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칸다하르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칸다하르는 2001년 제작된 이란 영화로, 아프가니스탄 여성 나파스가 여동생을 구하기 위해 칸다하르로 향하는 여정을 그린다. 지뢰로 다리를 잃은 여동생이 자살하겠다는 편지를 받자, 나파스는 부르카를 쓰고 이란을 거쳐 고향으로 돌아가는 위험한 여정을 시작한다. 영화는 전쟁의 참혹함, 여성 억압,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여주며, 9.11 테러 이후 주목을 받았다. 넬로퍼 파지라가 주연을 맡았고, 2001년 칸 영화제에서 상영되었으며, 타임지가 선정한 "역대 100대 영화"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흐센 마흐말바프 감독 영화 - 가베 (영화)
    1996년에 제작된 이란 영화 《가베》는 페르시아 양탄자에서 이름을 딴 소녀 가베의 이야기를 몽환적으로 그려낸 작품으로, 칸 영화제에서 첫 공개되었으나 이란 내 상영 금지, 시체스 영화제 최우수 감독상 수상 등 여러 영화제에서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 모흐센 마흐말바프 감독 영화 - 고요 (영화)
    현재 정보 부족으로 인해 고요 영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
  • 이란에서 촬영한 영화 - 거짓의 F
    오슨 웰스가 감독한 영화 에세이 《거짓의 F》는 미술품 위조범 엘미르 드 호리와 그의 전기 작가 클리포드 어빙의 이야기를 통해 진실과 허구, 예술과 사기의 경계를 탐구하며, 웰스 자신의 성찰과 함께 관객에게 진실의 본질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 이란에서 촬영한 영화 - 아라비안 나이트 (1974년 영화)
    1974년 제작된 이탈리아 영화 《아라비안 나이트》는 피에르 파올로 파졸리니 감독이 《천일야화》의 에피소드를 각색하여 인간의 욕망과 성을 긍정적으로 묘사한 작품으로, 칸 영화제에서 심사위원대상을 수상했다.
  • 이란의 영화 작품 - 바람의 저편
    오슨 웰스가 감독하고 여러 배우가 출연한 《바람의 저편》은 1970년대 할리우드를 배경으로 늙은 영화감독의 마지막 날과 그의 미완성 영화를 묘사하며, 48년 동안 미완성으로 남아 있다가 2018년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되었다.
  • 이란의 영화 작품 - 비밀 투표 (영화)
    2001년 바흐만 파르마놀 감독의 이란 영화 《비밀 투표》는 외딴 섬에서 투표를 진행하는 여성 선거 관리인과 군인의 여정을 통해 민주주의 가치, 성 역할, 사회적 고립 등 다양한 주제를 탐구하며 이란 사회의 현실을 반영하고 사회 문제에 대한 논의를 촉발하는 영화이다.
칸다하르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칸다하르 (2001년 영화)
감독모흐센 마흐말바프
제작모흐센 마흐말바프
각본모흐센 마흐말바프
주연닐로페르 파지라
사두 테이모우리
호야탈라 하키미
다우드 살라후딘 (하산 탄타이)
음악모하마드 레자 다르비쉬
촬영에브라힘 가포리
편집모흐센 마흐말바프
배급사아바타 필름
상영 시간85분
제작 국가이란
언어다리어
영어
파슈토어
폴란드어
제목 (페르시아어)
관련 정보
ISBNISBN 0-275-99941-6
ISBN 978-0-275-99941-4

2. 줄거리

나파스는 캐나다에서 살고 있는 아프가니스탄 여성이다. 어느 날, 지뢰로 다리를 잃은 여동생으로부터 다음 일식 전에 자살하겠다는 편지를 받는다. 나파스는 여동생을 구하기 위해 부르카를 쓰고 이란을 거쳐 아프가니스탄으로 돌아가는 위험한 여정을 시작한다.

칸다하르로 가는 길에 나파스는 강도를 만나기도 한다. 여정을 함께 하기 위해, 최근 꾸란 학교에서 퇴학당한 소년 카크에게 안내를 부탁한다. 나파스는 위생이 좋지 않은 우물물을 마시고 병이 나자, 카크는 그녀를 마을 의사에게 데려간다. 그 의사는 이슬람으로 개종한 아프리카계 미국인으로, 수염을 기를 수 없어 가짜 수염("남자의 부르카"라고 부른다)을 쓰고 있었다. 그는 발각될까 두려워 카크를 내쫓고, 나파스를 말 마차에 태워 여동생에게 데려간다. 가는 길에 그는 자신이 정식 의학 훈련을 받지 않았으며 탈레반 치하의 아프가니스탄 상황에 환멸을 느꼈다고 털어놓는다.

나파스는 여정에서 자신이 겪는 일들을 휴대용 녹음기에 기록한다. 이 과정에서 여성들이 겪는 어려움과 수년간의 전쟁으로 파괴된 아프가니스탄 사회의 참혹한 현실을 목격한다. 시체에서 생존을 위해 물건을 훔치는 아이들, 지뢰밭에서 필요할 수 있는 인공 팔다리를 놓고 싸우는 사람들, 구멍 뚫린 커튼 뒤에서 여성 환자를 진찰하는 의사들을 보며 절망한다.

의사가 칸다하르에 들어가는 것을 두려워하며 되돌아가자, 나파스는 적십자에서 인공 다리를 사기 친 부르카를 쓴 남자를 따라간다. 그들은 노래와 악기 연주가 금지되어 탈레반에게 제지된 결혼식에 합류한다. 나파스의 안내자는 베일이 벗겨지고 끌려가지만, 나파스는 탈레반 순찰대에 의해 다른 결혼식 구성원들과 함께 계속 갈 수 있게 된다. 결국 나파스는 해질녘 칸다하르가 보이는 곳에 도착하지만, 베일에 가려진 채 칸다하르를 바라본다.

3. 등장인물


  • 넬로퍼 파지라 - 나파스 역
  • 하산 탄타이 (다우드 살라후딘) - 타비브 사히드 역
  • 사두 테이무리 - 카크 역
  • 호야탈라 하키미 - 하야트 역
  • 아이크 오구트 - 나가다르 역
  • 닐루파 파질라 - 나파스 (더빙: 도이 미카)
  • 하산 탄타이 - 사히브 (더빙: 야마자키 타쿠미)
  • 하야트라 하키미 - 하야트 (더빙: 타카네 이와오)

3. 1. 주요 인물


  • 넬로퍼 파지라 - 나파스 역: 캐나다로 망명한 아프가니스탄 저널리스트이다. 지뢰로 다리를 잃고 절망에 빠진 여동생을 구하기 위해 칸다하르로 향한다.[3]
  • 하산 탄타이 (다우드 살라후딘) - 타비브 사히드 역: 이슬람으로 개종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의사이다. 탈레반 치하의 현실에 환멸을 느끼고 나파스를 돕는다.[3]
  • 사두 테이무리 - 카크 역: 꾸란 학교에서 퇴학당한 소년으로, 나파스의 안내자 역할을 한다.[3]
  • 호야탈라 하키미 - 하야트 역
  • 아이크 오구트 - 나가다르 역

3. 2. 기타 인물


  • 호야탈라 하키미 - 하야트 역
  • 아이크 오구트 - 나가다르 역

4. 제작 배경

칸다하르》는 1996년 탈레반 치하의 아프가니스탄에서 어린 시절 친구 디아나를 찾으려다 실패한 넬로퍼 파지라의 여정에서 영감을 받았다.[4] 영화는 실화와 픽션을 결합했는데, 예를 들어 넬로퍼는 친구를 찾으러 갔지만 영화에서는 나파스가 여동생을 찾으러 간다.[4]

다우드 살라후딘(영화에서는 하산 탄타이로 출연)은 1980년 이란 이슬람 공화국 정보 당국의 지시를 받고 이란 반체제 인사이자 전 외교관을 암살한 미국 출신 개종자이다.[3] 모흐센 마흐말바프는 그에 대해 "자신이 믿었던 이상에 희생된 피해자"라고 말했다.[4]

5. 사회/문화적 의미

이 영화는 탈레반 정권 하의 아프가니스탄에서 여성들이 겪는 억압과 차별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특히, 부르카 착용 강요, 교육 및 직업 활동 제한, 의료 서비스 접근의 어려움 등 여성 인권 문제를 심층적으로 다룬다. 주인공 나파스는 휴대용 녹음기에 자신의 인상을 기록하면서, 여성이 직면한 어려움에 대해 점점 더 많이 배우게 된다.

영화는 전쟁과 폭력이 사회를 어떻게 파괴하는지를 보여준다. 수년간의 전쟁으로 인해 아프가니스탄 사회는 황폐화되었고, 사람들은 생존을 위해 시체에서 물건을 강탈하거나, 지뢰를 밟을 경우 필요할 수 있는 인공 팔다리를 놓고 싸우는 등 극단적인 선택을 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이 영화는 또한 종교적 극단주의의 위험성을 경고한다. 탈레반의 엄격한 율법 해석은 아프가니스탄 사람들의 삶을 억압하고, 사회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영화 속에서는 노래와 악기 연주가 법으로 금지되어 결혼식이 제지되는 모습이 나타난다.

6. 평가 및 반응

이 영화는 2001년 칸 영화제에서 처음 상영되었지만,[5] 처음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2001년 이슬람주의자들의 9.11 테러 이후 널리 상영되었다.

''칸다하르''는 2001년 유네스코에서 마흐말바프에게 페데리코 펠리니 상을 수여했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이 4개의 상을 수상했으며, 다른 6개 부문에도 후보로 올랐다.

상 이름수여자영화제/기관연도
표현의 자유상미국 국립 심의 위원회2001
에큐메니컬 심사위원상모흐센 마흐말바프칸 영화제2001
FIPRESCI상모흐센 마흐말바프테살로니키 영화제2001
관객상, 최우수 여성 목소리상사브리나 두란티 ("넬로퍼 파지라"의 더빙)일 페스티벌 나치오날레 델 도피아지오 보치 넬롬브라2002



이 영화는 잡지 ''타임''이 선정한 "역대" 100대 영화 중 하나이다.[6] 2021년 8월 28일 기준으로, 6,669명의 IMDb 사용자가 가중 평균 6.8점을 부여했다.[7] 이탈리아에서 이 영화는 450만달러의 흥행 수입을 올렸다.[8]

7. 다큐멘터리: 칸다하르로의 귀환

넬로퍼 파지라가 어린 시절 친구를 찾기 위해 아프가니스탄을 방문하려 한 또 다른 시도는 65분짜리 다큐멘터리 《칸다하르로의 귀환》(2003)으로 제작되었다. 이 다큐멘터리는 탈레반 정부가 무너진 후 2002년 넬로퍼가 캐나다에서 아프가니스탄으로 돌아가는 모습을 담고 있다.[9]

다큐멘터리에서 넬로퍼는 1989년에 가족과 함께 도망친 지 13년 만에 카불, 칸다하르, 마자르이샤리프를 방문한다. 그녀는 결국 디아나의 가족을 찾아, 친구가 몇 년 전에 자살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 다큐멘터리는 넬로퍼의 개인적인 이야기와 아프가니스탄 자체의 이야기를 엮어낸다.[9]

참조

[1] 서적 The Making of Alternative Cinema: Beyond the frame : dialogues with world filmmakers https://books.google[...] Praeger 2008
[2] 웹사이트 Kandahar - Movie Review https://www.austinch[...] 2002-03-01
[3] 간행물 A Killer in "Kandahar?" http://www.time.com/[...] 2001-12-19
[4] 뉴스 The condemned https://www.theguard[...] 2002-06-12
[5]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Kandahar http://www.festival-[...] 2009-10-17
[6] 웹사이트 Kandahar https://entertainmen[...] Time 2010-01-14
[7] IMDb Kandahar (2001) https://www.imdb.com[...] 2021-08-28
[8] 간행물 Homegrown pix gain in Europe 2001-12-24
[9] 뉴스 Return to Kandahar – a film by Paul Jay and Nelofer Pazira https://theanalysis.[...] 2020-08-15
[10] Kinejun title カンダハール 32793 2016-0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