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라스코 국제공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라스코 국제공항은 우루과이 몬테비데오에 위치한 국제공항이다. 1947년 최초의 여객 터미널이 개장했으며, 2003년 민영화되었다. 2007년 새로운 터미널 건설이 시작되어 2009년에 개장했으며,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2020년 정기 여객 항공편 운항이 중단되기도 했다. 아르헨티나 항공, GOL 항공, LATAM 등 여러 항공사가 운항하며, 에어 클래스 리네아스 아에레아스가 주요 운영 허브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카라스코 국제공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 | |
![]() | |
현지 이름 | 스페인어: Aeropuerto Internacional de Carrasco/General Cesáreo L. Berisso (아에로푸에르토 인테르나시오날 데 카라스코/헤네랄 세사레오 엘. 베리소) |
IATA 코드 | MVD |
ICAO 코드 | SUMU |
종류 | 공공 |
개항 | 1947년 |
운영자 | Aeropuertos Uruguay (아에로푸에르토스 우루과이) |
도시 | 몬테비데오 |
위치 | 카넬로네스, 시우다드데라코스타 |
허브 공항 | Air Class Líneas Aéreas (에어 클래스 리네아스 아에레아스) |
웹사이트 | http://www.aeropuertodecarrasco.com.uy |
통계 (2017년) | |
승객 수 | 2,102,516명 |
화물 처리량 | 27,395 톤 |
활주로 정보 | |
활주로 1 (01/19) | 아스팔트, 2250m |
활주로 2 (07/25) | 아스팔트, 3200m |
2. 역사
1947년 최초의 여객 터미널이 개장되었다.[1] 2003년 우루과이 정부는 공항의 관리, 운영 및 유지 보수를 민간 투자 그룹인 푸에르타 델 수르 S.A(Puerta del Sur S.A)로 이관했다.[1] 이후 활주로 01/19는 2250m로 연장되었고, 새로운 터미널 건설로 인해 활주로 10/28은 영구 폐쇄되었다.[2] 이 공항은 에어 클래스 리네아스 아에레아스의 주요 운영 허브 역할을 한다.
2. 1. 초기 역사 및 민영화
1947년 최초의 여객 터미널이 개장되었다. 2003년 우루과이 정부는 공항의 관리, 운영 및 유지 보수를 민간 투자 그룹인 푸에르타 델 수르 S.A(Puerta del Sur S.A)에 이관하였으며,[1] 이후 이 그룹은 공항의 여러 시설을 개선하는 데 투자했다.[1]2. 2. 신 터미널 개장
2007년 2월 3일, 활주로 06/24와 나란히 새로운 터미널 건설이 시작되었다.[2] 우루과이 건축가 라파엘 비뇰리가 설계한 이 새로운 터미널은 연간 300만 명의 승객을 처리할 수 있으며, 1200대 이상의 차량을 수용할 수 있는 훨씬 더 넓은 주차 공간을 갖추고 있다.[2] 이 새로운 터미널 건물은 4개의 탑승교, 도착 및 출발을 위한 별도의 층, 그리고 최상층에 넓은 전망 구역을 갖추고 있다.[2] 터미널은 2개의 탑승교를 추가로 확장할 수 있으며, 건물을 실제로 확장하기 전까지 연간 최대 600만 명의 승객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2] 새로운 터미널은 2009년 10월 5일에 개장했으며, 공식적인 운영은 2009년 12월 29일에 시작되었다.[2] 또한 1500만달러 규모의 새로운 화물 터미널도 건설되었다.[2]2. 3. 코로나19 팬데믹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2020년 3월 중순에 정기 여객 항공편이 중단되었다. 7월에 스페인행 정기 항공편이 재개되었고, 8월에는 상파울루와 산티아고행 항공편이 재개되었다.3. 운항 노선
카라스코 국제공항은 남아메리카, 북아메리카, 유럽 등지로 가는 여객 노선과 화물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여객 노선은 아르헨티나 항공, 골 항공, LATAM 브라질, 아줄 브라질 항공, LATAM 칠레, 젯스마트 항공, 아비앙카 항공, LATAM 페루, 파란 항공(파라나에어), 코파 항공, 아메리칸 항공, 이베리아 항공, 에어 유로파 등이 있다.
화물 노선은 에어 프랑스, 루프트한자 카고, 마틴에어 등이 운영한다.
3. 1. 여객 노선
카라스코 국제공항은 남아메리카, 북아메리카, 유럽 등 다양한 지역으로 가는 항공편을 운항하고 있다. 대한민국과는 직항 노선이 없으며, 주로 환승을 통해 이용해야 한다.취항 항공사와 목적지는 다음과 같다.
3. 1. 1. 남아메리카
항공사 | 목적지 |
---|---|
아르헨티나 항공 | 부에노스아이레스(호르헤 뉴베리),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세이사), 마르델플라타, 산 카를로스 데 바릴로체 |
아비앙카 항공 | 보고타 |
아줄 브라질 항공 | 쿠리치바, 포스 두 이구아수, 헤시피, 플로리아노폴리스 |
골 항공 | 상파울루(구아룰류스), 리우데자네이루(갈레앙) |
LATAM 브라질 | 상파울루(구아룰류스) |
LATAM 칠레 | 산티아고 |
LATAM 페루 | 리마 |
파라나에어 | 아순시온, 살토 |
스카이 항공 | 살바도르 다 바이아, 산티아고, 리우데자네이루(갈레앙) |
젯스마트 | 리우데자네이루(갈레앙), 산티아고 |
스카이 항공 페루 | 플로리아노폴리스, 리마 |
3. 1. 2. 북아메리카
아메리칸 항공은 마이애미행 항공편을 운항한다.[1]3. 1. 3. 유럽
이베리아 항공과 에어 유로파가 마드리드로 가는 항공편을 운항하고 있다.[1]3. 2. 화물 노선
LANCOes는 미국 마이애미와 칠레 산티아고드칠레로 가는 화물기를 운항한다.[1]에어로마스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로 가는 화물기를 운항한다.[2]
에어 클래스 리네아스 아에레아스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와 칠레 산티아고 데 칠레로 가는 화물기를 운항한다.[3]
아비앙카 카고는 콜롬비아 보고타로 가는 화물기를 운항한다.[4]
LATAM Cargo Chilees는 미국 마이애미와 칠레 산티아고 데 칠레로 가는 화물기를 운항한다.[5]
루프트한자 카고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브라질 캄피나스, 세네갈 다카르, 독일 프랑크푸르트로 가는 화물기를 운항한다.[6]
웨스턴 글로벌 항공은 미국 마이애미로 가는 화물기를 운항한다.[7]
에어 프랑스는 프랑스 파리로 가는 화물기를 운항한다.[8]
루프트한자 카고는 독일 프랑크푸르트로 가는 화물기를 운항한다.[9]
마틴에어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으로 가는 화물기를 운항한다.[10]
4. 시설
카라스코 국제공항은 시설이 현대적이다. 터미널에는 유리로 된 제트웨이가 설치되어 있어 공간감과 현대적인 느낌을 준다.[1] 활주로는 2개가 있으며, 아스팔트로 포장되어 있고 길이는 각각 2250m, 3200m이다.[1] 공항은 몬테비데오 시내에서 19km 떨어져 있으며, 대중교통과 택시를 이용하여 몬테비데오와 푼타델에스테로 이동할 수 있다.[6]
4. 1. 터미널
2003년 공항의 모든 업무가 민영 투자 그룹인 푸에르타 델 수르(Puerta Del Sur)에 넘어갔다. 여객기와 터미널 건물을 잇는 승강용 통로인 제트웨이(jetway)는 유리로 되어 있어 공간감과 현대적인 느낌을 준다.[1]4. 2. 활주로
카라스코 국제공항에는 활주로가 2개 있다. 이 활주로는 아스팔트로 되어 있으며, 길이는 각각 2,250m, 3,200m이다.[1]4. 3. 지상 교통
공항은 몬테비데오 시내에서 19km 떨어져 있다. 공항은 몬테비데오와 푼타델에스테를 연결하는 대중교통과 전용 택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6]5. 통계
2018년 기준 연간 200만 명 이상의 승객이 이용하였다. 2011년까지 이용객 수가 증가 추세를 보이다가 감소하였으나, 2014년 이후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6. 기타 시설
국가 민간 항공 및 항공 인프라 국 (DINACIA)의 항공 사고 및 사건 조사 및 예방 사무소(OIPAIA)는 공항 부지에 본사를 두고 있다.[1] 제네랄 세사레오 베리소 공군 기지는 우루과이 공군의 기지로, 카라스코 국제공항과 활주로를 공유하며, 우루과이 항공의 선구자인 세사레오 L. 베리소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2] 또한 기지에는 자이메 메레갈리 공군 박물관이 있다.[3]
7. 사건 및 사고
1957년 9월 18일 리얼 항공 수송 소속 컨베어 440-62 항공기(등록번호 PP-AQE)가 포르투알레그레에서 몬테비데오로 운항하던 중 사고가 발생했다. 2012년 6월 6일에는 에어 클래스 항공 소속 페어차일드 SA227AC 메트로 III 항공기(등록번호 CX-LAS)가 DHL을 대신하여 몬테비데오에서 부에노스 아이레스로 화물 운송 중 플로레스 섬 남쪽에서 실종되었다.
7. 1. 1957년 리얼 항공 수송 사고
1957년 9월 18일, 리얼 항공 수송(Real Transportes Aéreos) 소속 컨베어 440-62 항공기(등록번호 PP-AQE)가 포르투알레그레에서 몬테비데오로 운항하던 중 몬테비데오 착륙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했다. 야간 착륙 절차를 진행하던 중 안개 속에서 활주로를 1030m 벗어났고, 왼쪽 및 중간 착륙 장치가 고속도로 인근 흙 둑에 부딪혔다. 이로 인해 오른쪽 날개가 땅에 닿으면서 항공기는 두 개의 프로펠러를 잃었고, 오른쪽 날개마저 부러졌다. 이 사고로 승무원 1명이 사망했다.[1]7. 2. 2012년 에어 클래스 항공 실종
2012년 6월 6일, 에어 클래스 항공(Air Class Líneas Aéreas) 소속 페어차일드 SA227AC 메트로 III 항공기(등록번호 CX-LAS)가 DHL을 대신하여 몬테비데오에서 부에노스 아이레스로 화물 운송 중 플로레스 섬 남쪽에서 실종되었다.[1] 2012년 7월 20일, 잠수부가 플로레스 섬에서 약 1NM 떨어진 지점에서 항공기 잔해를 발견했다.[1]참조
[1]
웹사이트
Aeropuerto de Carrasco - Montevideo Uruguay
http://www.aeropuert[...]
2017-04-03
[2]
웹사이트
Montevideo/Carrasco L Berisso Airport
https://skyvector.co[...]
2019-02-17
[3]
웹사이트
Carrasco International Airport
https://www.google.c[...]
2019-02-17
[4]
웹사이트
Best Airports in South America 2015
http://www.sleepingi[...]
2016-07-16
[5]
웹사이트
Actividad en aeropuerto de Carrasco cae tras cinco años
https://negocios.elp[...]
2019-02-06
[6]
웹사이트
Airport/Transport
https://web.archive.[...]
Aeropuerto Internacional de Carrasco
2013-01-14
[7]
간행물
OIPAIA
http://www.dinacia.g[...]
National Civil Aviation and Aviation Infrastructure Direction
2012-04-17
[8]
웹사이트
Accident description PP-AQE
http://aviation-safe[...]
Aviation Safety Network
2011-07-16
[9]
웹사이트
Crash: Air Class SW4 near Flores Island on Jun 6th 2012, aircraft missing
http://www.avherald.[...]
2012-06-23
[10]
웹사이트
Airport Official Website
http://www.aic.com.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