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멜레온자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멜레온자리는 페트루스 플란시우스가 1597년 또는 1598년에 제작한 천구본에 처음 등장한 별자리로, 1603년 요한 바이어의 천문 지도에 수록되어 널리 알려졌다. 남반구에 위치하며,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밝은 천체는 적지만, 여러 개의 4등성을 포함한다. 카멜레온자리에는 산개성단, 분자 구름, 행성상 성운 등이 존재하며, 특히 카멜레온자리 에타 성단과 카멜레온자리 암흑 성운이 주목할 만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멜레온자리 - 카멜레온자리 110913-773444
카멜레온자리 I 분자구름에 위치한 카멜레온자리 110913-773444는 목성 질량의 약 8배, 반지름은 약 1.8배인 천체로, 준갈색왜성이나 떠돌이 행성으로 분류되기도 하며, 항성 주변 원반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 카멜레온자리 - HD 63454 b
- 남반구의 별자리 - 큰개자리
큰개자리는 오리온의 사냥개로 묘사되며,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를 포함하고 있고, 다양한 밝은 별들과 천체들을 품고 있는 별자리이다. - 남반구의 별자리 - 비둘기자리
1679년 오귀스탱 루아예에 의해 큰개자리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별자리로 인정받은 비둘기자리는 성경 속 노아의 비둘기를 상징하며, 2.65 등급의 가장 밝은 별 '팍트'와 궤도 이탈성인 뮤별, 그리고 NGC 1851, NGC 1792, NGC 1808 등의 천체를 포함한다. - 별자리에 관한 - 이십팔수
이십팔수는 고대 중국 천문학에서 황도를 따라 나눈 28개의 별자리 체계로, 천체 위치 측정, 시간 계산, 계절 예측 등에 활용되었으며 동아시아 여러 나라에 전파되어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친 역사적, 문화적 유산이다. - 별자리에 관한 - 페르세우스자리
겨울철 북쪽 하늘의 밝은 별자리인 페르세우스자리는 그리스 신화 영웅을 모티브로 'u'자 모양으로 묘사되며, 알골과 같은 변광성, 이중성단, 은하단을 포함하고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의 방사점이다.
카멜레온자리 | |
---|---|
일반 정보 | |
![]() | |
심볼 | 카멜레온 |
약자 | Cha |
소유격 | Chamaeleontis (카멜레온티스) |
발음 | (커밀리언) |
으뜸별 수 | 3 |
Bayer/Flamsteed 지정 별 수 | 16 |
행성을 가진 별 수 | 1 |
밝은 별 수 | 0 |
가장 밝은 별 이름 | α Cha (Alpha Chamaeleontis) |
별 밝기 | 4.05 |
가장 가까운 별 이름 | α Cha (Alpha Chamaeleontis) |
가장 가까운 별까지의 거리 (광년) | 63.45 |
가장 가까운 별까지의 거리 (파섹) | 19.45 |
메시에 천체 수 | 0 |
유성우 | 없음 |
인접 별자리 | 파리자리 용골자리 날치자리 테이블산자리 팔분의자리 극락조자리 |
위도 (최대) | 5 |
위도 (최소) | 90 |
관측 용이한 달 | 4월 |
명칭 | |
일본어 명칭 | カメレオン座 (카메레온자) |
로마자 표기 | Kamereonza |
위치 | |
적경 | – |
적위 | – |
사분면 | SQ2 |
속성 | |
별자리 그룹 | Bayer (바이어) |
전체 면적 (제곱도) | 132 |
면적 순위 | 79위 |
2. 역사
카멜레온자리는 16세기 말 네덜란드 항해사 페터르 디르크스존 케이세르와 프레데릭 더 하우트만이 남반구 하늘을 탐험하며 처음으로 고안하였다. 1597년(또는 1598년) 페트루스 플란시우스와 요도쿠스 혼디우스가 암스테르담에서 출판한 지름 35cm의 천구본에 처음 등장했다. 이후 독일 천문학자 요한 바이어가 1603년 자신의 성도 《우라노메트리아》에 수록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17세기 유럽 탐험가들이 남반구의 별들을 관측하여 별자리를 만들었기 때문에, 카멜레온자리는 고대 신화와는 관련이 없다.
요한 가브리엘 도펠마이어의 ''Atlas Coelestis''(1742년경)에 나타난 카멜레온자리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
2. 1. 명칭과 관련된 논란
1603년 요한 바이어가 출판한 성도 『우라노메트리아』를 통해 널리 알려졌기 때문에, 카멜레온자리는 바이어가 처음 만든 별자리로 오해받기도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1598년 플랑드르 출신의 네덜란드 천문학자 페트루스 플란시우스가 페테르 케이세르와 프레데릭 데 하우트만의 관측 기록을 바탕으로 제작한 천구의에 처음 등장했다.[1] 따라서 최근에는 케이세르와 데 하우트만이 카멜레온자리를 고안한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2]18세기 프랑스의 천문학자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는 카멜레온의 등을 천구의 남극으로 향하게 그려, 혼디우스나 바이어가 묘사한 것과 다른 모습을 제시했다.[1]
1922년 국제천문연맹(IAU) 총회에서 카멜레온자리는 88개 별자리 중 하나로 공식 선정되었으며, 학명은 '''Chamaeleon''', 약칭은 '''Cha'''로 정해졌다.[3]
대한민국에서는 1910년부터 '카멜레온'이라는 번역어를 사용해왔다. 이는 일본천문학회 회지 '천문월보'에 실린 별자리 번역명 개정 기사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4] 1925년 발행된 '이과연표'에도 이 명칭이 계승되었다. 1944년 천문학 용어 재검토 시에도 '카멜레온'으로 채택되었고, 1952년 일본 천문학회의 결정에 따라 '카멜레온'이 공식적인 별자리명이 되었다. 이처럼 한국에서 사용되는 '카멜레온'이라는 명칭은 일본어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2. 2. 중국
중국 천문학에서 카멜레온자리를 이루는 별들은 작은 말두(小斗|Xiǎodǒu중국어)로 분류되었으며, 남쪽 별자리 구역(近南極星區|Jìnnánjíxīngōu중국어)에 속한다. 이는 서광계에 의해 분류되었다.[3]카멜레온자리가 있는 영역은 중국 역대 왕조의 영토에서는 거의 볼 수 없었기 때문에 삼원이나 이십팔수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이 영역의 별들이 처음 기록된 것은 명나라 말기인 1631년부터 1635년에 걸쳐 예수회 선교사 아담 샬과 서광계 등이 편찬한 천문서 『숭정역서』였다. 청나라의 1752년에 편찬된 천문서 『흠정의상고성』에서는 『숭정역서』의 근남극성구가 거의 그대로 채택되었고, 카멜레온자리의 별은 "소두"라는 성관에 포함되었다. 이는 카멜레온자리가 북두칠성이나 남두육성처럼 국자 모양을 하고 있는 데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3. 특징
카멜레온자리는 전체 하늘에서 10번째로 작은 별자리이며,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뚜렷한 천체는 없다.
3. 1. 주요 별
카멜레온자리에는 4등성 별이 5개 있으며, 이 중 α별이 가장 밝다. 국제천문연맹(IAU)은 이 중 2개의 별에 공식 명칭을 부여했다.- HD 63454: 국제천문연맹 100주년 기념행사 "IAU100 NameExoworlds"에서 우루과이 동방 공화국에 명명권이 주어졌으며, 주성은 Ceibo, 외계 행성은 Ibirapitá로 명명되었다.
- Cha 110913-773444: 원시 행성계 원반을 가진 특이한 천체로, 갈색 왜성 또는 자유 부유 행성으로 추정된다.
카멜레온자리의 다른 항성은 다음과 같다.
- β별: 겉보기 밝기 4.229등성의 4등성.
- γ별: 겉보기 밝기 4.12등성의 4등성으로, 카멜레온자리에서 두 번째로 밝다.
- δ2별: 겉보기 밝기 4.433등성의 4등성.
- θ별: 겉보기 밝기 4.337등성의 4등성.
3. 2. 성단, 성운, 은하
1999년 카멜레온자리 η 주변에서 산개성단이 발견되었다. 이 성단은 에타 카멜레온자리 성단 또는 'Mamajek 1'으로 불렸는데, 약 8백만 년 정도 되었고, 지구로부터 316ly 떨어져 있다.[2]카멜레온자리에는 분자 구름(카멜레온자리 암흑 성운)을 포함하고 있는데, 질량이 작은 T Tauri(황소자리) 별들을 생성한다. 이 성운 복합체는 지구로부터 약 400ly ~ 600ly 떨어져 있으며, 태양 질량의 수천 배의 기체와 먼지를 포함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Chamaeleon, constellation boundary
https://www.iau.org/[...]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4-02-15
[2]
웹사이트
An Active Centre
https://www.spacetel[...]
2019-12-23
[3]
웹사이트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7 月 28 日
http://aeea.nmns.edu[...]
[4]
웹사이트
Chamaeleon Constellation
http://www.topastron[...]
2019-06-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