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사블랑카 회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사블랑카 회담은 1943년 1월 모로코 카사블랑카에서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와 영국 총리 윈스턴 처칠이 만나 열린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회담이다. 회담에서는 북아프리카 전역에서의 연합군 작전 이후 시칠리아 침공 결정, 태평양 전선 병력 할당, 독일에 대한 집중 폭격 합의 등이 이루어졌다. 특히 추축국에 대한 '무조건 항복'을 요구하는 카사블랑카 선언을 발표하여 연합국의 통일된 입장을 천명했다. 회담 결과는 유럽 및 태평양 전선의 전략 수립에 영향을 미쳤으며, 전후 프랑스 문제 및 북아프리카의 독립 문제도 논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사블랑카의 역사 - 카사블랑카 해전
    카사블랑카 해전은 1942년 11월 8일부터 11일까지 모로코 카사블랑카에서 제2차 세계 대전 횃불 작전의 일환으로 미국 해군과 비시 프랑스 해군 간에 벌어진 해전으로, 연합군의 북아프리카 상륙을 저지하려던 비시 프랑스 해군과의 교전 끝에 연합군이 승리하고 카사블랑카는 항복, 비시 프랑스군은 자유 프랑스에 합류하게 되었다.
  • 자유 프랑스 - 자유 프랑스군
    자유 프랑스군은 1940년 샤를 드 골을 중심으로 결성되어 추축국에 맞서 싸운 프랑스인들과 군사 조직으로, 프랑스 해방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 자유 프랑스 - 노르망디-네만
    노르망디-네만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자유 프랑스군 소속으로 동부 전선에서 활약하며 네만강 점령 전투 공로로 명칭을 얻은 전투 비행 부대로, 소련으로부터 야코블레프 전투기를 지원받고 훈련하여 실전에 투입되었으며, 양국으로부터 훈장을 수여받고 전후에도 존속하다 해체 후 재편성되었다.
카사블랑카 회담
회의 정보
장소카사블랑카, 프랑스령 모로코
날짜1943년 1월 14일 – 1943년 1월 24일
참가국

[[File:Flag of Free France (1940-1944).svg|border|25x20px]] 자유 프랑스
회의장안파 호텔 (Anfa Hotel)
지도 정보
관련 사진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와 영국 총리 윈스턴 처칠, 그리고 그들의 고문들이 1943년 카사블랑카에서 회의를 하고 있다.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루스벨트와 영국 총리 윈스턴 처칠 및 고문들 (카사블랑카, 1943년)

2. 배경

1942년 11월, 연합군은 토치 작전의 일환으로 모로코와 알제리에 상륙했다. 카사블랑카 점령은 헨리 K. 휴이트 제독과 조지 S. 패튼 소령의 지휘 하에 비시 프랑스 선박과의 해전을 포함한 비교적 간단한 군사 작전으로 이루어졌다. 패튼이 모로코에 남는 동안,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중장은 튀니지 동부로 진격하여 추축군과 교착 상태에 빠졌다.[2] 이러한 상황은 연합국 지도자들이 향후 전략을 논의하기 위한 회담의 필요성을 느끼게 하였다.

3. 기획

북아프리카에서의 군사 작전이 곧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미국과 영국의 지도자들은 앞으로의 전쟁 전략 방향을 논의하기 시작했다. 영국은 시칠리아이탈리아를 거쳐 북쪽으로 진격하는 방안을 선호했지만, 미국은 독일 본토에 대한 직접 공격을 원했다.[1] 이러한 문제를 포함해 여러 사안에 대한 폭넓은 논의가 필요해지자, 루스벨트, 처칠, 그리고 양측 최고 지도자들이 참여하는 회담을 열기로 결정했다. (코드명: SYMBOL)[1]

4. 내용

카사블랑카 회담에 참석한 미국과 영국의 수뇌부 및 참모들


카사블랑카 회담에서는 주로 군사적 전략이 논의되었다. 북아프리카 원정을 마친 뒤 시칠리아 침공을 결정하고, 태평양 전장에서의 병력 운용, 극동 지역 공격 방향, 독일에 대한 집중 폭격 등을 합의했다.[27] 또한 이 회담에서 연합국은 카사블랑카 선언을 통해 추축국무조건 항복을 요구하는 방침을 명확히 했다.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와 영국 총리 윈스턴 처칠은 회담에서 다음과 같은 사항에 동의했다.

  • 동부 전선에서 추축군을 몰아내기 위해 독일에 대한 공격 집중
  • 소련에 대한 공급품 수송 증가
  • 이탈리아 침공을 개시하고, 프랑스 침공 전 독일에 대한 전략적 폭격 증가
  • 파푸아뉴기니에서 일본군에 대항하는 힘 증대
  • 일본이 점령한 버마를 통해 중국에게 새로운 공급선 개설
  • 추축국에게 무조건 항복을 요구
  • 유럽 전쟁의 다음 단계
  • 소련의 공세에 대한 모든 가능한 지원 제공
  • 대서양에서의 잠수함 위험 평가
  • 각 전선의 함선, 항공기, 병력 배치
  • 스탈린장제스에게 회의 의제와 합의 내용에 대해 충분히 알림


루스벨트는 회담 마지막 날인 1월 24일 기자 회견에서 연합군이 독일, 이탈리아, 일본에게 "무조건 항복"을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당시 북아프리카에서는 비시 정권으로부터 독립한 프랑스 정권에 샤를 드 골과 앙리 지로 두 지도자 간의 대립이 있었다. 루스벨트와 처칠은 이들을 포함하여 회담을 가졌으나, 충분한 해결책을 찾지 못했다.

4. 1. 카사블랑카 선언

카사블랑카 회담에서 연합국은 카사블랑카 선언이라는 통일된 목적 진술을 발표했다. 이 선언은 추축국의 무조건 항복을 통해 전쟁을 종결시킨다는 방침을 명확히 했다.[28] 루스벨트는 회담 마지막 날인 1월 24일 기자 회견에서 연합군이 독일, 이탈리아, 일본에게 "무조건 항복"을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1943년 2월 12일 라디오 연설에서 무조건 항복의 의미를 "추축국 국민들에게 해를 끼치는 것이 아니라 야만적인 지도자에게 처벌과 보복을 가하며, 다른 민족의 정복과 지배에 기반한 국가의 철학을 파괴"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4][5]

루스벨트는 미국 남북 전쟁 당시 율리시스 S. 그랜트 장군이 사용했던 "무조건 항복"이라는 용어를 빌려왔다.[2][3]

카사블랑카 회의에서 루스벨트와 처칠은 다음 사항들에 동의했다.

  • 동부 전선에서 추축군을 몰아내기 위해 독일에 대한 공격 집중
  • 소련에 대한 공급품 수송 증가
  • 이탈리아 침공을 개시하고, 프랑스 침공 전 독일에 대한 전략적 폭격 증가
  • 파푸아뉴기니에서 일본군에 대항하는 힘 증대
  • 일본이 점령한 버마를 통해 중국에게 새로운 공급선 개설
  • 추축국에게 무조건 항복을 요구


카사블랑카 회담 장소였던 마리우스 보이어(Marius Boyer)의 앙파 호텔


루스벨트의 카사블랑카 선언 전문은 다음과 같다.

4. 1. 1. 무조건 항복 원칙에 대한 논란

카사블랑카 회담에서 발표된 "무조건 항복" 원칙은 연합국의 결속을 강화하는 효과를 가져왔지만, 동시에 여러 논란을 야기했다.[6][7]

일부에서는 이 원칙이 독일의 저항을 강화하고 전쟁을 장기화시켰다는 비판을 제기했다. 외교 관계자들은 이 원칙이 너무 단호하고 경직되어 정치적 협상의 여지를 없애고, 프랑스와 독일 내 저항 세력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8]

또한, 독일 내 반(反)나치 세력과의 협상 가능성을 차단했다는 비판도 있었다. 앨런 덜레스스위스 베른 주재 OSS 국장으로서, 카사블랑카 선언이 "독일이 평화를 요청한다면 더 이상 폐기할 필요가 없는 단순한 문서일 뿐"이며, 히틀러만 물러나면 된다고 주장했다.[9] 빌헬름 카나리스 제독을 비롯한 독일 내 반나치 인사들이 MI6와 협력하여 히틀러 제거 후 연합국과의 평화 협상을 모색했지만, 루스벨트 대통령은 이들의 지원 요청을 무시했다.[10][11]

찰스 볼렌은 무조건 항복 원칙이 소련군을 계속 독일과 싸우게 하고, 스탈린이 나치 정권과 별도의 평화 협상을 맺는 것을 막기 위한 루스벨트의 의도였다고 분석했다.[6][7]

한편, 영국은 독일과의 타협을 통해 독일군이 소련동유럽 지배를 막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했다. 처칠을 비롯한 연합군 지도자들은 히틀러의 지도력이 독일과의 전략 실현에 가장 큰 걸림돌이라고 여겼다.[9]

1943년 2월 12일, 루스벨트는 라디오 연설을 통해 무조건 항복이 추축국 국민들에게 해를 끼치려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유죄이고 야만적인 지도자들"에게 처벌과 응징을 가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4][5]

4. 2. 유럽 전선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와 영국 총리 윈스턴 처칠은 유럽 전선에서의 작전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미국은 해협 횡단 상륙 작전을 주장한 반면, 영국은 시칠리아 섬을 거쳐 이탈리아 본토를 공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12]

조지 마셜 장군의 조언을 받은 루스벨트 대통령은 유럽에 대한 해협 횡단 상륙 작전을 강력하게 주장했다. 반면 처칠 수상은 영국군 참모총장 앨런 브룩 경의 조언을 받아 시칠리아 섬 공격과 이탈리아 본토 침공을 선호했다. 영국 측은 독일군 예비 병력을 이탈리아에 묶어두고, 동부 전선에서 약화된 독일군을 상대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12]

조지 마셜(왼쪽), 앨런 브룩(오른쪽)


최종적으로 이탈리아 전략이 합의되었다. 루스벨트 대통령은 유럽에 대한 처칠 수상의 접근 방식을 받아들였고, 그 대신 처칠 수상은 버마에 더 많은 병력과 자원을 투입할 것을 약속했다. 미국은 호위함과 상륙정을 제공하여 태평양에서 영국을 지원하기로 했다.[12]

4. 3. 태평양 전선

루스벨트는 태평양 전쟁에서 영국의 노력이 부족하다고 비판하며, 일본에 대한 공세를 강화할 것을 요구했다. 처칠은 이에 동의하며 버마 전역에 더 많은 병력과 자원을 투입할 것을 약속했다. 여기에는 일본이 점령한 버마를 통해 중국에게 새로운 공급선을 개설하고, 파푸아뉴기니에서 일본군에게 대항하는 힘을 증대하는 것이 포함되었다.[27]

4. 4. 프랑스 문제

프랑스 자유군 지도자: 카사블랑카 회의에서 '''앙리 지로''' 장군(좌)과 '''샤를 드골''' 장군(우)


샤를 드골은 참석을 강요당했고, 루스벨트윈스턴 처칠로부터 냉담한 환영을 받았다. 프랑스 대표는 군사 계획 회의에 참석할 수 없었다.[13][14]

회의는 드골과 앙리 지로에 의한 프랑스 자유군의 공동 지도부를 공식적으로 인정하도록 촉구했다. 두 사람 사이에는 상당한 긴장이 있었고, 상호 지지를 약속하는 등의 형식적인 상호 작용에만 국한되었다.[15] 루스벨트는 사진 촬영을 원하는 사진 기자들을 위해 악수를 하도록 격려했지만, 의례적인 악수는 꺼림칙하게 이루어졌고 너무 빨리 끝나서 두 번째 촬영을 해야 했다고 한다. 루스벨트는 나중에 프랑스 지도자들 사이의 이 만남을 "총을 겨눈 결혼식"이라고 묘사했다.[16]

엘리엇 루스벨트(Elliott Roosevelt)의 저서 ''As He Saw It''(1946)은 프랭클린 루스벨트가 지로와 드골이 "그 구성과 복지에 대해 동등한 책임을 질 것"인 프랑스 임시 정부를 수립하기를 원했던 방식을 설명하고 있다.[17] 프랭클린 루스벨트는 드골을 처칠의 꼭두각시로 여겼고 지로가 미국 이익에 더 순응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프랑스 레지스탕스의 대부분이 드골을 레지스탕스의 명실상부한 지도자로 여겼기 때문에 복잡한 상황이 발생했고, 따라서 지로는 점진적으로 그의 정치적, 군사적 역할을 박탈당했다. 루스벨트는 결국 1944년 10월 드골을 프랑스 자유군의 수장으로 인정했다.[18]

4. 5. 전후 문제

루스벨트는 회담 기간 동안 모로코 술탄 무함마드 5세와 비공개로 만났으며, 무함마드 5세는 14세 아들 무레이 하산 왕세자(훗날 하산 2세)를 동반했다.[1]

루스벨트는 라바트, 모로코 주재 프랑스 총독과 전후 독립 및 북아프리카의 유대인 이민에 대해 논의하면서 다음과 같이 제안했다.

"[변호사, 의사 등] 전문직에 종사하는 유대인의 수는 북아프리카의 유대인 인구가 북아프리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로 명확하게 제한되어야 한다… 이 계획은 독일인들이 독일 유대인에 대해 가졌던 특정하고 이해할 수 있는 불만, 즉 그들이 인구의 작은 부분을 차지했지만 독일의 변호사, 의사, 교사, 대학교수의 50% 이상이 유대인이었다는 불만을 더욱 없앨 것이다."영어[20][21]

이러한 유대인 인구에 대한 구상은 수년 전 독일 주재 미국 대사 윌리엄 도드(1933-37)가 루스벨트에게 전달했던 내용과 유사하다. 도드는 독일의 유대인 탄압을 평가하면서 루스벨트에게 "유대인들은 그들의 수나 재능에 비해 독일에서 훨씬 더 많은 주요 직책을 차지하고 있었다."라는 내용의 편지를 썼다.[22]

5. 결과

카사블랑카 회담은 연합국의 목표를 담은 카사블랑카 선언을 통해 추축국의 "무조건 항복" 외에는 다른 선택지가 없음을 전 세계에 알렸다. 이 용어는 미국 남북 전쟁 당시 율리시스 S. 그랜트 장군이 사용했던 표현에서 유래했다.[2][3] 루스벨트 대통령은 1943년 1월 24일 기자 회견에서 독일, 이탈리아, 일본에 대한 "무조건 항복"을 요구한다고 밝혔다.[4][5]

그러나 미국과 영국 내부에서는 독일의 항복과 "무조건 항복" 원칙에 대한 이견이 존재했다. 처칠은 사전에 이 원칙에 동의했지만,[6][7] 일부 자료에서는 처칠이 이 발표에 놀랐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 찰스 볼렌에 따르면, 이 원칙은 루스벨트 대통령이 소련군을 계속 독일과 싸우게 하고, 스탈린이 나치와 별도 평화 협상을 맺는 것을 막기 위해 발표한 것이라고 한다.[6][7]

하지만 이 원칙은 너무 단호하고 불가변적이며, 정치적 협상의 여지를 없애고 프랑스와 독일 저항 세력에게 도덕적 타격을 줄 수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8] 영국은 독일군이 소련동유럽 장악을 막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여 어느 정도 타협을 원했다. 앨런 덜레스는 카사블랑카 선언이 "독일이 평화를 요청한다면 더 이상 폐기할 필요가 없는 단순한 문서일 뿐이다. 히틀러가 물러서야 한다"고 주장했다.[9]

빌헬름 카나리스 제독을 포함한 독일 저항 세력은 히틀러를 제거하고 연합국과 평화 협상을 맺기 위해 영국 정보기관 MI6와 협력했지만, 루즈벨트는 이들의 지원 요청을 무시했다.[10][11]

이 회담에서는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과 윈스턴 처칠 영국 총리가 참석하여 아프리카 작전 성공 이후 시칠리아 섬과 남이탈리아에 대한 상륙 작전을 실시하기로 결정하고, 추축국무조건 항복을 요구하는 방침을 확인했다.

당시 북아프리카에서는 비시 정권으로부터 독립하여 수립된 프랑스 정권에 샤를 드골앙리 지로 두 지도자 간의 대립이 있었고, 이 회담에서 루즈벨트와 처칠은 이들 프랑스 지도자들을 포함하여 회담을 가졌으나, 충분한 해결책을 찾지 못했다.

6. 평가 및 영향

카사블랑카 회담은 제2차 세계 대전의 흐름을 바꾼 중요한 사건 중 하나로 평가된다. 이 회담은 연합국의 결속력을 강화하고 추축국에 대한 압박을 가하는 계기가 되었다. 회담에서 연합국은 추축국의 "무조건 항복"을 요구하는 카사블랑카 선언을 발표했다.[2][3] 1943년 2월 12일 라디오 연설에서 루스벨트는 "우리는 추축국 국민들에게 해를 끼칠 의도가 없다. 그러나 우리는 그들의 유죄이고 야만적인 지도자들에게 처벌과 응징을 가할 것이다."라고 밝혔다.[4][5]

하지만, 이 무조건 항복 원칙이 긍정적인 결과만 가져온 것은 아니었다. 독일과 일본의 저항을 더욱 강화하고, 이로 인해 더 많은 사상자를 발생시켰다는 비판도 존재한다.[8] 외교 관계자들은 이 원칙이 너무 단호하고 경직되어 정치적 타협의 여지를 없애고 프랑스와 독일 저항 세력에게 도덕적으로 타격을 줄 것이라고 비판했다.[8]

영국은 독일과의 어느 정도 타협을 통해 독일군이 소련동유럽 장악을 막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앨런 덜레스는 카사블랑카 선언이 "독일이 평화를 요청한다면 더 이상 폐기할 필요가 없는 단순한 문서일 뿐이다. 히틀러가 물러서야 한다"고 주장했다.[9]

한국의 관점에서는, 카사블랑카 회담에서 결정된 일본에 대한 압박 강화와 무조건 항복 요구가 결과적으로 일본 제국의 패망을 앞당겨 한국의 독립에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전후 국제 질서 재편 과정에서 연합국의 주도적인 역할을 확립하는 데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한반도의 신탁 통치 문제와도 연결된다.

7.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modern Morocco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2] 뉴스 Roosevelt, Churchill Map 1943 War Strateg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43-01-24
[3] 웹사이트 The Avalon Project: The Casablanca Conference: 1943 http://avalon.law.ya[...] 2013-11-19
[4] 웹사이트 The Avalon Project: The Casablanca Conference: 1943 http://avalon.law.ya[...] 2012-08-27
[5] 간행물 Casablanca Conference http://www.ibiblio.o[...] The Public Papers of F.D. Roosevelt, Vol. 12 2013-11-19
[6] 웹사이트 Casablanca Conference, 14 Jan. 1943 http://www.ww2db.com[...] 2012-08-27
[7] 뉴스 Roosevelt, Churchill Map 1943 War Strateg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2-08-27
[8] 웹사이트 Roosevelt And Churchill Begin Casablanca Conference http://www.history.c[...] 2013-11-19
[9] 서적 Sleeping with the Enemy, Coco Chanel's Secret War Alfred A. Knopf 2011
[10] 웹사이트 Admiral Wilhelm Canaris 1887–1945 http://www.jewishvir[...] 2012-08-28
[11] 웹사이트 http://www.historyle[...] 2013-11-19
[12] 뉴스 Roosevelt, Churchill Map 1943 War Strategy nytimes.com The New York Times 2012-08-27
[13] 서적 The General: Charles De Gaulle and the France he saved 2010
[14] 서적 Grand Strategy, IV, August 1942 – September 1943 1972
[15] 서적 An Army at Dawn
[16] 간행물 De Gaulle and the United States: How the Rift Began The History Teacher 1968
[17] 서적 As he saw it. With a foreword by Eleanor Roosevelt. [On F.D. Roosevelt.] New York 1946
[18] 서적 The Governments of the Major Foreign Powers https://books.google[...] U.S. Military Academy 1945
[19] 웹사이트 That Hell-hole of Yours https://www.american[...] 2024-12-01
[20] 서적 Roosevelt and Churchill: Their Secret Correspondence E.P. Dutton & Co., Saturday Review Press 1975
[21] 웹사이트 The American Experience.America and the Holocaust.Teacher's Guide – PBS https://web.archive.[...] PBS 2017-08-25
[22] 서적 In the Garden of Beasts Crown
[23] 서적 Brazil and the United States: Convergence and Divergence University of Georgia Press
[24] 웹사이트 CasablancaConference 1943 https://avalon.law.y[...]
[25] 웹인용 카사블랑카 컨퍼런스 [1] https://web.archive.[...] 2019-12-03
[26] 웹인용 카사블랑카 컨퍼런스 [2] https://web.archive.[...] 2019-12-03
[27] 웹인용 카사블랑카 회담 [3] https://web.archive.[...] 2019-12-03
[28] 위키피디아 Casablanca Conferen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