 해충이기도 하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체체파리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분포 | |
| 분포 지역 |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이남 지역 |
| 서식지 | 습윤한 환경 |
| 분류 | |
| 계 | 동물계 |
| 문 | 절지동물문 |
| 강 | 곤충강 |
| 목 | 파리목 |
| 아목 | 짧은뿔파리아목 |
| 하목 | 파리하목 |
| 상과 | 시라미파리상과 |
| 과 | 체체파리과 (Glossinidae) |
| 속 | 체체파리속 (Glossina) |
| 속 명명 | 비데만, 1830 |
| 하위 분류 | 본문 참조 |
| 일반 정보 | |
| 학명 | Glossina |
| 명명자 | Wiedemann, 1830 |
| 과 | 체체파리과 (Glossinidae) |
| 명명자 | Theobald, 1903 |
| 영어 이름 | 체체파리 체체파리 틱틱 파리 |
| 일본어 이름 | 체체바에 |
| 생물학적 특징 | |
| 화석 범위 | 에오세 - 현세 (3400만 년 전 - 현재) |
| 아속 | |
| "모르시탄스" ("사바나" 아속) | Morsitans |
| "푸스카" ("숲" 아속) | Fusca |
| "팔팔리스" ("강변" 아속) | Palpalis |
| 기타 | |
| 특징 | 질병을 퍼뜨리는 곤충의 속 |
| 이미지 | |
![]() | |
![]() | |
![]() | |
2. 용어
"파리"라는 단어가 없는 '체체'는 특히 과학 및 개발 분야에서 영어에서 더 흔하게 사용된다.
체체파리의 생물학은 곤충학자들에게 비교적 잘 알려져 있다. 이 파리들은 의학적, 수의학적, 경제적 중요성 때문에, 실험실에서 사육할 수 있다는 점과 분석이 용이한 비교적 큰 크기 때문에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왔다.
이 단어는 소토어에서 '체-체'로 발음되며, 다른 아프리카 언어에서도 쉽게 표현된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의 드 하빌랜드 대잠수함 항공기는 '체체' 모스키토로 알려졌다.[6]
3. 생물학
다른 곤충처럼 체체파리의 성체는 머리, 흉부, 배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 머리에는 큰 두 눈이 양쪽에 각각 있으며, 길고 뾰족한 촉문이 머리 아래 앞으로 나 있다. 흉부는 가장 큰 부분인데, 세 쌍의 다리와 두 개의 날개, 평형곤이 붙어 있다. 배는 짧지만 넓어서 먹이를 먹으면 매우 커진다. 체체파리의 소낭은 커서 피를 빨 때 부피를 쉽게 늘릴 수 있게 한다.
체체파리는 혈액을 먹이로 삼는 특성 때문에 독특한 생물학적 생활사를 가진다. 암컷은 한 번에 하나의 알만 수정시키고, 각 알을 자궁 내에 보관하여 처음 세 번의 유충 기간 동안 내부에서 새끼가 발달하도록 한다. 이를 선모성 태생이라고 부른다.[9] 이 기간 동안 암컷은 자궁 내 변형된 샘에서 분비되는 우유 같은 물질로 발달 중인 새끼에게 먹이를 공급한다.[10] 세 번째 유충 단계가 되면, 체체파리 유충은 자궁을 떠나 독립적인 생활을 시작한다. 새로 태어난 유충은 땅 속으로 기어 들어가 단단한 겉껍질(용각)을 형성하고, 이 껍질 안에서 성충으로의 형태적 변환을 완료한다.
일반적으로 체체파리는 난자 형성, 배란, 수정 및 알의 발달을 시작으로, 세 번의 유충 단계, 번데기 단계, 그리고 성충의 출현과 성숙으로 이어지는 표준적인 형태 발생 과정을 거친다.
멧돼지과가 전반적으로 가장 중요한 숙주이다. 물영양(*Kobus ellipsiprymnus*)은 휘발성 물질을 생성하여 기피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체체파리에게 방해받지 않는다.[11][12][13][14]
암컷과 수컷 모두 포유류와 조류에서 흡혈하며, 혈액을 영양원으로 생활한다. 한 번의 흡혈로 40~150mg의 혈액을 섭취한다. 이는 암컷만이 난소 발육을 위한 영양원으로 흡혈하는 모기나 등에, 날파리 등과 다른 점이다. 숙주의 선호성은 환경이나 야생 동물상 등에 따라 변화하는 경향이 있지만, 종 특이적인 경향이 있어 특정 포유류를 좋아하는 종류나 기회적인 흡혈을 하는 종류가 알려져 있다.[14]
체체파리의 생태에서 매우 독특한 점은 번식 방법이다. 암컷은 산란하는 대신, 태내의 자궁에서 한 번에 1개의 알을 유지하고, 부화한 유충은 6~7일 동안 암컷이 분비하는 영양 물질을 자궁 내에서 섭취하여 노숙 유충으로 발육한 다음 산출된다. 유충은 재빨리 식물의 그늘 등 직사광선이 닿지 않는 곳에서 땅속으로 들어가 번데기가 되고, 30~40일 후에 우화한다. 한 개체의 암컷은 우화 후 80일령까지 산자 가능하며, 평생 6~8번의 산자를 반복한다고 알려져 있다.
2014년 모르시탄체체파리( ''Glossina morsitans'')의 유전체가 해독되었다.[15]
3. 1. 형태
다른 곤충처럼 체체파리의 성체도 머리, 흉부, 배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 머리에는 큰 두 눈이 양쪽에 각각 있으며, 길고 뾰족한 촉문이 머리 아래 앞으로 나 있다. 흉부는 가장 큰 부분인데, 세 쌍의 다리가 붙어 있고 두 개의 날개와 평형곤이 붙어 있다. 배는 짧지만 넓어서 먹이를 먹으면 매우 커진다. 체체파리의 소낭은 커서 피를 빨 때 부피를 쉽게 늘릴 수 있게 한다.
체체파리는 세 번째 유충, 번데기, 성충의 세 가지 형태로 독립적인 개체로 볼 수 있다. 유충은 어미에게서 분리될 때 구더기의 전형적인 모습을 갖지만, 이 시기는 매우 짧다. 번데기는 작고 딱딱한 껍질을 가진 타원형이며 꼬리 끝에 두 개의 검은색 로브가 있다. 체체파리 번데기는 1cm보다 짧다.[7] 번데기 단계를 거쳐 성충으로 부화한다. 성충은 0.5cm에서 1.5cm 길이의 비교적 큰 파리로,[7] 다른 파리와 구별되는 특징적인 바우플란을 가지고 있다.
성충 체체파리를 다른 파리와 구별하는 네 가지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주둥이 | 체체파리는 머리 밑에 부착되어 앞으로 뻗어 있는 길고 얇은 뚜렷한 주둥이를 가지고 있다. | -- |
|---|---|---|
| 접힌 날개 | 휴식할 때 체체파리는 날개를 완전히 접어 하나를 다른 하나 위에 올려놓는다. | -- |
| 도끼 세포 | 날개의 원반 중앙("중간") 세포는 도끼, 즉 정육칼 또는 도끼 모양을 특징적으로 띤다. | -- |
| 분기된 털 | 촉각은 털이 달린 아리스티(arista)를 가지며, 이 털은 자체적으로 분기된다. | -- |
체장은 5~10mm이다. 집파리과의 흡혈파리처럼 입술이 경화되어 바늘 모양을 하고 있어 흡혈에 적합하다. 더듬이의 제3마디 말단 가시는 갈라져 있으며, 정지 시에는 날개를 가위 날처럼 겹쳐 놓는다.
3. 2. 생태
체체파리는 혈액을 먹이로 삼는 특성 때문에 독특한 생물학적 생활사를 가진다. 암컷은 한 번에 하나의 알만 수정시키고, 각 알을 자궁 내에 보관하여 처음 세 번의 유충 기간 동안 내부에서 새끼가 발달하도록 한다. 이를 선모성 태생이라고 부른다.[9] 이 기간 동안 암컷은 자궁 내 변형된 샘에서 분비되는 우유 같은 물질로 발달 중인 새끼에게 먹이를 공급한다.[10]세 번째 유충 단계가 되면, 체체파리 유충은 자궁을 떠나 독립적인 생활을 시작한다. 새로 태어난 유충은 땅 속으로 기어 들어가 단단한 겉껍질(용각)을 형성하고, 이 껍질 안에서 성충으로의 형태적 변환을 완료한다.
유충 생활 단계는 보통 20~30일 정도이며, 이 기간 동안 유충은 저장된 자원에 의존해야 한다. 모든 체체파리의 발달은(성충으로 용각에서 나오기 전) 먹이 섭취 없이 어미 파리가 제공하는 영양분으로만 진행된다. 어미는 자신의 생존뿐만 아니라 새끼가 성충으로 나올 때까지 필요로 하는 저장 자원을 충분히 얻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체체파리는 난자 형성, 배란, 수정 및 알의 발달을 시작으로, 세 번의 유충 단계, 번데기 단계, 그리고 성충의 출현과 성숙으로 이어지는 표준적인 형태 발생 과정을 거친다.
멧돼지과가 전반적으로 가장 중요한 숙주이다. 물영양(*Kobus ellipsiprymnus*)은 휘발성 물질을 생성하여 기피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체체파리에게 방해받지 않는다.[14][11] 물영양 냄새 휘발성 물질은 가축을 보호하기 위한 기피제로 연구 및 개발 중에 있다.[12][13]
종별 혈액 식사는 다음과 같다.[14]
| 종 | 숙주 |
|---|---|
| G. swynnertoni | |
| G. austeni | |
| G. fuscipleuris | |
| G. tabaniformis | |
| G. morsitans | |
| G. fusca | |
| G. brevipalpis | |
| G. palpalis | |
| G. fuscipes | |
| G. tachinoides | |
| G. pallidipes | |
| G. longipalpis | |
| G. longipennis | |
| G. m. submorsitans |
암컷과 수컷 모두 포유류와 조류에서 흡혈하며, 혈액을 영양원으로 생활한다. 한 번의 흡혈로 40~150mg의 혈액을 섭취한다. 이는 암컷만이 난소 발육을 위한 영양원으로 흡혈하는 모기나 등에, 날파리 등과 다른 점이다. 숙주의 선호성은 환경이나 야생 동물상 등에 따라 변화하는 경향이 있지만, 종 특이적인 경향이 있어 특정 포유류를 좋아하는 종류나 기회적인 흡혈을 하는 종류가 알려져 있다.
유럽인들은 아프리카를 식민지화할 때 말을 들여왔지만, 체체파리에 물려 수면병에 걸려 쓸모없게 되었다. 아프리카 원산 동물은 체체파리에 대한 내성을 가지고 있다. 체체파리와 서식지가 겹치는 얼룩말은 털이 매우 짧아 흡혈이 용이함에도 불구하고 수면병에 거의 걸리지 않는다. 그러나 가축화 시도는 실패로 끝났다.[70] 2014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의 팀 카로(Tim Caro) 박사 연구팀은 체체파리가 색상이 균일한 면에 착지하는 것을 선호하고, 무늬가 있는 면은 피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실험으로 확인했다. 이에 따라 얼룩말의 줄무늬는 체체파리 등이 매개하는 감염증으로부터 몸을 지킬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 그러나 체체파리가 줄무늬를 피하는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70]
체체파리의 생태에서 매우 독특한 점은 번식 방법이다. 암컷은 산란하는 대신, 태내의 자궁에서 한 번에 1개의 알을 유지하고, 부화한 유충은 6~7일 동안 암컷이 분비하는 영양 물질을 자궁 내에서 섭취하여 노숙 유충으로 발육한 다음 산출된다. 유충은 재빨리 식물의 그늘 등 직사광선이 닿지 않는 곳에서 땅속으로 들어가 번데기가 되고, 30~40일 후에 우화한다. 한 개체의 암컷은 우화 후 80일령까지 산자 가능하며, 평생 6~8번의 산자를 반복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번식 방법은, 같은 파리목 중에서 체체파리와 마찬가지로 포유류나 조류의 흡혈자로서 특수화된 털파리과나 박쥐파리과에서도 알려져 있으며, 산자 후 바로 번데기가 되므로 용생류라고 통칭된다.
3. 3. 유전학
2014년에 모르시탄체체파리( ''Glossina morsitans'')의 유전체가 해독되었다.[15]4. 분포
화석 글로시나는 북아메리카의 플로리산트 층과 독일의 엔스펠 라거슈테테에서 발견되었으며, 각각 에오세 후기와 올리고세 후기에 해당한다.[24]
체체파리는 거의 전적으로 아프리카 열대 지역의 숲이 우거진 초원과 숲 지역에 국한되어 있다. 1990년 기준으로 세네갈(니에스 지역)의 북위 약 15°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콰줄루-나탈 주)의 남위 28.5°까지 보고되었다.[3] 아프리카 대륙의 북위 15도에서 남위 20도의 범위 내 약 15억km2의 범위에만 분포하여, 이 위도 범위는 '''체체파리 벨트 지대'''라고 불린다.
사우디아라비아 최남서부에는 ''G. f. fuscipes''와 ''G. m. submorsitans'' 두 아종만 존재한다. 카터는 1903년 예멘 남부 아덴 근처에서 ''G. tachiniodes''를 발견했지만, 그 이후로는 확인된 바가 없다.[25]
화석은 미국콜로라도주의 신생대 점신세 셰일에서 발견되었으며, 과거에는 현재보다 훨씬 넓은 범위에 분포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생존 환경은 종마다 선호하는 환경이 달라서, 열대 우림, 건조지, 맹그로브 등 매우 다양하다.
아프리카 대륙에서 전통적인 가축(소) 사육은 체체파리의 서식지를 피하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20세기 후반에 소 사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제 작업이 진행되어 체체파리 개체 수가 감소했다.[69]
5. 분류
체체파리는 참파리목 파리목 말파리상과에 속하며, 글로시나과는 혈액을 먹는 절대 기생충 4개 과 중 하나이다. 체체파리 속은 일반적으로 분포, 생태, 행동, 분자 및 형태학적 특성의 조합에 따라 세 개의 종 그룹으로 나뉜다.[19][20] 이 속에는 사바나 파리, 숲 파리, 하천 및 호수 파리가 포함된다.
현재 분류는 모든 체체파리 종을 단일 속인 ''Glossina''에 포함시키며, 대부분은 이 속을 글로시나과의 유일한 구성원으로 간주한다. 사용되는 특정 분류에 따라 최대 34종 및 아종의 체체파리가 인식된다.
2001년 기준으로 1속 23종 8아종으로 분류되며, 크게 3개의 그룹으로 나뉜다.
'사바나' 파리 (''Morsitans group'', 아속 ''Glossina'' s.s.):
- ''Glossina austeni'' (뉴스테드, 1912) 오스틴의 인명
- ''Glossina longipalpis'' (비데만, 1830)
- ''Glossina morsitans'' (웨스트우드, 1851)
- ''Glossina morsitans morsitans'' (웨스트우드, 1850)
- ''Glossina morsitans submorsitans''
- ''Glossina morsitans centralis'' (마차도, 1970)
- ''Glossina pallidipes'' (오스틴, 1903)
- ''Glossina swynnertoni'' (오스틴, 1923) 스윈너턴의 인명
'숲' 파리 (''Fusca'' 그룹, 아속 ''Austenina''):
- ''Glossina brevipalpis'' (Newstead, 1910)
- ''Glossina fusca'' (Walker, 1849)
- ''Glossina fusca fusca'' (Walker, 1849)
- ''Glossina fusca congolensis'' (Newstead and Evans, 1921)
- ''Glossina fuscipleuris'' (오스틴, 1911)
- ''Glossina frezili'' (Gouteux, 1987)[23]
- ''Glossina haningtoni'' (뉴스테드와 에반스, 1922)
- ''Glossina longipennis'' (Corti, 1895)
- ''Glossina medicorum'' (오스틴, 1911)
- ''Glossina nashi'' (Potts, 1955)
- ''Glossina nigrofusca'' (뉴스테드, 1911)
- ''Glossina nigrofusca nigrofusca'' (뉴스테드, 1911)
- ''Glossina nigrofusca hopkinsi'' (van Emden, 1944)
- ''Glossina severini'' (뉴스테드, 1913)
- ''Glossina schwetzi'' (뉴스테드와 에반스, 1921)
- ''Glossina severini'' (Newstead, 1913)
- ''Glossina tabaniformis'' (Westwood, 1850)
- ''Glossina vanhoofi'' (Henrard, 1952)
'강변' 및 '호수' 파리 (''Palpalis'' 그룹, 아속 ''Nemorhina''):
- ''Glossina caliginea'' (오스틴, 1911)
- ''Glossina fuscipes'' (뉴스테드, 1911)
- * ''Glossina fuscipes fuscipes'' (뉴스테드, 1911)[25]
- * ''Glossina fuscipes martinii'' (Zumpt, 1935)
- * ''Glossina fuscipes quanzensis'' (Pires, 1948)
- ''Glossina pallicera (Bigot, 1891)''
- * ''Glossina pallicera pallicera'' (Bigot, 1891)
- * ''Glossina pallicera newsteadi'' (오스틴, 1929) 뉴스테드 인명 유래
- ''Glossina palpalis'' (Robineau-Desvoidy, 1830)
- * ''Glossina palpalis palpalis'' (Robineau-Desvoidy, 1830)
- * ''Glossina palpalis gambiensis'' (Vanderplank, 1911)
- ''Glossina tachinoides'' (웨스트우드, 1850)
6. 트리파노소마증
트리파노소마증은 체체파리가 옮기는 병이다. 체체파리는 생물학적 매개체로서, 먹이를 먹는 과정에서 트리파노소마를 감염된 척추동물 숙주로부터 감염되지 않은 동물에게 전파한다. 체체파리가 옮기는 트리파노소마 종은 트리파노소마증을 일으킨다.
트리파노소마는 동물의 기생충으로, 특히 ''트리파노소마'' 속의 원생동물이다. 이 유기체는 적혈구 크기 정도이며, 다양한 숙주를 감염시킨다. 척추동물 숙주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다양하며, ''T. theileri''와 같은 일부 종은 이미 아픈 동물을 제외하고는 건강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28]
감염된 파리는 타액 조성이 변경되어 먹이 섭취 효율이 감소하고, 그 결과 먹이 섭취 시간이 증가하여 척추동물 숙주로의 트리파노소마 전파를 촉진한다.[29] 트리파노소마는 고도로 진화했으며 척추동물과 체체파리 숙주 모두에서 기간이 필요한 생활 주기를 개발했다.
체체파리는 기계적 전파와 생물학적 전파의 두 가지 방식으로 트리파노소마를 전파한다.
- 기계적 전파: 감염된 숙주로부터 얻은 트리파노소마를 감염되지 않은 숙주로 직접 전파한다. 주사기로 기계적으로 주사하는 것과 유사하다. 체체파리가 감염된 숙주를 먹고 트리파노소마를 획득한 다음, 짧은 시간 내에 감염되지 않은 숙주를 먹고 감염된 혈액의 일부를 역류시켜 전파한다. 말파리와 같은 다른 파리도 기계적 전파를 유발할 수 있다.[30]
- 생물학적 전파: 체체파리 숙주 내에서 트리파노소마의 잠복 기간이 필요하다. 잠복 기간 동안 트리파노소마가 체체파리 숙주 내에서 여러 세대에 걸쳐 번식해야 한다(외인성 잠복 기간). 트리파노소마는 여러 세대에 걸쳐 번식하며 특정 기간에 형태가 변한다. 이 전파 방식에는 트리파노소마의 성적 단계도 포함된다. 체체파리는 처음 몇 번의 혈액 식사 동안 트리파노소마에 감염될 가능성이 더 높으며, 남은 생애 동안 감염된 상태로 유지된다.
트리파노소마증의 생물학적 전파 주기는 체체파리 숙주 내와 척추동물 숙주 내의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새로 나타난 모든 체체파리 성충은 감염되지 않은 상태이며, 감염되지 않은 파리가 감염된 척추동물을 먹으면 트리파노소마를 획득할 수 있다. 감염된 체체파리가 숙주를 물면 파리가 이전 혈액 식사의 일부를 역류시켜 트리파노소마를 포함하거나, 타액에 트리파노소마를 주입할 수 있다. 접종에는 최소 300~450개의 개별 트리파노소마가 필요하며 최대 40,000개의 세포가 포함될 수 있다.[28]
''T. b. brucei''가 ''G. p. gambiensis''를 감염시키는 경우, 기생충은 파리 머리의 단백질체 내용을 변경한다. 이는 불필요하게 증가된 먹이 섭취 빈도(전파 기회 증가)의 이유일 수 있으며, 관찰된 포도당 대사의 변화로 인해 더 많은 칼로리가 필요하다고 인식되기 때문일 수 있다.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 합성도 변경된다.[31]
트리파노소마는 척추동물 근육 조직에 주입되지만 먼저 림프계로 들어가 혈류로, 결국 뇌로 이동한다. 이 질병은 림프선의 부종, 신체의 쇠약, 결국 사망을 유발한다. 감염되지 않은 체체파리는 감염된 동물이 사망하기 전에 물어 질병을 획득하여 전파 주기를 닫을 수 있다.
체체파리에 의해 옮겨지는 트리파노소마증은 인간을 포함한 다양한 척추동물 종에 영향을 미친다. 아래 표는 주요 트리파노소마증과 관련된 정보를 요약한 것이다.
| 질병 | 영향을 받는 종 | 트리파노소마 병원체 | 분포 | 글로시나 매개체 |
|---|---|---|---|---|
| 수면병 — 만성 형태 | 인간 | T. brucei gambiense | 서아프리카 | |
| 수면병 — 급성 형태 | 인간 | T. brucei rhodesiense | 동아프리카 | |
| 나가나병 — 급성 형태 | 영양 소 낙타 말 | T. brucei brucei | 아프리카 | |
| 나가나병 — 만성 형태 | 소 낙타 말 | T. congolense | 아프리카 | |
| 나가나병 — 급성 형태 | 돼지 소 낙타 말 | T. simiae | 아프리카 | |
| 나가나병 — 급성 형태 | 소 낙타 말 | T. vivax | 아프리카 | |
| 수라병 — 만성 형태 | 돼지 혹멧돼지 —(Phacochoerus aethiopicus) 숲돼지 —(Hylochoerus spp.) | T. suis | 아프리카 |
6. 1. 인간 트리파노소마증 (수면병)
트리파노소마증은 체체파리가 유발하는 병이다. 사람 아프리카 트리파노소마증은 수면병이라고도 하며, ''Trypanosoma brucei'' 종의 트리파노소마에 의해 발생한다. 이 질병은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예외 없이 치명적이지만, 현재의 의약품으로 질병을 조기에 진단하면 거의 항상 치료할 수 있다.수면병은 체체파리의 물림으로 시작하여 피하 조직에 감염을 일으킨다. 감염은 림프계로 이동하여 ''Winterbottom's sign''이라고 불리는 림프선의 특징적인 부종을 유발한다. 감염은 혈류로 진행되어 결국 중추 신경계로 침투하여 뇌를 침범하여 극심한 무기력증을 유발하고 결국 사망에 이르게 한다.
이 질병을 유발하는 종인 ''Trypanosoma brucei''는 균주가 감염시킬 수 있는 척추동물 숙주 또는 인간의 질병의 독성을 기준으로 식별된 세 개의 아종으로 종종 세분되었다. 동물에게는 감염되지만 인간에게는 감염되지 않는 트리파노소마는 ''Trypanosoma brucei brucei''로 명명되었다. 인간을 감염시키는 균주는 다른 독성을 기반으로 두 개의 아종으로 나뉘었다. ''Trypanosoma brucei gambiense''는 발병이 느린 것으로 생각되었고, ''Trypanosoma brucei rhodesiense''는 더 빠르고 독성이 강한 발병 균주를 지칭한다. 이러한 특성화는 항상 문제가 있었지만 당시의 지식과 식별에 사용할 수 있는 도구를 고려할 때 최선이었다. 제한 단편 길이 다형성 분석을 사용한 최근의 분자 연구에 따르면 세 아종은 다계통이며,[36] 따라서 인간에게 감염되는 ''T. brucei'' 균주의 해명에는 더 복잡한 설명이 필요하다. 프로사이클린은 트리파노소마가 체체파리 매개체에 있는 동안 표면 코팅에서 개발된 단백질이다.[37]
다른 형태의 인간 트리파노소마증도 존재하지만 체체파리에 의해 전파되지는 않는다.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남아메리카에서 발생하는 샤가스병으로 알려진 아메리카 트리파노소마증이며, ''Trypanosoma cruzi''에 의해 발생하고 Reduviidae과에 속하는 특정 곤충에 의해 전파된다.
6. 2. 동물 트리파노소마증 (나가나병)
소낙타
말
낙타
말
소
낙타
말
낙타
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