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사레아의 아레타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이사레아의 아레타스는 903년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니콜라스에 의해 카이사레아의 대주교가 된 인물이다. 그는 파트라이에서 태어나 콘스탄티노폴리스 대학교에서 공부했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포티오스의 제자였다. 아레타스는 학자로서 명성이 높았지만, 레온 6세의 네 번째 결혼과 관련된 논쟁에서 주요 인물로 활동하며, 20세기 비잔틴 학자 로밀리 젠킨스에게 "편협하고, 마음이 좋지 않으며... 병적으로 야심만만하고, 전혀 비양심적인..." 사람으로 평가받기도 했다. 그는 묵시록에 대한 주해를 썼고, 플라톤과 루키아노스에 대한 주해자로도 알려져 있으며,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에 대한 가장 오래된 언급을 남기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세기 기독교 신학자 - 성 시메온 신 신학자
- 930년대 사망 - 마로치아
9세기 말에서 10세기 초 로마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 마로치아는 투스쿨룸 백작의 딸로서 교황과의 관계 및 혼인, 아들의 교황 옹립 등을 통해 로마 정계를 장악했으며, 그녀의 통치는 교황직 암흑기로도 여겨지지만 정치적 수완을 발휘하여 로마를 통치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930년대 사망 - 이세 (시인)
이세는 헤이안 시대의 여류 시인으로, 《고킨와카슈》 등 여러 칙찬와카집에 많은 작품을 수록했으며, 정열적인 연애 시로 명성을 얻고 개인 시가집 《이세슈》를 남겼다.
카이사레아의 아레타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아레타스 |
로마자 표기 | Arethas |
출생 | 860년경 |
출생지 | 파트라이 |
사망 | 939년경 |
분야 | 비잔틴 철학 |
시대 | 중세 시대 |
주요 관심사 | 교부 철학 기독교 종말 신학 기독교 신학 스토아 철학 그리스어 주해 고대 문서들에 대한 복제 및 보존 |
학파/전통 | 마케도니아 르네상스 |
영향 | 성 포티오스 카이사레아의 안드레아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순교자 성 유스티노 |
영향을 받은 인물 | 레온 6세 |
2. 생애
아레타스는 파트라이(오늘날 그리스)에서 태어났다. 그는 포티오스의 제자였다. 그는 콘스탄티노폴 대학교에서 공부했다. 그는 900년경 파트라스의 부제가 되었으며, 903년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니콜라스에 의해 카이사레아의 대주교가 되었다. 그는 궁정 정치에 깊이 관여했고, 첫 세 아내가 죽고 후계자가 없어진 후 현명왕 레오 6세가 네 번째 결혼을 시도하면서 발생한 스캔들에 대한 논쟁의 주요 행위자였다. 아레타스는 학자로서 명성이 높았지만, 20세기 비잔틴 학자 로밀리 젠킨스는 그를 인물로서는 높게 평가하지 않았다. 젠킨스는 스캔들의 세부 사항을 설명하면서 아레타스를 "...편협하고, 마음이 좋지 않으며... 병적으로 야심만만하고, 전혀 비양심적인..." 사람이라고 묘사했다.
2. 1. 출생 및 교육
아레타스는 파트라이(오늘날 그리스)에서 태어났다. 그는 포티오스의 제자였다. 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대학교에서 수학했다. 그는 900년경에 파트라의 부제가 되었고 903년에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니콜라스에 의해 카이사레아의 대주교가 되었다. 그는 궁정 정치에 깊이 관련되었으며, 황제 레온 6세가 네 번째 혼인을 시도하였을 때 일어난 논쟁에서 주요 인물이었다. 학자로서 아레타스의 명성에도 불구하고, Jenkins는 인물 됨에 있어서는 높이 평가하지 않았다. 이 논쟁의 세부 사항에 대하여 다시 검토하게 되면서, 아레타스는 "...쪼잔하며, 성품이 나쁘고... 병적으로 야망이 넘치는 데다가 몹시 부도덕하다..."라고 묘사된다.2. 2. 카이사레아 대주교 임명
아레타스는 파트라이(오늘날 그리스)에서 태어나 포티오스의 제자로 콘스탄티노폴리스 대학교에서 수학했다. 900년경에 파트라의 부제가 되었고, 903년에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니콜라스에 의해 카이사레아의 대주교가 되었다. 그는 궁정 정치에 깊이 관여했으며, 황제 레온 6세가 네 번째 혼인을 시도하였을 때 일어난 논쟁에서 주요 인물이었다. 학자로서 아레타스의 명성에도 불구하고, Jenkins는 인물 됨에 있어서는 높이 평가하지 않았다. 이 논쟁의 세부 사항에 대하여 다시 검토하게 되면서, 아레타스는 "...쪼잔하며, 성품이 나쁘고... 병적으로 야망이 넘치는 데다가 몹시 부도덕하다..."라고 묘사된다.2. 3. 레온 6세의 네 번째 결혼 논쟁
황제 레온 6세가 첫 세 아내가 죽고 후계자가 없자 네 번째 혼인을 시도하였을 때, 아레타스는 이 논쟁의 주요 인물이었다. 그는 궁정 정치에 깊이 관여하였다. 학자로서 명성이 높았지만, 인물 됨에 있어서는 "...쪼잔하며, 성품이 나쁘고... 병적으로 야망이 넘치는 데다가 몹시 부도덕하다..."라고 묘사된다.3. 활동
그는 묵시에 대한 그리스어 주해 (난외 주해)의 편찬자였으며, 이 활동에 있어서 그는 전임자인 카이사레아의 안드레아의 유사한 작업물을 많이 이용하였다.[12] 알베르트 에르하르트는 아레타스가 그 외 성경에 관한 주해를 썼다는 의견에 동의하는 편이었다.[12] 초기 기독교 문헌에 대한 그의 관심으로, '아레타스 코덱스'를 통해 거의 모든 니케아 공의회 이전 그리스의 기독교 변증학자들의 문헌들이 상당량 전해졌다.[12] 이 필사본은 11세기부터 14세기에 걸쳐 이탈리아 필경사들이 복사하였고[13] 프랑수아 1세 시절로 추정되는 시기에 마침내 파리에 전해졌다.[14] 1682년 프랑스 왕실 보관소에서 2271번이라는 보관 번호가 부여되었고[15] 현재에는 'Parisinus graecus' 451이다. 1532년 베로나에서 오이쿠메니오스인 '카테나'의 부록으로서 초판되었다.[16][17] 피렌체의 '스트로마타' 필사본 역시도 아레타스에서 비롯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플라톤과 루키아노스에 대한 주해자로도 알려져 있으며, 파트모스에서 런던으로 전해진 플라톤의 유명한 문서 (''Codex Oxoniensis Clarkianus'' 39)은 아레타스의 지시에 따라 필사된 것이었다. 에우클레이데스, 수사학자 아일리우스 아리스티데스, 디온 크리소스토모스 등 다른 중요 그리스어 문서들[18] 역시도 그에게서 비롯한 것이었다. 카를 크룸바허는 고대 그리스 문헌과 기독교 신학의 사료들에 대한 그의 애착심을 강조하였다.
아레타스의 주해에는 로마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쓴 '명상록'(서기 175년경 집필)에 대한 알려진 것 가장 오래된 언급 사항을 담고 있다.[19] 아레타스는 비잔티움 황제 레온 6세에게 보내는 서신과 루키아노스 및 디온 크리소스토모스에 대한 주해에서 명상록을 높이 평가하고 있음을 인정하였다. 아레타스는 '명상록'을 다시 공개적 영역으로 끌어내는 데 기여하였다.
19세기까지, 학자들은 서기 540년경 묵시에 대한 자료를 남겼고, 카이사레아의 대주교이기도 했던 더 초기의 아레타스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했다. 오늘날 학자들은 이 추정이 부정확하며, 아레타스는 단 한 명이라고 여긴다.[20]
3. 1. 성서 주석
그는 묵시에 대한 그리스어 주해 (난외 주해)의 편찬자였으며, 이 활동에 있어서 그는 전임자인 카이사레아의 안드레아의 유사한 작업물을 많이 이용하였다.[12] 알베르트 에르하르트는 아레타스가 그 외 경전에 관한 주해를 썼다는 의견에 동의하는 편이었다.[12] 초기 기독교 문헌에 대한 그의 관심으로, '아레타스 코덱스'를 통해 거의 모든 니케아 공의회 이전 그리스의 기독교 변증학자들의 문헌들이 상당량 전해졌다.[12] 이 필사본은 11세기부터 14세기에 걸쳐 이탈리아 필경사들이 복사하였고[13] 프랑수아 1세 시절로 추정되는 시기에 마침내 파리에 전해졌다.[14] 1682년 프랑스 왕실 보관소에서 2271번이라는 보관 번호가 부여되었고[15] 현재에는 'Parisinus graecus' 451이다. 1532년 베로나에서 오이쿠메니오스인 '카테나'의 부록으로서 초판되었다.[16][17] 피렌체의 '스트로마타' 필사본 역시도 아레타스에서 비롯한 것으로 추정된다.아레타스의 주해에는 로마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쓴 '명상록'(서기 175년경 집필)에 대한 알려진 것 가장 오래된 언급 사항을 담고 있다.[19] 아레타스는 비잔티움 황제 레온 6세에게 보내는 서신과 루키아노스 및 디온 크리소스토모스에 대한 주해에서 명상록을 높이 평가하고 있음을 인정하였다. 아레타스는 '명상록'을 다시 공개적 영역으로 끌어내는 데 기여하였다.
3. 2. 고전 문헌 보존
카이사레아의 아레타스는 묵시에 대한 그리스어 주해 (난외 주해)의 편찬자였으며, 이 활동에 있어서 그는 전임자인 카이사레아의 안드레아의 유사한 작업물을 많이 이용하였다.[12] 알베르트 에르하르트는 아레타스가 그 외 경전에 관한 주해를 썼다는 의견에 동의하는 편이었다. 초기 기독교 문헌에 대한 그의 관심으로, '아레타스 코덱스'를 통해 거의 모든 니케아 공의회 이전 그리스의 기독교 변증학자들의 문헌들이 상당량 전해졌다.[2] 이 필사본은 11세기부터 14세기에 걸쳐 이탈리아 필경사들이 복사하였고[3] 프랑수아 1세 시절로 추정되는 시기에 마침내 파리에 전해졌다.[4] 1682년 프랑스 왕실 보관소에서 2271번이라는 보관 번호가 부여되었고[5] 현재에는 'Parisinus graecus' 451이다. 1532년 베로나에서 오이쿠메니오스인 '카테나'의 부록으로서 초판되었다.[6][7] 피렌체의 '스트로마타' 필사본 역시도 아레타스에서 비롯한 것으로 추정된다.그는 플라톤과 루키아노스에 대한 주해자로도 알려져 있으며, 파트모스에서 런던으로 전해진 플라톤의 유명한 문서 (''Codex Oxoniensis Clarkianus'' 39)은 아레타스의 지시에 따라 필사된 것이었다. 에우클레이데스, 수사학자 아일리우스 아리스티데스, 디온 크리소스토모스 등 다른 중요 그리스어 문서들[8] 역시도 그에게서 비롯한 것이었다. 카를 크룸바허는 고대 그리스 문헌과 기독교 신학의 사료들에 대한 그의 애착심을 강조하였다.
아레타스의 주해에는 로마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쓴 '명상록'(서기 175년경 집필)에 대한 알려진 것 가장 오래된 언급 사항을 담고 있다.[9] 아레타스는 비잔티움 황제 레온 6세에게 보내는 서신과 루키아노스 및 디온 크리소스토모스에 대한 주해에서 명상록을 높이 평가하고 있음을 인정하였다. 아레타스는 '명상록'을 다시 공개적 영역으로 끌어내는 데 기여하였다.
19세기까지, 학자들은 서기 540년경 묵시에 대한 자료를 남겼고, 카이사레아의 대주교이기도 했던 더 초기의 아레타스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했다. 오늘날 학자들은 이 추정이 부정확하며, 아레타스는 단 한 명이라고 여긴다.[10]
3. 3. '명상록' 언급
아레타스의 주해에는 로마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쓴 '명상록'(서기 175년경 집필)에 대한 알려진 것 가장 오래된 언급 사항을 담고 있다.[19] 아레타스는 비잔티움 황제 레온 6세에게 보내는 서신과 루키아노스 및 디온 크리소스토모스에 대한 주해에서 명상록을 높이 평가하고 있음을 인정하였다. 아레타스는 '명상록'을 다시 공개적 영역으로 끌어내는 데 기여하였다.
4. 평가
4. 1. 긍정적 평가
4. 2. 부정적 평가
5. 영향
참조
[1]
서적
The Inner Citadel The Meditations of Marcus Aurelius (Translated by Michael Chas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
문서
Patrologie
[3]
서적
Athenagorae qui fertur: De resurrectione mortuorum
BRILL
2000
[4]
서적
The Classical Heritage in France
https://books.google[...]
BRILL
[5]
서적
Catalogue détaillé des manuscrits grecs et latins de la bibliothèque du roi, portés à l'inventaire de 1682. Latin 9355
https://gallica.bnf.[...]
[6]
간행물
Donato, Bernardino
https://www.treccani[...]
2021-06-17
[7]
학위논문
The pseudo-oecumenian catena on Galatians
https://etheses.bham[...]
University of Birmingham
2021-06-17
[8]
문서
Scribes and Scholars
Oxford
[9]
서적
A Companion to Marcus Aureliu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6-12-23
[10]
문서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https://quod.lib.umi[...]
[11]
서적
The Inner Citadel The Meditations of Marcus Aurelius (Translated by Michael Chase)
https://books.google[...]
하버드 대학교 출판사
[12]
문서
Patrologie
[13]
서적
Athenagorae qui fertur: De resurrectione mortuorum
BRILL
2000
[14]
서적
The Classical Heritage in France
https://books.google[...]
BRILL
[15]
서적
Catalogue détaillé des manuscrits grecs et latins de la bibliothèque du roi, portés à l'inventaire de 1682. Latin 9355
https://gallica.bnf.[...]
[16]
간행물
Donato, Bernardino
https://www.treccani[...]
2021-06-17
[17]
학위논문
The pseudo-oecumenian catena on Galatians
https://etheses.bham[...]
University of Birmingham
2021-06-17
[18]
문서
Scribes and Scholars
Oxford
[19]
서적
A Companion to Marcus Aureliu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6-12-23
[20]
문서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https://quod.lib.um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