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 편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출판 편향은 연구 결과의 출판이 연구의 질뿐만 아니라 가설의 검증 여부, 효과의 유의성 및 방향에도 영향을 받을 때 발생한다. 이는 긍정적인 결과가 부정적인 결과보다 출판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현상을 야기하며, '파일 보관함 효과'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편향은 생의학 분야의 메타 연구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발표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나는 등 다양한 증거를 통해 확인된다. 출판 편향은 메타 분석의 결과를 왜곡하고, 근거 중심 의학의 신뢰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며, 제약 회사의 재정적 이익과 관련하여 특히 심각한 문제로 이어진다. 해결 방안으로는 연구 등록, 메가스터디 등 연구 표준을 향상시키고, 편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타분석 - 고찰 논문
고찰 논문은 기존 연구 결과들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논문으로, 문헌 검토, 체계적 문헌고찰, 메타분석 등의 유형이 있으며, 학문적 문헌 내에서 기존 실증적 연구의 한계를 분석하고 미래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메타과학 - 재현성
재현성은 과학적 연구의 신뢰성을 평가하는 요소로, 동일한 조건에서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하며, 실험 방법과 데이터의 투명한 공개를 통해 확보해야 한다. - 메타과학 - 실험계획법
실험계획법은 실험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실험 전 상세 계획을 세우는 방법론이며, 비교, 무작위화, 반복 등의 원칙을 기반으로 다양한 설계 방식을 활용하여 실험을 진행한다. - 학술 출판 - 고찰 논문
고찰 논문은 기존 연구 결과들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논문으로, 문헌 검토, 체계적 문헌고찰, 메타분석 등의 유형이 있으며, 학문적 문헌 내에서 기존 실증적 연구의 한계를 분석하고 미래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학술 출판 - 오픈 소스
오픈 소스는 제품 설계 및 재배포를 장려하는 모델로,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시작하여 개방형 협업을 장려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고 오픈 소스 이니셔티브와 같은 단체가 운동을 지원한다.
출판 편향 | |
---|---|
정의 | |
설명 | 연구 결과의 출판 가능성이 결과의 성격에 따라 달라지는 현상. 특히 유의미한 결과가 그렇지 않은 결과보다 출판될 가능성이 더 높음. |
다른 이름 | 출판 선택 편향 파일 서랍 효과 |
원인 | |
연구자 | 긍정적인 결과를 얻기 위한 압박 부정적인 결과에 대한 관심 부족 |
학술지 | 긍정적인 결과 선호 혁신적인 연구 선호 영향력 있는 연구 선호 |
영향 | |
메타 분석 | 결과 왜곡 |
과학적 지식 | 불완전한 정보 잘못된 결론 |
탐지 방법 | |
시각적 방법 | 깔때기 그림 |
통계적 방법 | 베그 검정 에거 검정 사이몬손의 p-곡선 |
완화 방법 | |
사전 등록 | 연구 시작 전 연구 계획 등록 |
결과 보고 편향에 대한 투명성 확보 | 모든 결과 공개 출판되지 않은 연구에 대한 접근성 향상 |
출판되지 않은 연구의 체계적 검토 | 회색 문헌 검색 전문가 의견 수렴 |
2. 정의
출판 편향은 연구 결과의 출판 여부가 연구의 질뿐만 아니라 검증된 가설, 탐지된 효과의 유의성 및 방향에도 의존할 때 발생한다.[10] 이 주제는 1959년 통계학자 테오도르 스털링에 의해 처음 논의되었으며, "성공적인" 연구가 더 많이 출판될 가능성이 있는 분야를 지칭했다.[11]
생의학 분야에서는 출판 편향에 대한 광범위한 메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임상 시험을 윤리 위원회나 규제 기관에 프로토콜을 제출하는 시점부터 결과 발표까지 추적한 연구들은 긍정적인 결과를 가진 연구가 발표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18][19][20] 연구 프로토콜과 발표된 논문을 비교한 연구에서는, 연구가 발표될 때 부정적인 결과를 보고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이 밝혀졌다.[21][22]
출판 편향은 메타 분석 및 체계적 문헌 고찰의 결과를 왜곡한다. 예를 들어, 근거 중심 의학은 증거를 평가하기 위해 메타 분석에 점점 더 의존하고 있는데, 출판 편향은 이러한 근거 중심 의학의 신뢰도를 저하시킨다.[28]
제약 회사의 재정적 이익은 출판 편향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2004년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은 자사의 항우울제 파록세틴(상품명: 팍실)과 관련하여, 어린이 복용 시 자살 위험이 높아졌다는 시험 결과를 공개하지 않은 혐의로 재판을 받았다.[55] 이 재판 결과, GSK는 모든 시험 결과를 온라인으로 공개하는 데 합의했다.
출판 편향의 한 가지 효과는 '''파일 보관함 효과''' 또는 '''파일 보관함 문제'''라고 불린다. 이 용어는 부정적인 결과, 즉 연구자의 초기 가설을 뒷받침하지 않는 결과가 종종 "파일 보관함"에 보관되어 연구자들의 파일 보관함 이상으로 진행되지 않아 출판된 연구에 편향을 초래한다는 것을 시사한다.[13] "파일 보관함 문제"라는 용어는 1979년 심리학자 로버트 로젠탈에 의해 만들어졌다.[14]
긍정적 결과 편향은 출판 편향의 한 유형으로, 저자가 긍정적인 결과를 제출할 가능성이 더 높거나 편집자가 부정적이거나 결정적이지 않은 결과보다 긍정적인 결과를 더 기꺼이 수용할 때 발생한다.[15] 결과 보고 편향은 여러 결과를 측정하고 분석하지만, 이러한 결과의 보고가 결과의 강도와 방향에 따라 달라질 때 발생한다. 이러한 사후 선택을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진 일반적인 용어는 HARKing(결과가 알려진 후 가설 설정)이다.[16]
3. 증거
메타 분석에서도 출판 편향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Cochrane Library의 의학 치료에 대한 체계적 검토에서 출판 편향의 존재를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통계적으로 긍정적이고 유의미한 결과는 다른 결과보다 효능에 대한 메타 분석에 포함될 가능성이 27% 더 높았다. 부작용의 증거가 없는 결과는 부작용을 나타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보다 안전성 연구에 포함될 확률이 78% 더 높았다. 출판 편향의 증거는 저명한 의학 저널에 발표된 메타 분석에서도 발견되었다.[24]
생태학 및 환경 생물학 분야의 메타 분석에서도 출판 편향이 발견되었다. 생태학 연구 100건의 메타 분석에서 출판 편향을 검사한 경우는 49%에 불과했다.[25]
4. 메타 분석에 대한 영향
메타 분석 및 체계적 문헌 고찰은 미출판 연구 및 회색 문헌의 증거를 포함하여 출판 편향을 설명할 수 있다. 또한 보고된 효과 크기의 추정치를 정밀도 또는 표본 크기의 척도에 대해 플롯하는 깔때기 그림을 구성하여 출판 편향의 존재를 탐색할 수도 있다. 전제는 점의 산포가 깔때기 모양을 반영하여 효과 크기의 보고가 통계적 유의성과 관련이 없음을 나타내야 한다는 것이다.[30] 그러나 작은 연구가 주로 한 방향(보통 더 큰 효과 크기 방향)으로 이루어지면 비대칭이 발생하며 이는 출판 편향을 나타낼 수 있다.[29]
깔때기 그림 해석에는 어느 정도 주관성이 존재하므로, 깔때기 그림 비대칭성을 감지하기 위한 몇 가지 테스트가 제안되었다.[30][31][32] 이는 에거 회귀 검사를 포함한 선형 회귀를 기반으로 한다.[33]
출판 편향의 존재는 시간 지연 편향 검사를 통해 감지할 수 있는데, 시간 지연 편향은 더 크거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더 작거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효과보다 더 빠르게 출판될 때 발생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반적인 효과의 규모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 시간 지연 편향 검사의 주요 특징은 더 많은 연구가 축적됨에 따라 평균 효과 크기가 실제 값으로 수렴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이다.[26]
5. 제약 회사의 이해관계와 미공개 시험
이 사건을 계기로, 의학 잡지 편집자 국제위원회는 등록되지 않은 시험은 게재하지 않겠다는 성명을 『미국 의사 협회 저널』,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 『랜싯』과 같은 일류 의학 잡지에 발표했다.[56][57][58] 이를 통해 부정적인 결과가 나와 공개되지 않은 시험의 존재를 파악하기 쉬워졌다.
세계 보건 기구(WHO)와 그 관련 기관은 GSK의 미공개 시험을 포함하여 메타 분석을 실시한 결과, 파록세틴의 효과는 전체 효과의 17%에 불과하며, 나머지는 위약 효과 등인 것으로 밝혀졌다.[60]
5. 1. 정보 공개법을 통한 해결 시도
정보 공개법에 따라 각국의 규제 기관으로부터 의약품 승인을 위해 제출된 모든 데이터를 입수하여 메타 분석하는 방법은 출판 편향을 피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61]
2008년, 어빙 커시는 4종류의 항우울제에 대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제출된 임상 시험 데이터를 분석하여 위약을 복용했을 때에도 약을 복용했을 때의 82%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이 효과의 차이는 영국 국립 보건 임상 연구소(NICE)가 임상적으로 유의미하다고 판단하는 차이보다 낮았다.[62] 유사한 조건에서 재확인된 결과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12종류의 항우울제 시험 데이터를 이용한 메타 분석 결과, 논문으로 발표된 문헌은 94%가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지만, 미공개 시험을 포함하면 51%만이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63] 이러한 연구 결과는 2012년 일본 우울증 학회의 진료 가이드라인에서 경증 우울증에 대한 약물 치료를 쉽게 권장할 수 없다는 근거로 사용되었다.[64]
5. 2. 타미플루 사례
2009년, 로슈(에프 호프만 라 로슈)는 미공개 시험 결과를 근거로 타미플루가 입원 위험을 61%, 합병증 위험을 67% 감소시킨다고 주장했다.[69] 2009년 인플루엔자 유행에 대비하여 미국 정부는 15억달러, 유럽 정부는 10억유로를 투입해 타미플루를 비축했다.[69] 이후 『영국 의학 저널(British Medical Journal)』 (''BMJ'')은 웹사이트를 개설하여[70], 로슈에 임상 시험 데이터 전체를 공개하라고 촉구했다.[71]
2012년, 코크란 연합은 일본, 미국, 유럽의 규제 기관에 제출된 임상 시험 데이터를 체계적 문헌고찰한 결과, 타미플루가 발병 시간을 21시간 단축시키지만 감염이나 입원 위험을 감소시킨다는 결론을 내릴 수 없다고 발표했으며, 출판 편향의 가능성을 발견했다.[72] 2014년에는 제출된 전체 데이터를 바탕으로 보고서가 개정되었다.[73] 코크란 연합과 BMJ는 공동 성명을 통해, 출판 편향을 제외하고 24,000명 이상을 분석한 결과 오셀타미비르(타미플루)와 자나미비르(릴렌자)가 당초 사용 목적이었던 입원이나 합병증을 감소시킨다는 충분한 증거가 없으며, 성인의 발병 시간을 7일에서 6.3일로 단축시키고 소아에게는 효과가 불분명하며, 5%에서 구토·오심 부작용이 발생하고 정신 의학적 부작용을 1% 증가시킨다고 보고했다. 이에 따라 세계적인 비축이 필요할 정도의 혜택이 있는지 재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74][75]
6. 출판 편향의 위험성
존 요아니디스는 "주장된 연구 결과는 종종 지배적인 편향의 정확한 척도일 뿐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46] 그는 긍정적인 결과를 가진 논문이 문헌에 실리고 부정적인 결과의 논문이 억제될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다음을 제시했다.
요인 |
---|
해당 분야에서 수행된 연구의 표본 크기가 작음. |
해당 분야의 효과 크기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음. |
테스트된 관계의 수가 더 많고, 사전 선택은 적음. |
설계, 정의, 결과 및 분석 방식에 유연성이 더 큼. |
(금전적 이익, 정치적 또는 기타) 편견이 존재함. |
과학 분야가 유행하고 더 많은 연구팀이 출판을 추구함. |
다른 요인으로는 실험자 편향과 화이트 햇 편향이 있다.
7. 해결 방안
출판 편향은 더 강력한 연구, 향상된 연구 표준, 그리고 진실된 관계와 진실되지 않은 관계에 대한 신중한 고려를 통해 억제될 수 있다.[46] 더 강력한 연구는 결정적인 결과를 제공하거나 주요 개념을 시험하고 낮은 편향 메타 분석으로 이어지는 대규모 연구를 말한다. 프로토콜 사전 등록, 데이터 수집 등록, 확립된 프로토콜 준수와 같은 향상된 연구 표준도 다른 기술이다. 허위 양성 결과를 피하기 위해, 실험자는 진실된 관계 또는 진실되지 않은 관계를 시험하고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47]
pubmed와 같은 공개된 의료 데이터베이스에서, 목적하는 질환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이중맹검법을 따르는 등의 기준에 맞는 시험을 수집한 후, 데이터를 결합하여 분석을 수행하는 메타 분석을 통해 더욱 과학적 근거가 강한 증거를 도출할 수 있다. 1992년에 영국의 보건성(NHS)에서 시작된 코크란 연합은, 근거에 기반한 정책을 시행하고, 성과를 거두었는지 여부를 납세자인 국민에게 설명하는 설명 책임의 일환으로 시작되었으며, 자의성을 배제하고 널리 문헌을 검색하여 가능한 한 편향을 제거한 메타 분석을 체계적 문헌고찰로서 정기적으로 공개하고 있다.
이해 관계 등의 이유로, 부정적인 결과가 나온 연구가 논문으로 공표되지 않은 경우, 긍정적인 연구가 많아짐으로써, 메타 분석에 의한 분석 결과가 긍정적인 쪽으로 치우치는 영향이 나타난다.[65]
출판 편향을 줄이기 위한 시험 등록은 1986년에 처음 언급되었고, 1997년 미국 FDA 현대화법에 따라 등록 제도([http://ClinicalTrials.gov ClinicalTrials.gov])가 생겼지만, 이용되지 않는 경우도 많았다. 2004년 항우울제 팍실의 불상사를 계기로 논의가 진전되었고, 시험의 사전 등록이 없는 시험에 관한 논문을 게재하지 않겠다는 의학 잡지 편집자 국제위원회의 성명이 발표되었다. 2005년 8월 세계 보건 기구(WHO)에 의한 국제적인 임상 시험 등록 제도인 ICTRP(International Clinical Trials Registry Platform)의 설립과, 2007년 FDA 개정법(FDAAA)에서의 등록 의무화, 2008년 세계 의사 협회에 의한 헬싱키 선언 개정으로 이어졌다.
7. 1. 연구 등록
2004년 9월,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 ''랜싯'', ''내과학 연보'', ''JAMA'' 등 주요 의학 저널 편집자들은 연구 시작부터 공개 임상 시험 등록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지 않은 제약 회사 후원 약물 연구 결과는 게재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48] ''Trials''와 같은 일부 저널은 임상 시험 프로토콜을 저널에 게재하도록 권장한다.[49]세계 보건 기구(WHO)는 모든 임상 시험에 대한 기본 정보를 연구 시작 시점에 등록하고, 이 정보를 WHO 국제 임상 시험 등록 플랫폼을 통해 공개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동의했다.[50]
7. 2. 메가스터디
메가스터디에서는 많은 수의 치료법을 동시에 테스트한다. 연구에 다양한 중재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메가스터디의 출판 가능성은 특정 치료법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에 덜 의존한다. 따라서 메가스터디는 출판 편향에 덜 취약할 수 있다고 제안되었다.[51] 예를 들어, 효과가 없는 것으로 밝혀진 중재는 메가스터디의 일부로 출판하기가 더 쉬울 수 있다. 반면에, 이는 고려 중인 논문의 유일한 초점이었다면 파일 보관 문제로 인해 보고되지 않을 수 있다. 같은 이유로, 메가스터디 연구 설계는 연구자들이 효과가 있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생각하는 중재뿐만 아니라, 효과가 없을 위험이 높다고 인식하여 연구의 유일한 초점으로 선택하지 않을, 연구자들이 확신이 덜한 중재도 연구하도록 장려할 수 있다.참조
[1]
논문
Dissemination and publication of research findings: An updated review of related biases
[2]
논문
Publication bias in clinical research
[3]
논문
Publication bias and clinical trials
[4]
논문
Preliminary testing: The devil of statistics?
2019
[5]
논문
The Null Result Penalty
https://doi.org/10.1[...]
2023
[6]
논문
The incentive to publish negative studies: how beta-blockers and depression got stuck in the publication cycle.
2012-05
[7]
논문
On doing better science: From thrill of discovery to policy implications
https://serval.unil.[...]
2017-02
[8]
서적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prevention, assessment and adjustments
Wiley
[9]
논문
P-curve: A key to the file-drawer.
[10]
논문
The existence of publication bias and risk factors for its occurrence
1990-03
[11]
논문
Publication decisions and their possible effects on inferences drawn from tests of significance—or vice versa
1959-03
[12]
논문
Research: Publication bias and the canonization of false facts
2016-12-20
[13]
논문
Publication bias: the "file-drawer problem" in scientific inference
https://www.scientif[...]
[14]
논문
File drawer problem and tolerance for null results
[15]
논문
Bias in analytic research
[16]
논문
HARKing: Hypothesizing After the Results are Known
https://www2.psych.u[...]
[17]
논문
Does stereotype threat influence performance of girls in stereotyped domains? A meta-analysis
[18]
논문
NIH clinical trials and publication bias
https://www.research[...]
1993
[19]
논문
Fate of biomedical research protocols and publication bias in France: retrospective cohort study
[20]
논문
Extent of publication bias in different categories of research cohorts: a meta-analysis of empirical studies
[21]
논문
Identifying outcome reporting bias in randomised trials on PubMed: review of publications and survey of authors
[22]
논문
Timing and completeness of trial results posted at ClinicalTrials.gov and published in journals
[23]
논문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es from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4]
논문
Publication bias in recent meta-analyses
[25]
논문
Methodological issues and advances in biological meta-analysis
https://doi.org/10.1[...]
2012-09-01
[26]
논문
Methods for testing publication bias in ecological and evolutionary meta-analyses
https://besjournals.[...]
2022-01
[27]
논문
Do Certain Countries Produce Only Positive Results? A Systematic Review of Controlled Trials
1998
[28]
논문
Figure: Publication bias
[29]
서적
Summing Up: The Science of Reviewing Research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1984
[30]
논문
Detecting small-study effects and funnel plot asymmetry in meta-analysis of survival data: a comparison of new and existing tests
[31]
논문
Statistical methods for dealing with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2015-01-30
[32]
논문
Detecting and adjusting for small-study effects in meta-analysis
2011-03-01
[33]
논문
Bias in meta-analysis detected by a simple, graphical test
1997-09-13
[34]
논문
Hierarchical selection models with applications in meta-analysis
[35]
논문
Estimating effect size under publication bias: small sample properties and robustness of a random effects selection model
[36]
논문
Adjus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2016-09-29
[37]
논문
Modelling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a review
[38]
논문
How does under-reporting of negative and inconclusive results affect the false-positive rate in meta-analysis? A simulation study
[39]
논문
Publication bias impacts on effect size, statistical power, and magnitude (Type M) and sign (Type S) errors in ecology and evolutionary biology
2023-04-03
[40]
간행물
What doctors don't know about the drugs they prescribe
https://www.ted.com/[...]
2020-02-03
[41]
논문
Dishonesty in Medical Research
https://www.semantic[...]
[42]
논문
Institutional Logics in the Study of Organizations: The Social Construc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Social and Financial Performance
http://marcorlitzky.[...]
[43]
뉴스
Backwards step on looking into the future
https://www.theguard[...]
2017-04-11
[44]
논문
Local literature bias in genetic epidemiology: An empirical evaluation of the Chinese literature
[45]
논문
Selection Bias in Meta-Analyses of Gene-Disease Associations
[46]
논문
Why most published research findings are false
[47]
논문
Assessing the Probability That a Positive Report is False: An Approach for Molecular Epidemiology Studies
2004-03
[48]
뉴스
Journals Insist Drug Manufacturers Register All Trials
https://www.washingt[...]
2020-02-03
[49]
웹사이트
Instructions for Trials authors — Study protocol
http://www.trialsjou[...]
2009-02-15
[50]
논문
Recognizing, investigating and dealing with incomplete and biased reporting of clinical research: from Francis Bacon to the WHO
2011
[51]
문서
Tkachenko, Y., Jedidi, K. A megastudy on the predictability of personal information from facial images: Disentangling demographic and non-demographic signals. Sci Rep 13, 21073 (2023). https://doi.org/10.1038/s41598-023-42054-9
[52]
논문
How does under-reporting of negative and inconclusive results affect the false-positive rate in meta-analysis? A simulation study
https://bmjopen.bmj.[...]
2014-08-28
[53]
논문
Publication bias: What are the challenges and can they be overcome?
http://www.ncbi.nlm.[...]
[54]
논문
Publication bias: What are the challenges and can they be overcome?
http://www.ncbi.nlm.[...]
[55]
뉴스
Maker of Paxil to Release All Trial Results
http://www.nytimes.c[...]
2013-01-10
[56]
논문
Clinical trial registration: a statement from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Medical Journal Editors
http://www.nejm.org/[...]
[57]
논문
Clinical trial registration: a statement from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Medical Journal Editors
[58]
논문
Clinical trial registration: a statement from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Medical Journal Editors
[59]
뉴스
Despite Vow, Drug Makers Still Withhold Data
http://www.nytimes.c[...]
2013-01-20
[60]
논문
Effectiveness of paroxetine in the treatment of acute major depression in adults: a systematic re-examination of published and unpublished data from randomized trials
[61]
논문
Effectiveness of non-benzodiazepine hypnotics in treatment of adult insomnia: meta-analysis of data submitted to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http://www.bmj.com/c[...]
[62]
논문
Initial severity and antidepressant benefits: A meta-analysis of data submitted to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http://www.ncbi.nlm.[...]
[63]
논문
Selective publication of antidepressant trials and its influence on apparent efficacy
http://www.nejm.org/[...]
[64]
보고서
日本うつ病学会治療ガイドライン II.大うつ病性障害2012 Ver.1
http://www.secretari[...]
日本うつ病学会、気分障害のガイドライン作成委員会
2013-01-01
[65]
논문
Publication bias and the pharmaceutical industry: the case of lamotrigine in bipolar disorder
http://www.ncbi.nlm.[...]
[66]
논문
Reboxetine for acute treatment of major depression: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published and unpublished placebo and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controlled trials
http://www.ncbi.nlm.[...]
[67]
뉴스
Europe to Investigate WHO 'False Pandemic' Scandal
http://www.thenewame[...]
2014-06-25
[68]
뉴스
(UPDATE) WHO declares first 21st century flu pandemic / Reuters
http://www.abs-cbnne[...]
2014-06-25
[69]
보고서
Big pharma often commits corporate crime, and this must be stopped
http://www.cochrane.[...]
Nordic Cochrane Centre
2014-06-04
[70]
웹사이트
Tamiflu campaign
http://www.bmj.com/t[...]
BMJ
[71]
학술지
Cochrane group rejects Roche's offer of "advisory board" to discuss analysis of oseltamivir data
[72]
학술지
Neuraminidase inhibitor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uenza in healthy adults and children
[73]
학술지
Neuraminidase inhibitor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uenza in healthy adults and children
http://onlinelibrary[...]
[74]
보도자료
Tamiflu & Relenza: how effective are they?
http://www.cochrane.[...]
Cochrane Collaboration
2014-04-10
[75]
보도자료
Tamiflu & Relenza: how effective are they?
http://www.cochrane.[...]
Cochrane Collaboration
2014-04-10
[76]
뉴스
Medical journal editors take hard line on drug research
http://www.smh.com.a[...]
smh.com.au
2004-09-10
[77]
웹사이트
Instructions for Trials authors — Study protocol
http://www.trialsjou[...]
2009-02-15
[78]
학술지
Dissemination and publication of research findings: An updated review of related biases
[79]
학술지
Publication bias in clinical research
[80]
학술지
Publication bias and clinical trials
[81]
학술지
Preliminary testing: The devil of statistics?
2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