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리나 스테파니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테리나 스테파니디는 그리스의 장대높이뛰기 선수이다. 2016년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금메달 1개, 동메달 1개,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 동메달 2개, 유럽 선수권 대회 금메달 2개, 은메달 2개, 유럽 실내 선수권 대회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를 획득했다. 또한 다이아몬드 리그에서 4번 우승했으며, 그리스 스포츠 역사상 가장 위대한 여자 선수 중 한 명으로 꼽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의 유니버시아드 동메달리스트 - 미하일 무루초스
미하일 무루초스는 그리스의 태권도 선수로,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주니어 및 시니어 국가대표로 활약 후 은퇴하여 올림피아코스 태권도팀 단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아티키 출신 - 콘스탄티노스 2세
콘스탄티노스 2세는 그리스 왕국의 마지막 국왕로, 재위 기간 중 정치적 혼란과 군사 쿠데타, 왕정 폐지를 겪었으며, 올림픽 요트 금메달리스트이기도 하다. - 아티키 출신 - 스페인 왕대비 소피아
그리스 왕족 출신으로 후안 카를로스 1세와의 결혼을 통해 스페인 왕비가 되었으며, 남편의 즉위와 퇴위 후 왕대비로서 사회 활동과 후원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카테리나 스테파니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카테리나 스테파니디 |
원어명 | Κατερίνα Στεφανίδη |
로마자 표기 | Katerina Stefanidi |
출생일 | 1990년 2월 4일 |
출생지 | 그리스 아테네 홀라르고스 |
신장 | 1.73m |
체중 | 59kg |
국적 | 그리스 |
종목 | 육상 |
세부 종목 | 장대높이뛰기 |
선수 정보 | |
대학팀 | 스탠퍼드 대학교 |
코치 | 미첼 크리어 |
개인 최고 기록 | 4.91m (런던 2017) |
실내 개인 최고 기록 | 4.90m() (뉴욕 시 2016) |
메달 기록 | |
올림픽 | 금메달 1개, 은메달 0개, 동메달 0개 |
세계 선수권 대회 | 금메달 1개, 은메달 0개, 동메달 1개 |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 | 금메달 0개, 은메달 0개, 동메달 2개 |
다이아몬드 리그 | 금메달 4개, 은메달 0개, 동메달 0개 |
유럽 선수권 대회 | 금메달 2개, 은메달 3개, 동메달 0개 |
유럽 실내 선수권 대회 |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0개 |
유럽 팀 선수권 대회 | 금메달 2개, 은메달 0개, 동메달 0개 |
컨티넨털컵 | 금메달 0개, 은메달 1개, 동메달 0개 |
하계 유니버시아드 | 금메달 0개, 은메달 0개, 동메달 1개 |
유럽 U-23 선수권 대회 | 금메달 0개, 은메달 1개, 동메달 0개 |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 금메달 0개, 은메달 0개, 동메달 1개 |
세계 유스 선수권 대회 |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0개 |
올림픽 메달 | |
2016 리우데자네이루 | 금메달, 장대높이뛰기 |
세계 선수권 대회 메달 | |
2017 런던 | 금메달, 장대높이뛰기 |
2019 도하 | 동메달, 장대높이뛰기 |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 메달 | |
2016 포틀랜드 | 동메달, 장대높이뛰기 |
2018 버밍엄 | 동메달, 장대높이뛰기 |
다이아몬드 리그 메달 | |
2016 | 1위, 장대높이뛰기 |
2017 | 1위, 장대높이뛰기 |
2018 | 1위, 장대높이뛰기 |
2019 | 1위, 장대높이뛰기 |
유럽 선수권 대회 메달 | |
2016 암스테르담 | 금메달, 장대높이뛰기 |
2018 베를린 | 금메달, 장대높이뛰기 |
2014 취리히 | 은메달, 장대높이뛰기 |
2022 뮌헨 | 은메달, 장대높이뛰기 |
2024 로마 | 은메달, 장대높이뛰기 |
유럽 실내 선수권 대회 메달 | |
2017 베오그라드 | 금메달, 장대높이뛰기 |
2015 프라하 | 은메달, 장대높이뛰기 |
유럽 팀 선수권 대회 메달 | |
2017 빌뇌브다스크 | 금메달, 장대높이뛰기 |
2019 비드고슈치 | 금메달, 장대높이뛰기 |
컨티넨털컵 메달 | |
2018 오스트라바 | 은메달, 장대높이뛰기 |
유니버시아드 메달 | |
2011 선전 | 동메달, 장대높이뛰기 |
유럽 U-23 선수권 대회 메달 | |
2011 오스트라바 | 은메달, 장대높이뛰기 |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메달 | |
2008 비드고슈치 | 동메달, 장대높이뛰기 |
세계 유스 선수권 대회 메달 | |
2005 마라케시 | 금메달, 장대높이뛰기 |
2007 오스트라바 | 은메달, 장대높이뛰기 |
2. 경력
카테리나 스테파니디는 팔리니의 제1고등학교에 다녔으며, 전국 고등학교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 전국 고등학교 장대높이뛰기 기록과 선수권 대회 기록을 깨고, 2006년 짐나시아드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9] 성장하면서 11세에서 14세 사이의 모든 세계 연령별 기록을 깼고, 15세에 4.37m의 기록으로 세계 18세 미만 최고 기록을 깼다.[9]
15세에 2005년 세계 유소년 육상 선수권 대회에 마라케시에서 그리스 대표로 출전하여 금메달을 획득하고 4.30m의 선수권 대회 기록을 세웠다.[9] 2007년 세계 유소년 육상 선수권 대회가 오스트라바에서 열렸을 때, 4.25m로 2위를 차지했다.[9] 2008년에는 폴란드 비드고슈치에서 열린 2008년 세계 주니어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4.25m로 동메달을 획득했다.[9] 같은 해,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운동 장학금을 받고 스탠퍼드 카디널 팀에서 활동하기 시작했다.[9] 애리조나 주립 대학교에서 2000년 올림픽 장대높이뛰기 챔피언 닉 하이송의 지도를 받으며, Dr. 진 A. 브루어와 함께 인지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9]
스탠퍼드에서 코치 크리스 맥과 수석 코치 에드릭 플로리얼의 지도 아래 4.13m의 기록으로 신입생 학교 기록을 깼다.[9] 2010년, 토비 스티븐슨의 지도 아래, NCAA 디비전 I 여자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4.30m로 공동 5위를 차지했고, 팩-10 컨퍼런스 챔피언이 되었으며, 학교 기록을 여러 번 깨고 2010 NCAA 디비전 I 실외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4.25m로 공동 4위를 차지했다.[9]
2. 1. 유년 시절 (2005–2010)
카테리나 스테파니디는 팔리니의 제1고등학교에 다녔으며, 전국 고등학교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 전국 고등학교 장대높이뛰기 기록과 선수권 대회 기록을 깨고, 2006년 짐나시아드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9] 성장하면서 11세에서 14세 사이의 모든 세계 연령별 기록을 깼고, 15세에 4.37m의 기록으로 세계 18세 미만 최고 기록을 깼다.[9]15세에 2005년 세계 유소년 육상 선수권 대회에 마라케시에서 그리스 대표로 출전하여 금메달을 획득하고 4.30m의 선수권 대회 기록을 세웠다.[9] 2007년 세계 유소년 육상 선수권 대회가 오스트라바에서 열렸을 때, 4.25m로 2위를 차지했다.[9] 2008년에는 폴란드 비드고슈치에서 열린 2008년 세계 주니어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4.25m로 동메달을 획득했다.[9] 같은 해,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운동 장학금을 받고 스탠퍼드 카디널 팀에서 활동하기 시작했다.[9] 애리조나 주립 대학교에서 2000년 올림픽 장대높이뛰기 챔피언 닉 하이송의 지도를 받으며, Dr. 진 A. 브루어와 함께 인지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9]
스탠퍼드에서 코치 크리스 맥과 수석 코치 에드릭 플로리얼의 지도 아래 4.13m의 기록으로 신입생 학교 기록을 깼다.[9] 2010년, 토비 스티븐슨의 지도 아래, NCAA 디비전 I 여자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4.30m로 공동 5위를 차지했고, 팩-10 컨퍼런스 챔피언이 되었으며, 학교 기록을 여러 번 깨고 2010 NCAA 디비전 I 실외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4.25m로 공동 4위를 차지했다.[9]
2. 2. 성인 무대 (2011–2015)
카테리나 스테파니디는 2016년 하계 올림픽 여자 장대높이뛰기 금메달을 획득했고, 2012년 하계 올림픽과 2016년 하계 올림픽에 출전했다.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금메달 1개, 동메달 1개,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 동메달 2개, 유럽 선수권 대회 금메달 2개, 은메달 2개, 유럽 실내 선수권 대회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를 획득했으며, 다이아몬드 리그에서 4번 우승했다.[3] 유럽 올해의 여자 선수(2017년), 그리스 올해의 여자 선수(2017년, 2019년)로 선정되었으며, 그리스 국가대표 선수로서 쌓은 성과로 그리스 스포츠 역사상 가장 위대한 여자 선수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다.2011년 실내 NCAA 선수권 대회에서 4.40m로 2위를 차지했고, 같은 해 팩-10 컨퍼런스 타이틀(4.28m)을 방어했으며, NCAA 실외 선수권 대회에서 4.40m로 3위를 기록했다. 유럽 U23 선수권 대회 2위, 유니버시아드 3위를 차지했으며, 두 대회 모두 개인 최고 기록 4.45m를 기록했다.
2012년 실내 NCAA 선수권 대회에서 3위(4.35m)를 차지했고, 오리건주 유진에서 열린 팩-12 컨퍼런스에서 4.48m로 학교 기록을 경신하며 우승했다. 아이오와주 디모인에서 열린 NCAA 선수권 대회에서 4.45m로 우승했다. 7월 캘리포니아주 리버모어에서 시즌 최고 기록 4.51m를 달성하며 그리스 U23 기록을 세웠다.
2013년에는 부상으로 인해 개인 최고 기록을 경신하지 못하고 시즌 최고 기록 4.45m를 기록했다.

2014년 실내 시즌에 개인 최고 기록 4.55m를 기록했고, 실외 시즌에는 뉴욕에서 열린 다이아몬드 리그 대회에서 4.60m로 기록을 향상시켰다. 탈린에서 열린 유럽 육상 팀 선수권 대회 1부 리그에서 그리스 대표로 출전하여 4.55m로 우승했다. 글래스고 다이아몬드 리그에서 4.65m, 유럽 선수권 대회 1주일 전 4.71m로 개인 최고 기록을 경신하며 그리스 국가 기록과 타이를 이루었다.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4.60m로 은메달을 획득했고, 버밍엄 다이아몬드 리그 대회에서 4.57m로 우승, 취리히에서 열린 결선에서 4.67m로 3위를 차지하며 파비아나 무러에 이어 다이아몬드 리그 시리즈 종합 2위를 차지했다. 2014년 한 해 동안 10번 이상 4.55m 이상을 넘었다.
2015년 실내 시즌 동안 개인 최고 기록을 네 번 경신했고(4.56m, 4.60m, 4.61m, 4.77m), 유럽 실내 선수권 대회에서 4.75m로 은메달을 획득했다.[3]
2. 3. 전성기 (2016–2019)
카테리나 스테파니디는 2016년 하계 올림픽 여자 장대높이뛰기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8]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 1개, 동메달 1개,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 동메달 2개, 유럽 선수권 대회 금메달 2개, 은메달 2개, 유럽 실내 선수권 대회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를 획득했으며, 다이아몬드 리그에서 4번 우승했다.[8] 2017년 유럽 올해의 여자 선수, 2017년과 2019년 그리스 올해의 여자 선수로 선정되었으며, 그리스 국가대표 선수로서 쌓은 성과로 그리스 스포츠 역사상 가장 위대한 여자 선수 중 한 명으로 꼽힌다.[8] 훈련 시즌과 대회 외 기간 동안에는 미국 올림픽 훈련 센터인 오하이오주 제네바의 SPIRE 연구소 및 아카데미에서 훈련했다.[10]2016년 실내 시즌 밀로스 게임에서 4.90m의 기록으로 역대 4위에 올랐고, 2016 IAAF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에서 4.80m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후 개인 실외 기록을 꾸준히 향상시켜 필로테이에서 4.86m의 그리스 기록을 세웠다. 암스테르담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는 4.81m로 금메달을 획득하며 옐레나 이신바예바의 대회 기록을 경신했다. 2016 리우 올림픽에서 4.85m로 올림픽 챔피언이 되었고, 다이아몬드 리그 트로피를 획득했다.
2017년에는 유럽 실내 챔피언에 올랐고, 로마 다이아몬드 리그에서 4.85m의 세계 최고 기록을 세웠다. 런던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4.91m로 금메달을 획득하며 그리스 기록과 세계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2017년 실외 시즌을 무패(14연승)로 마무리하고 브뤼셀에서 다이아몬드 리그 결승전에서 우승, 유럽 육상 갈라에서 올해의 유럽 여자 선수로 선정되었다.[8]
2018년에는 2018 IAAF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 3위(4.80m), 베를린 유럽 선수권 대회 1위(4.85m)를 차지했다. 3년 연속 다이아몬드 리그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컨티넨탈컵에서 유럽 대표로 출전해 2위를 기록했다.
2. 4. 2020년 이후
2020 도쿄 올림픽을 준비하기 위해 SPIRE Institute and Academy에서 훈련했다.[12]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대부분의 공개 스포츠 행사가 중단되자, 케이티 나제오테, 알리샤 뉴먼과 함께 르노 라빌레니가 기획하고 세계 육상 연맹이 주최한 온라인 이벤트 "The Ultimate Garden Clash"에 참가했다. 선수들은 각자의 트랙에서 4미터 높이에 바를 놓고 15분 동안 최대한 많은 클리어를 시도해야 했고, 스테파니디는 34번의 클리어를 기록하며 우승했다.[11] 올림픽에서 그녀는 4.80 m의 기록으로 시즌 최고 기록을 세우며 4위를 차지했다.[13]2022년 스테파니디는 뮌헨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윌마 무르토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시즌 최고 기록은 4.75m였다. 2024년에는 로마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4.73m로 2위를 차지했다.
3. 개인 생활
카테리나 스테파니디는 육상 선수인 게오르기오스 스테파니디스와 조이 바렐리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부모는 각각 세단뛰기와 단거리 달리기 종목으로 국제 대회에 출전했다. 그녀의 여동생인 조지아 역시 장대높이뛰기 선수이다. 2015년, 그녀는 미래의 코치이자 전 장대높이뛰기 선수인 미첼 크리어와 결혼했다. 그녀는 미국에 거주하고 있다.
4. 주요 대회 성적
카테리나 스테파니디는 2016년 하계 올림픽 여자 장대높이뛰기 종목 금메달을 획득했고, 2012년 하계 올림픽과 2016년 하계 올림픽에 출전했다.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 1개, 동메달 1개,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 동메달 2개, 유럽 선수권 대회 금메달 2개, 은메달 2개, 유럽 실내 선수권 대회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를 획득했으며, 다이아몬드 리그에서 4번 우승했다.
2005년 마라케시에서 열린 세계 유스 선수권 대회에서 4.30m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7년 오스트라바에서 열린 세계 유스 선수권 대회에서는 4.25m의 기록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08년 비드고슈에서 열린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는 4.25m의 기록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1년에는 오스트라바에서 열린 유럽 U23 선수권 대회에서 4.45m의 기록으로 은메달, 선전에서 열린 유니버시아드에서 4.45m의 기록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4년 취리히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4.60m의 기록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5년 프라하에서 열린 유럽 실내 선수권 대회에서는 4.75m의 기록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6년 포틀랜드에서 열린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에서 4.80m의 기록으로 동메달,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4.81m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7년 베오그라드에서 열린 유럽 실내 선수권 대회에서 4.85m의 기록으로 금메달, 빌뇌브다스크에서 열린 유럽 팀 선수권 대회 슈퍼 리그에서 4.70m의 기록으로 금메달, 런던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4.91m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8년 버밍엄에서 열린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에서 4.80m의 기록으로 동메달,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4.85m의 기록으로 금메달, 오스트라바에서 열린 컨티넨탈 컵에서 4.85m의 기록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9년 비드고슈에서 열린 유럽 팀 선수권 대회 슈퍼 리그에서 4.70m의 기록으로 금메달, 도하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4.85m의 기록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21년 도쿄에서 열린 2020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4.80m의 기록으로 4위를 기록했다. 2022년 유진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4.70m의 기록으로 5위, 뮌헨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는 4.75m의 기록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24년 로마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4.73m의 기록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카테리나 스테파니디는 다이아몬드 리그에서 4번 우승했다.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에 다이아몬드 리그 장대높이뛰기 종목에서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2016
2017
2018
2019
4. 1. 국제 대회
카테리나 스테파니디는 2016년 하계 올림픽 여자 장대높이뛰기 종목 금메달을 획득했고, 2012년 하계 올림픽과 2016년 하계 올림픽에 출전했다.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 1개, 동메달 1개,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 동메달 2개, 유럽 선수권 대회 금메달 2개, 은메달 2개, 유럽 실내 선수권 대회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를 획득했으며, 다이아몬드 리그에서 4번 우승했다.2005년 마라케시에서 열린 세계 유스 선수권 대회에서 4.30m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7년 오스트라바에서 열린 세계 유스 선수권 대회에서는 4.25m의 기록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08년 비드고슈에서 열린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는 4.25m의 기록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1년에는 오스트라바에서 열린 유럽 U23 선수권 대회에서 4.45m의 기록으로 은메달, 선전에서 열린 유니버시아드에서 4.45m의 기록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4년 취리히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4.60m의 기록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5년 프라하에서 열린 유럽 실내 선수권 대회에서는 4.75m의 기록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6년 포틀랜드에서 열린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에서 4.80m의 기록으로 동메달,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4.81m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7년 베오그라드에서 열린 유럽 실내 선수권 대회에서 4.85m의 기록으로 금메달, 빌뇌브다스크에서 열린 유럽 팀 선수권 대회 슈퍼 리그에서 4.70m의 기록으로 금메달, 런던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4.91m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8년 버밍엄에서 열린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에서 4.80m의 기록으로 동메달,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4.85m의 기록으로 금메달, 오스트라바에서 열린 컨티넨탈 컵에서 4.85m의 기록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9년 비드고슈에서 열린 유럽 팀 선수권 대회 슈퍼 리그에서 4.70m의 기록으로 금메달, 도하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4.85m의 기록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21년 도쿄에서 열린 2020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4.80m의 기록으로 4위를 기록했다. 2022년 유진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4.70m의 기록으로 5위, 뮌헨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는 4.75m의 기록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24년 로마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4.73m의 기록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4. 2. 다이아몬드 리그 우승
카테리나 스테파니디는 다이아몬드 리그에서 4번 우승했다.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에 다이아몬드 리그 장대높이뛰기 종목에서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2016
2017
2018
2019
5. 기록
wikitable
기록 | 장소 | 날짜 | 비고 |
---|---|---|---|
4.91 m | 런던, 영국 | 2017년 8월 6일 | 그리스/NR영어 |
4.86 m | 필로테이 (아테네), 그리스 | 2016년 6월 8일 | NR영어 |
4.77 m | 버밍엄, 영국 | 2016년 6월 5일 | |
4.75 m | 라바트, 모로코 | 2016년 5월 22일 | |
4.90 m i영어 | 뉴욕 (아모리), 미국 | 2016년 2월 20일 | 그리스/NRi영어 |
4.80 m i영어 | 뉴욕 (아모리), 미국 | 2016년 2월 20일 | |
4.77 m i영어 | 플래그스태프 (애리조나), 미국 | 2015년 2월 20일 | NR영어 |
4.71 m | 모나코, 모나코 | 2014년 7월 18일 | NR영어 |
4.65 m | 글래스고, 영국 | 2014년 7월 12일 | |
4.60 m | 뉴욕, 미국 | 2014년 6월 15일 | |
4.57 m | 출라비스타 (캘리포니아), 미국 | 2014년 5월 30일 | |
4.55 m i영어 | 플래그스태프 (애리조나), 미국 | 2014년 1월 25일 | |
4.51 m | 리버모어 (캘리포니아), 미국 | 2012년 6월 16일 | NU23R영어 |
4.48 m | 유진, 미국 | 2012년 5월 13일 | NU23R영어 |
4.45 m | 오스트라바, 체코 | 2011년 7월 17일 | NU23R영어 |
4.41 m i영어 | 시애틀, 미국 | 2011년 1월 15일 | |
4.30 m | 마라케시, 모로코 | 2005년 7월 16일 | |
4.37 m i영어 | 페니아, 그리스 | 2005년 2월 20일 | 이전 WU18B영어 |
4.14 m | 코린토스, 그리스 | 2004년 7월 3일 | |
3.95 m i영어 | 페니아, 그리스 | 2004년 1월 17일 | |
3.90 m | 하니아, 그리스 | 2003년 6월 9일 | |
3.60 m i영어 | 아테네, 그리스 | 2003년 2월 22일 | |
3.40 m | 아테네, 그리스 | 2002년 6월 9일 |
5. 1. 개인 최고 기록
기록 | 장소 | 날짜 | 비고 |
---|---|---|---|
4.91 m | 런던, 영국 | 2017년 8월 6일 | 그리스/NR영어 |
4.86 m | 필로테이 (아테네), 그리스 | 2016년 6월 8일 | NR |
4.77 m | 버밍엄, 영국 | 2016년 6월 5일 | |
4.75 m | 라바트, 모로코 | 2016년 5월 22일 | |
4.90 m i영어 | 뉴욕 (아모리), 미국 | 2016년 2월 20일 | 그리스/NRi영어 |
4.80 m i영어 | 뉴욕 (아모리), 미국 | 2016년 2월 20일 | |
4.77 m i영어 | 플래그스태프 (애리조나), 미국 | 2015년 2월 20일 | NR |
4.71 m | 모나코, 모나코 | 2014년 7월 18일 | =NR |
4.65 m | 글래스고, 영국 | 2014년 7월 12일 | |
4.60 m | 뉴욕, 미국 | 2014년 6월 15일 | |
4.57 m | 출라비스타 (캘리포니아), 미국 | 2014년 5월 30일 | |
4.55 m i영어 | 플래그스태프 (애리조나), 미국 | 2014년 1월 25일 | |
4.51 m | 리버모어 (캘리포니아), 미국 | 2012년 6월 16일 | NU23R영어 |
4.48 m | 유진, 미국 | 2012년 5월 13일 | NU23R |
4.45 m | 오스트라바, 체코 | 2011년 7월 17일 | =NU23R |
4.41 m i영어 | 시애틀, 미국 | 2011년 1월 15일 | |
4.30 m | 마라케시, 모로코 | 2005년 7월 16일 | |
4.37 m i영어 | 페니아, 그리스 | 2005년 2월 20일 | 이전 WU18B영어 |
4.14 m | 코린토스, 그리스 | 2004년 7월 3일 | |
3.95 m i영어 | 페니아, 그리스 | 2004년 1월 17일 | |
3.90 m | 하니아, 그리스 | 2003년 6월 9일 | |
3.60 m i영어 | 아테네, 그리스 | 2003년 2월 22일 | |
3.40 m | 아테네, 그리스 | 2002년 6월 9일 |
5. 2. 시즌 최고 기록
기록 | 장소 | 날짜 | 비고 |
---|---|---|---|
4.91 m | 런던, 영국 | 2017년 8월 6일 | 그리스/NR영어 |
4.86 m | 필로테이 (아테네), 그리스 | 2016년 6월 8일 | NR |
4.77 m | 버밍엄, 영국 | 2016년 6월 5일 | |
4.75 m | 라바트, 모로코 | 2016년 5월 22일 | |
4.90 m i영어 | 뉴욕 (아모리), 미국 | 2016년 2월 20일 | 그리스/NRi영어 |
4.80 m i영어 | 뉴욕 (아모리), 미국 | 2016년 2월 20일 | |
4.77 m i영어 | 플래그스태프 (애리조나), 미국 | 2015년 2월 20일 | NR |
4.71 m | 모나코, 모나코 | 2014년 7월 18일 | =NR |
4.65 m | 글래스고, 영국 | 2014년 7월 12일 | |
4.60 m | 뉴욕, 미국 | 2014년 6월 15일 | |
4.57 m | 출라비스타 (캘리포니아), 미국 | 2014년 5월 30일 | |
4.55 m i영어 | 플래그스태프 (애리조나), 미국 | 2014년 1월 25일 | |
4.51 m | 리버모어 (캘리포니아), 미국 | 2012년 6월 16일 | NU23R영어 |
4.48 m | 유진, 미국 | 2012년 5월 13일 | NU23R |
4.45 m | 오스트라바, 체코 | 2011년 7월 17일 | =NU23R |
4.41 m i영어 | 시애틀, 미국 | 2011년 1월 15일 | |
4.30 m | 마라케시, 모로코 | 2005년 7월 16일 | |
4.37 m i영어 | 페니아, 그리스 | 2005년 2월 20일 | 이전 WU18B영어 |
4.14 m | 코린토스, 그리스 | 2004년 7월 3일 | |
3.95 m i영어 | 페니아, 그리스 | 2004년 1월 17일 | |
3.90 m | 하니아, 그리스 | 2003년 6월 9일 | |
3.60 m i영어 | 아테네, 그리스 | 2003년 2월 22일 | |
3.40 m | 아테네, 그리스 | 2002년 6월 9일 |
참조
[1]
웹사이트
Katerina Stefanidi
https://web.archive.[...]
Sports reference
[2]
웹사이트
Ekaterini Stefanidi
https://web.archive.[...]
rio2016.com
[3]
웹사이트
Aikaterini STEFANIDI – Athlete Profile
https://worldathleti[...]
2023-01-01
[4]
웹사이트
Οι Κορυφαίοι του ΠΣΑΤ για το 2017
https://www.hoc.gr/e[...]
Hellenic Olympic Committee
2022-12-24
[5]
웹사이트
Σταθερά στην κορυφή η Στεφανίδη
https://www.novaspor[...]
2018-08-09
[6]
웹사이트
Κατερίνα Στεφανίδη: Παγκόσμιο "φαινόμενο" η κορυφαία Ελληνίδα όλων των εποχών!
http://www.avgi.gr/a[...]
2017-08-14
[7]
웹사이트
Interview With Golden Greek Olympian, Katerina Stefanidi
https://greekcitytim[...]
2022-05-07
[8]
웹사이트
Stefanidi Comes in Fourth in Pole Vault; Kyriakopoulou Eighth
https://greekreporte[...]
2021-08-05
[9]
웹사이트
18 Sign Letter of Intent to Compete at Stanford
https://web.archive.[...]
gostanford.com
2008-02-14
[10]
웹사이트
Olympic champion talks training in Harpersfield
https://www.starbeac[...]
2017-07-14
[11]
뉴스
Stefanidi wins women's garden pole vault
https://www.bbc.co.u[...]
[12]
웹사이트
Katerina Stefanidi Returns to SPIRE for Training — SPIRE Wire
https://www.spireins[...]
2020-09-29
[13]
웹사이트
Fourth place for Stefanidi in pole vault final
https://www.ekathime[...]
2021-08-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